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버렛 실버팁스
Everett Silvertips에버렛 실버팁스 | |
---|---|
![]() | |
도시 | 워싱턴 주 |
리그 | 웨스턴 하키 리그 |
회의. | 서양의 |
나누기 | 미국 |
설립. | 2003 |
홈 아레나 | 바람의 천사 경기장 |
색상 | 포레스트 그린, 화이트, 실버 |
제너럴 매니저 | 데니스 윌리엄스[1] |
헤드코치 | 데니스 윌리엄스 |
웹 사이트 | www.everettsilvertips.com |
에버렛 실버팁스(Everett Silvertips)는 현재 서부 하키 리그 서부 콘퍼런스 소속 미국 메이저 주니어 아이스하키 팀이다.이 팀은 워싱턴주 에버렛에 연고지를 두고 있으며 2003-04시즌의 확장팀으로 WHL에 합류했다.팀 이름은 은빛곰에서 따왔다.이 팀은 2003년에 지어진 7,150만 달러 규모의 다목적 단지인 엔젤 오브 더 윈즈 아레나에서 경기하고 있으며, 하키를 위해 8,300석(입석만 포함 8,513석)을 수용할 수 있다.이 팀의 마스코트는 은색 곰인 링컨으로 당시 해군기지 에버렛에 [2]주둔하던 항공모함 USS 에이브러햄 링컨호의 이름을 따왔다.
이 팀의 주목할 만한 NHL 졸업생으로는 라이언 머레이, Radko Gudas, Nikita Scherbak, Noah Julsen, Byron Froese, Jujhar Khaira, Mirco Mueller, Zach Hamill 및 Carter Hart가 있다.그들의 역사를 통해, 그 팀은 시애틀 썬더버즈, 포틀랜드 윈터호크스와 치열한 경쟁을 전개해 왔다.
역사
워싱턴 [3]에버렛 시는 2001년 9월 18일 웨스턴 하키 리그로부터 확장 프랜차이즈에 대한 조건부 승인을 받았다.2003-04 시즌에 에버렛 시내의 새로운 경기장에서 경기를 시작하는 이 팀은 태평양 [4]북서부의 회색 곰의 이름을 따서 "실버팁스"로 명명될 것이다.
첫 시즌 : 2003-04
WHL 미국 디비전에서의 실버립스의 첫 시즌 동안, 그 팀은 첫 해에 확장 팀에서 최소 10개의 주니어 하키 기록을 깬 후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확장 하키 팀 중 하나로 입지를 굳혔다.더그 수터트 감독과 케빈 콘스탄틴 감독의 지도 아래 35승 27패 8패의 기록으로 미국 디비전 우승을 차지했고, 캐나다 하키리그(OHL, QMJHL, WHL) 메이저 하키리그 1년차 팀 기록도 세웠다.1982-83년 QMJHL의 롱게우일 체발리에스가 세운 오래된 기록을 클립으로 만들었다.Constantine은 WHL로부터 2003-04 올해의 감독으로 Dunc McCallum Memorial Trophy를 받았습니다.
2004년 플레이오프에서 실버틱스는 1라운드에서 스포케인 치프스를 4-0으로 완파한 후 서부 콘퍼런스 준결승에서 밴쿠버 자이언츠를 4-2로 꺾었다.그 후, 그 팀은 정규 시즌 챔피언이자 WHL 챔피언인 켈로나 로켓스와 서부 콘퍼런스 타이틀을 놓고 경기를 했다.시리즈 3 대 1로 뒤진 후, 실버버틱스는 연장전에서 3연승을 거두며 첫 서부 콘퍼런스 타이틀을 거머쥐었고, WHL 챔피언십에서 메디신 햇 타이거스와 경기할 기회를 얻었다.하지만 타이거스는 4연승을 달리며 실버버팁스의 첫 시즌을 마감했다.
2004-05 시즌
성공적인 첫 시즌을 마친 2004-05 Silvertips 팀은 리그 최연소 팀이었다.한때, 그 팀은 현역 경기 당일 선수 명단에 최소 8명의 16세 신인이 있었다.이러한 젊음과 경험 부족으로 인해, 팀은 흔들릴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여전히 2년 연속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는데 성공했다.1라운드 플레이오프 시리즈 동안 포틀랜드 윈터 호크스를 7경기 만에 꺾은 후, 실버팁스는 서부 콘퍼런스 준결승에서 쿠테나이에게 4-0으로 휩쓸리며 WHL에서의 두 번째 시즌을 마쳤다.
2005-06 시즌
2005-06시즌은 존속 3시즌 만에 두 번째로 미국 디비전 우승을 차지했다.WHL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서 트라이시티 아메리칸스를 4-1로, 서부 컨퍼런스 준결승에서 켈로나 로키츠를 4-2로 꺾은 후, 서부 컨퍼런스 결승전에서 실버버팁스가 밴쿠버에 4-0으로 완패하면서 실버버팁스의 플레이오프 진출은 끝이 났다.하지만 실버버팁스는 3시즌 만에 두 번째로 WHL 플레이오프 최종 4강에 오르며 다시 한번 예상을 뛰어넘었다.
실버버팁스의 포워드 피터 뮬러는 리그 최고의 신인상을 받으며 실버버팁스 선수로는 처음으로 이 상을 수상했다.
2006-07 시즌
2006-07년 정규시즌은 현재까지 가장 성공적인 시즌이었다.에버렛은 시즌 전 CHL '톱텐' 랭킹 1위로 시즌을 시작했다.이 팀은 정규 시즌 내내 CHL "Top Ten" 순위에 머물러 25주 중 13주 동안 단 한 번도 5위 이하로 내려가지 않았다.주장 제이슨 프랜수가 이끄는 '팁스'는 시즌 48경기 만에 플레이오프 진출을 확정 지었고 4년 만에 세 번째 미국 디비전 타이틀을 거머쥐었다.이 팀은 또한 정규 시즌 동안 54-15-1-2 (승점 111점)의 기록을 기록하며 WHL에서 가장 좋은 기록을 세워 스코티 먼로 기념 트로피를 받았다.
실버버팁스의 포워드 자크 해밀은 에버렛 실버버팁으로서는 처음으로 32골 61도움으로 WHL을 93점으로 이끌며 밥 클라크 트로피를 수상했다.실버버티프스의 포워드 카일 비치는 리그 최고의 신인상인 짐 피갓 메모리얼 트로피를 수상했다.Peter Mueller는 Moises Gutierrez, Ondrej Fiala, Dan Gendur와 함께 많은 공격적 생산을 계속했습니다.실버버팁스는 브레넌 손, 다미르 알리치, 제시 스마이크의 "조" 라인의 강한 플레이도 받았다.
프리시즌 패배 후 시작된 에버렛에게는 논란이 많은 시즌이었다.콘스탄틴 감독은 팀의 성적에 만족하지 못했고 경기 후 식사 없이 선수들이 하키 장비를 풀로 입고 케뉴익에서 에버렛으로 돌아오는 버스를 타게 했다.콘스탄틴은 티켓을 구입하고 관중석에서 관람함으로써 최소한 한 번의 홈경기에 참석했다고 주장했지만 그의 행동으로 인해 WHL에 의해 벌금과 정직 처분을 받았다.그 팀은 밴쿠버 자이언츠와의 기억에 남을 싸움을 포함하여 시즌 내내 여러 차례 라인 싸움을 벌였다.시즌 후반에 실버팁스는 팬들과 포틀랜드 윈터 호크스의 벤치가 연루된 언쟁 끝에 리그에 의해 벌금형을 받았다.
WHL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서 스포케인 치프스를 4-2로 물리친 후, 실버팁스의 플레이오프 진출은 프린스 조지 쿠거스가 서부 콘퍼런스 준결승에서 실버팁스를 4-2로 물리치면서 갑작스럽게 끝이 났다.
2007-08 시즌
2007-08 시즌은 프랜차이즈의 과도기를 시작했다.콘스탄틴은 아메리칸하키리그(AHL) 휴스턴 에어로스의 감독이 되기 위해 지난 비수기에 떠났다.보조 감독인 존 베카닉이 감독으로 승진했고, 제이 바라디가 베카닉의 전 직책으로 승진했다.2006-07시즌 팀의 주요 득점자 10명 중 6명과 백업 골키퍼는 대부분 트레이드와 WHL 졸업을 통해 시즌 초에 팀을 떠났다.이 이탈자들 중에는 NHL(National Hockey League)의 피닉스 코요테스에 남은 기간 또는 시즌 동안 합류한 피터 뮐러도 있었다.콘스탄틴의 수비 중심의 코치 스타일에서 복귀 선수들을 위한 베카닉의 코치 스타일로의 전환은 시즌 중 고전을 면치 못했다.
실버버팁스는 정규시즌을 미국 디비전 4위, 서부 콘퍼런스 6위로 마쳤다.이 팀은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서 결국 메모리얼 컵 우승팀인 스포캔 치프스에 4-0으로 완패했다.이로써 실버틱스는 WHL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서 처음으로 패했지만 4연패라는 불길한 역사를 이어갔다.
2008-09 시즌
2008-09시즌은 낮은 기대감으로 시작되었다.2007-08시즌 주장 조나단 하티와 함께 NHL 드래프트 선수들인 잭 해밀, 릴랜드 어빙, 댄 겐더도 팀을 떠났다.충분한 득점, 수비, 그리고 골텐딩이 있을지는 의문이었다.1988년생 WHL 밴텀 드래프트에서 뽑힌 인상적인 선수 중 나이 많은 수비수 그레이엄 포튜어와 테일러 엘링턴만이 지난 세 시즌 동안 팀의 성공을 알렸다.그 팀은 프랜차이즈 역사상 가장 어린 선수 명단을 가지고 있었다.
다행히도, 신인들이 2004-05시즌을 구하는데 도움을 준 것처럼, 신인들은 잠재적으로 비참한 2008-09시즌을 구하는데 도움을 주었다.이것의 가장 성공적인 예는 "키드 라인"이라는 별명을 가진 신인 공격수 켈란 토치킨, 바이런 프리즈, 그리고 타일러 맥스웰의 등장일 것이다.이 세 선수는 합쳐서 177점을 얻었고, WHL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신인 선수 중 하나가 되었다.이 3인방은 72경기에서 74득점으로 팀을 이끌었고 WHL 신인 선수들도 득점에서 앞섰다.'키드라인' 외에도 16세의 신인 골키퍼 켄트 심슨도 예상을 뛰어넘었고 이후 골키퍼 토마스 헴스커크의 도움을 받았다.
팀 기록은 시즌 전반기에 .500을 넘었지만, 그 팀의 젊고 경험이 부족한 것이 시즌 후반기에 따라잡았다.이 팀은 정규 시즌을 27승 36패 7패의 기록으로 마감했는데, 이는 프랜차이즈 역사상 첫 패배 기록이다.하지만 신인들의 부상과 성공이 없었다면 기록은 더 나빴을 것이다.
실버버팁스는 정규시즌을 미국 디비전 4위, 서부 콘퍼런스 7위로 마쳤다.이 팀은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서 미국 디비전 챔피언을 두 번 차지한 트라이시티 아메리칸스에게 4-1로 패했다.이로써 실버팁스는 4연패 없이 플레이오프에서 탈락한 첫 번째 팀이 되었다.
2008-09 시즌이 끝난 직후, 존 베카닉 감독이 해고되었다.몇 달 후, 더그 수터트 단장은 전 NHL과 온타리오 하키 리그(OHL) 감독 크레이그 하츠버그를 팀의 새로운 감독으로 영입했다고 발표하면서, 프랜차이즈에 새로운 시대의 시작을 알렸다.
2009-10 시즌
에버렛은 2009-10시즌을 천천히 시작했다.초반 부조화 끝에 주장 잭 데일리, 득점 선두 셰인 하퍼, 오버에이징 영입 크리스 랭코우의 'DHL' 라인이 등장하고 신인왕 라이언 머레이와 수입 라드코 구다스의 1위 수비 페어링이 1월 한 달 동안 14연승으로 이어졌다.전년도의 '키드 라인'은 계속 개선되어 대니얼 이와스키, 클레이튼 커미스키, 스콧 맥도널드의 3인방은 견고한 견제 라인으로서 깊이를 제공했다.그 팀은 또한 토마스 헴스커크와 켄트 심슨의 WHL에서 최고의 골텐딩 탠덤을 가진 것으로부터 이익을 얻었다.하퍼는 그의 100번째 WHL 골로 클럽의 통산 골 리더로서 한 해를 마무리했다.
후반전의 열풍으로 실버버틱스는 시즌 마지막 경기인 스포케인 치프스를 꺾을 수 있는 기회와 함께 트라이시티와 서부 콘퍼런스에서 공동 최고 기록을 세우게 되었다.그러나 치프스는 '팁스'를 3-2로 꺾고 에버렛을 3번 시드로 떨어뜨려 WHL 챔피언인 켈로나 로키츠와 맞붙게 했다.더 크고 더 많은 체격의 로켓은 구다스가 부상으로 인해 여러 경기를 결장하면서 7경기 내내 '팁스'를 지쳤다.켈로나는 6차전에서 에버렛을 더블오버 타임으로 막아냈고, 7차전에서 2-1로 승리를 거두며 실망스러운 시즌을 마감했다.
2010-11 시즌
2010-11시즌 실버팁스는 지난 시즌 강력한 후반전에 이어 바이런 프리즈와 맞바꾸어 레드 디어 레벨로부터 새로운 주장 랜던 페라로를 영입하면서 큰 기대를 안고 시즌을 시작했다.에버렛은 또한 조지 쿠거 왕자로부터 센터 파커 스탠필드를, 레트브리지 허리케인스와 무스 죠 워리어스에서 각각 수비병 브레넌 야드로스키와 채드 수어를 취득했다.Josh Birkholz와 Cody Fowlie가 새로운 포워드로서 공헌했다.
하지만, 그 팀은 결코 열광하지 않았고 시즌 내내 무수한 부상으로 시달렸다.크레이그 하츠버그 감독은 심장 수술 이후 시즌 전반기 대부분을 결장했고 제이 바라디 부코치로 교체됐다.몇 안 되는 밝은 점 중 하나는 왼쪽 윙어 타일러 맥스웰이 이번 시즌 41골로 클럽 기록을 깼다.이 팀은 시즌 내내 관중 감소 속에 부진했고 서부 콘퍼런스 8번 시드로 플레이오프에 간신히 진출했다.당시 실버버팁스는 포틀랜드 윈터호크스의 상대가 되지 못했고 1라운드에서 탈락했다.2010-11 시즌 후, 하츠버그는 NHL의 캘거리 플레임스에서 코치직을 수행하기 위해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2011-12 시즌
2011-12 시즌 전에 마크 페너는 브리티시 컬럼비아 하키 리그(BCHL)의 버논 바이퍼스의 감독으로 4년 연속 에버렛의 감독으로 더그 소타트에 의해 영입되었다.그 팀은 몇몇 베테랑들과 헤어짐으로써 다소 젊은 운동을 시작했다.전 NCAA 선수인 조쉬 버크홀츠는 득점 부문에서 팀을 이끌었고, 포워드 라이언 해리슨은 강인함과 리더십을 제공했고, 수비수 라이언 머레이는 실버팁스 역사상 최연소 주장으로 임명되며 그의 놀라운 발전을 이어갔다.머레이는 2012 NHL 엔트리 드래프트에서 콜럼버스 블루재킷스에 의해 시즌 후 종합 2위로 선발되었다.18세의 포워드 조슈아 윈퀴스트와 Manraj Hayer는 득점의 손길을 보였고, 조쉬 카론과 리드 페트릭은 어린 선수들을 보호하기 위해 인수되었다.골키퍼 켄트 심슨은 인상적인 신예 오스틴 로츠에 의해 경기 시간을 요구받고 있었다.
하지만 12월 말까지 5승을 거두는 데 그쳤고 10연패로 바닥을 쳤다.제너럴 매니저인 더그 소에타트는 2012년 2월 2일에 해고되었고, 이후 임금 체불 문제로 팀을 고소했다.소에타트는 결국 포틀랜드 윈터호크스의 부감독 게리 데이비슨에 의해 대체되었다.하지만 후반전에는 켄트 심슨의 강력한 골과 해리슨, 신인 콜 바움, 파울리의 득점왕 라인 덕분에 팀이 나아졌다.시즌 후반의 뜨거운 열풍 이후, 에버렛은 시애틀 썬더버즈와의 원정 경기에서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거머쥘 수 있는 위치에 서게 되었다.켄트에서는 실버팁스가 6-4로 완승을 거두면서 1라운드 플레이오프에서 1번 시드의 트라이시티 아메리칸스를 상대하게 되었다.어린 '팁스'는 힘차게 싸웠지만, 훨씬 더 강한 트라이 시티 팀에 압도당했고, 4차전에서 가슴 아픈 연장전 4-3으로 패한 후 대승을 거두었다.
2012-13 시즌
실버버틱스는 16세의 공격수 타이 매핀, 도슨 리달, 그리고 17세의 카슨 스타드닉과 함께 매우 젊은 선수들로 10시즌을 시작했다.주장 라이언 머레이는 어깨 부상으로 시즌을 놓쳤고 스위스 신인 미르코 뮐러가 팀의 최고 수비수로 떠올랐다.골키퍼 오스틴 로츠는 초반부터 고전했고 시즌 초반 선발 투수 다니엘 코튼과 경기 시간을 다투어야 했다.시즌 중반 마크 페너 감독과 크리스 하츠버그 부코치가 해임됐고, 게리 데이비슨 단장이 남은 시즌 임시 감독직을 맡았다.베테랑 공격수들 중 몇 명이 부상을 당하면서 에버렛은 다시 총회 순위에서 8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플레이오프에서, 실버틱스는 서부 최고의 시드로 CHL 랭킹 1위 혹은 그 근처에서 시즌을 보낸 포틀랜드 윈터호크스와 맞붙게 되었다.윈터호크스는 거의 모든 사람들이 거의 노력 없이 실버버티프스를 상대로 시리즈를 휩쓸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실버버티프스는 포틀랜드에서 4승 2패로 떨어지기 전에 두 경기를 승리함으로써 모든 예상을 뒤엎었다.시리즈 패배로 에버렛은 1라운드 플레이오프에서 탈락하는 기염을 토했지만 포스트시즌 출전 자격에서는 존속 연도마다 플레이오프 출전 기조를 유지했다.
2013-14 시즌
Silvertips는 서부 콘퍼런스 순위에서 6위 또는 더 나은 성적을 보장함으로써 팬들의 좌절과 함께 전년의 평범함을 개선하고자 했다.조슈아 윈퀴스트, 매니 헤이어, 그리고 유하르 카이라가 베테랑이지만 최고 무게의 전방 군단을 이끌고 새로운 주장 맷 푸팔이 이끄는 수비를 쇄신하면서, '팁스'는 20-4로 출발하며 관문을 박차고 나왔다.초반 시즌 하이라이트는 리그 최강 팀인 포틀랜드 윈터호크스에 3-2로 승리한 것이다.에버렛은 12월에 들어서면서 WHL에서 최고의 기록을 세웠는데, 그 때 콘서트와 그 이후의 팀 이벤트에서 몇 건의 선수들의 부정행위가 유망한 시즌을 탈선시켰다.그 팀은 이후 두 달 동안 엄청나게 고전했고, 결국 두 명의 선수가 팀에서 쫓겨났다.
결국 팁스는 켈로나 로케츠에 대한 대승과 스포캔에서 치프스에 대한 대승으로 다시 궤도에 올라 스포캔 아레나에서 오랜 연패를 깼다.레이든 로우, 레미 로렌셀, 로건 아스만이 빙판 위에서 퍽을 장악하고 있는 것도 시즌 후반의 큰 요인이었다.에버렛은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여 라이벌인 시애틀 썬더버드와 맞붙었다.그들은 비록 하위 시드의 팀이지만 시리즈의 많은 전문가들로부터 호감을 받았다.하지만 시애틀은 극도로 육체적인 시리즈를 했고 '팁스다운'을 착용했다.에버렛은 결국 시리즈 4 대 1로 패했고, 시애틀의 집행자인 제이미언 야쿠보스키가 4차전을 위해 출전 정지를 당하는 동안 유일한 승리가 나왔다.
2014-15 시즌
에버렛은 다시 한 번 올 시즌 호조를 보이며 시즌 대부분을 미국 디비전을 이끌었다.카터 하트는 켄트에서 열린 썬더버드와의 개막전에서 골로 압박받아 1-0으로 승리했다.Import Nikita Scherbak은 Saskatoon Blades로부터 인수되어 레미 로렌셀, 브레이든 로우와 라인에서 뛰면서 득점 부문에서 팀을 이끌었다.콜 바움, 카슨 스타드닉, 도슨 리달의 '사스카툰 플래툰'은 강한 플레이를 제공했다.수비는 케빈 데이비스와 노아 줄슨이 이끌었다.디비전 우승을 위해 포틀랜드 윈터호크스를 연기한 후, 팁스는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서 스포케인 치프스와 맞붙었다.연장전 4경기를 연속해서 본 시리즈는 결국 6차전에서 에버렛이 이겼다.호크스는 2라운드 첫 경기에서 포틀랜드를 꺾은 뒤 4승을 거뒀다.
2015-16 시즌
전체 시즌 동안 182골만을 넣었음에도 불구하고 에버렛 실버팁스는 3월 초에 시애틀 썬더버드에 추월당하기 전까지 시즌 대부분을 미국 디비전에서 선두를 유지하며 역경을 이겨냈다.레미 로렌셀은 58득점으로 팀을 이끌었지만 카터 하트는 계속해서 올해의 CHL 골텐더로 선정되었다.플레이오프 1라운드에서 포틀랜드 팀을 휩쓸고 난 후, 팁스는 2라운드에서 다시 한 번 1 대 0으로 앞서고, 이번에는 시애틀에게 다음 네 번의 경기에서 패했다.에버렛은 시즌 후 2016년 NHL 드래프트에서 상위 10위 안에 이름을 올리지 않은 오스틴 매튜스와 타이슨 조스트가 지명됐다.
2016-17 시즌
카터 하트는 에버렛을 5번째 미국 디비전 우승으로 이끌었고, 다시 한번 올해의 골텐더 상을 수상했다.도미닉 즈베르거, 맷 폰테인, 패트릭 바이코프의 스크래블 라인이 대부분의 득점을 제공했고 주장 노아 줄슨이 수비진을 정박시켰다.빅토리아 로열스를 상대로 한 힘든 1라운드 시리즈는 주니어 하키 [citation needed]역사상 가장 긴 경기였던 6차전에서 4번째 라이너인 칼 베이치가 연장 5번째 경기에서 골을 넣으면서 승리했다.그러나 리그 챔피언이 된 시애틀 썬더버드는 2라운드에서 실버버팁스를 휩쓸었고 케빈 콘스탄틴 감독은 해임되었다.
시즌별 기록
참고: GP = 경기, W = 승리, L = 패배, T = 동점, OTL= 연장전 패배, SOL = 슛아웃 패배, PTS = 득점, GF = 골, GA = 상대 골
계절 | GP | W | L | OTL | 솔 | GF | GA | 포인트 | 끝내라. | 플레이오프. |
2003–04 | 72 | 35 | 27 | 8 | 2 | 157 | 153 | 80 | 제1회 미국 | 최종 패전 |
2004–05 | 72 | 33 | 28 | 9 | 2 | 167 | 149 | 77 | 제3의 미국 | 로스트 웨스턴 컨퍼런스 준결승 |
2005–06 | 72 | 40 | 27 | 2 | 3 | 203 | 158 | 85 | 제1회 미국 | 로스트 웨스턴 컨퍼런스 파이널 |
2006–07 | 72 | 54 | 15 | 1 | 2 | 239 | 142 | 111 | 제1회 미국 | 로스트 웨스턴 컨퍼런스 준결승 |
2007–08 | 72 | 39 | 30 | 0 | 3 | 205 | 198 | 81 | 제4회 미국 | 로스트 웨스턴 컨퍼런스 8강 |
2008–09 | 72 | 27 | 36 | 7 | 2 | 199 | 259 | 63 | 제4회 미국 | 로스트 웨스턴 컨퍼런스 8강 |
2009–10 | 72 | 46 | 21 | 3 | 2 | 232 | 175 | 97 | 두 번째 미국 | 로스트 웨스턴 컨퍼런스 8강 |
2010–11 | 72 | 28 | 33 | 7 | 4 | 172 | 218 | 67 | 제4회 미국 | 로스트 웨스턴 컨퍼런스 8강 |
2011–12 | 72 | 22 | 40 | 2 | 8 | 185 | 268 | 54 | 제4회 미국 | 로스트 웨스턴 컨퍼런스 8강 |
2012–13 | 72 | 25 | 40 | 3 | 4 | 172 | 268 | 57 | 제5회 미국 | 로스트 웨스턴 컨퍼런스 8강 |
2013–14 | 72 | 39 | 23 | 7 | 3 | 218 | 206 | 88 | 제3의 미국 | 로스트 웨스턴 컨퍼런스 8강 |
2014–15 | 72 | 43 | 20 | 3 | 6 | 242 | 199 | 95 | 제1회 미국 | 로스트 웨스턴 컨퍼런스 준결승 |
2015–16 | 72 | 38 | 26 | 5 | 3 | 182 | 172 | 84 | 두 번째 미국 | 로스트 웨스턴 컨퍼런스 준결승 |
2016–17 | 72 | 44 | 16 | 9 | 3 | 229 | 169 | 100 | 제1회 미국 | 로스트 웨스턴 컨퍼런스 준결승 |
2017–18 | 72 | 47 | 20 | 2 | 3 | 246 | 167 | 99 | 제1회 미국 | 최종 패전 |
2018–19 | 68 | 47 | 16 | 2 | 3 | 223 | 130 | 99 | 제1회 미국 | 로스트 웨스턴 컨퍼런스 준결승 |
2019–20 | 63 | 46 | 13 | 3 | 1 | 228 | 142 | 96 | 두 번째 미국 | COVID-19 대유행으로 취소됨 |
2020–21 | 23 | 19 | 4 | 0 | 0 | 91 | 45 | 38 | 제1회 미국 | 플레이오프는 열리지 않았다. |
2021–22 | 68 | 45 | 13 | 5 | 5 | 280 | 190 | 100 | 제1회 미국 | 로스트 웨스턴 컨퍼런스 8강 |
WHL 챔피언십 이력
현재 명부
2022년 8월 1일 갱신.[5]
# | 내트 | 플레이어 | 포스 | S/G | 나이 | 획득한 | 출생지 | 초안 |
---|---|---|---|---|---|---|---|---|
21 | ![]() | 딜런 앤더슨 | D | R | 열아홉 | 2017 |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 드래프트되지 않았다 |
17 | ![]() | 잭슨 베레조스키 | RW | R | 이십 | 2017 | 요크턴, 서스캐처원 | 드래프트되지 않았다 |
10 | ![]() | 뷰 코트니 | C | R | 열여덟 살 | 2019 | 콜로라도 주 | 드래프트되지 않았다 |
6 | ![]() | 타이 깁슨 | D | R | 열아홉 | 2018 | 빅토리아, 브리티시컬럼비아 | 드래프트되지 않았다 |
9 | ![]() | 벤 헤머링 | C | R | 열여덟 살 | 2019 | 앨버타 주, 셔우드 파크 | 2022년, 종합 177위, VGK |
22 | ![]() | 제시 헤슬롭 | RW | L | 열여섯 살 | 2021 |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나나이모 | 대상 2024 |
15 | ![]() | 라이언 호퍼 | C | L | 이십 | 2020 | 매니토바 주 | 2022, 181회 종합, WAS |
![]() | 야콥 호프로게 | D | R | 열아홉 | 2022 | 서스캐툰, 서스캐처원 | 드래프트되지 않았다 | |
40 | ![]() | 브레이든 홀트 | G | L | 열아홉 | 2018 | 몬태나 주 | 드래프트되지 않았다 |
29 | ![]() | 빈스 라마나 | LW | L | 열아홉 | 2021 | 앨버타 주 | 드래프트되지 않았다 |
![]() | 팀 메츠거 | G | L | 열일곱 살 | 2022 | 멘네도르프, 스위스 | 대상 2023 | |
19 | ![]() | 매튜 응 | RW | R | 열여덟 살 | 2019 | 쿠퍼티노 (캘리포니아 주 | 드래프트되지 않았다 |
14 | ![]() | 오스틴 로스트 | C | R | 열여덟 살 | 2019 | 콜드스트림,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 드래프트되지 않았다 |
![]() | 도미니크 라이몬 | LW | L | 열여덟 살 | 2022 | 카를로비 바리 (체코 | 드래프트되지 않았다 | |
8 | ![]() | 로난 실리 | D | L | 이십 | 2017 | 옐로나이프, 노스웨스트 나이프 | 2020년, 종합 208위, CAR |
24 | ![]() | 타린 스미스 | D | L | 열여섯 살 | 2021 | 서스캐처원 주 고슴도치 평야 | 대상 2024 |
44 | ![]() | 에이단 서터 | D | L | 열아홉 | 2019 | 캠럽스 브리티시컬럼비아 | 드래프트되지 않았다 |
4 | ![]() | 덱스터 휘틀 | D | R | 열일곱 살 | 2019 | 버든, 매니토바 주 | 드래프트되지 않았다 |
13 | ![]() | 론 우드워드 | C | L | 열여섯 살 | 2020 | 니파윈, 서스캐처원 주 | 대상 2023 |
11 | ![]() | 제이콥 라이트 | C | R | 이십 | 2019 |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 드래프트되지 않았다 |
12 | ![]() | 캐든 자플리티 | LW | L | 열일곱 살 | 2021 | 매니토바 주 | 드래프트되지 않았다 |
48 | ![]() | 올렌 젤위거 | D | L | 열여덟 살 | 2018 | 앨버타 주 포트 서스캐처원 | 2021, 34번째 종합, ANA |
NHL 드래프트
연도 | 둥글다 | 고르다 | 플레이어 | 팀. | 고향 |
---|---|---|---|---|---|
2006 | 첫 번째 | 8 | 피터 뮐러 | 피닉스 코요테즈 | 미네소타 주 |
2006 | 첫 번째 | 26 | 릴랜드 어빙 | 캘거리 플레임스 | 스완힐스, 앨버타 주 |
2006 | 두 번째 | 40 | 온드레즈 피알라 | 미네소타 와일드 | 체코, 스텐베르크 |
2006 | 세 번째 | 73 | 브래디 캘러 | 플로리다 팬더스 | 켈로나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
2007 | 첫 번째 | 8 | 잭 해밀 | 보스턴 브루인스 | 포트코퀴틀람, 브리티시컬럼비아 |
2007 | 두 번째 | 41 | 테일러 엘링턴 | 밴쿠버 캐넉스 | 빅토리아, 브리티시컬럼비아 |
2007 | 일곱 번째 | 206 | 댄 겐더 | 밴쿠버 캐넉스 | 빅토리아, 브리티시컬럼비아 |
2008 | 첫 번째 | 11 | 카일 비치 | 시카고 블랙호크스 | 켈로나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
2009 | 세 번째 | 82 | 캐머런 애브니 | 에드먼턴 오일러스 | 앨더그로브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
2009 | 넷째 | 119 | 바이런 프리즈 | 시카고 블랙호크스 | 매니토바 주 |
2010 | 두 번째 | 58 | 켄트 심슨 | 시카고 블랙호크스 | 앨버타 주 |
2010 | 세 번째 | 66 | 라드코 구다스 | 탬파베이 라이트닝 | 체코 프라하 |
2010 | 넷째 | 109 | 알렉스 테소 | 댈러스 스타즈 | 던컨,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
2012 | 첫 번째 | 2 | 라이언 머레이 | 콜럼버스 블루 재킷스 | 화이트 시티, 서스캐처원 |
2012 | 넷째 | 116 | 닉 월터스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 | 앨버타 주 |
2013 | 첫 번째 | 18 | 미르코 뮐러 | 새너제이 샤크스 | 스위스 윈터투르 |
2013 | 넷째 | 158 | 벤 베터 | 에드먼턴 오일러스 |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
2014 | 첫 번째 | 26 | 니키타 셰르박 | 몬트리올 캐나다 | 러시아 모스크바 |
2015 | 첫 번째 | 26 | 노아 줄슨 | 몬트리올 캐나다 |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
2016 | 두 번째 | 48 | 카터 하트 |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 | 앨버타 주, 셔우드 파크 |
2018 | 세 번째 | 92 | 코너 드와르 | 미네소타 와일드 | 더 파스, 매니토바 |
2018 | 세 번째 | 93 | 라일리 서터 | 워싱턴 캐피털스 | 캘거리, 앨버타 주 |
2018 | 다섯 번째 | 127 | 와테 와일리 |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 | 워싱턴 주 |
2019 | 세 번째 | 77 | 지아니 페어 브라더 | 몬트리올 캐나다 | 노스밴쿠버, 브리티시컬럼비아 |
2019 | 일곱 번째 | 216 | 더스틴 울프 | 캘거리 플레임스 | 길로이(캘리포니아) |
2020 | 두 번째 | 62 | 게이지 곤칼베스 | 탬파베이 라이트닝 | 미션, 브리티시컬럼비아 |
2020 | 일곱 번째 | 208 | 로난 실리 | 캐롤라이나 허리케인스 | 옐로나이프, 노스웨스트 나이프 |
2021 | 두 번째 | 34 | 올렌 젤위거 | 애너하임 덕스 | 앨버타 주 포트 서스캐처원 |
2021 | 일곱 번째 | 224 | 니코 후우타넨 | 탬파베이 라이트닝 | 헬싱키, 핀란드 |
2022 | 여섯 번째 | 177 | 벤 헤머링 | 라스베이거스 골든 나이츠 | 앨버타 주, 셔우드 파크 |
2022 | 여섯 번째 | 181 | 라이언 호퍼 | 워싱턴 캐피털스 | 매니토바 주 |
NHL 동문
NHL 졸업생 [6]목록
명예
- 에드 치노위스 컵
- 스코티 먼로 기념 트로피
- 수상자 (1) : 2006 ~2007
- 서부 회의
- 수상자 (2): 2003-04, 2017-18, 2021-22
- 미국 사업부
- 수상자 (9) : 2003-04, 2005-06, 2006-07, 2014-15, 2016-17, 2017-18, 2018-19, 2020-21, 2021-22
- 개인상
- 포 브롱코스 기념 트로피
- 카터 하트: 2017-18
- 밥 클라크 트로피(득점왕)
- 잭 해밀: 2006-07
- 대럴 K. (닥) 선원 트로피 (올해의 학교 선수)
- 델 윌슨 트로피(올해의 골텐더)
- Jim Piggott Memorial Trophy (올해의 루키상)
- Dunc McCallum 메모리얼 트로피 (올해의 감독)
- 케빈 콘스탄틴: 2003-04
메모들
- ^ "Dennis Williams Promoted to Position of Silvertips General Manager and Head Coach". OurSports Central. July 12, 2021.
- ^ "Lincoln to remain Silvertips' mascot". heraldnet.com. December 9, 2010. Retrieved November 14, 2019.
- ^ "Everett gets WHL approval for team". The Seattle Times. September 19, 2001. p. D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19, 2001. Retrieved March 25, 2017.
- ^ Wade, Susan (November 22, 2002). "It's official: Everett's hockey team will be called Silvertips". The Seattle Times. p. D3. Retrieved March 25, 2017.
- ^ WHL Network, Western Hockey League, retrieved 2022-08-01
- ^ "Silvertips Alumni In The NHL – Everett Silvertips". everettsilvertips.com. Retrieved 2018-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