Elasmobranchii
ElasmobranchiiElasmobranchii 시간 범위: | |
---|---|
백상아리 (카르카로돈 카르카리아스) | |
과학적 분류 | |
도메인: | 진핵생물 |
왕국: | 애니멀리아 |
문: | 초르다타 |
클래스: | 콘드리히테스 |
하위 클래스: | Elasmobranchii 보나파르트, 1838년 |
슈퍼오더 | |
|
엘라스모 가지는 수영용 방광이 부족하고, 간에 저장된 기름으로 부력을 유지합니다. 일부 심해 상어들은 이 간유의 대상이 되고 있는데, 학교, 굴퍼, 그리고 배킹 상어(사진)를 포함합니다.[1] 이 세 종 모두 IUCN은 남획으로 인해 취약한 것으로 평가했습니다.[2][3][4]
실용적인 관점에서 볼 때, 엘라스모 가지의 생활사 패턴은 이 동물 집단을 과도한 낚시에 매우 취약하게 만듭니다. 상어와 비슷한 생활사 패턴을 가진 상업적으로 착취당한 바다거북과 수염고래도 곤경에 처한 것은 우연이 아닙니다.[5]
엘라스모브란치이(Elasmobranchii, / ɪˌ æzm əˈbr æŋ기아 ɪ/)는 현생 상어(Superorder Selachii), 가오리, 홍어, 쏘가리(Sawfish, Superorder Batoidea)를 포함한 연골어류의 하위 분류입니다. 이 하위 분류의 구성체는 외부로 개별적으로 열리는 5~7쌍의 아가미 틈, 단단한 등지느러미 및 피부에 작은 플라소이드 비늘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치아는 여러 가지 직렬로 되어 있습니다; 위턱은 두개골과 융합되지 않고, 아래턱은 위턱과 관절되어 있습니다. 이 턱 해부학의 세부 사항은 종에 따라 다르며, 다양한 엘라스모 가지 분기군을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수컷의 골반 지느러미는 정자 전달을 위한 걸쇠를 만들기 위해 변형됩니다. 부레는 없고, 대신에, 이 물고기들은 기름이 풍부한 큰 간으로 부력을 유지합니다.
콘드리치탄 화석과 관련하여 분기군의 정의는 불분명합니다. 일부 저자들은 네오셀라치이(현생 상어, 가오리 및 마지막 공통 조상의 다른 모든 후손을 포함하는 왕관 그룹 분기군)와 동일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다른 저자들은 엘라스모브란치이(Elasmobranchii)라는 이름을 홀로세팔리(Chimaeras와 그들의 멸종된 동족을 포함하는 분기군)보다 현대 상어와 가오리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는 모든 콘드리치이의 분지 기반 그룹에 사용합니다.[7] 감각적인 엘라스모브랜치의 중요한 멸종된 그룹에는 하이보돈트(Hybodontiformes), 크세나칸트(Xenacanthformes), 크테나칸트(Ctenacanthiformes)가 포함됩니다. 이들은 종종 현대 상어와 유사한 해부학적 구조와 생태를 언급하며 "상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엘라스모브란치라는 이름은 고대 그리스 단어인 엘라스모-("접시")와 브란키아("길")에서 유래한 것으로, 이들 물고기의 특징인 넓고 납작한 아가미를 가리킵니다.
묘사
엘라스모브란치(Elasmobranchii)는 연골어류의 두 아류 중 하나이며, 다른 하나는 홀로세팔리(Chimaeras)입니다.
elasmobranchii 아류의 구성체는 수영 방광이 없고, 외부로 개별적으로 열려있는 5~7쌍의 아가미 틈, 단단한 등지느러미 및 작은 플라세이드 비늘을 가지고 있습니다. 치아는 여러 가지 직렬로 되어 있습니다; 위턱은 두개골과 융합되지 않고, 아래턱은 위턱과 관절되어 있습니다.
현존하는 엘라스모 가지는 양막, 안와, 효모 및 유막의 몇 가지 원형 턱 현탁액을 보여줍니다. 양생학적으로, 구개 사분면은 인대가 주로 전방으로 그것을 매달아 놓는 연골두개와 안와 후 관절을 가지고 있습니다. 설골은 하악궁을 뒤로 하여 관절을 이루지만, 위턱과 아래턱에는 거의 지지를 주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궤도 운동에서, 궤도 과정은 궤도 벽과 맞물려 있고 효이드는 대부분의 현수 지지를 제공합니다.
대조적으로, 효모는 위턱과 두개골 사이의 에트모이드 관절을 포함하는 반면, 효모는 앞 인대에 비해 턱 지지를 훨씬 더 많이 제공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마지막으로, 진정한 효모라고도 알려진 유효모에서, 하악 연골은 두개골에 대한 인대 연결이 부족합니다. 대신 턱을 지탱하는 유일한 수단은 턱밑 연골과 기저핵 요소는 아래턱과 관절을 이루지만 나머지 턱밑 연골과는 단절됩니다.[8][9][10] 눈에는 태피텀 루시덤이 있습니다. 수컷 물고기의 각 골반 지느러미의 안쪽 가장자리는 정자 전달을 위한 격막을 구성하도록 홈이 파여 있습니다. 이 물고기들은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널리 분포합니다.[11]
많은 물고기들이 물갈퀴로 부력을 유지합니다. 그러나 엘라스모 가지는 헤엄치는 칼날이 부족하고, 대신 기름이 가득 찬 큰 간으로 부력을 유지합니다.[12] 이 저장된 기름은 음식이 부족할 때 영양소로 기능할 수도 있습니다.[5][13]
진화
가장 오래된 명확한 전체 그룹 엘라스모 분지(Phoebodus)는 약 3억 8,300만 년 전인 중기 데본기(후기 기브티안)에서 가장 오래된 기록을 가지고 있습니다.[14] Ctenacanthiformes 및 Hybodontiformes를 포함한 전체 그룹 엘라스모 분지의 몇 가지 중요한 그룹은 최근 데본기(Famennian)에 의해 이미 나타났습니다.[15] 석탄기 동안, 몇몇의 크테나캔스들은 현대의 백상아리에 필적하는 크기로 자랐습니다.[16] 석탄기와 페름기 동안, 제노칸스는 담수와 해양 환경 모두에 풍부했고 다양성이 감소된 트라이아스기에 계속 존재했습니다.[17] 하이보돈트는 페름기에 의해 높은 다양성을 [18]달성했으며 트라이아스기와 초기 쥐라기 동안 엘라스모 가지의 지배적인 그룹이 되었습니다. 하이보돈트는 해양 및 담수 환경 모두에 광범위하게 존재했습니다.[19] 네오셀라치이/Elasmobranchi sensu strico(현대 상어와 가오리의 그룹)는 트라이아스기에 이미 나타났지만, 이 시기에는 다양성이 낮았고 현대 상어와 가오리의 목이 나타난 쥐라기 초기부터 광범위하게 다양해지기 시작했습니다.[20] 이것은 쥐라기 후기에 해양 환경의 작은 구성 요소가 되었지만 백악기에 담수 환경에서 일반적으로 유지되었던 하이보돈트의 감소와 일치했습니다.[21] 가장 어린 하이보돈트의 유적은 백악기 말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22]
분류학
엘라스모브란치는 1838년 찰스 루시엔 보나파르트에 의해 처음 만들어졌습니다. Elasmobranchii에 대한 Bonaparte의 원래 정의는 현대의 Chondrichthyes와 사실상 동일했으며, 3개의 살아있는 주요 연골어류 그룹 모두가 공유하는 아가미 구조를 기반으로 했습니다. 20세기 동안에는 키메라를 엘라스모브란치이에서 제외하는 것이 표준이 되었고, 많은 콘드리치탄 화석을 그룹에 포함시켰습니다. 엘라스모브란치이의 정의는 그 이후로 콘드리치탄 화석과 관련하여 많은 혼란을 겪고 있습니다. Maisey(2012)는 Elasmobranchii를 현대 상어와 가오리의 마지막 공통 조상에 전용으로 사용해야 한다고 제안했는데, 이 그룹은 이전에 Compagno(1977)에 의해 네오셀라치이(Neoselachii)로 명명되었습니다.[7] 최근의 다른 저자들은 엘라스모브란치이를 넓은 의미로 사용하여 키메라보다 현대의 상어와 가오리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는 모든 콘드리치이를 포함시켰습니다.[14]
엘라스모브란치의 전체 그룹에는 1902년 집단 유셀라치이 헤이(Euselachii Hay)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히보돈티폼 및 기타 멸종된 콘드리치타이안과 엘라스모브란치 센수 스트릭토/네오셀라치이를 그룹화하여 골격의 여러 공유 형태학적 특성에 의해 뒷받침되는 더 원시적인 전체 그룹 엘라스모브란치를 제외합니다.[23][24][25][26]
- 엘라스모브란치이아류
- †피보돈티폼 주문
- †스쿼틴액티폼 주문
- †인프라클래스 제나칸티모르파
- †제나칸티폼 주문
- †크테나칸티폼목
- †잘로돈티폼 주문
- †밴딩가
- †Tamiobatis
- 유셀라치이
- †하이보돈티폼목
- †프로타크로돈티과 (Protacrodontidae)
- †삼치과
- 사단 네오셀라치이
- †아크로니스티과
- †신코돈티폼 주문(인세르타 세디스)
- †과 (Ptychodontidae)
- 셀라치이(Selachimorpha) (현대 상어)
- Subdivision Batoidea (선, 홍어, 쏘가리)
- 어뢰형 주문(전사선)
- Rhinopristiformes 주문(쏘피시, 기타피시, 웨지피시 및 친척)
- 라지폼 주문(스케이트 및 친척)
- Myliobatiformes(염색체 및 친척) 주문
최근의 분자 연구들은 바토이데아가 이전에 생각했던 것처럼 파생된 셀라키아인이 아니라는 것을 암시합니다. 대신, 홍어와 가오리는 엘라스모브란치이 내의 단일계통 초목으로, 셀라키아인과 공통 조상을 공유합니다.[29][30]
참고 항목
- 연골어류 대 경골어류
- 상어, 가오리, 홍어를 감염시키는 테이프 웜인 엘라스모분지동물 목록
참고문헌
- ^ Vannuccini, Stefania (2002) Wayback Machine에서 상어 간유 제품 아카이브 2013-06-26: 상어 활용, 마케팅 및 무역, 수산 기술 논문 389, FAO, 로마. ISBN92-5-104361-2.
- ^ Fowler, S.L. (2005). "Cetorhinus maximus".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05: e.T4292A10763893. doi:10.2305/IUCN.UK.2005.RLTS.T4292A10763893.en.
- ^ Walker, T.I.; Rigby, C.L.; Pacoureau, N.; Ellis, J.; Kulka, D.W.; Chiaramonte, G.E.; Herman, K. (2020). "Galeorhinus galeus".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20: e.T39352A2907336. doi:10.2305/IUCN.UK.2020-2.RLTS.T39352A2907336.en. Retrieved 11 November 2021.[영구적 데드링크]
- ^ Finucci, B.; Bineesh, K.K.; Cheok, J.; Cotton, C.F.; Dharmadi, Kulka, D.W.; Neat, F.C.; Pacoureau, N.; Rigby, C.L.; Tanaka, S.; Walker, T.I. (2020). "Centrophorus granulosus".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20: e.T162293947A2897883. doi:10.2305/IUCN.UK.2020-3.RLTS.T162293947A2897883.en. Retrieved 11 November 2021.
{{cite journal}}
: CS1 maint: 다중 이름: 저자 목록 (링크) - ^ a b Hoenig, J.M. and Gruber, S.H. (1990) "Elasmo branchs에서의 생활사 패턴: 수산업 경영에 대한 시사점" Wayback Machine In에서 보관 2013-02-18 생명자원으로서의 Elasmo branchs: 생물학, 생태학, 체계 및 수산업의 지위 향상, eds. J. H. L. Pratt, S. H. Gruber 및 T. 타니우치, NOAA 기술 보고서 NMFS 90, 페이지 1-16.
- ^ "Elasmobranch". Merriam-Webster.com Dictionary.
- ^ a b Maisey, J. G. (April 2012). "What is an 'elasmobranch'? The impact of palaeontology in understanding elasmobranch phylogeny and evolution". Journal of Fish Biology. 80 (5): 918–951. Bibcode:2012JFBio..80..918M. doi:10.1111/j.1095-8649.2012.03245.x. PMID 22497368.
- ^ Wilga, C.D. (2005). "Morphology and evolution of the jaw suspension in lamniform sharks". Journal of Morphology. 265 (1): 102–19. doi:10.1002/jmor.10342. PMID 15880740. S2CID 45227734.
- ^ Wilga, C. D.; Motta, P. J.; Sanford, C. P. (2007). "Evolution and ecology of feeding in elasmobranchs". Integrative and Comparative Biology. 47 (1): 55–69. doi:10.1093/icb/icm029. PMID 21672820.
- ^ Wilga, Cheryl A.D. (2008). "Evolutionary divergence in the feeding mechanism of fishes". Acta Geologica Polonica. 58 (2): 113–2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8-08-19. Retrieved 2017-05-24.
- ^ Bigelow, Henry B.; Schroeder, William C. (1948). Fishes of the Western North Atlantic. Sears Foundation for Marine Research, Yale University. pp. 64–65. ASIN B000J0D9X6.
- ^ Oguri, M (1990) "elasmobranchs 고유의 선택된 생리학적 특성에 대한 검토" Wayback Machine In에서 아카이브된 2013-02-18 생명자원으로서의 Elasmobranchs: 생물학, 생태학, 체계 및 어업의 지위의 발전, eds. J. H. L. Pratt, S. H. Gruber 및 T. 타니우치, NOAA 기술 보고서 NMFS 90, 페이지 49–54.
- ^ Bone, Q.; Roberts, B. L. (2009). "The density of elasmobranchs". Journal of the Marine Biological Association of the United Kingdom. 49 (4): 913. doi:10.1017/S0025315400038017. S2CID 85871565.
- ^ a b Frey, Linda; Coates, Michael; Ginter, Michał; Hairapetian, Vachik; Rücklin, Martin; Jerjen, Iwan; Klug, Christian (2019-10-09). "The early elasmobranch Phoebodus : phylogenetic relationships, ecomorphology and a new time-scale for shark evolution".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286 (1912): 20191336. doi:10.1098/rspb.2019.1336. ISSN 0962-8452. PMC 6790773. PMID 31575362.
- ^ 슐츠, H.-P., Bullecks, J., Sawar, L. K., & Hagadorn, J. (2021) 콜로라도 다이어층의 데보니안 물고기와 파멘니안의 석탄성 동물군의 출현. A. Pradel, J. S. S. Denton, & P. Janvier (Eds.), 고대 물고기와 그들의 살아있는 친척: John G. Maisey (247–256쪽)에 대한 헌사. Verlag Dr. 프리드리히 파이일.
- ^ Maisey, John G.; Bronson, Allison W.; Williams, Robert R.; McKinzie, Mark (2017-05-04). "A Pennsylvanian 'supershark' from Texas".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37 (3): e1325369. Bibcode:2017JVPal..37E5369M. doi:10.1080/02724634.2017.1325369. ISSN 0272-4634. S2CID 134127771.
- ^ Pauliv, Victor E.; Martinelli, Agustín G.; Francischini, Heitor; Dentzien-Dias, Paula; Soares, Marina B.; Schultz, Cesar L.; Ribeiro, Ana M. (December 2017). "The first Western Gondwanan species of Triodus Jordan 1849: A new Xenacanthiformes (Chondrichthyes) from the late Paleozoic of Southern Brazil". Journal of South American Earth Sciences. 80: 482–493. Bibcode:2017JSAES..80..482P. doi:10.1016/j.jsames.2017.09.007.
- ^ Koot, Martha B.; Cuny, Gilles; Tintori, Andrea; Twitchett, Richard J. (March 2013). "A new diverse shark fauna from the Wordian (Middle Permian) Khuff Formation in the interior Haushi-Huqf area, Sultanate of Oman". Palaeontology. 56 (2): 303–343. Bibcode:2013Palgy..56..303K. doi:10.1111/j.1475-4983.2012.01199.x. ISSN 0031-0239. S2CID 86428264.
- ^ 리스, J. A. N. 그리고 언더우드, C. J., 2008, 영국 바토니안과 칼로비안의 히보돈트 상어 (중쥐라기): 고생물학, v. 51, No. 1, p. 117-147.
- ^ Underwood, Charlie J. (March 2006). "Diversification of the Neoselachii (Chondrichthyes) during the Jurassic and Cretaceous". Paleobiology. 32 (2): 215–235. Bibcode:2006Pbio...32..215U. doi:10.1666/04069.1. ISSN 0094-8373. S2CID 86232401.
- ^ Rees, Jan; Underwood, Charlie J. (January 2008). "Hybodont Sharks of the English Bathonian and Callovian (Middle Jurassic)". Palaeontology. 51 (1): 117–147. Bibcode:2008Palgy..51..117R. doi:10.1111/j.1475-4983.2007.00737.x. ISSN 0031-0239.
- ^ Carrillo-Briceño, Jorge D.; Cadena, Edwin A.; Dececchi, Alex T.; Larson, Hans C. E.; Du, Trina Y. (2016-01-01). "First record of a hybodont shark (Chondrichthyes: Hybodontiformes) from the Lower Cretaceous of Colombia". Neotropical Biodiversity. 2 (1): 81–86. Bibcode:2016NeBio...2...81C. doi:10.1080/23766808.2016.1191749. ISSN 2376-6808.
- ^ Maisey, John G. (March 2011). "The braincase of the Middle Triassic shark Acronemus tuberculatus (Bassani, 1886)". Palaeontology. 54 (2): 417–428. Bibcode:2011Palgy..54..417M. doi:10.1111/j.1475-4983.2011.01035.x. ISSN 0031-0239. S2CID 140697673.
- ^ Coates, Michael I.; Tietjen, Kristen (March 2017). "The neurocranium of the Lower Carboniferous shark Tristychius arcuatus (Agassiz, )".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108 (1): 19–35. Bibcode:2017EESTR.108...19C. doi:10.1017/S1755691018000130. ISSN 1755-6910. S2CID 135297534.
- ^ Villalobos-Segura, Eduardo; Stumpf, Sebastian; Türtscher, Julia; Jambura, Patrick; Begat, Arnaud; López-Romero, Faviel; Fischer, Jan; Kriwet, Jürgen (2023-03-08). "A Synoptic Review of the Cartilaginous Fishes (Chondrichthyes: Holocephali, Elasmobranchii) from the Upper Jurassic Konservat-Lagerstätten of Southern Germany: Taxonomy, Diversity, and Faunal Relationships". Diversity. 15 (3): 386. doi:10.3390/d15030386. ISSN 1424-2818. PMC 7614348. PMID 36950327.
- ^ Luccisano, Vincent; Rambert-Natsuaki, Mizuki; Cuny, Gilles; Amiot, Romain; Pouillon, Jean-Marc; Pradel, Alan (2021-12-02). "Phylogenetic implications of the systematic reassessment of Xenacanthiformes and 'Ctenacanthiformes' (Chondrichthyes) neurocrania from the Carboniferous–Permian Autun Basin (France)". Journal of Systematic Palaeontology. 19 (23): 1623–1642. Bibcode:2021JSPal..19.1623L. doi:10.1080/14772019.2022.2073279. ISSN 1477-2019.
- ^ Ebert, David A.; Fowler, Sarah; Dando, Marc (2021). Sharks of the world: a complete guid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0-691-20599-1.
- ^ "WoRMS -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 Echinorhiniformes". Retrieved 2022-01-04.
- ^ Winchell, Christopher J; Martin, Andrew P; Mallatt, Jon (2004). "Phylogeny of elasmobranchs based on LSU and SSU ribosomal RNA genes".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31 (1): 214–24. doi:10.1016/j.ympev.2003.07.010. PMID 15019621.
- ^ Douady, Christophe J.; Dosay, Miné; Shivji, Mahmood S.; Stanhope, Michael J. (2003). "Molecular phylogenetic evidence refuting the hypothesis of Batoidea (rays and skates) as derived sharks".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26 (2): 215–21. doi:10.1016/S1055-7903(02)00333-0. PMID 12565032.
외부 링크
- Skaphandrus.com 엘라스모브란치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