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몬사이트
Emmonsite에몬사이트 | |
---|---|
![]() 에몬사이트지역성: 멕시코 소노라, Moxezuma, San Miguel Mine, Moxezuma, Sonora(크기: 6.3 x 4.1cm) | |
일반 | |
카테고리 | 텔루라이트 광물 |
공식 (기존 단위) | Fe2(TeO3)/32(HO2) |
IMA 기호 | ems[1] |
스트룬츠 분류 | 4.JM.10 |
크리스털 시스템 | 삼위일체 |
크리스털 클래스 | 피나코이드(1) (동일한 H-M 기호) |
스페이스 그룹 | P1 |
단위세포 | a = 7.90, b = 8.00 c = 7.62 [å]; α = 96.73° β = 95°,γ = 84.47°;Z = 2 |
식별 | |
색 | 황록색 |
수정습관 | 얇은 결정에서 머리카락 같은 결정체까지, 로제트와 스프레이에서 발생하며 섬유질 입상 골재 및 지각에서도 발생한다. |
트윈닝 | 언급됨 |
클라바주 | {010}에 완벽함, {100} 및 {001}에 적합 |
모스 눈금 경도 | 5 |
루스터 | 유리성 |
발데인성 | 불투명에서 반투명까지 |
비중 | 4.52–4.55 |
광학 특성 | 양악(-) |
굴절률 | nα = 1.962 nβ = 2.090 nγ = 2.100 - 2.120 |
바이레프링스 | δ = 0.138 - 0.158 |
플레이오크로이즘 | 약한 |
2V 각도 | 측정값: 23° |
참조 | [2][3][4] |
에몬사이트(Emonsite, durdenite)는 Fe2(TeO3)/32(HO2)라는 공식을 가진 철 텔루라이트 광물이다.[2]에몬산염은 삼색 결정체를 형성한다.[2]황록색이며, 유리 광택이 있으며,[2] 모헤 저울에 경도 5이다.[3]
에몬사이트는 1885년 애리조나 코치세 카운티의 묘비 구역에서 발생한 사건으로 처음 묘사되었다.그것은 미국 지질학자인 사무엘 프랭클린 에몬스(1841–1911)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2][3]
에몬사이트는 애리조나 주의 묘비에서 석영이나 세루사이트와 종종 발견된다.[3]또한 토종 텔루륨, 텔루라이트, 토종금, 피라이트, 로달킬라이트, 맥카이트, 소노라이트, 쿠즈티카이트, 에스틀라이트와도 연관되어 있다.[2]
참조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에몬시테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 Warr, L.N. (2021). "IMA–CNMNC approved mineral symbols". Mineralogical Magazine. 85 (3): 291–320. Bibcode:2021MinM...85..291W. doi:10.1180/mgm.2021.43. S2CID 235729616.
- ^ a b c d e f 광물 데이터 출판, 광물학 핸드북 pdf
- ^ a b c d 민닷 웹사이트 에몬사이트
- ^ Webmineral.com의 에몬사이트 데이터
- 프로스트, 레이 L.와 딕포스, 마릴라 J.와 키프, 엘로이즈 C.(2008) "텔루라이트 광물의 라만 분광학 연구: 에몬사이트 Fe23+Te34+O9.2H2O와 제만나이트 Mg0.5[Zn2+Fe3+(TeO3)3]4.5H2O." Journal of Raman Spectroscopy, 39(12) 페이지 1784–1788.퀸즐랜드 공과대학 웹사이트에서 확인됨; 2010년 9월 15일에 접속됨.
- W. F. Hilliband, "새로운 지역에서 온 Emonsite (?)," American Journal of Science, Series 4 18, P.433-434; doi:10.2475/ajs4-18.108.433.AJS 온라인에서 확인됨; 2010년 9월 15일에 액세스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