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 앤 비커디케
Mary Ann Bickerdyke메리 앤 비커디케 | |
---|---|
![]() 1898년 메리 앤 비커디케 | |
출생명 | 메리 앤 볼 |
닉네임 | "마더" 비커디케 |
태어난 | 오하이오 주 녹스 군 | 1817년 7월 19일
죽은 | 1901년 11월 8일 캔자스주 벙커힐 | (84세)
파묻힌 | |
근속년수 | 1861–1865 |
배우자 | 로버트 비커디케 |
관계 | 두 아들 |
기타작업 | 변호사, 퇴역군인 옹호자 |
어머니 비커디케로도 알려진 메리 앤 비커디케(Mary Ann Bickerdyke, 1817년 7월 19일 ~ 1901년 11월 8일)는 남북전쟁 당시 유니온 군인의 병원 행정관이자 평생 퇴역군인을 옹호하는 사람이었다. 그녀는 전쟁 중 300개의 야전병원을 설립하는 책임을 맡았으며, 전쟁 후 연금을 받는 것을 위해 참전용사와 그 가족을 돕는 변호사로 활동했다.
초년기
메리 앤 볼은 1817년 7월 19일 오하이오주 녹스 카운티에서 히람과 애니 로저스 볼 사이에서 태어났다.[1] 그녀는 오하이오에 있는 오벌린 대학에 다닌 최초의 여성들 중 한 명이었다.[2] 1847년, 그녀는 남북전쟁 2년 전인 1859년에 사망한 로버트 비커디케와 결혼했다.[3] 비커디크 족은 함께 두 아들을 낳았다.[4]
그녀는 후에 일리노이주 갤레스버그로 옮겨갔는데, 그곳에서 식물학 내과의사로 일했고 주로 허브와 식물을 이용한 대체의약품으로 일했다.[3][5] 비커디케는 미망인이 된 직후 갈레스부르크의 회교회에 다니기 시작했다.[6]
내전 서비스
메리 비커디케는 1861년 6월 9일부터 1865년 3월 20일까지 남북전쟁에 참전하여 총 19번의 전투에서 활약하였다.[7] 비커디케는 자신의 직무에 방해가 되는 사람은 아무도 두지 않는 단호한 간호사로 묘사되었다.[8] 그녀의 환자들, 사병들은 그녀를 "마더" 비커디케라고 불렀는데, 그녀의 배려심 때문이었다.[2][9][8] 한 외과의사가 어떤 행동을 취할 수 있는 권위에 대해 물었을 때, 그녀는 "전능하신 하느님의 권위에 따라, 당신이 그보다 더 높은 지위를 가진 것은 없으십니까?"[10][11]라고 대답했다. 실제로, 그녀의 권위는 위생위원회에서의 명성과 사병들에 대한 그녀의 인기에서 나왔다.[12]
22대 일리노이 보병대의 외과의사이자 비커디케의 친구인 우드워드 박사는 일리노이 카이로에 있는 불결하고 혼란스러운 군 병원에 대해 집으로 편지를 썼다. 그 편지는 그들의 교회에서 소리내어 읽혔고 갈레스부르크 시민들은 500달러어치의 물자를 모아 비커디케를 택하여 배달해 주었다(다른 사람은 아무도 가지 않을 것이다).[1][2][13] 메리 리버모어를 만난 후, 그녀는 위생위원회 노스웨스턴 지부의 현장 요원으로 임명되었다.[2] 리버모어는 또한 비커디케가 전쟁 후반기에 군대와 함께 야전에 있는 동안 위스콘신 벨로이트에서 두 아들을 돌보는 것을 도왔다. 그녀의 아들들은 벨로이트에 사는 것에 대해 불평했다.[4] 그녀는 카이로에 간호사로 머물렀고, 그곳에 있는 동안 병원을 조직하여 그랜트의 감사를 받았다. 그랜트는 그녀의 노력과 세부적인 병사들을 그녀의 병원 열차에 승인했고 [14]그의 군대가 미시시피로 이주했을 때, 비커디케도 그들이 필요로 하는 곳에 병원을 세우며 갔다.[15][16] 비커디케는 불과 5개월 만에 병원의 수녀가 되었다.[2]
그녀는 나중에 포트 도넬슨에 있는 야전병원에 입사하여 메리 J. 사포드와 함께 일했다.[17] 비커디케는 도넬슨 요새를 특히 2월 15일과 16일, 그녀가 목격한 첫 전투로 꼽는다.[18] 포트 도넬슨에서 그녀는 현장 병원에서 세탁 서비스가 부족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녀는 남자들이 쓰던 더러운 옷과 침구를 싸서 소독제를 첨가한 뒤 시카고 위생위원회가 청소할 피츠버그 랜딩행 기선에 실어 보냈다. 그녀는 또한 시카고에 있는 동료들에게 세탁기, 휴대용 주전자와 망글을 보내줄 것을 요청했다. 그리고 나서 그녀는 자신이 들판에 세운 병원들을 위해 세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탈옥과 전직 노예들을 조직했다.[19]
포트 도넬슨에서 근무한 후 멤피스의 게이조소 블록 병원에서 수장으로 임명되었다.[20] 게이조는 400명의 미국 원주민을 포함해 900명의 환자가 있었다.[21] 그녀의 다른 병원들과 마찬가지로, "마더" 비커디케는 탈출했고 게이조에서 노예를 구했다. 그녀는 심부름을 하러 가야소를 떠났고, 병원 환자들을 돌보는 일을 도와준 의료부장이 탈출한 사람들과 전직 노예들을 돌려보낸 것을 발견하기 위해 돌아왔다. 그녀는 저녁을 먹으러 떠났지만 바로 돌아오지 않았다. 오히려 그녀는 헐버트 장군의 본부를 방문했다. 그녀는 헐버트 자신이 명령을 취소할 때까지 직원들을 계속 유지할 수 있는 서면 권한을 부여받았다.[22] 그녀는 또한 병원에 유제품을 공급하기 위해 소와 암탉을 인수하기 시작했다. 헐버트 장군은 목초지를 위해 프레지던트섬을 따로 두었고 탈출한 노예와 전직 노예들은 동물들을 보살폈다.[23]
비커디케는 또한 미국 위생위원회 노스웨스턴 지부의 Eliza Emily Chappell Porter와 긴밀히 협력했다. 그녀는 나중에 첫 번째 병원 보트에서 일했다. 전쟁 중 율리시스 S. 그랜트 장군의 지휘를 받아 간호계장이 되었고, 빅스버그 전투에서 복무했다. 간호장교로서 비커디케는 때때로 고의적으로 군사적인 절차를 무시했고, 그랜트의 직원들이 그녀의 행동에 대해 불평하자 유니언 젠이 말했다. 윌리엄 T. 셔먼은 두 손을 들어 보이며 "그녀는 나보다 계급이 높다. 이 세상에서는 아무것도 할 수 없어."[24][25] 셔먼은 그녀가 "그의 최고 장군 중 한 명"[26][27]이라고 인정했고 다른 장교들은 그녀를 "브리가디에 지휘 병원"이라고 불렀다.[28] 셔먼은 특히 서군을 따르는 이 자원봉사 간호사를 좋아했다. 비커디케는 셔먼 장군과 그랜트 장군의 호의를 모두 가지고 있었는데, 그녀는 종종 그녀가 그들에게 요구한 것은 무엇이든 그녀에게 제공했다.[29]
1863년 10월 27일 비커디케는 채터누가에 보고하여 '구름 위의 전투'라는 별명을 가진 워치 마운틴 전투의 목격자였다."구름들이 시야에서 모든 것을 숨길 때까지 무서운 전투를 지켜보았다."라고 그녀는 메리 홀랜드에게 보낸 편지에서 "지금 상상으로 후커 장군의 포병 소리가 들린다"[30]고 썼다. 비커디케는 선교 능선 전투를 위해 15군단 야전병원을 차렸는데, 그곳에서 그녀는 4주 동안 유일한 여성 수행자였다.[31] 이 캠페인 기간 동안 그녀가 했던 일 중 일부는 전투에서 사망한 군인들의 개인 소지품을 모아 군인들의 집으로 돌려주는 것이었다.[32] 비커디케는 "적군의 전쟁 자원에 대해 당신이 할 수 있는 모든 피해를 입히라는 셔먼 장군의 명령에도 불구하고 조지아 주 애틀랜타를 점령하기 위한 행진에서 남부 연합군을 위한 병원 건립에 힘썼다.[16]
전쟁이 끝날 무렵, 비커디케 마더 비커디케는 미국 위생위원회의 도움으로 300개의 병원을 세우고, 실로 전투와 셔먼의 바다행군 등 19개 전장에서 부상자들을 도왔다.[17] '어머니' 비커디케는 군대의 사랑을 받아 그녀가 나타나면 군인들이 환호할 정도였다.[33] 셔먼의 요청에 따라 그녀는 전쟁이 끝날 무렵 워싱턴의 육군 대평론에서 XV 군단의 우두머리에 올라탔다.[9]
전후
전쟁이 끝난 후 비커디케는 여러 분야에서 고용되었다. 그녀는 1866년 일리노이주 시카고에 있는 '프랜드를 위한 집'에서 일했다.[34][35] 시카고, 벌링턴, 퀸시 철도의 사장이었던 찰스 해먼드 대령의 도움으로, 그녀는 50명의 참전용사 가족들이 홈스테이터로 캔자스 살리나로 이주하는 것을 도왔다. 그녀는 셔먼 장군의 도움으로 그곳에서 호텔을 경영했다. 원래 살리나 다이닝홀로 알려졌던 이곳은 비커디케 하우스라고 불리게 되었다.[36][37] 이후 그녀는 변호사가 되어 연금 수령 등 법적 문제가 있는 유니온 참전용사들을 도왔다.[38][39]
로건 장군은 그녀가 샌프란시스코 조폐국에 취직하는 것을 도왔다.[40][41] 그녀는 또한 그곳에서 구세군을 위해 일했다.[42] 캘리포니아에 있는 동안, 그녀는 캘리포니아 오클랜드의 6번인 리옹 여성구호단의 초대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그녀는 거절했지만, 전세기 회원으로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다.[42]
비커디케는 메리 리버모어가 그녀를 대신해 로비를 벌인 후 의회로부터 매달 25달러의 특별연금을 받았다.[43] 이 특별 법안은 매사추세츠 주의 롱 의원이 도입했다. 그랜트, 셔먼, 교황, 롱 장군이 그것에 대해 증언했다. 이 법안은 1886년 5월 9일에 통과되었다.[44]
비커디케는 아들과 함께 살기 위해 캔자스주 벙커힐로 은퇴했다.[45] 1901년, 그녀는 가벼운[46][47] 뇌졸중으로 평화롭게 세상을 떠났고 갈레스부르크에 묻혔다.[25]
레거시
클라라 바톤은 비커디케, 코넬리아 핸콕, 도로테아 딕스, 메리 리버모어, 애니 에테르리지 등을 기리는 시를 썼다.[48]
그녀의 동상은 일리노이주[49] 갤레스버그와 오하이오주 마운트 버논에 세워졌다.[50] 미국 정부는 1943년 10월에 발사된 SS 메리 비커디케라는 이름의 병원선과 자유선으로 그녀의 군사적 업적을 인정했다.[51][52]
일리노이주 갈레스부르크에 있는 신학교/켈로그 거리 고가도로는 2014년 11월 30일에 개교하여 공식적으로 "비커디케 다리"[53]라고 명명되었다.
메모들
- ^ a b 드류 1973년 페이지 11.
- ^ a b c d e 2006년 116페이지.
- ^ a b 드류 1973, 페이지 10.
- ^ a b 슐츠 2004, 페이지 64.
- ^ 플리에지 2003, 페이지 91-92.
- ^ 플리지 2003, 페이지 92.
- ^ Holland, Mary G. (2002). Our Army Nurse: Stories from Women in the Civil War. Roseville: Edinborough Press. p. 25. ISBN 978-1-889020-04-4.
- ^ a b 체이스 1896, 페이지 v.
- ^ a b 1998년 홀랜드 페이지 34.
- ^ Livermore, Mary (1888). "XXIV". My Story of the War.
- ^ 체이스 1896, 페이지 21-22.
- ^ 슐츠 2004, 페이지 119.
- ^ 체이스 1896, 페이지 9-10.
- ^ 체이스 1896, 페이지 26.
- ^ 드류 1973, 페이지 12~38.
- ^ a b 2006년 117페이지.
- ^ a b 1998년 홀랜드 25페이지.
- ^ Holland, Mary G. (2002). Our Army Nurse: Stories from Women in the Civil War. Roseville: Edinborough Press. p. 25. ISBN 978-1-889020-04-4.
- ^ 체이스 1896, 페이지 17-18.
- ^ 체이스 1896, 페이지 44–45.
- ^ 체이스 1896, 페이지 45.
- ^ 체이스 1896, 페이지 47-49.
- ^ 체이스 1896, 페이지 49-52.
- ^ De Leeuw, Adèle (1961). "Cyclone in Calico". Nurses who Led the Way. Whitman. p. 27. OCLC 2702953.
- ^ a b 플리에지 2003, 페이지 94.
- ^ 1998년 홀란드, 페이지 2
- ^ 1896년, 페이지 80.
- ^ 1896년, 페이지 28.
- ^ Hall, Richard H. (2006). Women on the Civil War Battlefront. Lawrence: University Press of Kansas. p. 262. ISBN 9780700614370.
- ^ Holland, Mary G. (2002). Our Army Nurse: Stories from Women in the Civil War. Roseville: Edinborough Press. p. 25. ISBN 978-1-889020-04-4.
- ^ 무어, 프랭크, 전쟁의 여인, 하트포드, CT: S. S. 스크랜턴, 470페이지.
- ^ Holland, Mary G. (2002). Our Army Nurse: Stories from Women in the Civil War. Roseville: Edinborough Press. p. 26. ISBN 978-1-889020-04-4.
- ^ "Mary Bickerdyke – A Civil War Hero". legendsofamerica.com.
- ^ 매시 1994, 페이지 300.
- ^ 1896년, 페이지 109.
- ^ 매시 1994 페이지 301.
- ^ 체이스 1896, 페이지 109–110.
- ^ 드류 1973, 페이지 136–140.
- ^ 체이스 1896, 페이지 86-87.
- ^ 매시 1994 페이지 302.
- ^ 1896년, 페이지 137.
- ^ a b 체이스 1896, 페이지 140.
- ^ 드류 1973, 페이지 143.
- ^ 체이스 1896, 페이지 102-107.
- ^ 매시 1994, 페이지 303.
- ^ 드류 1973, 페이지 148–149.
- ^ 1896년, 페이지 142.
- ^ 2006년, 112페이지, 124–127페이지.
- ^ "The Mother Bickerdyke Monument at Galesburg, Illinois". thezephyr.com.
- ^ "Remarkable Ohio". remarkableohio.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1-16.
- ^ Henderson, Harold J. (May 1947). "Ships in World War II Bearing Kansas Na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3-01-28. Retrieved 26 November 2009.
- ^ 드류 1973, 페이지 149.
- ^ T.J. Carson. "Galesburg Honors "Mother" Bickerdyke". tspr.org.
참조
- Chase, Julia A. Houghton (1896). Mary A. Bickerdyke, "Mother". The Life Story of One Who, As Wife, Mother, Army Nurse, Pension Agent and City Missionary, Has Touched the Heights and Depths of Human Life. Lawrence, Kansas: Journal Publishing House. OCLC 15538435.
- deLeeuw, Adèle (1973). Civil War nurse, Mary Ann Bickerdyke. New York: J. Messner. ISBN 0-671-32618-X.
- Fliege, Stu (2003). Tales and trails of Illinois. Urbana: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ISBN 0-252-07085-2.
- Holland, Mary Gardner (1998). Our Army Nurses: Stories from Women in the Civil War. Roseville, Minnesota: Edinborough Press. ISBN 1-889020-04-4.
- Massey, Mary Elizabeth (1994). Women in the Civil War. Lincoln: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ISBN 0-8032-8213-3.
- Schultz, Jane (2004). Women at the Front: Hospital Workers in Civil War America. Chapel Hill: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ISBN 0-8078-2867-X.
- Tsui, Bonnie (2006). She Went to the Field: Women Soldiers of the Civil War. Guilford, Connecticut: TwoDot. ISBN 9780762743841. OCLC 154202084.
추가 읽기
- 베이커, 니나 브라운 캘리코의 사이클론: 메리 앤 비커디케의 이야기 보스턴: 리틀, 브라운, 1952년 OCLC 655701
- 버거론, 데스티니 Women in Blue: 남북전쟁에서 싸운 일리노이 출신의 세 여성 이야기 논문 (B.A.)--Lake Forest College, 2002. OCLC 50043862
- 브로켓, L. P. 여성의 남북전쟁 작품: 영웅주의, 애국주의, 인내의 기록. 필라델피아: Zeigler, McCurdy & Co, 1867년. OCLC 6942381
- 브록켓, L. P. 그리고 메리 C. 본 반란의 영웅들; 또는 남북전쟁에서 여성의 작품; 영웅주의, 애국심 그리고 인내의 기록. [N.P.] : 엣지우드 펍. 코, NCLC 2211258
- 브록켓, L. P. 그리고 메리 C. 본 전장의 천사들: 미국 남북전쟁의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즈. 영국 콘월주 리스크어드: 디고리 프레스, 2006년 ISBN 1-84685-042-8 OCLC 70119574
- 불로, 번 L, 올가 마란지안 교회, 앨리스 P. 스타인, 그리고 릴리 센츠. 미국 간호학: 인명사전. 뉴욕: 갈랜드, 1988년. ISBN 0-8240-8540-X OCLC 16871189
- 데이비스, 마가렛 B 비커디케 어머니: 그녀의 삶과 우리 군인들의 구제를 위한 노력 : 전투 장면과 위생국의 사건들의 스케치. 샌프란시스코, 칼: A.T. 듀이, 1886년 OCLC 360492272 인터넷 아카이브에서 온라인 사용 가능
- 닷지, 베르타 S. 간호 이야기. 보스턴: 리틀, 브라운, 1965년. OCLC 974349
- 에그스톤, 래리 G. 남북전쟁의 여성들: 군인, 스파이, 간호사, 의사, 십자군, 그리고 다른 사람들의 놀라운 이야기들. 노스캐롤라이나 주 제퍼슨: 맥팔랜드, 2003년 ISBN 0-7864-1493-6 OCLC 51580671
- Lesli J. Women Doctors and Northwar. 남북전쟁의 간호사 여러분. 뉴욕: 로젠 펍. 2004년 그룹 ISBN 0-8239-4452-2 OCLC 54618433
- 프랭크, 리사 텐드리치 미국 남북전쟁의 여성들. 캘리포니아 주 산타 바바라: ABC-CLIO, 2008. ISBN 1-85109-605-1 OCLC 247053830
- 게리슨, 웹 B. 남북전쟁의 놀라운 여성들. 내슈빌, 텐: 러트리지 힐 프레스, 1999. ISBN 1-55853-791-0 OCLC 41476784
- 고든, 사라 H. 비커디케, 메리 앤 볼 옥스퍼드: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2000년
- 하퍼, 주디스 E 남북전쟁 중 여성: 백과사전. 뉴욕: Routrege, 2004. ISBN 0-415-93723-X OCLC 5194262
- 남북전쟁의 하이라이트, 1861–1865. 피터버러, NH: 코블스톤 매거진, 1981. OCLC 16630792
- 제임스, 에드워드 T, 자넷 윌슨 제임스, 폴 S. 보이어. 1607–1950 A 인명사전. 케임브리지, 미사: 하버드 대학 출판부의 벨나프 프레스, 1971. ISBN 1-84972-271-4 OCLC 221275644
- Kahler, Bruce R. "Mary Ann "Mother" Bickerdyke: A Gilded Age Icon". John Brown to Bob Dole, 2006. OCLC 68968114
- 켈로그, 플로렌스 쇼. 비커디키 어머니, 내가 그녀를 알고 있듯이. 시카고: 유니티 펍. 1907년. OCLC 15612720
- 라르겐트, 킴벌리 J. Pearl of Blue and Gray: 남북전쟁의 여성들. 오하이오 주 밀포드: 리틀 마이애미 펍. 1999년. ISBN 1-932250-69-7 OCLC 427548352
- 리트빈, 마틴 The Young Mary: 1817–1861; Early Years of Mother Bickerdyke, America Florence Nightingale, and Patient Saint of Kansas. 갤레스버그, 일리노이주: 로그 시티 북스, 1976년 OCLC 2841159
- 맥카운, 로빈 영웅 간호사들. 뉴욕: 1966년 푸트남. OCLC 953066
- Moore, Frank (1867). Women of the war. Hartford, CT: S. S. Scranton. pp. 465–472. OL 23268880M.
- 오스본, Karen K. 비커디키 수녀님 남북전쟁의 어머니로 소년들에게. 밀워키, 와이즈: 블루 & 그레이 챕 북스, 1990. OCLC 26129082
- 로빈스, 페기 그랜트 장군의 "캘리코 대령"이다. 게티스버그, 파: 1979년 전국역사학회. OCLC 671276704
- 슈뢰더 린, 글레나 R. 남북전쟁 의학 백과사전. 뉴욕주 아르몽크: M.E. 샤프, 2008. ISBN 0-7656-2470-2 OCLC 644309272
- 스노드그래스, 메리 엘렌. 역사 간호 백과사전. 캘리포니아 주 산타 바바라: ABC-CLIO, 1999. ISBN 1-57607-086-7 OCLC 42290243
- 웹, 데이브 메리 비커디케 S.l: 캔자스 헤리티지 센터, 1985. OCLC 22380376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메리 앤 비커디케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