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파티 밀리건
Ex parte Milligan엑파티 밀리건 | |
---|---|
![]() | |
1866년 3월 5일 논쟁 1866년 4월 3일 결정 | |
전체 대문자 이름 | 전 파티 람딘 P. 밀리건 |
인용문 | 71 US.2 (더 보기) |
케이스 이력 | |
이전의 | 이 사건은 인디애나 순회법원의 판사들로부터 받은 분할증명서, 불법 수감으로부터의 면책 청원에 의해 법원에 제출되었다. |
보유 자산 | |
민간법원이 여전히 운영되고 있는 상황에서 군사법원에서 시민을 재판하는 것은 위헌이다.군법재판은 군 말고는 권력이 남아 있지 않은 경우에만 합헌이고, 군법재판은 절대적으로 필요한 경우에만 유효하게 재판할 수 있다. | |
법원 구성원 자격 | |
사례의견 | |
다수 | 데이비스, Clifford, Field, Grier, Nelson과 함께 |
동의/불합치 | 체이스, 웨인, 스웨인, 밀러와 함께 |
적용되는 법률 | |
미국 경찰, Habeas Corpus Suspendion Act 1863 |
71 U.S. (4 Wall.) 2 (1866)의 Ex Parte Milligan은 민사 법정이 운영 중일 때 민간인을 재판하기 위해 군사 법정을 사용하는 것은 위헌이라는 미국 대법원의 획기적인 결정이었다.이 특별한 사건에서, 법원은 남북 전쟁 동안 논란이 됐던 연방 반대자들을 다루기 위한 행정부의 계획의 일부인 에이브러햄 링컨 행정부에 군사 위원회 관할권을 주는 것을 꺼렸다.다수 의견을 전달한 데이비드 데이비스 판사는 "법원이 열려 있을 때 군법 통치는 절대 존재할 수 없다"며 계엄령을 "전쟁이 실제로 지배하고 있는 군사 작전" 분야로 한정하고, 전복된 민권을 대체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대법원장 새먼 P. 체이스와 3명의 부장판사는 이번 판결에서 다수 의견에 동의하는 별도의 의견을 제출했지만 밀리건의 경우는 그렇지 않았지만 의회가 군사위원회를 승인할 권한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 획기적인 사건은 람딘 P 군사위원회의 재판에서 비롯되었다. 밀리건, 스티븐 호시, 윌리엄 A. 1864년 10월 21일 인디애나폴리스에서 소집된 볼스, 앤드류 험프리스.이 남자들에 대한 혐의에는 무엇보다도 미국 정부에 대한 음모, 남부 연합군에 대한 원조와 위안 제공, 반란 선동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1864년 12월 10일, 밀리건, 볼스, 호시는 모든 혐의에 대해 유죄 판결을 받고 교수형을 선고받았다.험프리스는 유죄 판결을 받고 남은 전쟁 기간 동안 중노동을 선고 받았다. (나중에 험프리스에 대한 형량이 수정되어 그의 석방이 허용되었다; 앤드류 존슨 대통령은 밀리건, 볼레스, 그리고 호시에 대한 형량을 종신형으로 감형하였다.)1865년 5월 10일, 밀리건의 법률고문은 인디애나폴리스의 인디애나 특별구를 위한 미국 순회법원에 밀리건의 체포에 대한 정당성을 요구하는 인디아나 특별구의 영장을 청구했다.Bowles와 Horsey를 위해 비슷한 탄원서가 제출되었다.밀리건의 헌법소원을 검토한 두 판사는 미국 헌법이 민간인의 군사위원회 재판을 금지하고 미 대법원에 사건을 넘겼는지에 대해 의견이 엇갈렸다.이 사건은 1866년 3월 5일과 3월 13일 법정에서 논의되었다.그 결정은 1866년 4월 3일에 내려졌다.
배경
반대파의 탄압
남북전쟁 중 에이브러햄 링컨 행정부는 계엄령 선포, 임의 체포 및 구금 허가, 구금 정당성을 요구하는 인신보호 영장의 정지, 그리고 전통적인 민사재판소가 아닌 군사위원회에 의한 재판을 개시함으로써 연방 반대자들을 다루었다.이러한 조치의 근거는 미국 헌법 제1조 9항에 근거하고 있으며, 이는 "반란 또는 침략의 경우 공공안전이 요구할 수 있는 경우"[1][2] 인신보호 영장의 정지를 허가하고 있다.링컨은 미국의 민사 법정이 "법률에 잘 정의된 범죄의 혐의"로 개인과 소규모 집단을 재판하고, 전쟁 노력에 해가 되기는 하지만 정부에 [3]충성하는 주에서는 "확정된 범죄"를 구성하지 않는 다수의 반대 집단을 상대하지 않기 위해 설립되었다고 이론을 세웠다.링컨은 그의 행정부의 계획이 반정부 선동가들을 탄압할 것이라고 믿었지만, 또한 전쟁이 [4]끝난 후에 그것이 철회될 것이라고 낙관했다.
반대자를 침묵시키기 위한 링컨의 논문의 첫 번째 테스트는 1863년 봄에 이루어졌다.오하이오주의 정치인이자 반전 민주당원인 클레멘트 밸런디햄은 1863년 5월 5일 체포되어 군사위원회 앞에서 재판을 받기 위해 신시내티로 끌려가 수감되었다.발렌디검은 유죄 판결을 받고 남은 전쟁 기간 동안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나 링컨은 형을 감형했다.발랑디검의 미국 대법원에 대한 탄원서는 [5]기각됐다.
군사위원회에 의한 재판
다음 시험은 군사위원회의 재판으로 시작되었고, 이 재판은 획기적인 미국 대법원의 사건인 Ex Parte Milligan으로 알려지게 되었다.1864년 9월 17일, 인디애나 군관구의 사령관인 앨빈 피터슨 호비는 인디애나주 인디애나폴리스에서 9월 19일 회의를 열어 인디애나주 자유의 아들들의 "대 사령관"인 해리슨 도드와 다른 군인들을 [6]체포하기 위한 군사 위원회를 열 것을 승인했다.이 죄수들은 민주당 람딘 P를 포함했다. 인디애나주 헌팅턴에 사는 변호사 밀리건, 링컨 대통령과 인디애나주 공화당 주지사 올리버 P.에 대한 노골적인 비판자. Morton; Indianapolis Daily Sentinel의 편집자이자 Indiana Democratic State Central Committee 의장인 Joseph J. Bingham; William A. 인디애나 주 프렌치릭의 볼스; 윌리엄 M.인디애나 주 마리온 카운티의 민주당 클럽 비서 해리슨, 워싱턴(인디아나) 민주당 편집장 호레이스 헤프렌, 인디애나 주 마틴 카운티의 스티븐 호시, [7][8]인디애나 주 블룸필드의 앤드류 험프리스.제임스 B라는 남자 두 명이요윌슨과 데이비드 T.Yeakel도 [9]체포되었습니다.가장 먼저 재판을 받은 도드는 재판이 끝나기 전에 탈옥하여 캐나다로 도망쳤다.1864년 10월 10일, 그는 유죄 판결을 받고 부재중 유죄 판결을 받고 교수형을 선고받았다.Bingham, Harrison, Yeakel, Wilson에 대한 혐의는 기각되었다.헤프렌은 밀리건에 대한 소송이 [10]시작되기 전에 풀려났다.
밀리건, 호시, 볼스, 험프리스의 재판을 위한 군사 위원회는 1864년 10월 21일 인디애나폴리스에서 소집되었다.위원회는 이 남성들에 대한 다섯 가지 혐의를 고려했다: 미국 정부에 대한 음모, 남부 연합군에 대한 원조와 위안 제공, 반란 선동, "불성실한 관행" 그리고 "전쟁법 위반".[11][12]피고인들은 일리노이, 인디애나, 오하이오에 있는 연합군 포로 수용소에서 남부군 병사들을 해방시킨 뒤 무기고를 탈취하고, 석방된 죄수들에게 무기를 제공하고, 일반 폭동을 선동하기 위한 무장력을 조성하고, 남부군과 함께 인도를 침공할 계획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나, 일리노이, 켄터키 그리고 미국 [11][12][13]정부에 전쟁을 일으킵니다.
1864년 12월 10일 군사위원회의 결정은 밀리건, 볼스, 호시에게 유죄를 선고했다.그 남자들은 1865년 5월 19일에 교수형을 선고받았다.험프리스는 유죄 판결을 받고 남은 [12][14]전쟁 기간 동안 중노동형을 선고받았다.링컨 대통령의 지지와 함께, 호비 장군은 험프리를 위한 형량을 수정하여 그의 석방을 허용하였으나 험프리는 인디애나주 그린 카운티에 있는 두 개의 특정한 마을 안에 머물러야 했고, 전쟁에 반대하는 어떠한 행동에도 참여할 수 없었다.밀리건, 볼스, 호시의 사면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졌고, 링컨 [14][15]암살 이후 존슨 대통령에게 결정이 내려졌다.
순회재판소 신청
1865년 5월 10일, 밀리건의 법률 고문인 조나단 W. 고든은 인디애나폴리스의 인디애나 [12]특별구를 위해 미국 순회법원에 인신매매 영장을 청구했다.Bowles와 Horsey를 위해 비슷한 탄원서가 제출되었다.청원은 1863년 3월 3일 발효된 '해비어스 코퍼스 및 특정 사건에서의 사법 절차에 관한 법률'이라는 제목의 의회의 법률에 기초하고 있다.이 법은 링컨이 미국 [14]헌법 제1조에 따라 인신보호 영장을 정지할 수 있는 헌법적 권한이 있는지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었다.밀리건의 탄원서는 연방 대배심이 1865년 1월 인디애나폴리스에서 만났으며, 이는 그를 기소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또한 사실이며, 의회법에 [14][16]따라 그는 출소할 수 있게 되었다.
예정된 사형집행 사흘 전인 5월 16일, 호시의 형량은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었고 밀리건과 볼스의 사형 집행은 6월 2일로 연기되었다.존슨 대통령은 1865년 [17]5월 30일 밀리건과 볼스의 형량을 종신형으로 감형하는 것을 승인했다.한편 인디애나주를 포함한 연방 순회재판소의 데이비드 데이비스 판사와 또 다른 연방 순회재판소의 토머스 드러몬드 판사가 밀리건의 순회재판소 청원을 검토했다.두 판사는 미국 헌법이 민간인의 군사위원회 재판을 금지하고 이 사건을 미국 대법원으로 [17][18]넘겼는지에 대해 의견이 엇갈렸다.
논쟁들
미 연방 대법원은 Ex parte Milligan 사건에 대해 세 가지 질문을 고려하도록 요청받았다.
- Milligan의 청원에 근거해 habeas corpus의 영장이 발행되어야 하는가?
- 밀리건을 석방해야 할까요?
- 군사위원회가 밀리건에게 형을 선고할 수 있는 관할권을 가지고 있었나요?
법원은 군사위원회가 재판에서 제시한 혐의나 증거를 고려하지 않았다.군사위원회의 절차가 합헌인지, 밀리건이 [18]제대할 자격이 있는지 여부만 고려됐다.
그 사건은 1866년 3월 5일과 3월 13일 법정에서 논의되었다.미국을 대표하는 팀은 제임스 스피드 미국 법무장관, 헨리 스탠베리, 벤자민 F. 버틀러, 남북전쟁의 장군으로 나중에 하원의원과 매사추세츠 [19]주지사가 되었다.버틀러 장군은 미국을 위한 주장을 했다.밀리건의 변호사 팀원 중에는 조셉 E. 맥도날드, 뉴욕 변호사이자 미국 대법관 스티븐 존슨 필드의 동생인 데이비드 더들리 필드, 제임스 A 등이 있었다. 가필드, 제임스 뷰캐넌 전 대통령의 [20]미국 법무장관과 [17][19]미 국무장관을 지낸 제레미아 S. 블랙.
결정
1866년 4월 3일 대법원장 새먼 P. 체이스는 1863년 3월 3일 의회법에 근거해 인신 보호 영장이 발부될 수 있다고 판결한 법원의 결정을 내렸습니다.군사위원회는 밀리건을 재판하고 형을 선고할 사법권이 없었습니다.그리고 그는 제대할 권리가 있었습니다.밀리건, 볼스, 호시는 1866년 [21]4월 12일 출소했다.법정의 의견은 다음 법원에서 낭독되었다.
1866년 12월 17일, 데이비스 판사는 밀리건이 군 복무를 하지 않은 민간인이고 민간 법정이 여전히 기능하는 주에 거주했던 사람이 범죄로 기소되었을 때,[19][21] 재판에 회부되고 법에 따라 처벌받을 권리가 있다는 것을 설명하는 다수의 의견을 전달했다.미국 헌법에서는 불합리한 압수수색에 대한 보안, 체포 전 상당한 사유에 대한 영장, 그리고 기소될 경우 배심원들에 의한 신속한 재판을 포함했다.데이비스 판사는 군사위원회의 적법성에 관한 연방정부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았으며, "법원이 열려 있을 때 군법 통치는 절대 존재할 수 없다"며 계엄령을 "전쟁이 정말로 지배적인 군사 작전"의 영역으로 제한했고, 언제 시민 권위를 대체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할 필요가 있게 되었는지 말했다.모자가 전복되었다.이것은 밀리건의 체포, 재판, [22]투옥 당시 민간법원이 여전히 운영되고 있던 인디애나주의 상황이 아니었다.다수의견은 또한 인신보호 영장이 정지되는 동안 시민들은 기소 없이 구금될 수 있으며 군사재판소의 관할 하에 "재판"되거나 처형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관찰했다.영장 자체는 권리 자체가 아니라 권리의 '강제'[12]를 요구하는 명령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일 뿐이다.
본질적으로 정부 권력과 개인의 자유에 관한 사건이었던 Ex Parte Milligan에서, 법원의 결정은 "개인 [23]자유의 편"이었다.이 사건에서 법원은 링컨 행정부에 군사위원회 관할권을 주는 것을 꺼렸다.법원의 결정은 다른 상황에서 [23]미래 행정부에 의해 남용될 위험을 피했다.그 결정의 정치적 환경에 주목하는 것도 중요하다.남북전쟁 직후 공화당 의회 하에서 법원은 군사법정, 특히 점령된 남부 지역의 합법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어떠한 결정도 내리는 것을 꺼렸다.대통령이 의회의 승인 없이 인신보호 영장을 정지시킬 수 있는 능력은 이 사건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는데, 아마도 그것은 당면한 사건과 관련된 논쟁거리였기 때문일 것이다.링컨 대통령은 1862년 [24]9월 24일 전국적으로 영장을 정지시켰으며, 의회는 1863년 3월 3일 이 조치를 Habeas Corpus 정지법과 함께 비준했다.밀리건은 의회가 공식적으로 영장을 정지한 지 1년이 지난 1864년 10월에 구금되었다.
비록 밀리건 시의 결정은 개인의 자유를 옹호하는 것이었지만, 남부 흑인들에게 해를 끼쳤고 재건 실패의 원인이 되었다.체이스 대법원장은 "남쪽에서는 구호가 개방적이고 방해받지 않으면서 위협적인 위험을 회피하거나 적절한 신속성과 확실성으로 범죄 공모자를 처벌할 능력이 전혀 없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다른 말로 하면, 구연방의 주 법원은 이전 노예들을 [25]폭력으로부터 보호하지 않을 것이다.
3종류의 군사 관할권
이번 사건은 미국 헌법상 군사관할의 범위를 명확히 하는 데도 중요했다.대법관은 다음과 같이 평결했다.
헌법에는 세 종류의 군사관할권이 있다. 하나는 평화와 전쟁, 다른 하나는 미국의 국경이 없는 외전, 또는 반군이 교전국으로 취급한 주나 지역 내에서 반란과 내전이 일어났을 때 그리고 다른 하나는 전쟁이다.미국의 범위 내에서 침략 또는 폭동이 일어났을 때 또는 국가 정부에 대한 유대를 유지하는 주(州)의 범위 내에서 반란이 일어났을 때 공공의 위험이 그 행사를 필요로 할 때 행사된다.이들 중 첫 번째는 군사법에 따른 관할권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의회가 규칙과 전쟁물품을 규정하거나 국군정부를 위해 다른 방법으로 제공하는 행위에서 발견될 수 있다. 두 번째는 편리하다고 간주되는 한 군정, 지방법을 대체하여 군부에 의해 행사될 수 있다.대통령의 지시로 대통령의 지휘를 받아 의회의 명시적 또는 묵시적 승인을 받은 반면, 세 번째 명령어는 계엄령이 적절하다고 선언될 수 있으며, 의회의 행동이 초대될 수 없을 때 또는 일시적으로, 그리고 대통령이 위험을 정당화하거나 회피할 경우, 반란이 일어날 때 대통령에 의해 행동된다.일반법이 더 이상 공공의 안전과 사적 [12]권리를 적절히 확보하지 못하는 지역 또는 지역 내에서 내란 또는 외란 또는 내란, 외란.
계엄령과 군사정권의 이러한 구분은 1866년 이전에는 일반적으로 만들어지지 않았다.그러나 이 획기적인 사건에 대한 대법원의 소명 이후에도 계속 참고가 되고 있다.Birkhimer는 그의 작전인 군사정부와 계엄법 (제3판, 1914년)의 1페이지에서 차이점을 설명한다: "군사관할권은 군사정부와 계엄법의 두 분과에서 다음 페이지에서 다루어진다.전자는 적의 영토에 대해, 후자는 [26]그것을 집행하는 국가의 충성스러운 영토에 대해 행해진다."미 육군 야전 매뉴얼 FM 27-10, 육전법 362항에 따르면, "군정은 점령군이 점령지에 대한 정부 권한을 행사하는 행정 형태이다.이러한 정부의 필요성은 정당한 정부가 군사 점령을 이유로 기능을 행사하지 못하거나, 그렇지 못하거나,[27][28] 그렇게 하도록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컨커런스
데이비드 데이비스와 4명의 다른 판사들(네이선 클리포드, 스티븐 존슨 필드, 로버트 쿠퍼 그리어, 사무엘 넬슨)이 다수 의견에 서명했다.대법원장 새먼 P. 체이스와 제임스 무어 웨인, 노아 헤인스 스웨인, 새뮤얼 프리먼 밀러 판사는 이번 판결에서 다수 의견에 동의하는 별도의 의견을 냈지만 의회가 인디애나주에서 군사위원회를 승인할 권한이 없다는 다수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았다.체이스 대법원장은 의회가 군사위원회를 승인할 권한이 있다고 주장했지만 밀리건의 [29]경우는 그렇게 하지 않았다.다른 의견들은 또한 의회가 "국군의 안보와 안전에 반하는 범죄에 대한 재판을 승인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으며, 그 권한은 "군대를 소집하고 지원하고 전쟁을 선포할 수 있는 헌법적 권한에서 파생될 수 있다"고 밝혔다.위협받는 위험을 피하거나, 충분한 신속성과 확실성으로 유죄 공모자를 [30]처벌할 능력이 없다.그러나 데이비스 판사가 당시 인디애나 주 연방법원의 상황을 설명했듯이, "그것은 그것을 보호하기 위해 총검이 필요하지 않았고,[23] 판결을 실행하기 위해 군사원조가 필요하지 않았다."
여파
전 파티 밀리건은 남북전쟁 당시 대통령이 반대자를 탄압할 수 있는 법적 권한을 넘어섰다고 판결한 대표적인 미국 대법원으로 유명해졌다.이 결정은 또한 전쟁에 기초한 대통령과 군사행동은 [31]한계가 있다는 전통을 확립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Milligan이 출소한 후,[32] 그는 인디애나주 Huntington에 있는 그의 집과 변호사 개업으로 돌아갔습니다.1868년 그는 인디애나주 헌팅턴 카운티에서 Ex Parte Milligan과 [33]관련된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민사소송을 제기했다.밀리건의 민사소송은 인디애나폴리스 인디애나 주 순회법원에 회부됐다.1871년 5월 열린 2주간의 배심원 재판에서 밀리건 대 호비는 앨빈 P.를 포함한 밀리건의 반역죄 재판에 연루된 여러 사람을 피고인으로 지명했다.Havey와 Oliver P.모튼.밀리건은 토마스 A를 고용했다. 헨드릭스는 법률 고문이야피고인들은 후에 23대 [34]대통령인 벤자민 해리슨을 고용했다.밀리건의 민사소송은 연방법원에서 [35]열린 최초의 주요 인권 배심원 재판이었다.문제는 밀리건이 Ex parte Milligan과 관련하여 어떤 손해를 입었는가였다.해리슨은 밀리건을 반역자로 묘사했고 헨드릭스는 밀리건의[35] "악의적 기소 및 허위 감금"에 초점을 맞췄다.배심원들은 1871년 5월 30일 밀리건의 손을 들어주는 평결을 내렸다.밀리건은 수천 달러의 손해배상을 요구했지만 주정부와 연방정부 법령은 청구 금액을 5달러와 법정 [36]비용으로 제한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 파티의 메리만 (C.C.D. 1861년)
- 전 파티 퀴린(1942)
- 함디 대 럼스펠드 사건(2004년)
- 미국 대법원 사건 목록, 제71권
- 계엄령
- 미국 남북전쟁의 대법원 사건
메모들
- ^ 앨런 T. 놀런, "Ex Parte Milligan: 행정력과 군사력의 연석"인We The People: Indiana and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Lectures in Observance of the Bicentennial of the Constitution. Indianapolis: Indiana Historical Society. 1987. pp. 28–29. ISBN 0871950073.
- ^ "CRS Annotated Constitution". Cornell University Law School, Legal Information Institute. Retrieved 2015-12-03.
- ^ 놀런, 20페이지
- ^ 놀런, 30페이지
- ^ 놀런, 페이지 32-33
- ^ Frank L. Klement (1984). Dark Lanterns: Secret Political Societies, Conspiracies, and Treason Trials in the Civil War. Baton Rouge: Louisiana State University Press. pp. 108–09. ISBN 0-8071-1174-0.
- ^ 놀란, 37-38페이지, 클렌트, 다크 랜턴, 130페이지,
- ^ 해리슨은 1864년 8월 20일, 도드는 9월 3일, 볼스는 9월 17일, 밀리건, 빙엄, 헤프렌, 호시, 험프리스는 10월 5일부터 10월 7일 사이에 체포되었다.Klement, 다크 랜턴, 페이지 176을 참조하십시오.
- ^ Gilbert R. Tredway (1973). Democratic Opposition to the Lincoln Administration in Indiana. Vol. 48. Indianapolis: Indiana Historical Bureau. pp. 218–19.
- ^ 놀런, 페이지 38-39
- ^ a b 놀런, 39페이지
- ^ a b c d e f Ex Parte Milligan, 71 U.S. (4 Wall.) 2 (1866년)
- ^ 트레드웨이, 182페이지
- ^ a b c d 놀런, 페이지 40-41
- ^ '암등', 184-85페이지.
- ^ 1865년 1월 2일 인디애나 주 순회법원은 인디애나폴리스에서 회의를 열고 대배심을 해산한 후 밀리건을 기소하거나 기소하지 않고 1865년 1월 27일 휴정했다.「Text of Ex Parte Milligan, 71 US 2 (1866)」를 참조해 주세요.["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07-25. Retrieved 2015-08-13.
{{cite web}}
: CS1 maint : as title ( link ) Findlaw ] - ^ a b c '암등', 226-27페이지.
- ^ a b 놀런, 페이지 41~42
- ^ a b c 놀런, 43페이지
- ^ Allan Peskin (1978). Garfield: A Biography. Kent, OH: Kent State University Press. p. 270. ISBN 0-87338-210-2. Retrieved 2015-12-04.
peskin garfield milligan.
- ^ a b 크렌트, 흑등, 227-28.
- ^ 놀런, 44페이지
- ^ a b c 놀런, 49페이지
- ^ 정치범 또는 주 죄수에 대한 사면.
- ^ 해거티, 마이클은 윙거, 스튜어트 L., 화이트, 조너선 W. ed. (2020년)에서 "힘의 법칙을 뒤로하고: 연어 체이스와 남북전쟁 시대를 떠난다"를 썼다.전 Parte Milligan 재고: 링컨 행정부에서 테러와의 전쟁까지 인종과 시민의 자유.캔자스 주 로렌스:캔자스 대학 출판부
- ^ William E. Birkhimer (1914). "Military Government and Martial Law". Kansas City, MO: Franklin Hudson Publishing Co. Retrieved 2012-04-08.
The distinction is important. Military government is thus placed within the domain of international law, its rules the laws of war, while martial law is within the cognizance of municipal law.
- ^ "FM 27-10 The Law of Land Warfare". Department of the Army. 1976-07-15. p. 36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04-25. Retrieved 2012-04-08.
- ^ "FM 27-10 The Law of Land Warfare". Department of the Army. 1976-07-15. p. 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03-01. Retrieved 2012-04-08.
The most prominent distinction between military government, as that term is used herein, and martial law is that the former is generally exercised in the territory of, or territory formerly occupied by, a hostile belligerent and is subject to restraints imposed by the international law of belligerent occupation, while the latter is invoked only in domestic territory, the local government and inhabitants of which are not treated or recognized as belligerents, and is governed solely by the domestic law of the United States.
- ^ 놀런, 45페이지
- ^ 이 문서에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있는 출판물의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 Darwin N. Kelley (1973). Milligan's Fight against Lincoln. New York: Exposition Press. p. 102. ISBN 9780682476515.
- ^ 샤프, 44페이지
- ^ '암등', 231페이지
- ^ 놀런, 45페이지와 케르먼트, 다크 랜턴, 237페이지
- ^ a b 샤프, 페이지 46
- ^ 샤프, 47페이지, 놀런, 45~46페이지.
레퍼런스
- Birkhimer, William E. (1914). Military Government and Martial Law (3rd ed.). Kansas City, MO: Franklin Hudson Publishing Co. OCLC 4409931.
- "CRS Annotated Constitution". Cornell University Law School, Legal Information Institute. Retrieved 2015-12-03.
- Kelley, Darwin N. (1973). Milligan's Fight against Lincoln. New York: Exposition Press. ISBN 9780682476515.
- Klaus, Samuel, ed. (1970). The Milligan Case. Civil Liberties in American History. New York: Da Capo Press. ISBN 9780306719455.
- Klement, Frank L. (1984). Dark Lanterns: Secret Political Societies, Conspiracies, and Treason Trials in the Civil War. Baton Rouge: Louisiana State University Press. ISBN 0-8071-1174-0.
- "토지 전쟁의 법칙" In(가입 필요)(이 매뉴얼은 1944년 11월 15일 C 1, C를 포함한 1940년 10월 1일 FM 27-10을 대체합니다.1976년 7월 15일에 필요한 변경은 이 문서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 놀런, 앨런 T. "Ex Parte Milligan: 행정력과 군사력의 연석"인
- Peskin, Allan (1978). Garfield: A Biography. Kent, OH: Kent State University Press. p. 270. ISBN 0-87338-210-2. Retrieved 2015-12-04.
peskin garfield milligan.
- Sharp, Allen (Summer 2003). "An Echo of the War: The Aftermath of the Ex Parte Milligan Case". Traces of Indiana and Midwestern History. Indianapolis: Indiana Historical Society. 15 (3): 42–47.
- Tredway, Gilbert R. (1973). Democratic Opposition to the Lincoln Administration in Indiana. Vol. 48. Indianapolis: Indiana Historical Bureau.
추가 정보
- 콜먼, Elisheva 루스(2005년)."평화 또는 그것은 전화해 전화해 반역죄:.그 밀리건 케이스와 충성의 War."(고위 논문)프린스턴, 나탈리 제레미 젠코:효과 프린스턴 대학의 의미.
- Neely, Jr., 마크. E.(1991년).그 운명이 자유의:아브라함 링컨과 시민 자유.뉴욕:옥스포드 대학 출판부.
- Pitman, Benn, ed. (1865). The Trials for Treason at Indianapolis, Disclosing the Plans for Establishing a North-Western Confederacy. Cincinnati: Moore, Wilstach and Baldwin. OCLC 1186686.
- Rehnquist, William H. (1998). All the Laws but One: Civil Liberties in Wartime. New York: William Morrow and Co. ISBN 0-688-05142-1.
- Stampp, Kenneth M. (June 1944). "The Milligan Case and the Election of 1864 in Indiana". Mississippi Valley Historical Review. 31 (1): 41–58. doi:10.2307/1893477. JSTOR 1893477.
- 윙거, 스튜어트 L. 있으며, 화이트, JonathanW., eds.(2020년).ExParte 밀리건 Reconsidered:경주와 시민 자유는 링컨 행정부 테러와의 전쟁까지.캔자스 주 로렌스:캔자스 대학 출판부
외부 링크
- 작품들 떠ㅅ다 parte 밀리건 위키 문헌에 연관되어 있습니다.
- 텍스트 Ex 주제 밀리건, 71미국(4벽.)2(1866년)코넬 CourtListener Findlaw 구글 스콜라 Justia 의회 도서관 OpenJurist의:에서 이용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