엠마 앤 레이놀즈

Emma Ann Reynolds
엠마 앤 레이놀즈
Emma A. Reynolds.jpg
1900년 프리드먼 병원에서 간호사를 맡았을 때
태어난(1862-08-03)1862년 8월 3일
죽은1917년 1월 11일 (1917-01-11) (54세)
국적미국인의
기타 이름엠마 A. 레이놀즈
직업간호사, 의사
년 활동1896-1917
로 알려져 있다.시카고의 프로비던트 병원 설립을 고무하다.

엠마레이놀즈(Emma Ann Reynolds, 1862년-1917년)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교사였으며, 그녀의 지역사회의 건강 요구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열망이 있었다. 인종차별주의 때문에 간호사 양성 학교 입학을 거부했던 그녀는 시카고에 프로비던트 병원 설립에 영향을 미쳤으며, 최초의 4명의 간호 졸업생 중 한 명이었다. 교육을 계속 받은 레이놀즈는 텍사스, 루이지애나, 워싱턴 D.C.에서 근무하는 의사로 있다가 오하이오에 영구 정착하여 그곳에서 치료를 마쳤다.

초년기

엠마 앤 레이놀즈는 1862년 8월 3일 오하이오 로스 카운티 프랭크포트에서 사라(네 존스)와 윌리엄 레이놀즈 사이에서 태어났다.[1][2] 윌버포스 대학교에서 교육을 마친 후 그녀는 미주리 캔자스 시로 이사하여 4명의 형제들이 살고 7년 동안 학교를 가르쳤다. 그녀는 가르치는 동안 아프리카계 미국인 사회의 건강상의 필요성을 인식했고,[3] 시카고에 있는 간호 학교에 등록하려고 시도했다. 그녀는 흑인이라는 이유로 입학을 거듭 거절당했다.[4] 그녀의 동생 루이스 H 목사에게 도움을 청했다. 레이놀즈 성당 목사 시카고 서쪽에 있는 스티븐스 아프리카 감리교 성공회 교회, 두 사람은 1890년 12월 잘 알려진 다니엘 헤일 윌리엄스 박사에게 접근했다.[2][5] 윌리엄스는 이전에 인턴, 의사, 외과의사의 고용 기회뿐만 아니라 흑인 환자를 위한 훈련된 간호 인력과 병원 침대의 필요성을 인식했었다. 레이놀즈의 필요성은, 그녀가 백인 간호사들의 훈련 시설에 들어가는 것을 돕기 위해 그의 영향력을 이용하기 보다는, 그는 대신에 흑인 사회에 그들만의 병원을 찾도록 설득해야 한다는 결정을 촉발시켰다.[6] 1891년 5월 프로비던트병원이 개원되었는데, 인종간 직원과 환자 간 상호 허용은 물론, 어느 인종이든 간호사를 위한 훈련시설 설립을 목표로 하고 있다.[7][8]

레이놀즈는 첫 번째 간호학 수업에 등록하여 18개월 후 훈련을 마치고 1892년 10월 27일 베르타 1세와 함께 졸업했다. 에스테스, 플로렌스 필립스, 릴리안 E. 레이놀즈.[9] 졸업하는 해, 그녀는 노스웨스턴 대학교 여자 의과대학의 의학 학위 프로그램에 이 학교의 첫 흑인 학생으로 등록했다.[10] 그녀는 1895년에 훈련을 마친 최초의 흑인 여성으로 졸업했다.[4][3] 레이놀즈는 졸업 후부터 1896년까지 간호사 양성학교의 감독관을 지냈고,[11] 1896년 폴 퀸 칼리지의 레지던트 내과의사가 되었다.[12] 2년 후, 그녀는 뉴올리언스로 이주했다.[13] 그녀는 인종차별에도 불구하고 1900년 7월까지 남아있었다.[14][15] 레이놀즈는 뉴올리언스에 있는 동안 클럽 회원으로 활동하면서 주 유색 템퍼런스 유니온[16] 뉴올리언스 아프로아메리칸 여성 클럽의 임원 중 한 명으로 활동했다. 그녀는 가난한 사람들에게 무료 간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여성 클럽 우산 아래에 방문 간호사 협회를 설립하고 조직했다.[17]

1900년 7월 23일 레이놀즈는 하워드 대학교 프리드먼 병원의 수석 간호사로 처음 3개월의 임시직으로 임명되었다.[18][19] 그녀는 1901년까지 프리드먼 병원에 남아 영양학 분야에서 간호학 교수진을 역임했지만,[20] 이듬해 병든 부모님을 돌보기 위해 오하이오로 돌아왔다.[4] 그녀는 오하이오주 설푸르 릭에서 그녀가 죽을 때까지 그곳에서 연습하는 연습을 시작했다.[11]

죽음과 유산

레이놀즈는 1917년 1월 11일 오하이오 로스 카운티 헌팅턴 타운쉽에서 심장병으로 사망했고 1월 13일 오하이오 웨이벌리 인근 데이비스 묘지에 안장됐다.[1] 1990년, 프로비던트 병원 간호사 동창회에 의해 프랭크포트의 그린라운 묘지에 그녀를 기리는 비석이 세워졌다.[2] 레이놀즈는 1991년 의학적인[3] 공헌을 인정받아 칠리코더-로스 카운티 여성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고, 1994년에는 오하이오 여성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2] 2001년, 그녀는 미국 하원에서 여성의 달 동안 선구적인 역할을 인정받았다.[4]

참조

인용구

  1. ^ a b 오하이오 데스 1917, 페이지 464.
  2. ^ a b c d 프로방던트 재단 2014.
  3. ^ a b c 로이스터 2003, 페이지 95.
  4. ^ a b c d 2001년 미국 하원의원 페이지 4438.
  5. ^ 버클러 1968, 페이지 66.
  6. ^ 버클러 1968, 페이지 67–68.
  7. ^ 버클러 1968, 페이지 71.
  8. ^ 시카고 트리뷴 1891 페이지 3
  9. ^ 시카고 데일리 트리뷴 1892 페이지 6.
  10. ^ 소령 1893, 페이지 348.
  11. ^ a b Sims 2016.
  12. ^ 커틀러 1896 페이지 118.
  13. ^ 방관자 1898, 페이지 4.
  14. ^ 타임즈-피카윤 & 1899년 8월 13일 페이지 8.
  15. ^ 타임즈-피카유1900, 페이지 12.
  16. ^ 타임즈-피카윤 & 1899년 5월 12일 페이지 3.
  17. ^ 레이놀즈 1901 페이지 22-23.
  18. ^ The Colored American 1900, 페이지 7.
  19. ^ 이브닝 타임즈 1900, 페이지 8.
  20. ^ 워필드 & 플리트우드 1901 페이지 112.

참고 문헌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