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비에라

Ishbi-Erra
이스비에라
𒀭𒅖𒁉𒀴𒊏
수메르의 왕
Sumerian King List, 1800 BC, Larsa, Iraq (detail).jpg
이스비-에라(Ishbi-Erra)는 웰드-블런델 프리즘수메르 왕 목록에 등장한다.
군림하다fl. c. 1953 BC — c. 1920 BC(짧은 연대기)
전임자입비신 (Ur III)
후계자슈일리슈
아카드어이슈비에라
이신 제1왕조

이스비 에라(Akkadian: 𒀭𒅖𒁉𒀴𒊏𒊏 Ishbi-erra, 이름은 ciformiform: ish-bi-ir₃ra, 현대 비문, fl. 1953 BC - c. 1920 BC)는 고대 근동의 짧은 연대기에 의해 이신 왕조의 시조였다. 이슈비 에라에는 고대 로어 메소포타미아에서 우르 제3왕조입비 신(Ibbi-Sin)이 앞서고, 슈이리슈가 뒤를 이었다. Weld-Blundell Premism에 따르면,[i 1] Ishbi-erra는 33년 동안 통치했으며, 이것은 그의 현존하는 연호 수에 의해 확증된다. 이 왕조는 여러 면에서 앞의 왕조를 모방했지만, 수메르어가 우르 제3왕조 말기에 빈사상태가 되었기 때문에 그 언어는 악카디아어였다.

전기

기원전 1953년 이시비 에라 c. 1953년 반역 직전 메소포타미아에 있는 우르 제3왕조의 완전한 영토 범위를 상세히 기술한 지도. 대략 북서쪽을 향한 지도.

이슈비 에라라는 출세 초기 우르 제3왕조의 마지막 왕인 수메르입비 신에서 일하는 관료였다. 이스비 에라라는 그의 출신이거나 그가 부임한 도시인 [i 2]마리의 사람으로 묘사되었다. 그의 진보는 왕과 교신하여 입비 신과 카잘루 총독 사이에서 목격되었다(푸주르누무시다, 후기 푸주르술기로 개명). 이것들은 문학적인 편지들로, 낙서 연습으로 고대에 베껴져 진위를 알 수 없다.[1] 이신과 카잘루에서 곡식을 취득한 혐의로 기소된 이스비 에라라는 은화 20인분에 사들인 7만 2천 GUR를 선적할 수 없으며, 현재 아모리인("마투")의 침입으로 인해 이신에서 다른 교란지로 안전하게 보관하고 있으며, 이비신에게 600척의 배도 징발해 줄 것을 요청했다.이신·니푸르 지사.[i 3][2] 비록 입비신이 그를 홍보했지만, 이스비 에라라는 입비 신 8년차에 이신에게 레슬링을 맡기는 데 성공했고, 이후 이신과의 관계에 불안한 냉기가 감돌았다.[3]

입비신은 푸주르술기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스비 에라에게 "수메르 씨앗이 아니다"라고 심하게 질타하며 "엔릴이 아모리 족을 자기 땅에서 몰아냈으며, 엘람 족을 쳐서 이스비 에라 족을 사로잡을 것"이라고 말했다. 신기하게도 푸주르술기는 원래 이시비 에라 자신의 전령 중 한 사람이었으며 우르 제3왕조의 정권 쇠퇴기에 충신이 어느 정도 유동적이었는지를 가리킨 것 같다. 노골적인 갈등은 없었지만, 이후 12년여에 걸쳐 입비신의 세력이 꾸준히 쇠퇴하자, 마침내 우르가 엘람의 킨다투에게 정복될 때까지 이스비 에라라는 세력을 계속 확장해 나갔다.[4]

이스비 에라라는 8년차에 아모리 사람을, 16년차에 엘람 사람을 상대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몇 년 후, 이스비 에라는 우르에서 엘람 사람 수비대를 축출하여, 비록 이 특정한 비명은 이딘-다간 통치 까지 이 왕조가 사용하지 않았지만, 수메르와 악카드에 대한 지배력을 주장하였다.[1] 그는 전 정권의 섭정적 특권을 흔쾌히 받아들였고, 그 중 7가지는 현존하는 신들에게 왕실 찬양시와 찬송가를 의뢰하고, '자국의 신'인 딩기르칼람마나를 선포했다.[i 4] 그는 입비신의 뒤를 이을 딸 엔바라지를 22세 연하로 임명했다. 성곽을 쌓고 성곽을 설치했지만 왕실의 비문은 단 하나 남아 있다.[i 5][5]

이스인의 왕 이스비 에라에게 보내는 다양한 찬송가가 알려져 있다.[6]

선행자
수메르의 왕
기원전 1953년 - 기원전 1921년
성공자

참고 항목

외부 링크

비문

  1. ^ WB 444, 용접-블런델 프리즘, r. 33.
  2. ^ 태블릿 UM 7772.
  3. ^ CBS 2272, 이슈비 에라에서 입비 신에게 보낸 편지.
  4. ^ NBC 6421. 7087. 7387.
  5. ^ IM 58336, Enlil을 위한 거대한 용선 건설.

참조

  1. ^ Jump up to: a b Marc Van De Mieroop (2015). A History of the Ancient Near East, ca. 3000-323 BC. Wiley-Blackwell. p. 87.
  2. ^ Joan Aruz; Ronald Wallenfels, eds. (2003). Art of the First Cities: The Third Millennium B.C. from the Mediterranean to the Indus. Metropolitan Museum of Art. p. 469.
  3. ^ S. N. Kramer (1963). The Sumerians: Their History, Culture, and Character.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p. 93–94.
  4. ^ C. J. Gadd (1971). "Babylonia, 2120-1800 B.C.". In I. E. S. Edwards; C. J. Gadd; N. G. L. Hammond (eds.).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Volume 1, Part 2: Early History of the Middle East.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612–615.
  5. ^ Douglas Frayne (1990). Old Babylonian Period (2003-1595 B.C.) RIM The Royal Inscriptions of Mesopotamia (Book 4). University of Toronto Press. pp. 6–11.
  6. ^ Hallo, William W. (2010). The World's Oldest Literature: Studies in Sumerian Belles-Lettres. BRILL. pp. 212–214. ISBN 978-90-04-173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