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브게니야 로디나

Evgeniya Rodina
에브게니야 로디나
Евгения Родина
Rodina RG19 (43) (48199061156).jpg
2019 프랑스 오픈 로디나 선수단
나라(스포츠) 러시아
거주지러시아 모스크바
태어난 (1989-02-04) 1989년 2월 4일 (32세)
모스크바, 러시아 SFSR, 소비에트 연방
높이1.70m(5ft 7인치)
프로로 전향했다.2004
플레이스오른손(양손 백핸드)
상금US$ 2,297,807
싱글스
경력기록441–338 (56.6%)
경력직명1 WTA 125, 13 ITF
최고 순위제67호(2019년 5월 6일)
그랜드 슬램 단식 경기 결과
오스트레일리아 오픈2R(2011년)
프렌치 오픈1R(2008, 2011, 2015, 2017, 2019)
윔블던4R (2018)
US 오픈2R (2015, 2016, 2017)
복식
경력기록159–140 (53.2%)
경력직명1 WTA 125, 6 ITF
최고 순위99번(2011년 10월 24일)
그랜드 슬램이 2배 더 많은 결과를 낳다
프렌치 오픈1R(2017년)
윔블던2R(2011년)
US 오픈2R(2008)
마지막 업데이트 날짜: 2020년 5월 7일.

에브게니야 세르게예브나 로디나(러시아어: ееееяааааааааааааааа,,,,, 1989년 2월 4일생)는 러시아의 비활동적인 테니스 선수다. 2019년 5월 6일, 그녀는 커리어 최고 랭킹인 67위를 달성했다.

세계 랭킹을 통해 강력한 상승세를 보인 로디나는 현재까지 13번의 ITF 싱글 우승을 차지했다.

사생활

로디나는 코치인 데니스 슈테잉가트와 결혼했다.[1] 그들은 2012년 11월에 태어난 딸이 있다.[2]

경력

2004–05

로디나는 불과 15년 반이었던 2004년 8월 말 모스크바에서 열린 2만5,000달러 토너먼트 본선 1차 추첨에서 와일드카드의 도움으로 ITF 서킷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고, 비록 3년 만에 패했지만, 유망한 러시아 스타 엘레나 베스니나의 세트를 따내면서 상을 정당화했다.

10월 크로아티아 두브로브니크에서 열린 두 번의 연속 1만 달러 이벤트에 와일드카드를 추가해 그녀는 비록 2차전에서 모두 졌지만, ITF 경기에 출전할 필요 없이 첫 번째와 두 번째 메인 드로잉 ITF 경기에서 승리할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

이 두 가지 결과는 그녀가 올해 말까지 세계 랭킹 1138위의 순위표의 맨 끝에 오르기에 충분했다.

6개월간의 대회 휴식을 취한 뒤 16세 생일이 지난 2005년 4월 말 크로아티아 카브타트에서 열린 1만 달러 이벤트 본선 무승부로 와일드카드를 추가 발급받았고, 이번에는 두 차례 우승한 뒤 8강전에서 패했다.

같은 주 말, 그녀는 마침내 자신의 순위에 대한 장점만으로 1만 달러의 예선 무승부에 들어갔고, 예선전을 치른 후 한 세트도 떨어뜨리지 않고 4라운드의 메인 무승부를 거두며 실력을 증명했지만,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반자 조로비치라는 거의 알려지지 않은 선수에게 결승에서 패했다.

8월 중순 모스크바에서 처음으로 2만5,000달러 무승부를 기록했고, 유망한 러시아 선수 바실리사 바르디나가 준준결승 패배로 가는 도중에 옥사나 류브소바를 주 무승부로 물리쳤다.

그 다음 주, 그녀는 러시아 발라시카에서 2만 5천 달러 무승부를 기록했고, 8강전에서 이스라엘의 유능한 선수 예브게니아 사브란스키를 물리친 후, 4강까지 싸워 전주에 세운 자신의 경력 최고 성적을 기록했고, 그녀는 바디나에게 연속 세트에서 또 한 번 패배했다.

9월 조지아주 트빌리시에서 열린 25달러짜리 토너먼트 예선전에서 우크라이나의 크리스티나 안토니추크에게 연속 세트에서 패했지만 행운의 패자로 본선 무승부를 허용받았지만 1라운드에서 바르디나와 3번째 맞대결을 벌이게 됐다. 동료 러시아인으로부터 세트 스코어를 처음으로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3점 만점에 졌다.

와일드카드로 5만 달러의 주 무승부를 기록한 그는 이달 말 미국 조지아 주 바투미에서 2라운드에 올랐다가 또 다른 떠오르는 동료 알라 쿠드리야브체바에게 패했다.

다음 주인 10월 초, 그녀는 또 다른 와일드카드와 함께 주 무승부로 호의를 받았으며, 비록 이전에는 2만 5천 달러 이상의 이벤트에 참가했던 적이 없었지만, 이번에는 그녀의 첫 번째 WTA 투어 메인 무승부가 될 것이었다. 그럼에도 1라운드에서 경험이 풍부한 타티아나 파노바와 2라운드에서 헝가리 출신 탤런트 멜린다 크징크를 꺾고 8강에 올랐으나 동료 에카테리나 비흐코바에게 3세트 접전 끝에 완패했다.

이 최근의 결과로 인해 발생한 랭킹 포인트는 그녀가 11월 초 벨라루스의 민스크에서 열린 다음 2만 5천 달러 대회의 주요 추첨에 직접 참가하기에 충분했다. 이 경우 준준결승까지 진출했지만 떠오르는 스타 아그니에스카 라드와이스카(폴란드)에 의해 이 수준에서의 생애 최고 성적에 1라운드도 못 미치는 성적에 그쳤다.

11월 중순, 그녀는 체코 프루호니체에서 열린 인기 있는 2만 5천 달러 이벤트에 참가하기 위한 예선을 통해 싸워야 했고, 미래의 톱 50 스타 도미니카 치불코바마샤 페스키리치를 물리치는 데 성공하여 이 목적을 달성했다. 그러나 1차전에서 그녀는 체코 선수 마이클라 파시코바에게 4-6, 4-6, 2세트 접전 끝에 졌다.

그녀는 이후 3개월 동안 또 다른 경기를 치르지 않았지만, 세계 랭킹 323위를 기록하며, ITF 서킷에서의 첫 해 이후 순조롭게 출발했다.

2006

2월말 경기로 복귀한 그녀는 세인트루이스에서 열리는 50달러 토너먼트에 직접 출전했다. 미네소타 폴은 1라운드에서 동점을 이룬 뒤 아샤 롤에게 3세트 접전 끝에 6-2, 4-6, 3-6으로 패했다.

In her next two $25k tournaments, she endured early losses, but on returning from a month's break early in May to compete in a $25k event at Antalya-Manavgat, Turkey, she reached the quarter-finals after beating Aurélie Védy of France in a close three-set second-round clash, but then was demolished 6–1, 6–1 by on-form Romina Oprandi.

다음 주 인도네시아 주니에에서 열린 첫 7만5,000달러 토너먼트 예선 무승부에 입성하여 거의 알려지지 않은 상대와의 3세트 접전에서 모두 승리하여 아직 생애 최고의 예선 성적을 거두지 못했으나, 마침내 동료 알라 쿠드랴브체바에게 1차전에서 무릎을 꿇었다.6-7, 6-4, 4-6으로 더 가까운 곳에서 경쟁할 수 있어

지난 7월 우크라이나 드네프로페트로프스크에서 열린 2만5,000달러(약 2만5,000원) 대회 본선 무승부에서 우크라이나의 갈리나 코시크에게 0–6, 2–6으로 완패하면서 또 한 번 비교적 일찍 패했다.

그러나 8월에 그녀는 모스크바에서 열린 2만 5천 달러 규모의 토너먼트 결승전에 뛰어든 후 7–6, 6–3으로 팽팽히 맞선 결승전에서 동료인 에카테리나 마카로바를 패배시켜 자신의 생애 첫 ITF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다음 달, 그녀는 두 번째 7만 5천 달러 무승부를 할 자격을 얻었고, 이번에는 아르헨티나의 조르겔리나 크레이베로캐나다의 알렉산드라 워즈니악의 희생으로 두 번의 본선 무승부를 거두며 10번까지 연승했다. 8강전에서 페루의 노장 크리스티나 브란디와 맞붙어 3세트 타이브레이크로 접전까지 내려갔지만 6-2, 1-6, 7-6으로 승리한 것은 브란디였다.

바로 다음 주 켄터키 애슐랜드에서 열린 5만 달러 이벤트 예선을 통해 우승했고, 2차 본선 무승부에서는 바르바라 렙첸코를 꺾은 뒤 8강전에서 미래의 톱20 스타 아그네스 사바이에 패했다.

다음 주인 10월 초 5만 달러 토너먼트의 본선 무승부에 직접 참가했던 그녀는 2라운드에서 아샤 롤레에 의해 저지당했고, 그는 이번 경기에서 단 두 경기만 져서 그녀를 쉽게 물리쳤다.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5만 달러 규모의 대회에서 다시 한 번 실전에 나선 그녀는 첫 번째 장애물에서 미국의 네하 우베로이에게 3세트 만에 패했다.

러시아로 돌아온 후, 그녀는 그 달 말에 포돌스크에서 다시 2만 5천 달러의 준준결승에 올랐다가 동료인 유제니아 그레벤유크에게 2-6, 5-7로 졌다.

그러나 바로 다음 주 11월 초 민스크에서 열린 2만5,000달러짜리 토너먼트 8강전에서 그레베뉴크에 역전승을 거두며 6-2, 6-2, 7–5로 패한 뒤 준결승전에서 안나 라푸셴코바를 7–6, 7–5로 간신히 물리치고 6–4, 6–3으로 종합 우승을 확정지었다.결승전에서 Pavyuchenkova가 그녀의 경력 ITF 단식 타이틀을 2개로 가져갔다.

그 달 말 체코 프세로프에서 열린 그녀는 2만 5천 달러 규모의 또 다른 대회 준결승까지 순항한 뒤 올해의 마지막 경기가 될 러시아전에서 영국의 저명한 선수 앤 케오타봉에게 6-7, 2-6으로 졌다.

로디나는 몇 번의 딸꾹질에도 불구하고 세계 233위였던 올해를 90위로 마감했고 34-12년 동안 뛰어난 승패 기록을 세웠다.

2007

지난 1월, 그녀는 생애 처음으로 WTA 투어 대회에 출전하기 위한 예선에 들어갔는데, 그녀가 이전에 출전한 유일한 WTA는 주요 추첨 와일드카드 덕분이었다. 그러나 마이너 수준의 WTA 이벤트와는 거리가 먼 그녀가 WTA 예선전,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 호주 오픈에서 먼저 태클을 선택한 것은 그랜드 슬램이었다. 예선 1차전에서 그녀는 안젤라 헤인즈를 6-3, 6-0으로 여유 있게 이겼지만, 2차전에서 또 다른 미국인 베사니 마테크에게 4-6, 1-6으로 졌다.

이후 한 달여를 쉰 뒤 2월 중순 콜롬비아 보고타에서 열린 티어-III 대회 예선에 진출해 남미 선수들에게 2승을 거두며 예선에 오른 뒤 잘 알려지지 않은 스페인 에스트렐라 카베자 칸델라와의 접전 끝에 패했다.

일주일 후, 그녀는 이번에는 멕시코 아카풀코에서 열리는 또 다른 Tier-III 이벤트 예선전에 들어갔다. 그러나 그녀는 예선 1차전에서 독일의 강호 그레타 아른과 비겨 5-7, 6-4, 2-6으로 아슬아슬한 3세터에게 양보했다.

Returning to the ITF Circuit in March, she suffered a close first-round loss to Darya Kustova in the $25k event at Minsk before winning through to the finals at Moscow with victories over fellow-Russians Oxana Lyubtsova and Alisa Kleybanova, but then lost a very close final to up-and-coming star Ekaterina Makarova, who thereby avenged her defeat at 지난 8월 모스크바에서 열린 2만5천 달러의 결승전에서 로디나의 손

Staying with $25k events in April, she lost a very close first round match to Australian Casey Dellacqua 7–6, 6–7, 3–6 at Biarritz, France, but the following week won through to the semi-finals at Calvià, Spain, with a three-set quarterfinal victory against Czech star Petra Cetkovská, 6–4, 3–6, 6–4, only to lose her semifinal tie to Spanish player 마리아 호세 마르티네스 산체스 연속 세트.

그 달 말 발렌시아 토렌트에서 5만 달러대까지 한 발짝 물러섰으나 2라운드에서 마레트 아니에게 패했다.

주니에에서 열린 7만5천 달러 규모의 대회를 위해 5월에 레바논으로 떠난 그녀는 슬로바키아 출신의 잘 알려지지 않은 주자나 쿠초바(1–6, 4–6)에 의해 1라운드에서 승리했다.

다음 주, 그녀는 프랑스 생가우덴스에서 열린 5만 달러 토너먼트 8강전에서 마르갈리타 차크나슈빌리조안나 사코위츠를 물리치고 우승했지만, 그 후 베테랑 운동가 타티아나 페레비니스에 의해 이 경기에서 단 한 경기만 허용되어 무너졌다.

이달 말경에는 프랑스오픈에서 통산 두 번째 그랜드슬램 대회 출전권을 따내 1라운드에서 체코의 하나 슈로모바를 꺾었지만 우즈벡 악굴 아만무라도바에게 6-4, 6-7, 4–6으로 매우 팽팽한 3세트 접전 끝에 패했다.

6월에 로디나는 윔블던에서 다시 도전했지만, 1차 예선전에서 경험이 풍부한 동료 갈리나 보스코보예바를 꺾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후 올가 고보르토바(Olga Govertsova)의 형태로 유망한 벨라루시안 성공신화에 다소 쉽게 졌다.

한 달 더 휴식을 취한 뒤 7월 말 룩셈부르크 페탕주에서 열린 7만5,000달러 토너먼트에 복귀해 8강 무대를 밟은 뒤 카를라 수아레스 나바로에게 6-7, 1-6으로 패했다.

8월 중순, 그녀는 스웨덴의 스타 소피아 아르비드손과 네덜란드의 운동선수 엘리스 타마엘라를 누르고 뉴욕 브롱스에서 열린 또 다른 5만 달러 규모의 8강전에서 8강에 올랐으나, 오스트리아의 이본 메우스버거에게 6-2, 3-6, 6-7로 매우 근접한 8강전에서 졌다.

바로 다음 주, 그녀는 올해의 4연속 그랜드 슬램 예선전에 진출했고, 이번에는 엘레나 발타차, 하나 슈로모바 등의 희생으로 2라운드를 이겼지만, 예선전에서 올리비아 산체스에게 6-4, 1–6, 4–6으로 3세트 패배했다.

지난 9월 우크라이나 하르코프에서 열린 10만 달러 토너먼트에 직접 참가했던 그는 1라운드에서 또 다른 영국 최고 선수 케이티 오브라이언에게 연속 세트로 승리를 거두고 8강에 올랐으나 8강전에서 룩셈부르크 출신의 베테랑 안네 크렘러에게 4-6, 1-6으로 패했다.

이달 말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열린 WTA 본선 무승부 예선에서는 마르타 도마초스카(폴란드)와 동료 안나 라푸셴코바(동료)를 세트 연속 무승부로 꺾고 생애 첫 우승을 달성했다. 비록 이것은 Tier-IV 경기였지만, 둘 다 예선 조 추첨에서 맞닥뜨릴 강한 상대였다; 그녀는 6–3, 7–6 본선 조 1차전에서 장 슈아이의 업적을 이용했다. 그러나 그녀는 2라운드에서 새로운 최고 선수인 빅토리아 아자렌카와 맞섰고, 4-6, 3-6의 접전 세트에서 경기를 내주었기 때문에, 비록 지난 2년 동안 와일드카드의 상으로 인해 대회에 참가했고, 그렇게 힘든 상황을 겪지 않았지만, 2년 전 같은 대회에서 세운 자신의 선수 생활 최고 성적과 맞먹는 데 실패했다. 2차 반대

같은 주 후반, 그녀는 모스크바에서 열린 Tier-I 이벤트 예선전에 참가하여 동포 아나스타샤 파블리우첸코바아나스타샤 피보바로바를 상대로 3세트 승리를 굳혔고, 결국 예선전에서 전 호주 톱10 스타 알리샤 몰릭에게 7-5, 3–6, 4–6으로 근접한 3세터를 빼앗겼다.

이달 말에 로디나는 러시아 포돌스크에서 다시 한번 ITF 서킷에 복귀했고, 이번에는 2006년 7월 자신의 손에서 참패한 원수를 갚기 위해 3세트 8강전에서 갈리나 코시크를 제치고 싸웠다. 준결승에서는 아나스타샤 파블리우첸코바를 또 다른 3세트 접전 끝에 쫓아냈지만 결승에서는 아직 한 번도 지지 않은 안나 라푸셴코바를 여유 있게 물리치고 통산 3번째 ITF 단식 우승을 차지했고, 3위는 2만5,000달러였다.

In early November, she entered a $50k tournament at Minsk, and after edging past a little-known fellow Russian in round one she successively defeated Viktoriya Kutuzova of Ukraine 7–6, 6–3, Aravane Rezaï of France 6–4, 6–3, and Ekaterina Dzehalevich of Belarus 6–2, 4–6, 6–4, to reach her career-first $50k final, having never previously made it past 이 수준 이상의 8강전 아이러니하게도, 결승전은 루마니아 소라나 쿠르스테아가 자신의 생애 첫 5만 달러 타이틀을 거머쥐기 위해 세트당 단 한 경기씩의 패배로 사실상 불도질하는 등, 그녀가 이번 대회에서 가장 쉽게 이길 수 있는 경기임이 입증되었다. 다음 2주는 로디나에게 덜 성공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었다. 그녀는 프랑스 데우빌에서 열린 5만 달러 이벤트 1라운드에서 에카테리나 비흐코바와 처음 마주쳤고, 6-4, 2-6, 5-7로 근소한 차이로 이겼다. 다음으로, 그녀는 프랑스 푸아티에스에서 열린 10만 달러 대회의 주 무승부에 직접 진입한 후 스테파니 포레츠와 마주쳤고, 3 대 6, 2 대 6으로 패했다.

그러나 12월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열린 7만5,000달러 토너먼트에 출전해 2라운드에서 안나 라푸셴코바에게 또 한 번 승리를 거두고 8강전에서 알라 쿠드랴프체바에게 패한 것을 복수하는 등 더욱 큰 성공을 거두었다.이로써 그녀는 우크라이나의 율리아나 페닥을 만나 6-4, 6-4, 6-4의 접전 끝에 패했다. 하지만 첫 7만 5천 달러 결승전에서, 그녀는 25위 안에 드는 스타 마리아 키릴렌코와 함께 경기를 해야 하는 도전에 직면했다; 비록 첫 세트가 가까웠지만, 결국 7–5, 6–2로 경기를 끝마친 것은 키릴렌코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공연은 로디나를 12월 17일 세계 랭킹 1위 자리에 올려놓았는데, 그녀는 연말에 유지했던 세계 랭킹에서 113위까지 치솟았다.

2008

2008년 1월 시작되기 며칠 전 호주로 돌아온 그녀는 WTA 투어에서 다시 한번 예선행사에 도전했으나 골드코스트에서 열린 독일의 줄리아 슈러프(1–6, 5–7)와 H에서 열린 야로슬라바 슈베도바(1–6, 5–7)에 모두 패하면서 보기 드물게 암울한 결과를 겪었다.오바트(5–7, 6–2, 1–6)와 호주 오픈에서 일본의 나미가타 준리(1–6, 3–6)에게.

But with few ranking points to defend from that time of year in 2007, she had slipped only three places on the WTA rankings list to world No. 123 by the start of February; and even a further first-round loss to Kaia Kanepi (3–6, 4–6) at the first tournament she played that month, the Tier-III event at Viña del Mar, Chile, was enough to drop her ran2월 마지막 주까지 127위까지만 왕을 왕으로 모셨다.

2월 말 테네시주 멤피스에서 열린 티어-III 토너먼트 2라운드에서 전 세계 랭킹 100위(당시 세계 랭킹 158위) 아나스타시야 야키모바(벨라루스)를 1라운드에서 꺾고 1-6, 1-6으로 크게 패했다. 다음 주, 3월 초, 그녀는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5만 달러의 2라운드 경기에서 바르바라 렙첸코에게 6-1, 6-4로 승리했고, 2라운드에서 세계 87위 위안 멍에게 2-6, 2-6으로 패했다.

그러나 3월 중순 인도 웰스에서 열린 연례 Tier-I 행사에서 그녀는 다시 부활한 불가리아의 전 톱 50 스타 세실 카라탄체바(7–5, 6–2)와 세계 랭킹 117위의 로사나 로스리오스를 물리치고 두 번의 힘든 예선을 통과했다. Paraguay (6–3, 6–2), and then went on to defeat wildcarded fellow Russian Anastasia Pivovarova (6–4, 6–3) and French world No. 26 Virginie Razzano (6–0, 6–7, 6–2) to reach the third round of the main draw, before losing to world No. 31 Anabel Medina Garrigues (3–6, 5–7). 비록 예선에서는 두 번이긴 했지만, 이번 대회에서 연속 4승을 거둔 것은 3월 24일부터 시작되는 주에 그녀가 세계 랭킹 102위라는 새로운 기록을 세우기에 충분했다. 그랜드 슬램 주 무승부에 처음 진출한 프랑스 오픈에서 그녀는 롤랜드 가로스의 가장 큰 코트인 필리프 차티에 코트에서 톱시드와 동료 마리아 샤라포바를 맡았다. 로디나는 샤라포바가 6–1, 3–6, 8–6으로 승리하기 전에 게임처럼 싸우며 자신을 칭찬했다.

2018

로디나는 윔블던 출전 자격을 얻은 뒤 3라운드까지 진출해 10번 시드 매디슨 키스를 꺾었다. 4라운드에서 그녀는 세레나 윌리엄스에게 2-6, 2-6으로 졌다. 그녀는 2011년 2월 28일에 마지막으로 열린 자신의 최고 랭킹인 71위를 기록하였다.

성능 타임라인

W F SF QF #R RR Q# P# DNQ A Z# PO G F-S SF-B NMS P NH
(W) Won; (F) finalist; (SF) semifinalist; (QF) quarterfinalist; (#R) rounds 4, 3, 2, 1; (RR) round-robin stage; (Q#) qualification round; (P#) preliminary round; (DNQ) did not qualify; (A) absent; (Z#) Davis/Fed Cup Zonal Group (with number indication) or (PO) play-off; (G) gold, (F-S) silver or (SF-B) bronze Olympic/Paralympic medal; a (NMS) downgRaded Masters Series/1000 토너먼트, (P) 연기, (NH) 개최되지 않음. SR=스트라이크 레이트(이벤트 승리/경쟁)
혼선과 이중 계수를 피하기 위해, 이 차트는 토너먼트가 종료될 때 또는 선수의 참가가 종료되었을 때 업데이트된다.

WTA 투어, 그랜드 슬램 대회, 올림픽 경기의 메인 드로잉 성적만 승패 기록에 포함된다.

싱글스

이 표는 2020년 카타르 토탈 오픈까지 유효하다.

토너먼트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SR W–L 당첨률
그랜드 슬램 대회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A A Q2 Q1 Q1 1R 2R 1R A A 1R 1R 1R Q2 1R A 0 / 7 1–7 13%
프렌치 오픈 A A Q2 1R 3분기 3분기 1R A A A 1R Q1 1R 3분기 1R 0 / 5 0–5 0%
윔블던 A A Q2 3R Q2 Q2 2R A A A 2R 2R 1R 4R A NH 0 / 6 8–6 57%
US 오픈 A A 3분기 1R Q2 3분기 1R A A Q1 2R 2R 2R 1R A 0 / 6 3–6 33%
윈-로스 0–0 0–0 0–0 2–3 0–0 0–1 2–4 0–1 0–0 0–0 2–4 2–3 1–4 3–2 0–2 0–0 0 / 24 12–24 33%
프리미어 필수 경기
인도 웰스 오픈 A A A 3R 1R Q1 Q1 Q1 A A 1R Q1 2R Q1 1R P 0 / 5 3–5 38%
마이애미 오픈 A A A Q1 A Q1 Q1 Q1 A A 1R Q1 Q2 Q1 1R P 0 / 2 0–2 0%
마드리드 오픈 보류되지 않음 A A Q1 A A A A A Q2 A A P 0 / 0 0–0
차이나 오픈 Tier I이 아님 A A A A A A A Q2 A A A 0 / 0 0–0
프리미어 5 토너먼트
두바이 / 카타르 오픈 Tier I이 아님 A A A A A A A Q2 Q2 A A A A 0 / 0 0–0
이탈리아 오픈 A A A Q1 A A A A A A A A A A A P 0 / 0 0–0
캐나다 오픈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P 0 / 0 0–0
신시내티 오픈 Tier I이 아님 A A A A A A Q1 Q1 Q1 Q1 A 0 / 0 0–0
팬퍼시픽 / 우한오픈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0 / 0 0–0
경력통계
토너먼트 1 0 1 9 4 4 12 2 1 0 17 13 18 11 15 0 경력합계: 108
제목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경력합계: 0
결승전 0 0 0 0 0 0 0 0 0 0 0 1 0 0 0 0 경력합계: 1
하드 윈-손 2–1 0–0 1–1 3–5 2–3 3–3 7–7 1–2 0–1 0–0 10–9 4–9 7–11 3–7 2–7 0–0 0 / 66 45–66 41%
클레이 윈-로스 0–0 0–0 0–0 0–3 0–1 2–1 1–4 0–0 0–0 0–0 3–6 1–2 0–5 3–3 1–5 0–0 0 / 30 11–30 27%
그라스 승-패 0–0 0–0 0–0 2–1 0–0 0–0 1–1 0–0 0–0 0–0 1–2 3–2 2–2 3–1 1–3 0–0 0 / 12 13–12 52%
전체 승패 2–1 0–0 1–1 5–9 2–4 5–4 9–12 1–2 0–1 0–0 14–17 8–13 9–18 9–11 4–15 0–0 0 / 108 69–108 39%

WTA 커리어 파이널

복식: 1위(1위)

레전설
그랜드 슬램 대회(0-0)
프리미어 M & 프리미어 5 (0–0)
프리미어(0-0)
국제(0–1)
표면별 결승전
하드(0–0)
클레이(0–1)
잔디(0–0)
카펫(0-0)
결과 날짜 토너먼트 계층 표면 파트너 반대자 점수
손실 2016년 7월 스위스 오픈 그스타드 국제 점토 Germany 아니카 벡 Spain 라라 아르루아바르레나
Switzerland 제니아 크놀
1–6, 6–3, [8–10]

WTA 125 토너먼트 결승전

싱글: 2위(1개 타이틀, 2위 1개)

결과 W-L 날짜 토너먼트 표면 상대 점수
이기다 1–0 2016년 11월 대만 타이베이 챌린저 카펫 (i) Chinese Taipei 장개천 6–4, 6–3
손실 1–1 2018년 11월 프랑스 오픈 드 리모게스 하드(i) Russia 에카테리나 알렉산드로바 2–6, 2–6

복식: 1개(1개 타이틀)

결과 W-L 날짜 토너먼트 표면 파트너 반대자 점수
이기다 1–0 2019년 3월 미국 인디안 웰스 챌린저 딱딱한 Czech Republic 크리스티나 플리슈코바 United States 테일러 타운젠드
Belgium 야니나 윅마이어
7–6(7), 6–4

ITF 회로 결승전

레전설
$10,000 토너먼트
7만 5천 달러 토너먼트
5만 달러 토너먼트
$25,000 토너먼트
1만 달러 토너먼트

싱글: 20개 (13개 타이틀, 7개 준우승)

결과 W-L 날짜 토너먼트 계층 표면 상대 점수
손실 0–1 2005년 5월 ITF 두브로브니크, 크로아티아 10,000 점토 Serbia and Montenegro 반야 조로비치 4–6, 0–6
이기다 1–1 2006년 8월 ITF 모스크바, 러시아 25,000 점토 Russia 에카테리나마카로바 7–6(7–4), 6–3
이기다 2–1 2006년 11월 ITF 민스크, 벨라루스 25,000 카펫 (i) Russia 아나스타시아 파블리우첸코바 6–4, 6–3
손실 2–2 2007년 4월 ITF 모스크바, 러시아 25,000 하드(i) Russia 에카테리나마카로바 4–6, 7–6(8–6), 3–6
이기다 3–2 2007년 10월 ITF 포돌스크, 러시아 25,000 하드(i) Russia 안나 라푸셴코바 6–1, 6–3
이기다 4–2 2007년 11월 ITF 민스크, 벨라루스 50,000 하드(i) Romania 소라나 쿠르스테아 6–1, 6–1
손실 4–3 2007년 12월 ITF 두바이, UAE 75,000 딱딱한 Russia 마리아 키릴렌코 5–7, 2–6
이기다 5–3 2009년 4월 ITF 칸티만시스크, 러시아 50,000 카펫 (i) Russia 안나 라푸셴코바 6–3, 6–2
이기다 6–3 2009년 11월 ITF 브라티슬라바, 슬로바키아 50,000 하드(i) Czech Republic 레나타 보라초바 6–4, 6–2
이기다 7–3 2010년 8월 ITF 아스타나, 카자흐스탄 50,000 딱딱한 Belarus 에카테리나 드제할레비치 4–6, 6–1, 6–4
손실 7–4 2010년 11월 ITF 브라티슬라바, 슬로바키아 25,000 하드(i) Ukraine 카테리나 본다렌코 6–7(3–7), 2–6
손실 7–5 2013년 9월 ITF 모스크바, 러시아 25,000 점토 Ukraine 아나스타시야 바실리예바 2–6, 1–6
이기다 8–5 2014년 7월 ITF 미들버그, 네덜란드 25,000 점토 Netherlands 안젤리크 반데르 미트 7–5, 7–5
손실 8–6 2014년 8월 ITF 플뢰루스, 벨기에 25,000 점토 Slovakia 크리스티나 쿠초바 3–6, 4–6
이기다 9–6 2014년 9월 ITF 모스크바, 러시아 25,000 점토 Switzerland 제니아 크놀 7–6(2), 6–1
손실 9–7 2014년 9월 ITF 모스크바, 러시아 25,000 점토 Russia 비탈리아 디아첸코 3–6, 1–6
이기다 10–7 2014년 9월 ITF 도브리치, 불가리아 25,000 점토 Romania 안드리아 미투 3–6, 7–5, 6–3
이기다 11–7 2014년 11월 ITF 샤름 엘 셰이크, 이집트 25,000 딱딱한 Germany 로라 스텐스문트 6–2, 6–2
이기다 12–7 2014년 11월 ITF 샤름 엘 셰이크, 이집트 25,000 딱딱한 Germany 로라 스텐스문트 5–7, 6–3, 6–2
이기다 13–7 2016년 6월 영국 일클리 트로피 50,000 잔디 Slovakia 레베카 슈람코바 6–4, 6–4

복식: 18개(6개 타이틀, 준우승 12개)

결과 W-L 날짜 토너먼트 계층 표면 파트너 반대자 점수
이기다 1–0 2005년 5월 ITF 두브로브니크, 크로아티아 10,000 점토 Ukraine 나탈리아 보그다노바 Slovenia티나 오브레히
Slovenia 메타 세브셰크
4–6, 6–4, 6–4
손실 1–1 2006년 7월 ITF 드니프로페트로프스크, 우크라이나 25,000 점토 Ukraine 크리스티나 안토니추크 Ukraine 올레나 아네티피나
Russia 니나 브라치코바
1–6, 7–5, 5–7
손실 1–2 2006년 8월 ITF 모스크바, 러시아 25,000 점토 Romania 미하엘라 부즈르네스쿠 Russia 마리아 콘드라티에바
Russia 에카테리나마카로바
6–4, 4–6, 1–6
이기다 2–2 2006년 10월 ITF 포돌스크, 러시아 25,000 하드(i) Russia 아나스타시아 파블리우첸코바 Russia 바실리사 다비도바
Belarus 에카테리나 드제할레비치
6–1, 6–2
손실 2–3 2006년 11월 ITF 민스크, 벨라루스 25,000 카펫 (i) Belarus 에카테리나 드제할레비치 Belarus 다랴 쿠스토바
Russia 에카테리나마카로바
4–6, 4–6
손실 2–4 2007년 3월 ITF 민스크, 벨라루스 25,000 카펫 (i) Russia 에카테리나마카로바 Belarus 다랴 쿠스토바
Belarus 에카테리나 드제할레비치
6–4, 4–6, 4–6
이기다 3–4 2007년 3월 ITF 모스크바, 러시아 25,000 하드(i) Russia 알리사 클라이바노바 Australia아리나 로디오노바
Belarus 에카테리나 드제할레비치
7–6(2), 6–0
이기다 4–4 2007년 4월 ITF 비아리츠, 프랑스 25,000 점토 Israel 예브게니아 사브란스키 Russia 에카테리나 로페스
France 이리나 브레몬드
2–6, 6–1, 6–3
이기다 5–4 2007년 4월 ITF 토렌트, 스페인 50,000 점토 Russia 에카테리나 로페스 Spain 마르타 마레로
Spain 칼라 수아레스 나바로
7–6(7), 3–6, 6–2
손실 5–5 2009년 11월 ITF 민스크, 벨라루스 50,000 하드(i) Serbia 베스나 돌롱크 Ukraine 류드밀라 키케녹
Ukraine 나디아 키케노크
3–6, 6–7(7–9)
손실 5–6 2011년 6월 ITF 노팅엄, 영국 100,000 잔디 Russia 레지나 쿨리코바 Czech Republic 에바 비르네로바
Czech Republic 페트라 케코프스카
3–6, 2–6
이기다 6–6 2013년 8월 ITF 카잔, 러시아 50,000 딱딱한 Russia 베로니카 쿠더메토바 Russia 알렉산드라 아르타모노바
Czech Republic 마르티나 보레카
5–7, 6–0, [10–8]
손실 6–7 2013년 12월 스페인 ITF 마드리드 25,000 딱딱한 Bulgaria 엘리타 코스토바 Netherlands 데미 슈우르스
Netherlands 에바 와칸노
1–6, 2–6
손실 6–8 2014년 5월 ITF 트르나바, 슬로바키아 75,000 점토 Russia 마르가리타 가스파리안 Liechtenstein 스테파니 보그트
China 정사이사이
4–6, 2–6
손실 6–9 2014년 5월 ITF 모스크바, 러시아 25,000 점토 Russia 에카테리나 비흐코바 Kazakhstan 안나 다닐리나
Switzerland 제니아 크놀
3–6, 2–6
손실 6–10 2014년 7월 ITF 미들버그, 네덜란드 25,000 점토 Russia 베로니카 쿠더메토바 Netherlands안젤리크 반데르 미트
Netherlands 베르니스 판 데 벨데
6–7(4), 6–3, [5–10]
손실 6–11 2014년 8월 ITF 웨스턴데, 벨기에 25,000 딱딱한 Russia 마리나 멜니코바 Belgium 이살린 보나벤투르
Belgium 엘리스 메르텐스
2–6, 2–6
손실 6–12 2016년 5월 ITF 트르나바, 슬로바키아 100,000 점토 Latvia 아나스타시자 세바스토바 Russia 안나 칼린스카야
Slovakia 테레자 미할리코바
1–6, 6–7(4)

참조

  1. ^ "Rodina can finally enjoy her Wimbledon wild card". 20 June 2016. Retrieved 6 July 2018.
  2. ^ Dean, Sam (8 July 2018). "Wimbledon 2018: The mother of all battles as Evgeniya Rodina prepares to face fellow mum Serena Williams". The Daily Telegraph.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