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현 언어 장애

Expressive language disorder
표현 언어 장애
전문소아과

표현언어장애는 언어와 글로 표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의사소통장애다.[1] 정신 연령에 적합한 수준에는 현저히 못 미치지만 정상 한계 내에 있는 언어 이해력을 가진 표현형 언어 사용 능력으로 특징지어지는 특정한 언어 장애다.[2] 어휘, 복잡한 문장 생성, 단어 기억 등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3] 발음에 이상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2]

"비정상적인 언어발달은 언어문제로 처음 나타날 수 있는 다른 신체적, 발달적 문제의 2차적 특성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신중한 진단도 중요하다.[4]

언어 생산 모델

윌렘 레벨트는 현재 받아들여지고 있는 음성 제작 이론의 개요를 설명했다. 생산 대기 중인 개념이 개념화되고, 관련 단어가 선정되고, 인코딩되며, 음파가 생성되는 언어가 생산된다.[5]

언어 네트워크 연결

표현 언어 장애와 같은 특정 언어 장애가 문법의 결손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언어 정보 처리의 결손에 의한 것인지에 대해서도 많은 논쟁이 있다.[6] 그러나 SLI의 원인에 대한 대립 가설은 절차적 결손 가설이라 불린다. 절차적 결핍 가설은 절차적 기억과 관련된 뇌 구조의 비정상적인 발달로 언어적 장애를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우리의 기억은 서로 다른 인지적 과업과 운동적 과업을 수행하는 방법을 기억한다. 절차 기억 시스템은 전두엽의 기저-강글리아 회로와 관련되며, 이 특별한 가설에 대한 추가 조사는 SLI의 근본적인 원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임상 신경학적 그림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7]

언어와 언어에 대한 과학적 연구

초기의 신경과학적 발견 중 일부는 베르니케의 영역브로카 영역의 발견과 같이 언어의 장애와 관련된 뇌의 특정 영역에 대한 손상이 발견되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 뇌의 이 부분의 병변은 각각 언어 이해와 언어 생산을 손상시킨다. 폴 브로카는 특히 오른손잡이 환자들을 위해 뇌의 왼쪽 반구가 언어 기능을 위해 국부적으로 보이는 것을 처음으로 주목했다. 현대의 신경과학 연구는 언어가 일부 오른손잡이 개인에서 우뇌에 편중되어 있을지라도 이것을 검증했다.[8][9]

발달성 언어장애

1990년 KE 계열의 여러 세대는 전형적인 자가 지배적 패턴으로 유전된 발달 언어장애와 후두근증(Orofacial praxis)으로 고생한 것으로 보고되었다.[10] 추가 분석은 이 유전 패턴을 FOXP2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거슬러 올라갔다.[11][12] 이러한 연구들은 과학자들이 한 유전자에 대한 변화가 인간의 의사소통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를 조사하기 시작하도록 허용했다.

FOXP2는 언어와 언어 생산에 특별히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첫 번째 유전자다. 정상적인 FOXP2 유전자의 돌연변이 알레르기가 심각한 언어장애의 원인인 것으로 밝혀졌다.[11]

특정언어손상

구조 및 기능적 MRI와 같은 신경 영상 촬영 기법은 SLI를 사용하는 개인과 정상 대조군 간에 큰 차이를 발견하지 못했다. 그러나 복셀 기반의 형태측정학 연구와 같은 보다 미묘하고 정교한 기법은 연구자들이 영향을 받지 않는 가족 구성원과 비교했을 때 KE 계열의 영향을 받는 구성원의 운동기능과 관련된 뇌의 신경 부피에서 양쪽의 이상을 확인할 수 있게 했다. 이러한 체적 감소는 경구축의 부피 감소와 시험 사이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으며, 이는 경구축 핵의 홀수 발육이 KE 계열에서 관찰된 운동 제어의 문제와 관련이 있다는 생각을 뒷받침한다.[11]

표현 언어장애 진단이라는 모호한 성격 때문에 현재 우리가 찾아낼 수 있는 구체적인 과학적 연구는 거의 없다. 특정 언어장애(SLI) 진단을 받은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신경과학 연구를 중심으로 더 큰 연구 주체가 존재한다. fMRI 연구는 SLI를 가진 어린이는 보다 일반적인 왼쪽 뇌혈관과 달리 왼쪽 반구 파스 삼각형(Broca의 영역)과 언어 구조의 지배의 비대칭성이 현저히 작다는 것을 보여주었다.우세를 [13]점하다 과학자들은 서로 다른 인지 작업을 하면서 뇌 활동을 포착하기 위해 신경 영상화 기술을 사용하는 SLI를 가진 아이들의 활성화 패턴의 차이를 해명하기 시작하고 있다. 주요 관찰은 하전두회-근육, 하전두회-삼각형, 초두회 및 상측두회 등의 주요 언어 구조에서 좌뇌 편중화의 결여다. 같은 연구에서는 다른 뇌 부위의 저자극과 초활성화 - 각각 초경막 접합부와 전측 인슐라 - 를 보고했다.[14] 다른 심층 영상 연구들은 이전에 진단되지 않은 병변을 성격 발달 언어 발달 아동들의 뇌에서 발견했다고 보고한다.[15] 이와 함께, 이러한 발견은 언어 장애는 언어와 관련된 뇌의 한 부분에서 근본적인 신경학적 결함의 결과라는 것을 강하게 시사한다.

표현 언어 장애와 같은 특정한 언어 장애를 가진 개인에 대한 장기적 결과를 보는 연구는 이 개인을 어린 시절부터 성인기까지 추적한다. 화이트하우스와 그의 동료들이 제안했듯이, "어린 시절의 언어 문제가 어른이 될 때까지 지속되면, 그들은 학업, 사회, 직업적 결과 면에서 멀리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연구원들은 SLI 진단을 받은 아이들은 언어에 지속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고 대학보다는 직업 훈련을 더 많이 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높은 수준의 읽고 쓰는 능력을 필요로 하는 직업을 피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어린 시절 SLI 진단을 받은 성인들도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에 주목했다. 화이트하우스는 또한 이 어른들이 우정을 쌓는데 더 많은 어려움을 겪었는데, 이는 아마도 그들 자신을 사회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이 떨어졌기 때문일 것이라고 보고했다.

SLI를 사용하는 학생을 위한 현재 교육 개입

특정 언어장애는 종종 자폐 스펙트럼 장애와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와 같은 다른 장애의 2차적 특성이다. 이런 경우 언어와 언어에 관한 문제는 구체적으로 다루지 않는 경우가 많지만, 오히려 1차적인 불만사항에 주의를 기울인다. SLI는 다른 장애와 높은 상관관계로 인해 "순수 SLI"와 다른 장애의 존재로 인한 언어 장애의 차이를 구별하기 어렵다.[17]

참고 항목

참조

  1. ^ "Expressive language disorder". The Better Health Channel (BH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0-07-02. Retrieved 2010-06-01.
  2. ^ a b "F80.1 Expressive language disorder". ICD-10 Version:2010.
  3. ^ "Expressive language disorder - developmental".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4. ^ McLaughlin MR (May 2011). "Speech and language delay in children". Am Fam Physician. 83 (10): 1183–8. PMID 21568252.
  5. ^ Levelt WJ (November 2001). "Spoken word production: a theory of lexical access". Proc. Natl. Acad. Sci. U.S.A. 98 (23): 13464–71. doi:10.1073/pnas.231459498. PMC 60894. PMID 11698690.
  6. ^ Joanisse MF, Seidenberg MS (July 1998).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 deficit in grammar or processing?". Trends Cogn. Sci. (Regul. Ed.). 2 (7): 240–7. doi:10.1016/S1364-6613(98)01186-3. PMID 21244922. S2CID 38440.
  7. ^ Ullman MT, Pierpont EI (June 2005).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is not specific to language: the procedural deficit hypothesis". Cortex. 41 (3): 399–433. CiteSeerX 10.1.1.211.8238. doi:10.1016/s0010-9452(08)70276-4. PMID 15871604. S2CID 1027740.
  8. ^ Knecht S, Deppe M, Dräger B, et al. (January 2000). "Language lateralization in healthy right-handers". Brain. 123 (1): 74–81. doi:10.1093/brain/123.1.74. PMID 10611122.
  9. ^ Pujol J, Deus J, Losilla JM, Capdevila A (March 1999). "Cerebral lateralization of language in normal left-handed people studied by functional MRI". Neurology. 52 (5): 1038–43. doi:10.1212/WNL.52.5.1038. PMID 10102425. S2CID 45298083.
  10. ^ Hurst JA, Baraitser M, Auger E, Graham F, Norell S (April 1990). "An extended family with a dominantly inherited speech disorder". Dev Med Child Neurol. 32 (4): 352–5. doi:10.1111/j.1469-8749.1990.tb16948.x. PMID 2332125. S2CID 2654363.
  11. ^ a b c Vargha-Khadem F, Gadian DG, Copp A, Mishkin M (February 2005). "FOXP2 and the neuroanatomy of speech and language" (PDF). Nat. Rev. Neurosci. 6 (2): 131–8. doi:10.1038/nrn1605. PMID 15685218. S2CID 2504002.
  12. ^ Liégeois F, Baldeweg T, Connelly A, Gadian DG, Mishkin M, Vargha-Khadem F (November 2003). "Language fMRI abnormalities associated with FOXP2 gene mutation". Nat. Neurosci. 6 (11): 1230–7. doi:10.1038/nn1138. PMID 14555953. S2CID 31003547.
  13. ^ Gauger LM, Lombardino LJ, Leonard CM (December 1997). "Brain morphology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J. Speech Lang. Hear. Res. 40 (6): 1272–84. doi:10.1044/jslhr.4006.1272. PMID 9430748.
  14. ^ de Guibert C, Maumet C, Jannin P, et al. (October 2011). "Abnormal functional lateralization and activity of language brain areas in typical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developmental dysphasia)". Brain. 134 (Pt 10): 3044–58. doi:10.1093/brain/awr141. PMC 5331119. PMID 21719430.
  15. ^ Webster RI, Erdos C, Evans K, et al. (August 2008). "Neurological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finding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language impairment". J. Child Neurol. 23 (8): 870–7. doi:10.1177/0883073808315620. PMID 18660471. S2CID 206547104.
  16. ^ a b Whitehouse AJ, Watt HJ, Line EA, Bishop DV (2009). "Adult psychosocial outcome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pragmatic language impairment and autism". Int J Lang Commun Disord. 44 (4): 511–28. doi:10.1080/13682820802708098. PMC 2835860. PMID 19340628.
  17. ^ Hans Van Balkom; Verhoeven, Ludo Th (2004). Classification of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s: theoretical issues and clinical implication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SBN 978-0-8058-4122-0. OCLC 803128031.

추가 읽기

외부 링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