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림프

Endolymph
내림프
Cochlea-crosssection.svg
달팽이관의 단면(내림프는 달팽이관 - 다이어그램 중앙의 연두색 영역)에 있습니다.
Bigotolith.jpg
우트렐, 오코니아, 내림프, 큐플라, 황반, 모세포 필라멘트 및 천골신경의 상세를 보여주는 이석기관의 그림
세부 사항
식별자
라틴어내림프
메쉬D004710
TA98A15.3.03.061
TA26997
FMA61112
해부학 용어

내림프내이막질 미로에 포함된 액체이다.내림프 내 주요 양이온은 칼륨이며, 내림프 내 나트륨 농도는 0.91mM, 칼륨 농도는 154mM이다.[1]안토니오 스카르파의 [2]이름을 따서 스카르파의 유체라고도 불린다.

구조.

내이에는 골미로막미로의 두 부분이 있다.막질 미로는 뼈 미로 안에 들어있고, 막질 미로 안에는 내림프라고 불리는 액체가 있다.막질 미로의 외벽과 골질 미로의 벽 사이에는 주변 림프의 위치가 있다.

구성.

페리림프와 엔돌림프는 모발세포의 전기화학적 자극을 조절하는 기능에 적합한 독특한 이온성 조성물을 가지고 있다.내림프의 전위는 [3]Na에 비해 K의 농도가 높기 때문에 페리림프보다 80~90mV 이상 양전위입니다.

이 독특한 세포외 액체의 주요 성분은 선조 혈관으로부터 분비되는 칼륨입니다.내림프의 높은 칼륨 함량은 모발세포에서 나트륨이 아닌 칼륨이 탈분극 전류로 전달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이를 기계-전기 변환(MET) 전류라고 합니다.

내림프는 양전하를 띤 이온의 농도가 높기 때문에 페리림프와 같은 근처의 다른 유체에 비해 높은 양의 전위(와이콜라에서 80–120mV)를 가집니다.머리카락 다발의 기계적 자극 동안 칼륨 이온이 모발 세포로 흘러들게 하는 것은 주로 이 전위차이다.모발세포는 약 -50mV의 음전위이기 때문에 내림프부터 모발세포까지의 전위차는 약 150mV로 인체에서 [citation needed]발견되는 가장 큰 전위차이다.

기능.

  • 청문회:달팽이관: 달팽이관의 내림프 안에 있는 유체파는 수용체 세포를 자극하고, 이는 다시 그들의 움직임을 뇌가 소리로 인식하는 신경 자극으로 변환합니다.
  • 잔액:반고리관: 반고리관에 있는 내림프의 각도가속도는 내림프의 전정 수용체를 자극한다.양쪽 내이의 반고리관은 균형을 맞추기 위해 함께 작용한다.

임상적 의의

차 안에서 빙글빙글 돌거나 요철 위를 주행하는 등 경미한 움직임으로 인해 내림프가 흐트러지면 [4]멀미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내림프의 부피가 크게 커지는 상태를 내림프성 수경이라고 하며 메니에르병과 [5]관련이 있다.

기타 이미지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Bosher SK, Warren RL (1968-11-05). "Observations on the electrochemistry of the cochlear endolymph of the rat: a quantitative study of its electrical potential and ionic composition as determined by means of flame spectrophotometry".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171 (1023): 227–247. Bibcode:1968RSPSB.171..227B. doi:10.1098/rspb.1968.0066. PMID 4386844. S2CID 32638469.
  2. ^ 2926년 synd/누가 이름을 붙였습니까?
  3. ^ Konishi T, Hamrick PE, Walsh PJ (1978). "Ion transport in guinea pig cochlea. I. Potassium and sodium transport". Acta Otolaryngol. 86 (1–2): 22–34. doi:10.3109/00016487809124717. PMID 696294.
  4. ^ 회전할 때 현기증이 나는 것은 무엇일까요?
  5. ^ "Ménière's Disease Information Center - Cause of Ménière's Disea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5-10. Retrieved 2007-08-02.

외부 링크

  • https://web.archive.org/web/20051030092447/http://oto.wustl.edu/cochlea/res1.htm 내림프 세로 흐름(wustl.ed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