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릴바니

Enlil-bani
엔릴바니
이신
Foundation Cone of Enlil-Bani..JPG
엔릴-바니의 파운데이션 콘.
군림하다ca. 기원전 1798년 – 기원전 1775년
전임자에라이미테스
후계자잠비아
이신 제1왕조

엔릴-바니,[nb 1] 기원전 1798년 – 기원전 1775년(짧은 연대기) 또는 기원전 1860년 – 1837년(중간 연대기)은 제1왕조의 10대 왕으로 우르-이신목록에 따르면 24년 동안 통치했다.[i 1] 그는 전설적이고 아마도 명료하지 않은 그의 지배적인 태도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전기

어떤 이쿠엔-피-아이슈타르[nb 2](Ikun-pî-Ishtar)는 연대기의 두 변종 사본에 따르면 에라-이미트(Erra-imittī)와 엔릴-바니(Enlil-barni)의 통치 기간 사이에 6개월 또는 1년 동안 통치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1] 그의 기원을 더 밝혀줄 수 있었던 또 다른 연대기는[i 2] 번역하기엔 너무 깨져 있다. 장문의 비문은 다음과 같이 선언하고 있다.

니푸르 1세는 정의를 세우고, 의를 고취했다. 나는 양처럼 그들을 위해 영양분을 찾고, 그들에게 신선한 풀을 먹였다. 나는 그들의 목에서 무거운 멍에를 걷어내고 단단한 곳에 자리를 잡았다. 니푸르에서 정의를 세우고 그들의 마음을 만족하게 한 나는 이신에서 정의와 의를 확립하고 땅의 마음을 만족하게 했다. 나는 5분의 1에 달하던 보리세를 10분의 1로 줄였다. 이 무슈키넘은[nb 3] 한 달에 4일밖에 복무하지 못했다. "오 샤마시"라는 호소와 함께 외쳤던 왕궁의 가축들은 들판을 방목했다. 나는 그들의 쟁기질한 들판에서 왕궁 가축들을 쫓아내고 그 사람들의 "오 샤마시"라는 외침을 추방했다.[2]

Enlil-bāni Inscription, CBS 13909[i 3]

니푸르에 대한 헤게모니는 이신과 라르사 사이를 몇 차례 오가며 순식간에 도시를 장악했다. 우륵 역시 그의 통치기간 동안 분리되었고, 그의 권력이 무너지면서, 아마도 의 즉위 이야기를 다소 평범했던 유서 깊은 행동보다 더 전설적인 전설을 제공하도록 초기[i 4] 왕들의 연대기를 수정했을 것이다.[1] 에라-이밋치가 정원사인 엔릴-바니(Enlil-barni)를 선발해 그를 즉위시키고 왕실 왕관을 머리 위에 올려놓은 것과 관련이 있다. 그 후 에라-이미테는 뜨거운 죽을 먹다가 죽었고, 엔릴-바니는 왕위를 그만두지 않아 왕이 되었다.[3]

도서관 아슈르 바니 팔의에서 의학 text,[나는 5]“남자의 뇌 불을 포함하고 있어,”[nb 4]의 출판사 이름:“Proven하고 테스트 연고와 poultices, 사용할 flood[nb 5]기 전에에서 Enlil-muballiṭ Šuruppak, 니푸르의 sage(apkallu),(후세에)Enlil-bāni의 2학년 왼쪽에서 옛 성현에 따라 맞는다.”을 읽는다.[4][5][6]

엔릴바니는 기념 콘에 기록한 "파괴된 이신의 벽을 새롭게 쌓아야 한다"[i 6]고 생각했다. 그는 이 벽을 "Enlil-banni-ishdam-knn"이라고 이름 붙였다.[i 7] "Enlil-banni는 기초가 튼튼하다." 실제로 주요 도시의 성벽은 아마도 지속적인 보수 작업이 진행되었을 것이다. 그는 막대한 건축업자, Ninisina의 é-ur-gi7-ra,“개 집,”[나는 8] 절 공사들은 palace,[나는 9]도 é-ní-dúb-bu, 여신 Nintinugga에“휴식의 집,”, é-dim-gal-an-na“ 죽은 사람들 가운데 되풀이하는 여인,”[나는 10], Šuruppak의 후견인의 신, godd에“천국의 집- 위대한 돛대”[나는 11].그동안 suds의 단수형, 그리고 마침내, "기도와 간청을 아끼는 전 보토스를 사랑하는 인내의 자비를 가진 숙녀, 빛나는 어머니"[i 12][7] 니니발에게 주는 에-키-아그-가니. 두 개의 커다란 구리 조각상은 117년 전에 이딘다간(Iddin-Dagán)이 만든 닝갈(Ninfur)에 헌납하기 위해 니푸르로 끌려갔는데, 이 때문에 닌릴 여신상은 엔릴 신에게 엔릴의 수명을 연장하게 했다.[i 13][8]

이 군주에게 보내는 찬송가가 아마도 두 개 있을 것이다.

비문

  1. ^ 우르이신 킹리스트 15호선
  2. ^ 바빌로니아 연대기 조각 1 B Ⅱ 1-8.
  3. ^ 필라델피아 대학 박물관의 CBS 13909.
  4. ^ 초기 왕들의 연대기 A 31-36 B 1-7
  5. ^ 태블릿 K.4023 iv 라인 21~25.
  6. ^ Cones IM 77922, CBS 16200, 기타 8개.
  7. ^ 두 개의 원추, IM 10789와 UCLM 94791.
  8. ^ 원뿔 74.4.9.249 및 비즈바덴의 개인 소장품.
  9. ^ 클레이 인상, IM 25874.
  10. ^ 시카고 A 7555의 콘.
  11. ^ IM 79940.
  12. ^ NBC 8955와 A 7461이 두 개의 원뿔에 새겨져 있다.
  13. ^ 태블릿 UM L-29-578

메모들

  1. ^ En-lil-dù 또는 En-lil-ba-ni.
  2. ^ I-k[u-un]-pi-Ish-tar8.
  3. ^ 무슈키넘은 자유인과 노예 사이의 계급이었다.
  4. ^ 에누마 아멜루 무우슈이샤타 우칼.
  5. ^ (21) [na]p-샤-라-투 탁-라-누 라트쿠4 바-루-티 샤아나 [SH]u 슈-우-우(22) 샤 KANN.ME.MESH-e la-bi-ru-ti 샤라-am A.MA.URU5(abubi)(23) 샤아나 LAMXKURki(슈루팍) MU.2.KAM EN.Lugal-ba-ni LUGAL ì.SHI.INki(24) EN.LĺL-mu-bal-liṭ NUN.ME NIBRUki[Ez]-bu.

외부 링크

참조

  1. ^ Jump up to: a b Jean-Jacques Glassner (2005). Mesopotamian Chronicles. SBL. pp. 107–108, 154. 글래스너의 원고는 C와 D.
  2. ^ J. N. Postgate (1994). Early Mesopotamia: society and economy at the dawn of history. Routledge. p. 239.
  3. ^ Simo Parpola (2009). Letters from Assyrian Scholars to the Kings Esarhaddon and Assurbanipal: Commentary and Appendix No. 2. Eisenbrauns. p. XXVI.
  4. ^ Alan Lenzi (2008). "The Uruk List of Kings and Sages and Late Mesopotamian Scholarship". Journal of Ancient Near Eastern Religions. 8 (2): 150. doi:10.1163/156921208786611764.
  5. ^ William W Hallo (2009). The World's Oldest Literature: Studies in Sumerian Belles Lettres. Brill. p. 703.
  6. ^ R. Campbell Thompson (1923). Assyrian medical texts from the originals in the British Museum. Oxford University Press. pp. iii, 104–105. 선예술을 위하여
  7. ^ A. Livingstone (1988). "The Isin "Dog House" Revisited". Journal of Cuneiform Studies. 40 (1): 54–60. doi:10.2307/1359707.
  8. ^ Douglas Frayne (1990). Old Babylonian period (2003-1595 BC): Early Periods, Volume 4 (RIM The Royal Inscriptions of Mesopotamia). University of Toronto Press. pp. 77–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