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테메난키
Etemenanki좌표:32°32′11″N 44°25′15″e/32.53639°N 44.42083°E
에테메난키(수메르어: 𒂍𒋼𒀭𒆠 EE.테멘.안KI "하늘과 땅의 토대")는 고대 도시 바빌론에서 마르두크에게 바친 지구라트였다.그것은 현재 이라크 바그다드 남쪽 약 90 킬로미터(56 mi) 지점에 위치한 폐허에만 존재한다.
에테메난키는 바벨탑의 성경 이야기에 영감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제안되어 왔다.[1][2]
건설
에테메난키가 원래 언제 건설되었는지는 불분명하다.앤드루 R. 조지는 그것이 기원전 14세기에서 9세기 사이에 지어졌다고 말한다.비록 그는 그렇게 주장하지만;
창조 서사시(En atma Elish/VI 63: George 1992: 301–2)에서 바빌론에서 지쿠라트에 대한 언급은 보다 확실한 증거로서, 이 시의 중간 아시리아 작품이 살아남아 기원전 2천년에 이미 존재했다는 오랜 이론을 증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쿠라트 apsî 엘리트, "apsû의 상부 지쿠라트"로 묘사되는 이 지쿠라트가 E-temenki였다는 것을 의심할 이유가 없다.[3]
바빌론은 기원전 689년 에테메난키를 멸망시켰다고 주장하는 센나체리브에 의해 멸망했다.이 도시를 복구하는 데 88년이 걸렸다. 앗시리아 왕 에사르하돈에 의해 작업은 시작되었고, 나보폴라사르 밑에서 계속되었고, 그의 아들 느부갓네살 2세가 그 지그구라트를 재건하였다.이 도시의 중심 특징은 에테메난키 지구라트와 연관된 마르두크(에사길라)의 신전이었다.
페놀로스 외 연구진은 '바벨의 탑'은 단 한순간에 지어진 것이 아니라, 연이은 건설과 파괴, 재건이라는 복잡한 역사의 결과물이었다.그 기원은 함무라비 치세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그 필연적이고 결정적인 파괴로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이탈리아에서 번역)[4]고대 자료에서 논의된 "탑"은 네오바빌론 시대에 등장한 기념비를 가리킨다.
설명
네부카드네자르 2세의 바빌론에서 비석에 관한Neo-Babylonian 왕실의 비문, 로버트 Koldewey,[5]에 의해는 1917년 발굴 및 불확실한 진정성에서 발견되었다고 주장했다.`보아라, Etemenanki[6]Zikkurat Babibli[지구라트 바빌론의]나는, 세계의 사람들들의 호기심, 내가 천국에, gates,에 문을 정부의 최고를 제기했다를 읽는다. 그리고 나는.비투멘과 벽돌로 덮었다."이 건물은 얕은 구조로 표현되어 있어, 높은 1단계의 계단, 5단계의 계단, 그리고 그 구조물을 뛰어넘은 사원이 보인다.중앙 셀라를 둘러싸고 있는 버팀목이 있는 외벽과 내실을 묘사한 평면도도 보인다.
나보폴라사르의 비문이 새겨진 기초 실린더는 1880년대에 발견되었는데, 두 개가 살아남았고, 그 중 하나는 다음과 같다.[3]
그때 마두크 영주님께서 이테멘안키와 관련하여 말씀하시기를, 내 나날 이전에 (이미) 매우 쇠약하고 심하게 버클어진 바빌론의 지쿠랏이 지하세계의 가슴 위에 바닥을 찧어 하늘과 상투를 이루라고 하셨다.나는 상아, 흑단, 무수카누 나무로 만든 돗자리와 스페이드, 벽돌을 만들어 내 땅에서 부과되는 방대한 노동력의 손에 넣었다.나는 그들에게 무수히 많은 빗방울처럼 진흙 벽돌과 곰팡이가 핀 벽돌을 만들게 했다.나는 아라투 강에 아스팔트와 비투멘을 강력한 홍수처럼 가지고 있었다.에아의 현명함을 통해서, 마르두크의 지성을 통해서, 나브와 니사바의 지혜를 통해서, 나를 창조한 신이 나를 소유하게 한 광대한 마음의 수단으로, 나는 나의 위대한 지성으로 숙고하여 가장 현명한 전문가들을 의뢰했고, 측량관은 12구비트의 법칙으로 차원을 설정했다.마스터 빌더들이 측정 코드를 팽팽하게 잡아당겨 한계를 정했다.나는 사마스, 아다드, 마르두크 등과 상의하여 확인을 구했고, 내 마음이 그 차원을 숙고할 때마다 위대한 신들은 확인의 절차로 내게 (진실을) 알게 했다.나는 엑소시즘의 기교, 에아와 마르두크의 지혜로 그곳을 정화하고 그 고대의 근거지에 그 기초 단상을 견고하게 만들었다.그 기초 위에 금과 은과 산과 바다에서 나는 보석들을 세웠다.벽돌공 밑에 빛나는 삽수, 달콤한 향의 기름, 방향제와 붉은 흙이 잔뜩 쌓여 있었다.나는 흙으로 된 바구니를 들고 있는 나의 왕실 모습을 형상화했고 기초 플랫폼에서 다양하게 위치를 잡았다.마두크 경에게 목을 숙였다.나는 내 의복인 왕복을 걷어 올리고, 머리 벽돌과 흙(즉 흙 벽돌)을 가지고 다녔다.나는 금과 은으로 만든 흙바구니를 가지고 있었고, 내 마음을 사랑한 맏아들 느부갓네살에게 포도주와 기름과 송진칩이 섞인 내 일꾼들의 땅을 나란히 짊어지게 하였다.나는 나브수밀리시르, 그의 형, 소년, 내 몸의 문제, 나의 사랑스러운 어린 아들, 마톡과 삽을 들게 했다.나는 그에게 금과 은으로 된 흙바구니에 짐을 지우고 마두크 경에게 선물로 주었다.나는 기쁨과 환희에 겨워 이사라의 복제품인 건물을 짓고 그 꼭대기를 산처럼 높이 올렸다.나의 영주 마르두크에게 나는 옛날과 마찬가지로 그것을 경이로움에 어울리는 물건으로 만들었다.
2011년, 학자들은 슈외옌 컬렉션에서 에테메난키의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것을 발견했다.[7]검은 돌에 새겨진 바벨비탑은 알려진 대로 느부갓네살 2세 때인 기원전 604~562년에 이른다.[8]
에테메난키는 기원전 229년부터 우륵에서 온 구레나룻 태블릿에 설명되어 있는데, 오래된 텍스트의 사본이다(현재 파리 루브르 박물관에서는 "에사길라"라고 부른다).[9]1876년 어시리학자인 조지 스미스(George Smith)가 번역한 이 책은 각 면에 91m의 평방기반을 가진 7개 주식(91m)으로 탑의 높이를 부여하고 있다.이 흙벽돌 구조물은 1913년 이후 로버트 콜드웨이가 실시한 발굴에 의해 확인되었다.건물 남쪽에서 대형 계단이 발견되었는데, 세 개의 문이 에사길라와 연결되어 있었다.동쪽으로 향하는 더 큰 문은 에테메난키와 신성한 행렬 도로를 연결했다(현재 베를린 페르가몬 박물관에 재건되었다).
"에사길라" 판의 첫 번째 번역까지, 바빌론의 지그구라트의 자세한 내용은 기원전 5세기 중반에 쓴 고대 그리스 역사학자 헤로도토스로부터만 알려졌다.[10]
읍내 각 사단의 중심은 요새가 차지하고 있었다.한 곳에는 왕들의 궁전이 서 있었고, 또 다른 곳에는 목성 [Zeus] Belus의 신성한 경터가 있었는데, 그 경내는 두 길이로 된 네모난 울타리[402m]에 단단한 놋쇠로 된 문이 있었다. 이 경전도 내 시대에 남아 있었다.경내 한복판에는 단단한 석조탑이 하나 있었는데, 그 위에 길이와 너비가 한 뼘[201m]로 되어 있고, 그 위에 두 번째 탑이 세워져 있었고, 그 위에 세 번째 탑이 세워져 있었고, 그 위에 여덟 번째까지 있었다.꼭대기로 올라가는 길은 바깥쪽에 있고, 그 길은 모든 탑을 감싸고 있다.반쯤 올라가면 정상으로 가는 길에 잠시 앉아 있을 수 있는 휴게소와 좌석이 나온다.가장 높은 탑 위에는 널찍한 사원이 있고, 사원 안에는 금빛 탁자를 옆에 두고, 화려하게 장식된 특이한 크기의 소파가 서 있다.그 곳에는 어떤 종류의 상도 세워져 있지 않으며, 단 한 명의 토착 여성 이외에는 어느 누구도 밤을 새운 방을 차지하고 있지 않으며, 그들은 찰데인[즉 바빌로니아인]으로서 이 신의 제사장들은 이 땅의 모든 여자들 중에서 신에 의해 스스로 선택된다고 단언한다.
이 목성 벨루스 탑은 헤로도토스가 제우스 벨루스에게 헬레네이션을 준 아카드 신 벨을 가리키는 것으로 여겨진다.에테메난키에 해당할 가능성이 높다.그러나 헤로도토스는 바빌론이나 직구랏을 방문했다고는 말하지 않는다. 이 설명에는 여러 가지 부정확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아마도 간접적인 것일 것이다.[3]
최종 철거
기원전 331년 알렉산더 대왕은 바빌론을 사로잡아 에테만키에 수리를 명했다.기원전 323년 알렉산더가 이 고대 도시로 돌아왔을 때, 그는 아무런 진전이 없었다고 지적했고, 그의 군대는 최종 재건을 준비하기 위해 건물 전체를 철거할 것을 명령했다.[11]그러나 그의 죽음은 재건을 막았다.[12]바빌로니아 연대기와 천문 일기는 에테메난키 재건을 위한 여러 시도를 기록하는데, 원래 지그구라트의 마지막 잔해를 제거하기 위해 항상 선행되었다.에사길라 크로니클의 파멸은 셀레우시드 황태자 안티오코스 1세가 그것을 재건하기로 결정하고 준비 중에 제물을 만들었다고 언급하고 있다.하지만, 그곳에 있는 동안, 그는 돌무더기 위에 비틀거리며 넘어졌다.그리고 나서 그는 화가 나서 그의 코끼리 운전자들에게 마지막 유해를 파괴하라고 명령했다.[13]고대부터 에테메난키에 대한 언급은 더 이상 없다.
키와 관련된 현대 가설
현대 학자들은 에테만키의 키가 91m라는 고대 바빌로니아 출처("에사길라")의 주장에 대해 이의를 제기한다."에사길의 본문에 대한 현대적인 해석은 지구라트의 처음 두 테라스의 과도한 높이와 건물의 총 높이는 원토 벽돌과 같은 물질의 정역학 법칙과 압축 강도에 위배된다는 심각한 기술적 문제를 제기한다."(이탈리아에서 번역됨).[4]6단계의 계단 구조 설계에 변화를 허용하더라도 그 높이에서 구조물에 대한 압축 응력은 같은 기간의 비교 가능한 구조물의 약 2-3배 정도 될 것이다.페놀로스 외 연구진은 이 구조물이 실제로 바벨탑 비석에 묘사된 6층 테라스 디자인을 사용했다고 가정할 때, 지그구라트의 높이는 54m에 가까웠을 것이라고 제안한다.꼭대기에 있는 절은 높이가 12미터로, 총 높이가 66미터에 이른다.[4]
이미지 갤러리
베를린 페르가몬 박물관의 모형
메모들
- ^ Harris, Stephen L. (2002). Understanding the Bible. McGraw-Hill. pp. 50–51. ISBN 9780767429160.
- ^ Streck, Michael P. (2006). "Die Stadt, an deren Freuden man nicht satt wird". Damals (in German). Vol. Special volume. pp. 11–28.
- ^ a b c 조지, 앤드류(2007) "바벨탑:고고학, 역사 및 규방형 문헌" Archiv für Orientforschung, 51 (2005/2006)페이지 75-95. PDF 문서
- ^ a b c Fenollós, Juan Luis; Vegas, Fernando; Mileto, Camilla (January 2005). "Etemenanki: nuova ipotesi di ricostruzione dello ziggurat di Nabucodonosor II nella cittá di Babilonia." (PDF). ISIMU: Revista sobre Oriente Próximo y Egipto en la antigüedad: 201–216. Retrieved 4 December 2020.
- ^ 콜드웨이는 1900년 11월 에테만키(Etemenancki)를 확인했는데, 이를 덮고 있는 엄청난 파편 덩어리를 삽으로 퍼내고 갱도와 터널을 뚫은 고고학 기업의 변혁이 프리드리히 웨첼(Friedrich Wetzel)과 F(F)에 요약되어 있었다.H. 와이스바흐, 바빌론의 다스 하우프테일릭툼 데 마르두크, 에사길라 운트 에테메난키 (라이프치히) 1938; 가장 최근의 단전기는 바빌론의 한스-예르크 슈미드, 데르 템펠투름 에테메난키 (마인츠) 1995년이다.
- ^ 그 집, 하늘과 땅의 기초"라고기석은 고대에서 세 조각으로 부서졌고, 그 중 두 조각은 MS 2063 슈외옌 컬렉션에서 재회했다.
- ^ "Ancient Texts Part of Earliest Known Documents". news.discovery.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10-22. Retrieved 2011-12-28.
- ^ "Babylonian History". Schøyen Collection. Retrieved 2011-12-28.
- ^ Claire, Iselin. "The "Esagila" tablet". Louvre. Retrieved 5 December 2020.
- ^ 헤로도투스, 역사 1.181
- ^ 디오도로스 시쿨루스, 2.9.9, 스트라보, 지리, 16.1.5.
- ^ R.J. 반 데르 스펙, "다리오스 3세, 알렉산더 대왕 및 바빌로니아 장학금" in Achaemenid History XIII (Leiden 2003), 289–346.
- ^ Bert van der Spek (2004). "BCHP 6 (Ruin of Esagila Chronicle)". Livius.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January 2018. Retrieved 30 January 2018.
참조
- A. R. 조지, 바빌론 J. 랭거에서 "이상일과 E-temen-anki, Archittypal Cult-centre?" 포커스 메소포타미셔 게시히테, 위게 프뤼허 게레흐삼케이트, 미신토스 인 더 모데르네(1999년 사브뤼켄)
- 한스예르그 슈미드, 바빌론의 데르 템펠투름 에테메난키(1995 Mainz) ISBN 3-8053-1610-0
- 바벨탑, 쇼이엔 컬렉션
- Jona Lendering (2003). "Etemenanki (the "Tower of Babel")". Livius.org. Retrieved 23 May 2017.
- 페놀로스, 후안 루이스 & 베가스, 페르난도 & 마일토, 카밀라.(2005).에테메난키: 누오바 이포테시 디 리코스트루지오네 델로 지구라트 디 나부코도노소르 2세 넬라 치타 디 바빌로니아.ISIMU: Revista sobre Oriente Proximo y Egipto en la digüedad 8(2005): 201-216.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에테만키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