앤 거타봉

Anne Keothavong
앤 거타봉
엠베
Anne Keothavong 8.jpg
게이오타봉, 2013년 페드컵 우승
나라(스포츠) 영국
거주지영국 런던
태어난 (1983-09-16) 1983년 9월 16일 (38세)
해크니, 런던
높이1.75m(5ft 9인치)
프로로 전향했다.2001
은퇴한2013
플레이스오른손(양손 백핸드)
상금$1,303,091
싱글스
경력기록418–314
경력직명20 ITF
최고 순위48번(2009년 2월 23일)
그랜드 슬램 단식 경기 결과
오스트레일리아 오픈2R(2011년)
프렌치 오픈1R(2009, 2010, 2011, 2012)
윔블던2R (2004, 2008, 2011, 2012)
US 오픈3R(2008)
기타 대회
올림픽 경기1R(2012년)
복식
경력기록106–159
경력직명8 ITF
최고 순위94번(2011년 4월 18일)
그랜드 슬램이 2배 더 많은 결과를 낳다
오스트레일리아 오픈2R (2009)
프렌치 오픈1R (2009)
윔블던2R(2008)
US 오픈1R(2008)
그랜드 슬램 혼합 복식 결과
윔블던2R(2008)
단체전
페드컵22–22

앤 비엔수크 케오타봉 브레터튼 MBE(Née Keothavong; 1983년 9월 16일생)는 은퇴한 영국의 테니스 선수다.선수 생활 중 ITF 여자 서킷에서 총 28회 우승을 차지하며 세계 48위(2009년 2월 23일 달성)의 커리어 하이 싱글 랭킹에 올랐다.[1]그녀는 또한 6번의 WTA 국제 대회 준결승과 1번의 프리미어 대회 준결승에 올랐다.[2]앤은 다섯 차례 연말 랭킹에서 영국 1위를 차지했고, 2009년에는 1993년 이후 처음으로 WTA 50위 안에 든 영국 선수가 되었다.2001년 4월 17세의 나이로 케이티 스완이 2016년 영국 페드컵에 출전할 때까지 최연소 선수가 되었고, 그녀는 39세의 나이로 영국 페드컵 최다 타이 기록인 버지니아 웨이드에 이어 2위(엘레나 발타차)이다.

거타봉은 2013년 7월 24일 은퇴를 선언했다.[3]그 후, 그녀는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그리고 동료 영국인 출신 샘 스미스와 함께 BT 스포츠의 테니스 커버리지 팀의 일원이 되었다.2017년 거타봉은 영국 페드컵 주장으로 나서 유럽·아프리카지역 1그룹에서 치른 4개 동점 모두 우승을 이끌었다.2018년2019년 페드컵의 주장으로 계속 활동하며 2019년 4월 26년 만에 월드 2그룹으로 승격하는 쾌거를 이뤘다.[4]

사생활

앤 키오타봉은 1970년대 라오스의 사마귀 고향에서 탈출한 부모에게서 런던의 해크니에서 태어났다.[5][6]그녀의 아버지인 솜삭은 그녀가 어릴 때부터 쇼트 테니스를 치도록 격려했다.[7]그녀의 어머니의 이름은 바타나이고 그녀는 테니스 심판인 제임스와 [8]마크라는 두 명의 남동생이 있다.그녀에게는 레나라는 여동생도 있다.케오타봉은 2015년 2월 28일 앤드루 브레터튼과 결혼했다.[9][10]

케오타봉은 해크니에 있는 킹스랜드 중등학교를 다녔다.[11]7살 때, 그녀는 해크니 다운스하이베리 필드에서 테니스를 시작했다.[12][13]그녀가 선호하는 표면은 하드코트였다.

경력

주니어(1996~2001)

케오타봉은 1996년 2월 12세의 나이로 ITF 주니어 서킷에서 첫 경기를 치렀고, 2001년 8월에는 마지막 경기를 치렀다.단식에서는 LTA 주니어 국제 토너먼트-비삼 사원에서 한 개의 우승을 차지했고, 결승전에서 동료 엘레나 발타차를 물리쳤다.그녀는 또한 총 3개의 준결승에 올랐다. (그 중 하나는 2001년 윔블던 대회에서 그녀는 디나라 사피나에게 패했고,[14] 안느를 좋아하는 미래 세계 랭킹 1위는 후배들보다 선배들이 더 높은 랭킹에 올랐다.) 그리고 10개의 8강 진출이었다.

주니어 복식에서는 한 대회인 13회 살릭 오픈에서 우승했고, LTA 국제 주니어 토너먼트-비삼 애비, 제11회 말레이시아 국제 주니어 선수권 대회 등 두 대회 결승에서 패했다.이 세 가지 모두 1999년이었고 세 가지 모두 엘레나 발타차(Elena Baltacha)와 파트너 관계를 맺고 있었다.

1998–2001

케오타봉은 1998년 4월 버밍엄에서 열린 1만 달러 토너먼트 예선 1차전에서 탈락한 14세의 나이로 ITF 여자 서킷에서 첫 프로 경기를 치렀다.그해 그녀는 (해트필드, 허트포드셔, 펠릭스스토우 등지에서 1만 달러 규모의 예선전에서) 두 경기만 더 뛰었고 두 경기 모두 졌다.그녀는 세계 랭킹 없이 한 해를 마쳤다.[15]

1999년 5월 동안, Keothavong은 총 5개의 ITF 토너먼트에 출전했는데, 그녀는 선덜랜드에서 열린 1만 달러 경기에서 3승을 거두며 예선전에 진출했다.나머지 4개 종목에서는 1차전에서 패하거나 예선전에서 패했다.그녀의 올해의 최종 순위는 세계 702위였다.[15]

2000년 거타봉은 10개의 ITF 종목을 치르며 예선 무대에서 1회, 3회 1라운드, 2라운드 4회(행운의 패배자 1회), 카디프에서 열린 5만 달러 토너먼트 8강전에서 패했다.그녀가 출전한 다른 대회는 와일드카드로 출전한 윔블던 예선전이었다.그녀는 예선전 1라운드에서 에바 마르틴코바를 꺾고 요시다 유카에게 패했다.그녀는 세계 랭킹 377위로 순위가 향상되었다.[15]

2001년은 Keothavong에게 좋은 출발을 했다; 그녀는 8강에서 동료인 Emily Webley-Smith와 결승전에서 Elodie Le Besond를 제치고 우승을 차지했다.그 후 그녀는 다음 대회인 팁튼에서 열린 1만 달러의 8강에 올랐다.2월에는 런던 서튼에서 준결승에 진출했다.4월 Fed컵에 처음 출전해 싱글 러버 3개를 모두 스트레이트로 졌다.6월에 그녀는 DFS 클래식(1차 예선전에서 패배한 곳)과 브리타닉 자산 관리 국제 선수권(2차 예선까지 도달한 곳)의 예선 무승부와 윔블던의 메인 무승부에 와일드카드를 받았다.그녀는 1라운드에서 자넷 리와 맞붙어 패했다.9월과 10월에 그녀는 3번의 ITF 8강전(5만 달러, 2만 5천 달러, 1만 달러)과 1번의 준결승전에 진출했다.2001년 말 세계 랭킹은 268위였다.[15]

2002

그녀는 새로운 시즌에 천천히 출발했다; 그녀는 13개의 ITF 토너먼트에서 뛰었고, 어떤 경기에서도 2라운드를 통과하지 못했다.6월, 그녀는 DFS 클래식 예선 조 추첨에 와일드카드를 받았고, 그녀는 1라운드에서 졌다.브리타닉 자산운용 국제선수권대회 출전권도 시도했다가 1라운드에서 또 한 번 패했다.그녀는 다음으로 윔블던의 주 무승부에 출전했는데, 그녀는 1라운드에서 버진리 라자노에게 패했다.[16]윔블던이 끝난 직후 그녀는 펠릭스스토웨로 가서 2만5천 달러짜리 토너먼트에 참가하여 8강에 올랐다.8월과 9월에는 ITF 결승 4연패를 달성하며 3승을 거뒀다.그녀는 배스에서 한나 콜린을 누르고 결승전에서 1등을 했다.그녀는 런던에서 이본 도일을 물리쳤을 때 승리했지만 글래스고우에서 열린 세 번째 결승전에서 셀리마 스파르에게 졌다.8월과 9월 4회 연속 결승전인 선덜랜드에서 그녀는 다시 한나 콜린을 꺾고 우승했다.그녀는 그해 2만 5천 달러짜리 3개 대회에 더 출전했고 그 중 2개 대회에서 4강에 올랐다.그녀의 2002년 최종 순위는 세계 233위였다.[15]

2003

2003년 첫 대회는 호바트 인터내셔널 예선전이었는데 1라운드에서 티파니 다벡에게 패했다.그리고 나서 Keothavong은 예선 통과를 시도하기 위해 호주 오픈으로 향했고 그녀는 1라운드에서 산드라 클뢰젤에게 다시 졌다.그 후 그녀는 ITF 서킷으로 향했고 결승전에서 나탈리 비에린을 물리침으로써 벨포트에서 열린 2만 5천 달러의 대회에서 우승했다.2주 후 그녀는 런던 레드브리지에서 열린 2만5천 달러의 8강전에 올랐고 그 다음 주 오스트라바에서 열린 또 다른 2만5천 달러의 결승전에서 패했다.3월에 그녀는 캘리포니아 레딩의 8강에 올랐고 4월에 그녀는 Fed컵에서 영국을 대표하기 위해 포르투갈로 향했다.그녀는 싱글 고무 4개 중 2개를 땄다.메이 총리는 거타봉이 프랑스 오픈 예선 2차전에 진출하는 것을 보았다.다음 대회(2만5천 달러)에서는 준결승에 올랐지만 경기 전에 철수해야 했다.케오타봉은 일본 베테랑 스기야마 아이에게 패한 헤이스팅스 다이렉트 인터내셔널의 주전 무승부로 와일드카드를 받은 6월 중순이 되어서야 다시 출전했다.2연속 와일드카드는 카타리나 스레보트니크와의 1라운드 경기에서 2-6, 0-4로 퇴장해야 하는 윔블던 본선 무승부에 진출했다.윔블던 이후 그녀는 US 오픈 예선 최종 라운드에 진출하여 모린 드레이크에게 패했지만 그 해에는 이렇다 할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그녀는 세계 177위의 싱글 랭킹으로 한 해를 마쳤다.[15]

2004

케오타봉은 도중에 카이아 카네피를 제치고 Tier-V Hobart International에 진출하면서 시즌이 시작되었다.1라운드에서 그녀는 세계랭킹 69위 리타 그란데와 맞붙었으나 패했다.이에 이어 시즌 첫 그랜드슬램인 호주오픈에 출전 자격을 얻으려는 시도가 이어졌다.그녀는 예선 1차전에서 스테파니 게를린에게 패했다.2월에는 선덜랜드(25k)와 세인트폴(50k)에서 열린 ITF 8강전에서 리사 스탠시우트와 질 크레바스에게 각각 패했다.다음 달 레딩에서 열린 2만 5천 달러 규모의 대회 결승전에서 마쇼나 워싱턴을 꺾고 통산 6번째 ITF 우승을 차지했다.4월 말과 5월 초, 그녀는 페드컵에서 영국을 대표하여 단식 고무를 3전 전승시켰지만, 파트너인 엘레나 발타차와의 1회 겸 유일한 복식 경기에서 패한 뒤, 프랑스 오픈 예선 1차전에서 Kvtata Peschke에게 패했다.윔블던에 앞서, 키오타봉은 세계 랭킹 60위 마르타 마레로와 1라운드에서 3세트 만에 간신히 이긴 DFS 클래식의 주 무승부로 와일드카드를 받았다.케오타봉은 2라운드에서 세계 56위 마리아 산체스 로렌초(16번 시드)와 맞붙어 3세트 만에 패했다.그녀는 휘슬에 이어 티어-II 이벤트인 헤이스팅스 인터내셔널 다이렉트의 메인 무승부로 향했고 8번 시드인 막달레나 말레바와 맞붙어 3세트 만에 또 한 번 패배를 당했다.와일드카드는 1세트에서 3-1로 뒤진 상황에서 빗줄기의 도움으로 세계 41위 니콜 프랫을 꺾고 4년 연속 윔블던 본선 무승부에 성공했다.[17]최종 우승자인 마리아 샤라포바는 2라운드에서 그녀를 이겼다.[18]케오타봉은 윔블던 이후 켄터키주 렉싱턴에서 열린 2차 대회에서 5만 달러(약 5억 원)에[19] 2차례나 출전해 1라운드, 2차 8강까지 올랐다.그녀는 그 해에 다시 뛰지 않았고 세계 랭킹 175위로 마쳤다.[15]

2005

케오타봉은 지난 3월 선덜랜드에서 열린 1만 달러 대회에서 베르디아나 베라르디에게 3세트 1차 패배를 당하며 부상에서 회복한 뒤 예정보다 일찍 복귀했다.그 후 그녀는 즉시 3회 연속 1만 달러 결승에 올랐다. 첫 번째 결승은 볼튼에서, 두 번째 결승전은 배스에서였다.그녀는 베로니카 초이코바와 클레어 피터잔을 각각 꺾고 첫 두 개를 따냈고, 세 번째를 동료인 멜라니 남부에 졌다.바스에서의 두 대회 중 첫 번째 대회는 또한 키오타봉이 언니 레나와 ITF 서킷에서 복식 경기를 한 유일한 시간이었다.그들은 함께 8강에 올랐다.케오타봉은 지난 4월 말 Fed컵에 출전해 캐롤라인 워즈니아키를 꺾고 영국이 덴마크를 꺾는 데 힘을 보탰다.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슬로베니아와 비기는 졌지만 1년 더 강등 플레이오프에서 자리를 피했다는 의미다.[20]5월에 그녀는 안젤리크 케르버에게 패했던 몬손에서 열린 2만 5천 달러 규모의 대회 준결승에 올랐다.그 후 그녀는 1라운드에서 로라 그랜빌에게 패한 DFS 클래식의 주 무승부로 와일드카드를 받았다.이어 헤이스팅스 다이렉트 인터내셔널 예선전에 와일드카드로 출전해 아란텍사 파라 산톤자가 1차전에서 그녀를 꺾었다.이후 또 다른 와일드카드는 키오타봉이 윔블던 챔피언십 본선에 진출할 수 있게 해 1라운드 마리아나 디아스 올리바와 맞대결을 벌였고 세트에서 연속으로 패했다.

윔블던이 끝난 후, 케이오타봉은 남은 기간 동안 ITF 서킷에 출전하여 (2차 티어-III 이벤트, 소피아 아르비드손에게 패한 벨 챌린지에 도달한 경우는 제외) 2번의 우승을 더 했다.첫 번째는 1만 달러 규모의 노팅엄에서 열렸는데, 그녀는 3세트 결승에서 카렌 패터슨을 이겼고, 두 번째는 라고스에서 열린 2만 5천 달러 토너먼트로 마샤 페스키르치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그녀는 또한 올해 라고스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2만 5천 달러를 더 벌었는데, 그녀는 3세트 만에 페트라 세트코프스카에게 패했다.그녀의 2005년 연말 순위는 세계 239위였다.[15]

2006

케오타봉은 2006년 브리즈번 인터내셔널(Tier III) 예선 1차전, 호바트 인터내셔널(Hobart International) 예선 최종전, 호주 오픈 2차 예선전에서 패하며 시즌을 시작했다.2월, 케오타봉은 영국으로 돌아와 저지에서 열린 ITF 토너먼트 결승전에 진출하여 아나 브를지치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그 후, 그녀는 선덜랜드에서 열린 2만 5천 달러 토너먼트에 참가하여 멜라니 사우스, 레베카 릴린, 사라 콜스, 케이티 오브라이언 등 네 명의 동포를 연속으로 세트로 이기고 엘리스 타마엘라에게 패한 결승전에 진출했다.이후 2월 캘리포니아 주 오렌지에서 열린 ITF 토너먼트 8강(2만5천 달러)에 올랐으며 한 달 뒤인 3월에는 다시 2만5천 달러라는 또 다른 ITF 결승에 진출했다.4월에는 파트라스에서 열린 2만5천 달러(약 2억5천 원) 대회 준결승에 올랐고, 페드컵에서 영국을 위해 출전해 단식 3개 대회 중 1개 대회에서 우승했다.그녀는 1라운드에서 안나 스마스노바에게 패한 티어-III 토너먼트인 인터네이션아 드 스트라스부르에 출전 자격을 얻었다.

케오타봉은 지난 6월 서비턴, DFS클래식, 헤이스팅스 다이렉트 챔피언십, 윔블던 등 4개 대회에 출전했다.준결승에서 로라 그랜빌, 1라운드에서 엘레니 다니엘리두, 1라운드에서 베라 뒤셰비나, 1라운드에서 카롤리나 슈프리미에게 각각 패했다.미국 하드코트 시즌 동안, 그녀는 렉싱턴에서 열린 5만 달러 토너먼트 8강전에서 프랑스의 카밀 핀에게 떨어졌다.지난 8월 키오타봉은 US오픈 1차 예선에서 패한 데 이어 WTA 대회에서도 3연패에 그쳤다.그 후 그녀는 ITF 서킷에서 2만 5천 달러의 토너먼트를 치면서 복귀했고, 페이로프에서 한 개의 타이틀을 더 획득했다.그녀는 또한 2개의 준결승(글래스고와 오폴레)과 8강 진출도 저지에서 했다.그녀는 세계 랭킹 168위로 시즌을 마감했다.[15]

2007

새로운 시즌은 2006년 Keothavong과 같은 방식으로 시작되었다; 그녀는 무을라 호바트 인터내셔널과 호주 오픈에서 WTA 종목에 예선 탈락하면서 다시 한 해를 시작했다.그녀는 2월에 팁튼과 세인트 폴에서 2년 연속 ITF 준결승에 올랐다가 3월에 열리는 셀룰러 사우스 컵 예선전과 인디안 웰스 예선전에서 패했다.케오타봉은 4월 Fed컵에서 다시 조국을 대표해 단식 3경기 중 한 경기를 이겼다.5월에는 안탈리아에서 2만5천 달러의 준결승에 올랐으며 프랑스 오픈 예선 2차전에서 마리아 에밀리아 살레르니에게 패했다.2006년처럼 6월 Keothavong은 DFS Classic, 헤이스팅스 다이렉트 인터내셔널, 윔블던의 1라운드에서 각각 와일드카드를 받은 후 패했다.엘레나 발타차는 헤이스팅스 다이렉트에서의 정복자였고 젤리나 얀코비치는 윔블던에서 케오타봉을 상대로 승리했다.

윔블던 이후 렉싱턴과 밴쿠버에서 열린 5만 달러 규모의 2회 연속 결승에 오른 케오타봉은 스테파니 두부아와의 결승전에서 모두 한 차례 우승했다.이후 로저스컵, US오픈, 발리 에서 패한 뒤 콜카타에서 열린 Tier-III 대회인 Sunfeast Open에서 생애 첫 WTA 투어 준결승에 진출했다.1라운드에서 사라 에라니[21], 2라운드에서[22] 수니타 라오, 8강에서 치피 오빌러를 꺾으며 이변을 연출했다.[23]그녀는 준결승전에서 마리야 코리체바에게 졌다.10월 퀸즐랜드주 록햄프턴에서 열린 2만5,000달러 토너먼트 8강전에 올랐으며, 그녀의 1년 끝내기 싱글 랭킹은 세계 122위였다.[15]

2008

케이오타봉의 2008년 캠페인은 케이오타봉이 티어-Ⅱ 토너먼트인 메디뱅크 인터내셔널에 출전 자격을 얻지 못하면서 시작됐다.이어 호주오픈 출전을 시도하며 호르겔리나 크레이베로와의[24] 첫 경기에서 승리를 거둔 뒤 모니카 니쿨레스쿠에게 두 번째 패배를 안겼다.[25]2월은 그녀의 동포인 멜라니 사우스, 케이티 오브라이언, 엘레나 발타차 등이 Fed컵에서 영국 대표로 합류하는 것을 보았다.케오타봉이 라운드 로빈 스테이지에서 단식 3경기에서 각각 승리했음에도 불구하고 영국은 포르투갈전을 치르면서 유럽/아프리카 그룹 1의 강등과 싸울 수밖에 없었다.그들은 케오타봉의 단식에서의 또 다른 승리와 오브라이언의 단식 승리에 힘입어 2-0으로 이겼다.[26]케오타봉은 2월 남은 기간 동안 ITF 서킷에 출전해 스톡홀름에서 열린 2만5,000달러 종목 8강에 올랐고 카프리올로에서 2만5,000달러의 우승을 차지했다.4월 초, 그녀는 5만 달러의 토너먼트 결승전에서 패했다; 이것은 파트라스에서 막달레나 리바리코바가 연속 세트에서 그녀를 이겼다.ITF 서킷에서 계속 경쟁을 벌이던 그녀는 레바논 주니에에서 열린 5만 달러 토너먼트에서 우승했다.이번 대회 우승으로 케오타봉은 생애 처음으로 100위 안에 진입했고, 영국 여성이 윔블던에 유공자로 진출한 것은 1999년 이후 처음이다.[27]그 후 그녀는 프랑스 오픈 예선 1차전에서 패한 뒤 다시 5만 달러의 결승전에 진출했다.

윔블던에 앞서 케오타봉은 DFS클래식 1라운드에서 카테리나 본다렌코에게, 오르디나 오픈 1라운드에서 사라 에라니에게 패했다.윔블던에서 열린 1라운드 경기에서 그녀는 미국인 바니아 킹과 맞붙어 1세트를 졌다.그녀는 1세트가 끝날 무렵 화장실 휴식 시간에 다시 뭉쳐 결정 세트에서 2-0으로 뒤졌지만 3세트 만에 경기를 이기기 위해 돌아왔다.[28]그 후 그녀는 2라운드에서 최종 우승자인 비너스 윌리엄스에게 졌다.[29]윔블던 이후, 케오타봉은 스탠포드에서의 Tier II 이벤트 참가 자격을 얻기 위해 3승을 거두면서 미국 하드 코트 시즌의 성공적인 출발을 했다.이어 1라운드에서 사니아 미르자를 꺾은 뒤 2라운드에서 마리온 바르톨리에게 3세트 접전 끝에 패배를 안겼다.8월에 그녀는 생애 처음으로 US 오픈에 출전하여 알렉사 글래치와 1라운드에서 맞붙었다.그녀는 경기에서[30] 이기고 나서 2라운드에서 프란체스카 시아보네를 3세트 만에 물리쳤다.[31]그러나 5번 시드인 엘레나 데멘티에바는 3라운드에서 케오타봉에게 너무 많은 것을 증명했고, 케오타봉은 졌다.[32]키오타봉은 US오픈 이후 반스타플(5만 달러)과 크라쿠프(10만 달러) 등 두 차례 ITF에서 더 우승하며 연말 랭킹이 세계 61위였다.[15]

2009

케오타봉은 2009시즌을 공식 홈페이지를 개설한 뒤 4강에 오른 ASB클래식으로 향했다.도중에 그녀는 미르자나 루치치치, 8번 시드 카를라 수아레스 나바로, 모리타 아유미를 격파한 뒤 엘레나 베스니나와 3시간 3세트 접전 끝에 쓰러졌다.[33]그녀가 WTA 투어 대회 준결승에 오른 것은 통산 두 번째였다.이어 케오타봉은 호바트 인터내셔널에 출전해 세계 랭킹 25위 아그네스 사베이와 1라운드에서 무승부를 기록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케오타봉은 2세트 만에 스자베이를 제치고 큰 어려움 없이 해냈다.[34]그녀는 2라운드에서 버진리 라자노에게 졌다.이어 키오타봉은 생애 처음으로 호주오픈 본선 무승부로 향하며 17번 시드의 안나 차크베타제와 맞대결을 펼쳤다.그녀는 논란의 여지가 있는 경기에서 패했는데, 심판의 실수로 인해 차크베타제가 최종 세트에서 1위를 차지하게 되었고, 이는 케오타봉에게 유리했다.[35]케오타봉은 다음 대회인 셀룰러 사우스컵에서 4번 시드로 출전해 2009년 두 번째로 WTA 대회 준결승에 오르는 등 시드를 이어갔다.준결승에서 톱시드 캐롤라인 워즈니아키에게 무너지는 과정에서 마리아 엘레나 카메린, 미셸 라처브리토, 5번 시드 마리나 에라코비치를 꺾었다.[36]이러한 참패에도 불구하고, 준결승전은 거타봉이 세계 52위부터 세계 48위까지 세계 50위 안에 데뷔하는 데 도움을 주기에 충분했다.[37]이어 키오타봉은 BNP파리바오픈,[38] 소니 에릭슨오픈[39](두 대회 모두 프리미어 필수로 출전)과 바이러스성 질환으로 은퇴를 강요받은 벨기에 투르후트에서 열린 10만 달러 ITF 대회에서 3연패의 1라운드 패배를 감내했다.[40]

이에 이어 케오타봉은 모로코[41] 페스에서 열린 그랑프리 2라운드에서 마렛 아니를 꺾고 2라운드에 진출하는 등 클레이코트 시즌을 시작했다.이것은 이탈리아 오픈에서 열린 프리미어 경기에서 카를라 수아레스 나바로의 손에 의해 1차 패배를 당했다.마드리드 오픈에서는 마리아나 두케 마리노를 1라운드에서[42] 꺾은 뒤 2라운드에서 루시 샤파쇼바에게 패했다.바로 다음 대회에서, 그녀는 그녀의 생애에서 네 번째 WTA 투어 준결승에 올랐고 2009년 바르샤바 오픈에서 세 번째에 도달했다.7번 시드인 베사니 마테크-샌즈, 2라운드에서 미국의 베테랑 질 크레파스, 8강전에서 이오아나 랄루카 올라루와 맞붙어 8번 시드 알로나 본다렌코에게 패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준결승에 오르는 데 있어서 그녀는 조 듀리1983년 프랑스 오픈에서 준결승에 오른 이후 26년 전에 WTA 클레이코트 경기에서 준결승에 오른 최초의 영국 여성이 되었다.[2]이어 프랑스오픈 1라운드에서 세계랭킹 1위 디나라 사피나와 맞붙어 0–6, 0–6으로 패했을 때 무서운 더블 베이글을 견뎌냈다.[43]케오타봉은 아에곤 클래식 1라운드에서 소피아 아르비드손에게 승리를 안겨주면서 안방에서 잔디 코트 시즌을 시작했다가 결국 준결승전 진출자인 사니아 미르자에 2라운드에서 패했다.[44]이어 세계랭킹 28위 시빌 밤머에게 애곤 인터내셔널 1라운드에서 패했지만 윔블던으로 향하기 전 핸드백을[45] 낚아채려다 세계랭킹 80위 패트리샤 메어에게 1라운드 패배를 당한 런던 중심부의 한 강자를 따돌렸다.[46]

이후 키오타봉은 미국 캘리포니아 주 스탠퍼드대에서 뱅크 오브클래식(Bank of the West Classic)에 출전해 엘레나 데멘티에바에게 단식 첫 라운드에서 패했다.케오타봉은 모리타 아유미와 함께 줄리 코인, 마리 에베 펠레티에와 함께 2회전에 출전했는데, 그녀가 드롭샷을 내리려다 4-6, 5-3으로 뒤지고, 네트 포스트와의 충돌을 피하려다 무릎에 심각한 부상을 입어 왼쪽 전방 십자인대가 파열되고, 왼쪽 전방 십자인대가 부러지는 등 부상과 비슷한 부상을 입었다.2004년에 오른쪽 무릎을 꿇고이 부상으로 인해 케오타봉의 해는 끝났고, 그 결과 그녀의 연말 순위는 세계 84위로 떨어졌다.[15]

2010

거타봉은 무릎 부상으로 6개월 동안 활동을 중단한 뒤 2010년 2월 Fed컵에서 다시 경쟁행보에 복귀했다.그녀는 오스트리아의 패트리샤 메이르와 첫 경기에서 맞섰고, 스트레이트 세트로 얻어맞았다.그녀는 사라 보웰과 짝을 지어 메이어와 이본 메우스버거를 복식에서 상대했고, 다시 스트레이트로 졌다.그러나 케오타봉은 벨로루시네덜란드의 선수들과 가진 다른 두 번의 단식 경기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이어 키오타봉은 미시간 주 다우코닝 테니스 클래식에서 100k 종목으로 투어에 복귀했다.그녀는 이바나 리스트작에게 3세트를 내준 뒤 다니엘리두에게 2경기만 내주고 말았다.이후 마르타 도마초스카와 맞붙어 1세트를 따낸 뒤 3세트 만에 다운됐다.

멤피스에서 열린 셀룰러 사우스컵에서, 케오타봉은 본 투어에 복귀하면서 준결승에 올랐다.크리스티나 바루이스, 미셸 라처브리토, 카롤리나 슈프레미트를 3연승으로 완파하며 모두 스트레이트로 승리했다.그 후, 그녀는 세트 다운 패스에서 소피아 아르비드손에게 3세트로 뒤진 4강전에서 패했다.

이어 케오타봉은 인디안웰스에서 열린 BNP파리바오픈과 마이애미에서 열린 소니 에릭슨오픈 등 2개 프리미어 대회에 출전했다.케오타봉은 두 대회 모두 1라운드에서 탈락했다.3세트 만에 러시아의 안나 차크베타제에게, 인디안 웰스에서의 패배 기록을 이어간 첫 번째 경기에서 승리했다.그리고 마이애미에서의 슬픈 상황 속에서, 그녀는 타미라 파섹에게 연속 세트에서 패했고, 경기 전 그녀의 할머니가 죽었다는 소식을 들은 후, "솔직히 테니스는 오늘 그렇게 중요해 보이지 않았다"[47]고 말했다.

케이오타봉은 마이애미에서 패한 지 일주일도 안 돼 스페인 몬손에서 열린 75k 경기에서 다시 튕겨 나왔다.세마 유리카다마린 다나수간 등 아시아 선수 2명을 세트 연속 무실점으로 꺾고 8강에 올랐다.그녀는 마리아 엘레나 카메린에게 곧장 고개를 숙여 인사했다.

그 후 케오타봉은 5만 달러의 행사를 위해 벨기에의 토르후트로 이동했다.그루지야의 샤파타바와 우크라이나의 크리스티나 안토니추크, 캐나다의 발레리 테트레오트를 연속 세트 스코어로 따돌리고 4강에 올랐다.준결승에서 그녀는 또 다른 캐나다인 레베카 마리노, 케오타봉과 맞붙었다.

윔블던에서 그녀는 아나스타샤 로디오노바에게 1라운드에서 패했다.

케오타봉은 보호된 순위를 이용해 룩셈부르크 오픈에 출전해 버진리 라자노, 패티 슈나이더, 이베타 베네쇼바를 꺾고 4강에 올랐으나 로베르타 빈치에게 패해 케오타봉이 첫 WTA 투어 결승에 오르는 것을 막았다.

올해, 케오타봉과 로라 롭슨은 팀 에이곤의 멤버로서 48,000파운드에 해당하는 금액을 받아 개인 코치들에게 12,000파운드의 여행 예산을 제공했다.[48]

2011

2011년 GDF 수에즈카그네스 수르메르 오픈에서 앤 키오타봉 선수단

케오타봉은 연초 호주에서 열린 오클랜드오픈 2라운드에서 카테리나 본다렌코에게 패했고, 예선 2라운드 호주오픈에서는 3세트 만에 30번 시드의 안드레아 페트코비치에게 패했다.

이어 케이오타봉은 제한된 성공으로 여러 ITF 서킷 이벤트를 펼쳤다.그 후 그녀는 프랑스 오픈에 참가했고, 1라운드에서 베스나 돌롱크에게 접전 끝에 패했다.

그 후 그녀는 고국의 잔디밭으로 옮겨갔고 노팅엄에서 열린 10만 달러 대회에서 우승한 뒤 스테파니 두부아에게 패했다.이스트본에서 케오타봉은 8번 시드의 알리제 코넷소라나 쿠르스테아를 꺾고 예선에 진출했다가 최종 라운드에서 미르자나 루치치치에게 패했다.윔블던에서 케오타봉은 1라운드에서 동료 브리튼 나오미 브로드디를 꺾은 뒤 2라운드에서 8번 시드이자 최종 우승자인 페트라 크비토바에게 패했다.

케오타봉은 미국 하드코트 시리즈 동안 거의 성공을 거두지 못했지만, 2011년 그녀의 대부분의 성공은 연말에 있을 유럽 하드 코트 시리즈에서 이루어졌다.케오타봉이 출전 자격을 얻어 제너럴리디 레이디스 린츠 2라운드에 진출해 3번 시드의 젤리나 얀코비치에게 접전 끝에 패했다.이어 케오타봉이 다시 예선전을 치렀고 이번에는 도중에 아나 이바노비치를 연속으로 꺾고 룩셈부르크 오픈 4강에 올랐다가 모니카 니쿨레스쿠와 접전 끝에 패했다.

이어 케이오타봉이 연속 ITF 대회에서 우승했다.그녀는 반스타플레에서 열린 7만 5천 달러 대회에서 결승전에서 마르타 도마초스카를 물리치고 우승했으며, 에바 비르네로바와 함께 복식에서도 우승했다.이어 이스마닝에서 열린 5만 달러짜리 대회에서 단식 우승을 차지해 결승에서 이본 메우스버거를 꺾고 다시 복식 우승을 차지했는데 이번에는 키키 베르텐스와 함께 복식 우승을 차지했다.

2012

안네 케오타봉은 페드컵 4일차 오스트리아의 패트리샤 메이어-아클리트너와의 경기 중 - 에일라트에서 열린 2012년 유럽/아프리카 1조

케오타봉은 예선전에서 톱시드로 뽑힌 ASB클래식에서 2012년 시즌 첫 경기에 출전했다.1라운드에서 호주 와일드카드 에밀리 패닝을 꺾은 데 이어 바르바라 렙첸코를 꺾고 우승했다.3라운드에서 케오타봉은 제이미 햄튼에게 졌다.

케오타봉은 호주오픈에서 곧바로 본선에 진출했지만 1세트를 모나 바텔에게 내준 뒤 1라운드 경기에서 병으로 은퇴해야 했다.

케오타봉은 2012년 2월 4일 이스라엘 에일라트에서 열리는 유럽/아프리카 그룹 1차전에 출전할 영국 페드컵 팀에 선발됐다.조별리그에서 그녀는 단식 경기를 펼치며 조별리그에서 포르투갈과 [49]이스라엘을 꺾었지만 네덜란드에 졌다.[50]이 팀은 케오타봉이 패트리샤 메이르-아클리트너를 2-0으로 꺾고 영국이 2012년 4월 열리는 제2차 세계조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는 오스트리아와의 플레이오프 자격을 얻었다.[51]

케오타봉은 프랑스 오픈 1회전에서 멜린다 크징크에게 연속 세트에서 졌다.[52]

윔블던에서 케오타봉은 사라 에라니와의 2라운드 경기에서 1-6, 1-6으로 패했다.[53]

2012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캐롤라인 워즈니아키에 의해 1라운드에서 탈락했고, 여자 복식 1라운드에서도 팀 동료 엘레나 발타차와 함께 탈락했다.[54]

2013

거타봉은 2013년 호주오픈 1라운드 예선 1차전에서 그레이스민에게 패하며 아쉬운 출발을 보였다.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여전히 로라 롭슨, 헤더 왓슨, 요한나 콘타와 함께, 포르투갈, 헝가리, 보스니아와 대결하기 위해 Fed Cup 팀에 이름을 올렸다.[55]케오타봉은 복식 파트너 발레리아 사비니와 함께 첫 WTA 결승에 진출해 놀랍게도 브라질 테니스컵 복식 결승에 진출했다.그러나 그들은 톱씨앗 아나벨 메디나 가르그즈와 야로슬라바 슈베도바에게 얻어맞았다.그녀는 윔블던 대회에서 생애 마지막 경기를 치렀고, 1라운드에서 10대 소녀 가르비녜 무구루자에게 연속으로 졌다.

은퇴

2013년 7월 24일, 그녀는 프로 테니스에서 은퇴를 선언했다.

2016년 12월 주디 머레이를 대신해 영국연준컵팀의 새 주장으로 키오타봉이 발탁됐다.그는 2017년 루마니아 페드컵 대표팀 주장 일리 네스타세가 경기 도중 자신과 영국 팀을 향해 음란한 말을 해 논란에 휩싸였다.[56]전날 경기 전 만찬에서 나스타세는 케오타봉의 방 번호를 물었다.[57]

케오타봉은 2021년 새해 테니스 서비스 부문 영예의 대영제국 훈장(MBE)에 임명되었다.[58]

플레이 스타일

케이오타봉의 가장 큰 강점은 베이스라인에서 플레이를 지배하기 위해 사용하는 강력한 포핸드인데, 그녀는 코트에서의 볼 착지 확률을 높이기 위해 가능한 한 많은 톱스핀을 첨가한다.[59]포핸드뿐 아니라 퍼스트 서브에서 승점 다수를 차지하는 경우가 많아 퍼스트 서브에 의존해 쉬운 점수를 얻을 수 있다.그녀는 에이스를 전혀 서브하지 않는 경기는 거의 없으며, 2008 US 오픈에서 열린 2라운드 경기에서 총 7개의 에이스를 서브했다.[60][61][62][63][64][65]

WTA 커리어 파이널

복식: 1(러너업)

레전설
그랜드 슬램 대회(0-0)
Premier 필수 & Premier 5(0–0)
프리미어(0-0)
국제(0–1)
표면별 결승전
하드(0–1)
클레이(0–0)
잔디(0–0)
카펫(0-0)
결과 날짜 토너먼트 계층 표면 파트너링 반대자 점수
손실 2013년 3월 브라질 플로리아노폴리스 국제 딱딱한 Russia 발레리아 사비니크 Spain 아나벨 메디나 가리지스
Kazakhstan 야로슬라바 슈베도바
0–6, 4–6

ITF 회로 결승전

싱글: 30(20-10)

레전설
$100,000 토너먼트(1–0)
$75,000 토너먼트(1–0)
$50,000 토너먼트(5–3)
$25,000 토너먼트(6–6)
$10,000 토너먼트(7–1)
표면별 결승전
하드(16-9)
클레이(1-0)
잔디(0–1)
카펫(3-0)
결과 아니요. 날짜 토너먼트 표면 상대 점수
위너 1. 2001년 1월 22일 ITF 저지, 영국 하드(i) France 엘로디 르 베스콘드 6–3, 6–2
위너 2. 2002년 8월 5일 ITF 배스, 영국 딱딱한 United Kingdom 한나 콜린 6–0, 7–6(7–5)
위너 3. 2002년 8월 12일 영국 ITF 런던 딱딱한 Republic of Ireland 이본 도일 6–4, 7–6(7–1)
준우승 1. 2002년 9월 16일 ITF 글래스고, 영국 하드(i) Tunisia 셀리마 스파르 6–7(5–7), 6–2, 6–7(8–10)
위너 4. 2002년 9월 23일 ITF 선덜랜드, 영국 하드(i) United Kingdom 한나 콜린 6–0, 6–1
위너 5. 2003년 2월 2일 ITF 벨포트, 프랑스 하드(i) Italy 나탈리 비에린 5–7, 7–6(3), 6–4
준우승 2. 2003년 3월 2일 ITF 오스트라바, 체코 하드(i) Czech Republic 즈자나 온드라슈코바 4–6, 6–7(1)
위너 6. 2004년 3월 28일 ITF 레딩, 미국 딱딱한 United States 마쇼나 워싱턴 6–3, 2–6, 7–6(3)
위너 7. 2005년 3월 20일 ITF 볼턴, 영국 하드(i) Czech Republic 베로니카쵸비코바 3–6, 6–1, 6–1
위너 8. 2005년 4월 3일 ITF 배스, 영국 딱딱한 United Kingdom 클레어 피터잔 6–1, 6–1
준우승 3. 2005년 4월 10일 ITF 배스, 영국 딱딱한 United Kingdom 멜라니 남방 4–6, 6–4, 4–6
위너 9. 2005년 9월 4일 ITF 노팅엄, 영국 딱딱한 United Kingdom 캐런 패터슨 1–6, 7–6(7–4), 6–4
준우승 4. 2005년 10월 15일 ITF 라고스, 나이지리아 딱딱한 Czech Republic 페트라 케코프스카 6–3, 3–6, 2–6
위너 10. 2005년 10월 22일 ITF 라고스, 나이지리아 딱딱한 Slovenia 마샤 젝 페스키리치 6–3, 7–6(7)
위너 11. 2006년 2월 5일 ITF 저지, 영국 하드(i) Croatia 아나 브를지치 6–2, 6–1
준우승 5. 2006년 2월 12일 ITF 선덜랜드, 영국 하드(i) Netherlands 엘리스 타마엘라 6–7(6–8), 3–6
준우승 6. 2006년 3월 26일 ITF 레딩, 미국 딱딱한 United States 다이애나 오스피나 3–6, 6–3, 1–6
위너 12. 2006년 11월 19일 ITF 페예로프, 체코 카펫 (i) Germany 안젤리크 케르버 6–4, 7–5
준우승 7. 2007년 7월 29일 미국 ITF 렉싱턴 딱딱한 Canada 스테파니 두부아 6–4, 3–6, 3–6
위너 13. 2007년 8월 5일 캐나다 ITF 밴쿠버 딱딱한 Canada 스테파니 두부아 7–5, 6–1
위너 14. 2008년 2월 24일 ITF 카프리올로, 이탈리아 카펫 (i) Russia 베스나 마나시에바 6–1, 2–6, 6–3
준우승 8. 2008년 4월 5일 ITF 파트라스, 그리스 딱딱한 Slovakia 막달레나 리바리코바 3–6, 5–7
위너 15. 2008년 5월 10일 ITF 주니에, 레바논 점토 Spain 루르데스 도밍게스 리노 6–4, 6–1
준우승 9. 2008년 6월 7일 ITF 서비턴, 영국 잔디 New Zealand 마리나 에라코비치 4–6, 2–6
위너 16. 2008년 10월 12일 ITF Bannstaple, 영국 하드(i) Italy 앨버타 브리안티 6–4, 6–2
위너 17. 2008년 11월 9일 살와토르크라쿠프, 폴란드 하드(i) Romania 모니카 니쿨레스쿠 7–6(4), 4–6, 6–3
준우승 10. 2010년 8월 15일 ITF 탈린, 에스토니아 딱딱한 Russia 엘레나 보비나 4–6, 1–4.
위너 18. 2011년 10월 29일 영국 GB 프로 시리즈 Banstaple 하드(i) Poland 마르타 도마초스카 6–1, 6–3
위너 19. 2011년 11월 6일 독일 이스마닝 오픈 카펫 (i) Austria 이본 메우스버거 6–3, 1–6, 6–2
위너 20. 2013년 3월 30일 프랑스 오픈 크로이시 보부르 하드(i) Czech Republic 산드라 잘라보바 7–6(3), 6–3

복식: 11(8-3)

레전설
$100,000 토너먼트(0–1)
$75,000 토너먼트(1–0)
$50,000 토너먼트 (2–0)
$25,000 토너먼트(4–2)
$10,000 토너먼트(1–0)
표면별 결승전
하드 (6–3)
클레이(1-0)
잔디(0–0)
카펫(1-0)
결과 아니요. 날짜 토너먼트 표면 파트너링 반대자 점수
위너 1. 2005년 5월 21일 스페인 ITF 테네리페 딱딱한 United Kingdom 아만다 제인스 Germany 줄리아 바빌론
Germany 아드리아나 바르나
7–6(5), 3–6, 6–3
위너 2. 2005년 9월 4일 ITF 노팅엄, 영국 딱딱한 United Kingdom 클레어 피터잔 United Kingdom 린제이 콕스
United Kingdom 레베카 퐁
6–1, 6–1
준우승 1. 2005년 9월 25일 ITF 글래스고, 영국 하드(i) United Kingdom 캐런 패터슨 United Kingdom 엘레나 발타차
Estonia 마르깃 뤼텔
3–6, 7–6(2), 2–6
준우승 2. 2006년 2월 18일 ITF 스톡홀름, 스웨덴 하드(i) South Africa 수리나 드 맥주 Switzerland 타마다 바신스키
France 오렐리 베디
4–6, 4–6
위너 3. 2007년 2월 4일 영국 ITF 런던 하드(i) United Kingdom 클레어 커런 Czech Republic 안드레아 흐라바치코바
Slovakia 카타리나 칼리코바
4–6, 6–4, 6–2
위너 4. 2007년 4월 18일 ITF 그란 카나리아, 스페인 점토 Portugal 프레데리카 피에데 Spain 마르타 마레로
Spain 칼라 수아레스 나바로
w/o
위너 5. 2010년 11월 6일 프랑스 ITF 낭트 하드(i) United Kingdom 애나 스미스 Bosnia and Herzegovina 메르바나 쥬기치살키치
Croatia 다리자 주락
5–7, 6–1, [10–6]
위너 6. 2011년 10월 1일 ITF 프랑스 클레르몽 페란트 하드(i) Bosnia and Herzegovina 메르바나 쥬기치살키치 Russia 에카테리나 이바노바
Russia 크세니아 리키나
4–6, 6–3, [10–8]
위너 7. 2011년 10월 29일 영국 GB 프로 시리즈 Banstaple 하드(i) Czech Republic 에바 비르네로바 Austria 산드라 클레멘스키츠
Germany 타짜나 말렉
7–5, 6–1
위너 8. 2011년 11월 6일 독일 이스마닝 오픈 카펫 (i) Netherlands 키키 베르텐스 Germany 크리스티나 바로이스
Austria 이본 메우스버거
6–3, 6–3
준우승 3. 2012년 12월 16일 ITF 나소, 바하마 딱딱한 Czech Republic 에바 비르네로바 Slovakia 후사로바 야넷
Hungary 카탈린 마로시
1–6, 6–3, [6–10]

성능 타임라인

W F SF QF #R RR Q# DNQ A NH
(W) 원, (F) 준결승전, (SF) 준결승전, (QF) 준결승전, (#R) 4, 3, 2, 1라운드, (RR) 라운드 로빈 스테이지, (Q#) 예선전, (A) 부재, (NH) 개최되지 않음SR=스트라이크 레이트(이벤트 승리/경쟁)

싱글스

토너먼트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SR W-L 당첨률
그랜드 슬램 대회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A A A LQ LQ A LQ LQ LQ 1R A 2R 1R LQ 0 / 3 1–3 25%
프렌치 오픈 A A A LQ LQ A LQ LQ LQ 1R 1R 1R 1R LQ 0 / 4 0–4 0%
윔블던 LQ 1R 1R 1R 2R 1R 1R 1R 2R 1R 1R 2R 2R 1R 0 / 13 4–13 24%
US 오픈 A A A LQ A A LQ LQ 3R A 1R 1R 1R A 0 / 4 2–4 33%
윈-로스 0–0 0–1 0–1 0–1 1–1 0–1 0–1 0–1 3–2 0–3 0–3 2–4 1–4 0–1 0 / 24 7–24 23%
올림픽 경기
하계 올림픽 A 보류되지 않음 A 보류되지 않음 A 보류되지 않음 1R NH 0 / 1 0–1 0%
연말 선수권 대회
WTA 투어 챔피언십 부재중 0 / 0 0–0 0%
프리미어 필수 경기
인디언웰스 부재중 LQ 1R 1R LQ 1R A 0 / 3 0–3 0%
마이애미 부재중 LQ A 1R 1R LQ LQ A 0 / 2 0–2 0%
마드리드 보류되지 않음 2R 부재중 0 / 1 1–1 50%
베이징 Tier I이 아님 부재중 0 / 0 0–0 0%
프리미어 5 토너먼트
두바이 Tier I이 아님 부재중 NP5 0 / 0 0–0 0%
로마 부재중 1R LQ 부재중 0 / 1 0–1 0%
신시내티 Tier I이 아님 부재중 LQ 부재중 0 / 0 0–0 0%
캐나다 오픈 부재중 LQ 1R 부재중 LQ 부재중 0 / 1 0–1 0%
도쿄 부재중 LQ 부재중 0 / 0 0–0 0%
경력통계
제목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연말순위 377 277 233 177 175 239 168 122 61 84 123 73 137 NR $1,303,091

복식

토너먼트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커리어 W-L
그랜드 슬램 대회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A A A A A A A 2R A A 1R A 1–2
프렌치 오픈 A A A A A A A 1R A A 1R A 0–2
윔블던 1R 1R 1R 1R 1R 1R 2R 1R 1R 1R 1R 1R 1–12
US 오픈 A A A A A A 1R A 1R A 1R A 0–3
연말순위 430 507 664 253 362 256 158 151 115 146 153 해당 없음

남녀 혼합 복식

토너먼트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커리어 W-L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A A A A A A A A A A 0–0
프렌치 오픈 A A A A A A A A A A 0–0
윔블던 1R 1R A A 1R 2R 1R 1R 1R 1R 1–8
US 오픈 A A A A A A A A A A 0–0

페드컵 참가

유럽/아프리카 그룹 I
날짜 장소 표면 둥글다 반대자 결승전 점수 매치 상대 고무점수
2001년 4월 24일-26일 무르시아 점토 RR 스웨덴 0–3 싱글스 소피아 아르비드손 0–6, 2–6 (L)
루마니아 1–2 싱글스 에디나 갈로비츠 홀 2–6, 2–6 (L)
벨라루스 1–2 싱글스 나데즈다오스트로프스카야 4–6, 1–6 (L)
2003년 4월 21-26일 에스토릴 점토 RR 아일랜드 2–1 싱글스 켈리 리건 0–6, 6–2, 0–6 (L)
폴란드 2–1 싱글스 조안나 사코위츠코스테카 6–3, 6–3 (W)
헝가리 0–3 싱글스 멜린다 징크 6–7(1), 6–7(3) (L
P O
(방출)
네덜란드 1–2 싱글스 미리암 오레만스 6–4, 6–3(W)
유럽/아프리카 그룹 II
4월 26일 –
2004년 5월 1일
마르사 딱딱한 RR 이집트 3–0 싱글스 욤나 패리드 6–0, 6–1 (W)
루마니아 2–1 싱글스 시모나울리아마테이 3–6, 6–3, 6–0(W)
P O
(프로모션
아일랜드 2–0 싱글스 켈리 리건 6–2, 3–6, 2–2 ret. (W)
유럽/아프리카 그룹 I
2005년 4월 20-23일 안탈리아 점토 RR 슬로베니아 0–3 싱글스 티나 피니크 3–6, 3–6 (L)
덴마크 2–1 싱글스 캐롤라인 워즈니악키 6–3, 4–6, 6–2(W)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1–2 싱글스 드라고나 자리치 7–5, 3–6, 0–6 (L)
2006년 4월 18-22일 플로브디프 점토 RR 우크라이나 3–0 싱글스 올레나 아네티피나 6–7, 6–2, 6–0(W)
불가리아 2–1 싱글스 츠베타나 피론코바 1–6, 1–6 (L)
헝가리 2–1 싱글스 멜린다 징크 6–1, 3–6, 2–6 (L)
P O
(1일~4일)
슬로바키아 1–2 싱글스 다니엘라 한투코바 2–6, 1–6 (L)
2007년 4월 18-21일 플로브디프 점토 RR 불가리아 3–0 싱글스 츠베타나 피론코바 5–7, 6–4, 6–3(W)
룩셈부르크 1–2 싱글스 앤 크레머 3–6, 3–6 (L)
P O
(9~12일)
스웨덴 0–3 싱글스 소피아 아르비드손 3–6, 5–7 (L)
1월 30일 –
2008년 2월 2일
부다페스트 카펫 (i) RR 스위스 1–2 싱글스 에마뉘엘 가글리아디 6–1, 6–4(W)
헝가리 1–2 싱글스 그레타 아르누스 7–6(5), 7–5 (W)
덴마크 1–2 싱글스 한네 스카크 얀센 4–6, 6–4, 6–2 (W)
복식 (엘레나 발타차 포함) 디르베르크/워즈니아키 3–6, 2–6 (L)
P O
(방출)
포르투갈 2–0 싱글스 아나 카타리나 노게이라 6–1, 7–6(1) (W)
2009년 2월 4-7 탈린 카펫 (i) RR 헝가리 3–0 싱글스 아그네스 사베이 6–3, 6–2 (W)
네덜란드 3–0 싱글스 아란텍사 러스 6–4, 6–4 (W)
복식 (사라 보웰함께) 티젠/ 6–4, 6–0(W)
룩셈부르크 3–0 싱글스 맨디 미넬라 6–1, 6–2 (W)
P O
(프로모션
폴란드 1–2 싱글스 아그니에슈카 라드와이스카 6–7(2), 6–7(4) (L
복식 (사라 보웰함께) 얀스이냐시크/로솔스카 5–7, 3–6 (L)
2010년 2월 4~5일 리스본 하드(i) RR 오스트리아 0–3 싱글스 패트리샤 메이어클리트너 2–6, 2–6 (L)
복식 (사라 보웰함께) 메이어클라이트너/뮤스버거 4–6, 4–6 (L)
벨라루스 2–1 싱글스 에카테리나 드제할레비치 7–6(8), 6–1 (W)
P O
(5~8위)
네덜란드 1–2 싱글스 샤옌 에위크 7–6(5), 6–3 (W)
2011년 2월 4일 에일라트 딱딱한 RR 스위스 1–2 싱글스 패티 슈나이더 1–6, 2–6 (L)
덴마크 2–1 싱글스 캐롤라인 워즈니악키 0–6, 2–6 (L)
2012년 2월 1-4일 에일라트 딱딱한 RR 포르투갈 3–0 싱글스 마리아 주앙 쾰러 6–3, 6–4 (W)
네덜란드 2–1 싱글스 비비아네 슈프스 3–6, 7–6(3), 3–6 (L)
이스라엘 3–0 싱글스 줄리아 글루시코 6–2, 6–1, (W)
P O
(프로모션)
오스트리아 2–0 싱글스 패트리샤 메이어클리트너 7–6(5), 6–3 (W)
세계 II 그룹(플레이오프)
2012년 4월 21-22일 보루스 하드(i) P O
(프로모션)
스웨덴 1–4 싱글스 소피아 아르비드손 1–6, 4–6 (L)
싱글스 요한나 라르손 6–7(6), 6–3, 4–6 (L)
유럽/아프리카 그룹 I
2013년 2월 7일 에일라트 딱딱한 RR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3–0 싱글스 디아 후르델라시 6–4, 6–2 (W)

상위 10명과의 경기 기록

플레이어 기록하다 당첨률 딱딱한 점토 잔디 카펫 마지막 경기
랭킹 1위 선수
Czech Republic 카롤리나 플리슈코바 2–0 100% 1–0 0–0 1–0 0–0 2012년 노팅엄 오픈에서 우승(6–4, 6–2)
Serbia and Montenegro/Serbia 아나 이바노비치 1–0 100% 1–0 0–0 0–0 0–0 2011 룩셈부르크 오픈 우승(6–3, 6–2)
Denmark 캐롤라인 워즈니악키 1–3 25% 0–2 1–0 0–1 0–0 2012년 하계 올림픽 패배(6–4, 3–6, 2–6)
Germany 안젤리크 케르버 1–6 14% 1–6 0–0 0–0 0–0 2012년 US 오픈에서 손실(2–6, 0–6)
Russia 마리아 샤라포바 0–1 0% 0–0 0–0 0–1 0–0 2004년 윔블던 선수권대회 패배(4–6, 0–6)
Russia 디나라 사피나 0–1 0% 0–0 0–1 0–0 0–0 2009 프랑스 오픈에서 로스트(0–6, 0–6)
United States 비너스 윌리엄스 0–1 0% 0–0 0–0 0–1 0–0 2008년 윔블던 선수권대회 패배(5–7, 2–6)
Spain 가르비녜 무구루자 0–1 0% 0–0 0–0 0–1 0–0 2013년 윔블던 선수권대회 패배(4–6, 0–6)
Serbia and Montenegro/Serbia 젤리나 얀코비치 0–2 0% 0–1 0–0 0–1 0–0 2011년 린츠 오픈에서 6–3, 2–6, 1–6로 패함
랭킹 2위 선수
China 리나 0–1 0% 0–0 0–0 0–1 0–0 2010년 Aegon Classic에서 패배(2–6, 4–6)
Poland 아그니에슈카 라드와이스카 0–2 0% 0–2 0–0 0–0 0–0 2012년 카타르 토탈 오픈에서 1–6, 2–6로 패함
Czech Republic 페트라 크비토바 0–3 0% 0–1 0–1 0–1 0–0 2011년 윔블던 선수권대회 패배(2–6, 1–6)
랭킹 3위 선수
Russia 엘레나 데멘티에바 0–2 0% 0–2 0–0 0–0 0–0 2009년 뱅크 오브웨스트 클래식에서 1–6, 4–6) 패배
랭킹 4위 선수
Netherlands 키키 베르텐스 3–0 100% 2–0 0–0 0–0 1–0 2012 룩셈부르크 오픈 우승(6–2, 6–2)
Slovakia 도미니카 치불코바 2–0 100% 2–0 0–0 0–0 0–0 2012년 파타야 오픈에서 원(6–4, 6–1)
Italy 프란체스카 시아보네 1–1 50% 1–1 0–0 0–0 0–0 2010년stanbul Cup에서 패배(2–6, 2–6)
Australia 사만다 스토수르 1–1 50% 1–0 0–0 0–1 0–0 원 (6–4, 7(8–6)–6) 2004년 5만 달러 세인트 폴, MN
Bulgaria 막달레나 말레바 0–1 0% 0–0 0–0 0–1 0–0 2004년 이스트본 인터내셔널에서 패배(7–5, 1–6, 1–6)
랭킹 5위 선수
Italy 새라 에라니 1–2 33% 1–0 0–0 0–2 0–0 2012년 윔블던 대회에서 1–6, 1–6로 패함
Czech Republic 루시 샤파쇼바 0–2 0% 0–1 0–1 0–0 0–0 2009년 마드리드 오픈에서 패배(1–6, 5–7)
Slovakia 다니엘라 한투코바 0–3 0% 0–0 0–1 0–2 0–0 2012년 이스트본 인터내셔널에서 패배(2–6, 3–6)
Russia 안나 차크베타제 0–4 0% 0–4 0–0 0–0 0–0 2010 BNP Paribas Open에서 손실(6–2, 3–6, 1–6)
랭킹 6위 선수
Spain 칼라 수아레스 나바로 2–1 67% 1–0 1–1 0–0 0–0 2010 모로코 오픈 우승(5–6, 리트).
Italy 플라비아 페네타 1–2 33% 1–0 0–1 0–1 0–0 2010 프랑스 오픈에서 패배(2–6, 2–6)
랭킹 7위 선수
Switzerland 패티 슈나이더 1–1 50% 1–1 0–0 0–0 0–0 2011년 Fed Cup에서 1–6, 2–6)로 패함
Italy 로베르타 빈치 1–2 33% 0–2 0–0 1–0 0–0 2012 룩셈부르크 오픈에서 패배(4–6, 1–6)
France 마리온 바르톨리 0–1 0% 0–1 0–0 0–0 0–0 2008년 뱅크 오브웨스트 클래식에서 패배(3–6, 6–1, 5–7)
랭킹 8위 선수
Russia 에카테리나마카로바 1–0 100% 1–0 0–0 0–0 0–0 2011년 린츠오픈 우승(6–4, 6–1)
Japan 스기야마아이 0–1 0% 0–0 0–0 0–1 0–0 2003 Eastbourne International에서 2–6, 2–6)
Australia 알리샤 몰릭 0–2 0% 0–0 0–0 0–2 0–0 2002 Eastbourne International에서 1–6, 3–6)로 패함
랭킹 9위 선수
Germany 안드레아 페트코비치 1–2 33% 1–2 0–0 0–0 0–0 2011년 오스트레일리아 오픈에서 손실(6–2, 5–7, 0–6)
Switzerland 타마다 바신스키 0–1 0% 0–1 0–0 0–0 0–0 2012 BNP Paribas Open에서 손실(4–6, 6–2, 5–7)
United States 코코 반데웨게 0–1 0% 0–0 0–0 0–1 0–0 2012년 노팅엄 오픈에서 로스트(3–6, 2–6)
Netherlands 브렌다 슐츠 매카시 0–1 0% 0–0 0–0 0–1 0–0 2007년 영국 서비턴 2만5천 달러에서 분실(4–6, 5–7)
랭킹 10위권 선수
Russia 마리아 키릴렌코 0–1 0% 0–1 0–0 0–0 0–0 2008년 캐나다 오픈에서 1–6, 5–7로 패함
France 크리스티나 믈라데노비치 0–1 0% 0–1 0–0 0–0 0–0 2013 브라질 테니스컵에서 패배(3–6, 4–6)
합계 20–54 27% 15–29
(34%)
2–6
(25%)
2–19
(10%)
1–0
(100%)

참조

  1. ^ 여자 테니스 협회의 앤 거타봉
  2. ^ a b "Anne Keothavong is first Briton to reach WTA semi-final on clay for 26 years". The Guardian. London. 21 May 2009. Retrieved 25 April 2010.
  3. ^ "Women's rankings". BBC News. 28 February 2007. Retrieved 25 April 2010.
  4. ^ "Fed Cup: Great Britain promoted to World Group II with play-off win over Kazakhstan". BBC News. 21 April 2019. Retrieved 21 April 2019.
  5. ^ Pattenden, Mike (3 May 2009). "How Anne Keothavong plans to beat big stars". London: www.telegraph.co.uk. Retrieved 25 April 2010.
  6. ^ Malone, Philip (14 May 2013). "Laos through my eyes – Anne Keothavong Foreign, Commonwealth & Development Office Blogs".
  7. ^ Tongue, Steve (24 June 2001). "Keothavong plays down hype and raises the hope". The Independent. London. Retrieved 25 April 2010.[데드링크]
  8. ^ "X-rated Bjorkman brings back the bad days of Mac Sport". Thisislondon.co.u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June 2011. Retrieved 19 September 2010.
  9. ^ "Anne Keothavong gets engaged". Retrieved 11 April 2015.
  10. ^ "Wedding bells: Anne Keothavong becomes Mrs. Bretherton". Retrieved 14 May 2015.
  11. ^ Davies, Gareth A. (15 December 2010). "How Anne Keothavong found a winning touch". Daily Telegraph.
  12. ^ "Anne Keothavong – Player profile". LTA.com. Lawn Tennis Associ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May 2008. Retrieved 15 July 2012.
  13. ^ Overend, Jonathan (27 August 2008). "Anne Keothavong Q&A". BBC Sport.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Retrieved 15 July 2012.
  14. ^ Harris, Nick (7 July 2001). "British pair unable to jump the final hurdle". The Independent. London. Retrieved 25 April 2010.[데드링크]
  15. ^ a b c d e f g h i j k l "Activity: KEOTHAVONG, Anne (GBR)". www.itftennis.com.
  16. ^ Harris, Nick (26 June 2002). "Baltacha saves day as home players fall". The Independent. London. Retrieved 25 April 2010.[데드링크]
  17. ^ "Keothavong win ends long wait for women". The Independent. London. 22 June 2004. Retrieved 25 April 2010.
  18. ^ "Hilton claims Costa scalp for biggest win of career". The Independent. London. 25 June 2004. Retrieved 25 April 2010.[데드링크]
  19. ^ Harman, Neil (1 March 2005). "Persistent Arthurs made king for a day". London: www.timesonline.co.uk. Retrieved 25 April 2010.
  20. ^ Whyte, Derrick (23 April 2005). "Britain's Fed Cup squad manage to miss relegation play-off despite loss". The Independent. London. Retrieved 25 April 2010.
  21. ^ "Hantuchova, Kirilenko advance in Sunfeast Open". www.samachaar.i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December 2020.
  22. ^ "Keothavong, Koryttseva Reach Maiden Tour Quarterfinals". www.sonyericssonwtatour.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October 2008.
  23. ^ "Koryttseva, Keothavong in Sunfeast semis". www.samachaar.i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December 2020.
  24. ^ Newman, Paul (11 January 2008). "Four British players rise above heat to win qualifying matches". The Independent. London. Retrieved 25 April 2010.
  25. ^ Newman, Paul (12 January 2008). "Henman's conqueror Tsonga provides first obstacle for Murray". The Independent. London. Retrieved 25 April 2010.
  26. ^ Whyte, Derrick (4 February 2008). "Sharapova spurred by 'grunting' crowd". The Independent. Lond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April 2008. Retrieved 25 April 2010.
  27. ^ Harman, Neil (12 May 2008). "Anne Keothavong dodges hostilities to enhance Wimbledon claims". London: www.timesonline.co.uk. Retrieved 25 April 2010.
  28. ^ Herbert, Ian (25 June 2008). "Keothavong flying flag for British women". The Independent. London. Retrieved 25 April 2010.
  29. ^ Herbert, Ian (27 June 2008). "Eaton devoured by steely Tursunov as ace 'rifle' misfires". The Independent. Lond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June 2008. Retrieved 25 April 2010.
  30. ^ Newman, Paul (26 August 2008). "Keothavong advances on special day with ace". The Independent. London. Retrieved 25 April 2010.
  31. ^ Newman, Paul (28 August 2008). "Keothavong hits new heights with win over seed". The Independent. London. Retrieved 25 April 2010.
  32. ^ Newman, Paul (30 August 2008). "Keothavong runs Dementieva close in uplifting display". The Independent. London. Retrieved 25 April 2010.
  33. ^ "Keothavong misses out on first WTA final in Auckland". The Guardian. London. 9 January 2009. Retrieved 25 April 2010.
  34. ^ Newman, Paul (13 January 2009). "Keothavong produces 'one of best wins' to see off Szávay". The Independent. London. Retrieved 25 April 2010.
  35. ^ Newman, Paul (20 January 2009). "Keothavong drowns her high hopes". The Independent. London. Retrieved 25 April 2010.
  36. ^ "Keothavong falls to Wozniacki in Memphis semi-final". The Guardian. London. 21 February 2009. Retrieved 25 April 2010.
  37. ^ "Keothavong slams LTA after entering world top 50". The Independent. London. 23 February 2009. Retrieved 25 April 2010.
  38. ^ "Keothavong beaten in Indian Wells". BBC Sport. 11 March 2009. Retrieved 16 October 2018.
  39. ^ "Keothavong makes early Miami exit". BBC Sport. 25 March 2009. Retrieved 16 October 2018.
  40. ^ "Keothavong withdraws with virus". BBC Sport. 8 April 2009. Retrieved 16 October 2018.
  41. ^ "Keothavong battles to second round in Morocco". The Guardian. London. 28 April 2009. Retrieved 25 April 2010.
  42. ^ "Anne Keothavong over first hurdle in Madrid Open". The Guardian. London. 10 May 2009. Retrieved 25 April 2010.
  43. ^ "Anne Keothavong knocked out of the French Open by Dinara Safina". The Guardian. London. 25 May 2009. Retrieved 25 April 2010.
  44. ^ "British No 1 Anne Keothavong crashes out of Aegon Classic". The Guardian. London. 10 June 2009. Retrieved 25 April 2010.
  45. ^ "Anne Keothavong: 'I didn't want to lose my handbag. It wasn't like he had a knife to me'". The Independent. London. 12 June 2009. Retrieved 25 April 2010.
  46. ^ "Anne Keothavong and Katie O'Brien join British exodus from Wimbledon". The Guardian. London. 23 June 2009. Retrieved 25 April 2010.
  47. ^ "Anne exits Miami after sad news Anne Keothavong " News". Anne Keothavong. Retrieved 19 September 2010.
  48. ^ "Why is Britain so bad at tennis?". Independent. 22 October 2011.
  49. ^ "Great Britain defeat Portugal in Fed Cup match". LTA. Retrieved 3 February 2011.
  50. ^ "AEGON GB Fed Cup Team defeat Netherlands". LTA. Retrieved 3 February 2011.
  51. ^ "GB Fed Cup Team progress to World Group II play-offs". LTA. Retrieved 8 February 2011.
  52. ^ Crooks, Eleanor (30 May 2012). "Anne Keothavong Olympic hopes dealt blow with French Open defeat". The Independent. Retrieved 23 October 2020.
  53. ^ "Wimbledon 2012". Retrieved 26 June 2012.
  54. ^ "Anne Keothavong Bio, Stats, and Results". Olympics at Sports-Reference.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April 2020. Retrieved 30 June 2015.
  55. ^ "Tennis 2013". Retrieved 19 January 2013.
  56. ^ "FedCup match suspended as Ilie Nastase calls Anne Keothavong and Johanna Konta "f***ing b**ches"". The Independent.
  57. ^ Briggs, Simon (7 February 2018). "Full details of Ilie Nastase's outrageous conduct at Fed Cup tie revealed - but Romanian has ban shortened". The Telegraph. Retrieved 24 December 2019.
  58. ^ "No. 63218".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31 December 2020. p. N16.
  59. ^ Pattenden, Mike (3 May 2009). "How Anne Keothavong plans to beat big stars". London: www.timesonline.co.uk. Retrieved 25 April 2010.
  60. ^ "Match Statistics: Keothavong VS Chakvetadze". www.australianopen.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April 2009.
  61. ^ "Match Statistics: Keothavong VS Glatch". www.usopen.org.[영구적 데드링크]
  62. ^ "Match statistics: Keothavong VS Schiavone". www.usopen.org.[영구적 데드링크]
  63. ^ "Match statistics: Keothavong VS Dementieva". www.usopen.org.[영구적 데드링크]
  64. ^ "Match statistics: Keothavong VS King". www.2008.wimbledon.org.[영구적 데드링크]
  65. ^ "Match statistics: Keothavong VS Williams". www.2008.wimbledon.org.[영구적 데드링크]

외부 링크

선행자
엘레나 발타차
엘레나 발타차
케이티 오브라이언
케이티 오브라이언
케이티 오브라이언
케이티 오브라이언
엘레나 발타차
영국 테니스 넘버원
2003년 6월 16일 – 2005년 1월 16일
2006년 1월 30일 – 2007년 5월 6일
2007년 5월 14일 – 2007년 6월 24일
2007년 9월 24일 – 2007년 11월 25일
2008년 4월 14일 – 2008년 4월 20일
2008년 6월 15일 – 2009년 11월 8일
2012년 6월 11일 – 2012년 7월 15일
성공자
엘레나 발타차
케이티 오브라이언
케이티 오브라이언
케이티 오브라이언
케이티 오브라이언
케이티 오브라이언
헤더 왓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