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냉의 에너지

Energy in Benin

베냉은 자원이 풍부한 서아프리카 기니만에 위치한 해안국이다. 베냉의 에너지는 다양한 에너지 혼합을 가지고 있으며 태양, 바람, 수력, 바이오매스, 화석 자원, 광물 자원 등 여러 가지 형태를 띤다. 이 에너지 믹스 중에서 약 60%의 에너지는 바이오매스에서 나온다. 베냉은 또한 가나와 코트디부아르로부터 에너지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1] 발전소와 기타 에너지 설비가 1950년대와 1960년대에 건설된 반면, 투자 부족은 시간이 지날수록 악화로 이어졌다. 마찬가지로, 석유가 풍부한 기니만에 위치한 그것의 위치는 1980년대 후반부터 석유 생산을 시도하게 되었다. 그러나, 수익성이 없는 운영으로 인해, 1998년에 석유 생산이 중단되었다.

전기

베냉은 2007년 위탁생산된 CEB-NEPA 전력인터커넥션을 통해 나이지리아로부터 전력 일부를 수입한다.

생성유형 2019년 설치 전력(MW)
디젤 및 중유 249
수력 100
합계 349

[1]

전기 액세스

도시와 농촌 시민 사이에 접근성의 차이가 있다. 2010년에는 인구의 약 34.2%가 전기를 접할 수 있었다. 도시 인구는 65.4%로 훨씬 더 많은 접속률을 보였으며, 농촌 인구의 13.9%만이 접속할 수 있었다.[2] 정부는 2015년까지 농촌지역 전기화 수준을 36%까지 끌어올리려는 농촌지역 전기화 프로그램을 시행해 격차를 줄이려 했다.[3] 2020년 현재 베냉 인구의 약 32%가 전기를 접할 수 있어 약 150만 명의 시민이 전기를 이용할 수 없게 되었다. 도시 인구의 평균 56%가 전기를 접하는 반면, 농촌에서는 약 11%만이 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 도시 인구는 비례적으로 더 많은 전기를 접할 수 있지만, 그들은 또한 전기 부족과 정전 같은 문제에 직면해 있다. 2016년에는 베냉에서 평균 28건의 정전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5] 전력에 대한 접근성은 경제의 성과와 상호 연관되어 있으며, 약 60%의 기업들이 전기의 주요 제약조건이라고 말하고 있다.[5] 게다가, 그 나라의 통계는 재생 에너지 소비와 재생 전기 생산량 사이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2014년 재생에너지 소비량은 48.6%인 반면 재생전기 생산량은 0.5%[2]로 나타났다. 베냉은 많은 에너지 자원을 가지고 있지만, 이러한 자원을 전기로 전환시킬 수 있는 기반 시설과 전국으로 전기를 운송할 수 있는 기반 시설이 부족하다.[6]

에너지 자원 접근성 과제 해결

베냉과 대부분의 서아프리카 국가의 에너지 자원은 균등하게 분배되지 않는다.[7] 하지만, 에너지 서비스와 접근성은 경제와 산업 발전에 중요한 요소들이다. 따라서 1975년 15개 국가로 구성된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OWAS)가 결성되었다.[8] 이 기구의 목표는 경제 성장과 개발, 협력을 촉진하는 것뿐만 아니라 전력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전력 보안을 확보하는 것이었다.[7] ECOWAS에 따라, Benin에 본부를 두고 WAPP(서아프리카 파워 풀)가 만들어졌고, 각 국가의 전력 시스템을 지역 소스로 결합하여 보다 신뢰할 수 있는 에너지 서비스를[9] 제공한다는 목표를 더욱 강화하고자 함. ECOWAS에 속한 15개국 중 14개국이 WAPP에 가입했다.[9]

국제 지원

파워아프리카버락 오바마가 2013년 미국 국제개발원(USAID)을 통해 출범시킨 기구로 전문가, 민간 투자자, 정부기관이 모여 국민의 권력 접근을 돕는 기구다.[10] 이 기구의 목표는 재생 가능하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에 투자하고 발전하며 더 큰 접근을 촉진하는 것이다. 현재의 파트너십은 미국과 다른 6개 아프리카 국가들 사이의 것이다.—탄자니아, 케냐, 에티오피아, 가나, 나이지리아 및 가나—아프리카 개발 은행 그룹(AfDB)과 같은 아프리카의 은행. 나이지리아의 에너지 수요에 대처하기 위해, 농촌 전기화 프로젝트는 국제 사회의 자금 지원을 받아 정부에 의해 착수되었다. 태양광으로 에너지원을 증강하는 것이 주요 골자로,[11] 태양광 업체와 제휴해 사업을 진행했다.

베냉은 2018년 인간개발지수(Human Development Index) 보고서를 바탕으로 세계 189개국 중 163개국으로 전체 인구의 약 66.8%가 빈곤에 직면해 있다.[12] 많은 사람들이 여전히 전기 접속이 제한되어 있고 유틸리티와 서비스의 유지보수와 개발은 재정적인 지원을 필요로 한다. 파워아프리카는 베냉의 전력 분야 강화를 지원할 밀레니엄 챌린지(MCC)와 베냉 정부의 파트너십을 제공했다.[13] 이 프로젝트에 대한 3억 7천 5백만 달러의 보조금은 기반 시설 강화뿐만 아니라 보다 신뢰할 수 있는 전력 시스템의 설계와 건설에 도움이 될 것이다.[13]

기름

석유 수입을 담당하는 회사는 SONACOP(Societé Nationale de Commercialization des Products Pétroliers)이다.

베냉은 1998년 세메 유전에서 석유 생산을 중단했다. 미국의 코스모스 에너지 LLC는 2006년에 석유를 탐사했다.[14]

최근 몇 년간 베냉의 석유 생산과 산업을 되살리려는 시도가 있었다. 니제르와 중국은 2019년 9월 니제르-베냉 송유관 공사를 시작했다. 약 1980km(1230마일)의 이 파이프라인은 니제르 남동부의 디파 지역에서 베냉의 포트세미 터미널까지 운행될 것이다.[15] 이 파이프라인은 니제르를 거쳐 3분의 2를, 베냉을 거쳐 3분의 1을 운행할 예정이다.[16] 이전에 니제르는 카메룬 항구에 도달하기 위해 차드를 통해 석유를 수출했지만 사헬 지역에는 많은 불안정이 있었다.[17] 니제르-베냉 송유관 프로젝트는 약 2년 반 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이 송유관은 니제르의 석유 수출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베냉의 경제 교통을 창출할 것으로 추정된다.[18]

천연가스

가스 수입을 담당하는 회사는 소시에테 베니노이즈가즈다. 천연가스는 서아프리카 가스 파이프라인에 의해 베냉에게 공급된다.

서아프리카 가스관(WAGP)

서아프리카 가스관 회사 유한회사(WAPCO)는 서아프리카 가스관(WAGP)을 소유하고 있다. 이 파이프라인은 천연가스를 수송하고 나이지리아 이토키에서 가나 베냉, 토고, 베냉까지 뻗어 있다.[19][20] 그것은 아프리카 대륙에서 가장 큰 화석 연료 프로젝트 중 하나이며 사하라 이남 지역에 건설된 최초의 프로젝트다.[21] 베냉은 천연가스 매장량이 있지만 활발한 생산은 없다. 2004년에 시작된 WAGP 프로젝트는 가정과 기업에 보다 안정적인 형태의 전기를 생산하는 대안으로 작용한다.[20] 송유관의 개발은 또한 산업 발전과 일자리 기회 측면에서 더 많은 경제적 기회를 가져다 준다. [20]

참조

  1. ^ "Benin : Poverty Reduction Strategy Paper: Growth Strategy for Poverty Reduction". IMF. Retrieved 2020-05-13.
  2. ^ Jump up to: a b "Benin". SEforALL Africa Hub. Retrieved 2020-05-13.
  3. ^ "Vulnerability, Adaptation and Resilience (VAR) - HELIO International". helio-international.org. Retrieved 2020-05-13.
  4. ^ "Power Africa in Benin Power Africa U.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www.usaid.gov. 2020-04-16. Retrieved 2020-05-13.
  5. ^ Jump up to: a b "Power outages in firms in a typical month (number) - Benin Data". data.worldbank.org. Retrieved 2020-05-13.
  6. ^ "Benin : Poverty Reduction Strategy Paper: Growth Strategy for Poverty Reduction". IMF. Retrieved 2020-05-13.
  7. ^ Jump up to: a b Medewou, M. Mawuena; Chetangny, P.; Houndedako, S.; Vianou, Antoine; Chamagne, D.; Barbier, G. (2019-08-01). "Stability study of the interconnection of electricity networks of WAPP countries - case of control zone II (Ghana, Togo & Benin)": 563–568. doi:10.1109/PowerAfrica.2019.8928660. 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 journal= (도움말)
  8. ^ "Economic Community of West African States(ECOWAS) ". Retrieved 2020-05-13.
  9. ^ Jump up to: a b "Creation of the WAPP". ECOWAPP. 2017-01-05. Retrieved 2020-05-13.
  10. ^ Bank, African Development (2019-04-18). "Power Africa Initiative". African Development Bank - Building today, a better Africa tomorrow. Retrieved 2020-05-13.
  11. ^ "solar energy".
  12. ^ " Human Development Reports". hdr.undp.org. Retrieved 2020-05-13.
  13. ^ Jump up to: a b "Power Africa in Benin Power Africa U.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www.usaid.gov. 2020-04-16. Retrieved 2020-05-13.
  14. ^ 오마이라 베르무데스 루고 「베닌·부르키나파소·사오토메·프린시페의 광물산업」. 2006 광물 연감. 미국 지질조사국(2007년 10월) 이 글은 공공영역에 있는 이 미국 정부 소식통으로부터 온 문자를 통합한 것이다.
  15. ^ "Niger's oil export hopes advance as Benin pipeline works start S&P Global Platts". www.spglobal.com. 2019-09-18. Retrieved 2020-05-13.
  16. ^ "Niger seeks to step up oil production with pipeline to coast". WTOP. 2019-09-18. Retrieved 2020-05-13.
  17. ^ "Niger, China Launch Oil Pipeline Project Crossing Benin Voice of America - English". www.voanews.com. Retrieved 2020-05-13.
  18. ^ "Niger-Benin Crude Pipeline, Niger and Benin, Africa". Retrieved 2020-05-13.
  19. ^ "The Pipeline System". www.wagpco.com. Retrieved 2020-05-13.
  20. ^ Jump up to: a b c Company, West African Pipeline (2004-06-01). "Benin": 1–197. 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 journal= (도움말)
  21. ^ "West African Gas Pipeline (WAGP)". Hydrocarbons Technology. Retrieved 2020-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