엠파이어 (1965년 영화)
Empire (1965 film)엠파이어 | |
---|---|
![]() 영화의 스크린샷 | |
연출자 | 앤디 워홀 존 팔머 |
제작자 | 앤디 워홀 |
시네마토그래피 | 요나스 메카스 |
배포자 | 워홀 필름스 |
발매일 |
|
실행 시간 | 485분 |
나라 | 미국 |
언어 | 조용한 |
엠파이어는 앤디 워홀의 1965년 미국 흑백 무성 예술 영화이다.워홀의 사양에 따라 투영될 때, 그것은 뉴욕시의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의 변하지 않는 풍경을 담은 8시간 5분간의 슬로모션 영상으로 구성되어 있다.이 영화는 전통적인 이야기나 캐릭터를 가지고 있지 않고,[1] 시간의 흐름에 따라 영화의 경험을 크게 감소시킨다.워홀은 이 영화의 목적이 "시간이 [2]가는 것을 보는 것"이라고 말했다.
영화가 촬영된 지 일주일 후, 실험 영화 제작자 조나스 메카스는 빌리지 보이스에서 워홀의 영화가 아방가르드 영화에 [3]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추측했다.2004년, 엠파이어는 "문화적으로, 역사적으로, 또는 미적으로 중요하다"[4][5]고 판단한 의회도서관이 국립영화등기소에 추가한 25편의 영화 선정작에 포함되었다.
개요
엠파이어는 초당 24프레임으로 촬영되었으며, 초당 16프레임의 슬로우 모션으로 보여지도록 제작되었습니다.6+1/2시간에서8시간 [6]5분이 영화는 상영 시간 내내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을 고정적으로 보는 장면으로 구성되어 있다.이 영화는 카메라가 야간 촬영을 위해 보정된 결과인 빈 흰색 화면으로 시작합니다.해가 거의 눈에 띄지 않게 지면서 건물의 모습이 나타나고 세부 사항들이 더 선명해진다.해가 지면서 건물은 어둠에 싸여 있다.건물의 투광 조명등이 켜져 있고, 건물의 윗층과 첨탑을 비추고 있습니다.다른 건물의 창문 안에 있는 불빛은 켜졌다 꺼졌다 한다.배경에는 메트로폴리탄 생명보험사 타워 꼭대기에 있는 표지판이 실시간으로 15분마다 1회씩 점멸한다(15분마다 1회 점멸하고, [6]1시간마다 1회 점멸).결국 투광조명은 어두워지고 영화의 나머지 부분은 거의 완전히 어두워진다.영화 속 3개 지점에서는 영화 [7]잡지를 바꾼 뒤 촬영을 시작하기 전 사무실 조명이 꺼지지 않아 작품이 촬영된 록펠러 재단 사무실 창문에 워홀을 포함한 제작진의 모습이 비친다.
생산.
엠파이어에 대한 최초의 아이디어는 조나스 메카스와 제휴한 젊은 영화제작자 존 파머로부터 나왔다.파머는 몇 블록 떨어진 탑의 인상적인 경치를 볼 수 있는 메카스 필름 메이커 협동조합 옥상에서 가끔 잠을 잤다.그는 메카스에게 투광 조명 건물의 이미지가 좋은 워홀 영화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고 메카스는 그 아이디어를 워홀에게 [8][9]넘겼다.워홀이 이 아이디어를 고려했을 때, 그는 1963년 말에 그의 첫 번째 연장판 영화인 잠자는 남자의 여러 장면을 보여주는 5시간 수면 영화를 완성했다. 엠파이어는 그의 두 번째 장편 영화였다.
1964년 4월, 퀸즈에서 열린 뉴욕 세계 박람회 개막과 관련하여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의 위 30층이 처음으로 투광 조명되었다.뉴욕의 [6]유일한 투광 조명 마천루로서, 조명의 영향은 극적이었으며, 한 사람은 탑의 조명된 왕관을 "[10]하늘에 떠 있는 샹들리에"라고 불렀다.투광 조명 [6]없이는 볼 것이 거의 없기 때문에 투광 조명들은 워홀의 영화 컨셉에 필수적이었다.
워홀은 촬영장소로 51번가와 6번가의 [3]타임라이프 빌딩 41층에 있는 록펠러 재단 소속 사무실을 이용하기로 했다.촬영은 1964년 7월 24일과 25일에 하룻밤 사이에 이루어졌다.촬영을 위해 메카스, 워홀, 파머, 제라드 말랑가, 마리 사막 (메카스의 여자친구), 그리고 헨리 롬니 (록펠러 재단의)[8]가 참석했다.카메라는 51번가와 6번가의 북동쪽 모서리 창문에서 매디슨 애비뉴와 24번가 모퉁이에 점멸하는 비콘과 함께 메트로폴리탄 생명보험사 타워를 찍은 34번가와 5번가의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을 남동쪽으로 향하고 있었다.매디슨 애비뉴와 26번가에서 살고 있습니다.
3분의 촬영시간으로 제한된 볼렉스 카메라로 촬영했던 워홀의 이전 영화와는 대조적으로 엠파이어는 약 33분의 [11]촬영시간을 허용하는 오리콘 카메라로 촬영되었다.록펠러 재단 사무실에서는 메카스가 워홀의 승인을 받기 위해 사진을 액자에 넣었고, 촬영은 해가 지기 10분 전인 오후 8시 6분에 시작되었다.다음 주 빌리지 보이스에 실린 총격에 대한 메카스의 기사는 워홀이 뉴욕에서 가장 유명한 장소로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에 대해 토론하고, 방 안의 다양한 사람들이 워홀에게 카메라를 [3]돌려달라고 애원하는 등 가벼운 영화 제작의 밤을 묘사했다.촬영은 다음날 새벽 2시 42분에 끝났고 654피트의 필름이 [8]노출되었다.
엠파이어는 ASA 400 Tri-X 스톡에 촬영되어 [7]ASA 1000에 푸시 가공되어 촬영의 어두운 조건을 보완했습니다.워홀의 실크스크린 그림 속 잉크가 잉크 방울과 이미지의 [12]일부로 존재하는 것과 비교해 볼 때 더글러스 크림프가 투사 중에 필름 스톡 자체의 매체에 주의를 환기하는 입자성을 필름에 부여합니다.각 릴에는 가공 중에 부수적인 빛에 노출된 필름 세그먼트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최종 작업이 [13]편집되지 않았다는 증거일 수 있습니다.완결 필름은 10개의 [14]릴로 구성되며, 워홀이 지정한 초당 16프레임의 슬로우 모션으로 투사할 때 각각 약 48분 동안 지속됩니다.
영화가 개발되고 인쇄된 후, 워홀은 프로세서에 지불할 자금이 없었고, 파머는 그의 어머니와 돈을 지불하기로 합의하였다.워홀은 영화의 구상, 조력, 출연료에 대한 그의 역할을 인정받아 파머를 공동 [9]감독으로 선정했다.
풀어주다
엠파이어는 1965년 3월 6일 당시 메카스의 영화 제작자 시네마테크가 있던 [15]맨해튼의 시청 시네마에서 초연되었다.그는 영화 시사회에 그의 빌리지 보이스 칼럼에 있는가 Mekas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576-seat theater,[16]에 있지만 영화 10분 동안 달린 것 30~40사람들이 돈을 요구하고 다시," 새로운 비전의 문제로 새로운 영화를 해결하기 위해 위협하고 그와 다른 직원을 에워쌌다 주장했습니다 밝히지 않았습니다. bre'의자가 머리에 얹혀져 있어요'[17]
메카스의 기사와는 별도로, 개봉 무렵에 이 영화에 대한 유일한 연장 논의는 메카스와 그의 형이 출판한 실험 영화 저널인 Film Culture의 두 기사에 있다.워홀의 서클의 일원이었고 그의 [18]몇몇 영화에 출연한 비평가 그레고리 배트콕은 이 영화를 관객들이 이미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주제에 초점을 맞춘다는 점에서 워홀의 다른 작품들과 연결시켰다.그는 이것이 다른 문제들, 특히 영화의 물리적 매체, 그리고 이러한 자질에 관심을 집중하는 방법으로 오랜 기간의 예술적 사용을 강조하기 위한 여지를 남겼다고 주장했다.배트콕은 또한 엠파이어가 아방 가르데의 고전이 된 것을 관찰했고,[19] 영화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겠지만 예측할 수 없는 영향을 주겠다고 약속했다.
1966년, 워홀과 그의 동료들은 록 밴드 벨벳 언더그라운드가 출연하는 행사를 만들기 시작했다; 이것들은 여러 이름으로 불렸고, 결국 "폭발 플라스틱 필연"으로 가장 잘 알려지게 되었다.Velvet Underground와 더불어, The Breaking Plastic Effularables는 스트로보 조명, 댄서, 컬러 슬라이드 및 필름 투영을 동시에 혼합한 것이 특징입니다.1966년 봄 뉴욕 이스트 빌리지에서 열린 행사 광고에는 [20]상영될 워홀 영화 중 엠파이어가 언급되어 있다.
레거시
워홀은 1972년 엠파이어를 포함한 영화 카탈로그의 대부분을 회수했다.영화사학자 캘리 앤젤은 1987년 워홀이 사망한 후 몇 년 동안 엠파이어와 같은 영화는 따라올 수 없을 것이라는 가정과 함께 엠파이어가 주로 예술가로서 워홀의 터무니없음을 표현한 영화에 대한 아이디어로서 그 영화를 10시간 또는 24시간으로 연장시켰다고 관찰했다.s.[21] 1988년, 이 영화는 여러 [22]기관에 의해 수행된 워홀의 영화의 목록 작성과 복원 작업의 일부로 다시 상영되기 시작했다.1992년에 원래의 네거티브가 재발견되어 영화의 새로운 [7]판화를 위해 사용되었다.
필름을 초당 16프레임으로 상영할 수 있는 기계식 프로젝터는 1970년대 이후 더욱 드물어져 왔으며, 현재 대부분의 기계는 초당 18프레임의 최소 속도를 낼 수 있습니다. 이 속도로 상영할 경우 필름의 길이는 [13]약 7시간 10분입니다.엠파이어는 현재 현대미술관의 순회영화영상도서관에서 전편과 46분 [23]편집본으로 배포되고 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메모들
- ^ 크림프 (2012), 페이지 142.
- ^ 부르동(1989), 페이지 188.
- ^ a b c Mekas, Jonas (July 30, 1964). "Movie Journal". The Village Voice. Retrieved November 2, 2017.
- ^ "Film Registry-National Film Preservation Board". The Library of Congress. Retrieved October 31, 2017.
- ^ "Librarian of Congress Adds 25 Films to National Film Registry". Library of Congress. Retrieved September 30, 2020.
- ^ a b c d Angell(1994), 페이지 16.
- ^ a b c Angell(1994), 17페이지.
- ^ a b c 왓슨(2003), 페이지 160-61.
- ^ a b Angell (2006), 페이지 153.
- ^ Lelyveld, Joseph (February 23, 1964). "The Empire State to Glow at Night". New York Times. Retrieved November 9, 2017.
- ^ Ciampaglia, Dante (August 5, 2014). "Andy Warhol's Empire Turns 50". Architectural Record.(등록 필요)
- ^ 크림프 (2012), 페이지 141.
- ^ a b 크림프 (2012), 페이지 160.
- ^ Angell(1994), 페이지 18.
- ^ "Empire flyer by Andy Warhol". Harper's Book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7, 2017. Retrieved November 7, 2017.
- ^ "Tribune Theater 170 Nassau Street". Cinema Treasur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10, 2017.
- ^ Mekas, Jonas (March 11, 1965). "Movie Journal". The Village Voice.
- ^ Angell (2006), 페이지 34.
- ^ Battcock, Gregory. "Notes on Empire: A Film by Andy Warhol". Film Culture. 40 (Spring 1966): 39–40.
- ^ Angell (2006), 페이지 265.
- ^ Angell(1994), 페이지 15
- ^ Angell (2006), 페이지 299.
- ^ "Museum of Modern Art Circulating Film & Video Library". The Museum of Modern Art.
인용된 출처
- Angell, Callie (1994). "Guide to Empire" in The Films of Andy Warhol Part II (exhibition catalogue). New York: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 Angell, Callie (2006). Andy Warhol Screen Tests. New York: Harry N. Abrams. ISBN 9780810955394.
- Bourdon, David (1989). Warhol. New York: Abrams. ISBN 9780810917613.
- Crimp, Douglas (2012). "Our kind of movie": The Films of Andy Warhol. Cambridge, Mass.: MIT Press. ISBN 9780262017299.
- Watson, Steven (2003). Factory Made: Warhol and the Sixties. New York: Pantheon Books. ISBN 9780679423720.
외부 링크
- IMDb에서의 엠파이어
- 미국의 영화 유산에서 다니엘 이건의 엠파이어 에세이:The Authoritive Guide to the Landmark Movies in the National Film Registry, A&C Black, 2010 ISBN 0826429777, 601-602 페이지 [1]
- 엠파이어(및 다른 워홀 영화) 신문 광고
- 1965년 3월 6일 워홀과 존 파머를 감독으로 초빙한 엠파이어 초연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