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비안 브루스케비츠

Fabian Bruskewitz

파비안 웬델린 브루스케위츠
링컨 명예주교
Fabian Bruskewitz 3.JPG
2011년 브루스케비츠
대교구오마하
교구링컨
임명됨1992년 3월 24일
설치된.1992년 5월 13일
기간이 종료됨2012년 9월 14일
전임자글레논 플라빈
후계자제임스 D. 콘리
주문
서품1960년 7월 17일
루이지 트라글리아 편으로
성결1992년 5월 13일
대니얼 E. 쉬한, 레오 조셉 브루스트, 글레논 패트릭 플라빈
개인내역
태어난 (1935-09-06) 1935년 9월 6일 (86세)
위스콘신 주 밀워키
국적미국인의
디노미네이션천주교
모교교황청 북아메리카 대학
교황청 그레고리오 대학교
좌우명서브 투움 프레이시디움
(당신의 보호 아래)
스타일
파비안 웬델린 브루스케위츠
CoA Fabian Wendelin Bruskewitz.svg
참조 스타일
구어체각하
종교 양식비숍
서품 기록
파비안 브루스케비츠
역사
2관서식
서수:마틴 오코너
날짜1960년 5월 8일
사제 서품
서수:루이지 트라글리아
날짜1960년 7월 17일
장소이탈리아 로마 산티아고 아포톨리 대성당
성공회 성결
주성결사다니엘 유진 쉬한
공동 콘센서스레오 브루스트
글레논 플라빈
날짜1992년 5월 13일
장소네브라스카 링컨부활한 그리스도의 대성당

파비안 웬델린 브루스케위츠(Fabian Wendelin Bruskewitz, 1935년 9월 6일 출생)는 미국 로마 가톨릭 교회원장이다. 그는 네브라스카 링컨의 여덟 번째 주교였으며 2012년에 은퇴했다. 그는 종종 사회 문제에 대해 보수적인 입장을 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조생과 목회

파비안 브루스케위츠는 1935년 9월 6일 위스콘신 밀워키에서 태어났다.[2] 그는 에서 공부하기 전에 지역 교구 학교에 다녔다. 위스콘신 캘버리 산세인트 로런스 신학교. 밀워키에 있는 프랜시스 신학교. 그 후 그는 로마 교황청 북아메리카 대학과 교황청 그레고리오 대학교에서 학업을 배웠고, 1960년 7월 17일 트라글리아 트라기 추기경으로부터 산티아고 대성당에서 사제 서품을 받았다.[2]

미국으로 돌아오자마자 브루스케비츠는 밀워키 인근 교구에서 조교로 활동했다. 이후 대학원 공부를 위해 그레고리오로 돌아와 1969년 독단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2] 그는 성에서 간단히 가르쳤다. 프란치스코 신학교는 11년 동안 일했던 로마 퀴리아에서 가톨릭 교육을 위한 성당에 배정되기 전이었다. 1976년 몬시뇰(Monsignor)의 지위에 올라 1980년 성하 명예 원장이 되었다. 같은 해, 그는 성 목사가 되었다. 워워토사의 버나드 패리쉬.[2]

성공회 경력

1992년 3월 24일 브루스케비츠는 네브라스카 링컨의 8대 주교로 임명되었다. 그는 1992년 5월 13일 대니얼 E 대주교로부터 성공회 성직을 받았다. Sheehan, 주교 Glennon FlavinLeo Brust공동주교로 있는 Rise Christ의 성당에서.[3]

그 교구는 미국에서 사제 대 가톨릭 비율이 가장 높다. 브루스케비츠가 정통성을 강조했기 때문이라는 설이 제기되어 왔지만,[4][5]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교구 내에 신학대학이 존재한다는 설도 있고, 인접한 오마하 교구의 비율이 두 번째로 높다는 것도 주목되고 있다.[4] 링컨과 많은 성직자가 있는 다른 교구들에 대해서는 "마지스테리움으로의 충실성과 전통적 영성이 현저하게 뚜렷하다"[6]고 언급되어 왔다. 브뤼슈비츠 자신은 "젊고 나이든 성직자들의 정통성, 보수성향, 열정은 남부 네브라스카에서 가톨릭 사제관의 화려함을 증명한다"[6]고 언급하고 있다.

브루스케비츠는 교회에서 가장 보수적인 주교 중 한 명으로 여겨졌다.[7] 브루스케비츠 휘하에서 링컨 교구는 미국에서 유일하게 여성 제단 서버가 교구 전체에서 허용되지 않았다.[8]

브루스케비츠는 파비안 브루스케비츠 주교라는 제목의 책을 출판했다. 셰퍼드 스피치.[9]

2010년 9월 6일 브루스케비츠는 주교들의 정년 75세가 되자 교황 베네딕토 16세에게 정식으로 사직서를 제출했다.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2012년 9월 14일 사표를 수리하고 제임스 D 주교를 임명했다. 덴버 대교구의 보조인 콘리가 후계자로 나섰다.[10]

보기

성소수자 권리 반대

브루스케비츠는 1997년 미국 가톨릭주교회의(USCCB) 내 다른 주교들의 동성애 발견에 대처하려는 부모들에게 목회 문서인 '모든 우리 아이들'을 통해 손을 내밀려는 시도를 공개적으로 반대했다. 그는 이 문서를 "건방지고 무서운 재앙"이라고 부르며 다른 가톨릭 신자들에게 이를 무시하거나 반대하라고 조언했다.[11]

그는 가톨릭 사제들에 의한 대부분의 성적 학대가 사춘기 소년들에게 불리하다고 믿고 있으며 '동성애에 대한 사회의 수용'에 뿌리를 두고 있다. 따라서 그는 동성연애자가 "사제가 정기적으로 아이들과 젊은이들과 가까이 지내기 때문에" 유혹을 부추겼기 때문에, 동성연애자가 성직자로 들어가는 것을 절대 허용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해왔다. 하지만, 그는 성직자들의 성적 학대와 동성애 남성들을 가톨릭 신교로 허용하는 것의 잠재적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한 연구를 USCCB에 의뢰하도록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12] 그러나 존 제이 형사사법대학은 성직자들의 성적 학대를 연구하기 위해 USCCB로부터 의뢰를 받았다. 그들[13] 가장 최근 보고서는 미국 가톨릭 사제들에 의한 미성년자 성적 학대의 원인과 맥락이다.

브루스케비츠는 2016년 동성결혼 합법화 노력이 이런 조치에 반대하는 기독교인들을 박해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밝혔다.[14] 이와 함께 그는 항문 성관계와 같은 활동에서의 동성애 관여를 "정상적인 인간에게 혐오스러운" 변태와 변태로 묘사했다.[15]

성 학대 프로그램에 대한 국가 가이드라인

브루스케비츠는 미국 가톨릭 주교회의와 가끔 갈등을 빚어왔다. 예를 들어, 그는 성 학대 프로그램에 대한 국가 가이드라인을 이행하려는 계획에 대한 총회 국가 검토위원회의 감사를 거부하면서, 검토 위원회와 전 페이스 대학교 총장을 모두 언급했다.[16]

패트리샤 오도넬 에워스라는 이름의 한 여성은, '아동 및 청년 보호를 위한 국가 검토 위원회'라는 이름의 의장을 맡고 있는데, 그녀의 이사회는 '링컨 교구의 강력한 형제애 교정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링컨 교구는 언제나 가톨릭 교회의 모든 법과 모든 민법을 완벽하게 준수하고 있기 때문에, 링컨 교구는 고칠 것이 아무것도 없다.링컨 교구는 유어스의 존재 이유와 그녀의 조직에는 아무런 이유가 없다고 본다.

그 문제로 그의 교구가 국민적 관심을 받게 되었다. 브루스케비츠는 2002년 6월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 주교 회의에 참석한 195명의 주교 중 유일하게 어린이와 젊은이들의 보호를 위한 헌장에 서명하기를 거부했다.

그는 가톨릭 교회의 성학대 위기가 가톨릭의 인공 산아제한 교육을 재확인한 교황의 백과사전인 '휴마네 비타에'에 대한 반대와 보다 광범위하게 가톨릭 성윤리에 대한 성리학적 반대와 관련이 있다고 제안했다.[17]

1996년 자동해고령

브루스케비츠는 1996년 자신의 교구에서 천주교 신자들이 다음과 같은 단체에 가입할 수 있도록 자동 파문을 선언하여 전국적인 주목을[18] 받았다. 그는 성명에서 "이러한 단체나 단체의 회원은 항상 가톨릭 신앙에 위험하며 대부분 가톨릭 신앙과 완전히 양립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19][20][21]고 주장했다.

Call to Action은 그의 명령에 반대하여 로마에 호소했지만, 2006년 주교회는 그의 행동을 지지했다.[27][28][29] 브루스케비츠는 파문 당시 '행동에게 전화하라'는 서한에서 "개신교도와 반대하는 가톨릭의 차이점은 개신교가 청렴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30]이라고 썼다.

Regis Scanlon은 Bruskewitz의 법령에 의해 만들어진 논란이 미국 가톨릭 계파를 하나로 모으기 위해 조지프 베르나르딘 추기경이 '카톨릭 공동의 땅 프로젝트'를 성공 없이 시작하게 한 요인 중 하나였을 것이라고 판단했다.교회의 이테리움은 "합법적"이었다.[31]

낙태와 사형

2004년 브루스케비츠는 2004년 대통령 후보 존 케리를 포함한 낙태 권리를 지지하는 가톨릭 정치인들에게 성찬식을 거부할 것이라고 밝혔다.[32][33] 2005년 브루스케비츠는 사형제도 관행을 중단하라는 결의안을 의결했다. 그러나 그는 "사형에 대한 주교들의 가르침에 반대할 수 있고 여전히 성스러운 성찬식에 자신을 제시할 수 있지만 낙태와 안락사에 대한 가르침에는 반대할 수 없으며 성찬식에 자신을 제시할 수 없다"고 말했다.[34]

라틴 미사 지지자

브뤼스케비츠는 노부스 오르도 미사가 미국의 주요 미사가 된 후에도 트리덴타인 미사의 지지자로 계속 활동했다. 서모름 폰티피쿰 이전 브루스케비츠는 방랑자(The Wandererer)에서 몇 안 되는 미국 주교들 중 한 명으로 확인되었는데..."고 요한 바오로 2세가 거듭 요청하고 강조한 대로 에클레시아 데이 인덜트 신청에 관대했던 사람들."[35][36] 다른 사람들은 세인트루이스의 레이몬드 버크 대주교였다. 루이스, 텍사스 타일러의 알바로 코라다 리오 주교, 일리노이주 록포드의 토마스 도란 주교.

요가 반대

2015년 그는 여성들에게 요가를 하지 말 것을 촉구하는 공문을 냈다. 그는 요가가 힌두교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따라서 "기독교와 양립할 수 없다"[1]고 주장했다.

무기

파비안 브루스케비츠의 국장
CoA Fabian Wendelin Bruskewitz.svg
메모들
그가 네브라스카 링컨의 주교로 설치되었을 때, 그 무기는 디자인되고 채택되었다. 그것은 로드 아일랜드의 나라고간셋의 폴 J. 설리번이 디자인했다.[37]
채택된
1992
에스컷천
그의 관할 구역인 링컨 스프링펠드 교구의 팔은 디자인의 손재주(왼쪽)에서 보인다. 오른쪽 윗부분, 빨강과 은의 자이로니. 그 가운데에는 금(노란색) 접시가 있고, 그 위에는 비둘기가 놓여 있다. 아랫부분은 브루스케비츠 계열의 팔을 약간 변형한 것으로, 1쿼터와 4쿼터는 파란 십자가를 가지고 있다.
좌우명
그는 자신의 좌우명을 위해 '당신의 보호 아래'라는 뜻의 'SUB TUUM PRAESIDium'을 성모 마리아에게 바치는 그레고리우스 찬송가의 제목과 첫 행을 선택했다.
상징성
팔의 오른쪽은 그의 개인적인 팔이다. 위쪽 부분인 빨강과 은(흰색)의 자로니는 그가 링컨의 주교로 선출될 때까지 근무했던 밀워키 대교구의 팔에 대한 변형이다. 중앙 비둘기는 그의 세례식 후원자인 세인트 파비안을 기리기 위한 것이다. 아랫부분은 '브루스케비츠' 가문의 팔을 약간 변형한 것으로, 이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각하께서는 부모 웬델린과 프란체스(탈스키) 브루스케비츠의 유산을 기린다. 1쿼터와 4쿼터에는 파란색의 원형들을 파란 십자가로 교체하는 등 가족 팔이 다르게 다양했다.

참고 항목

참조

  1. ^ a b Andersen, Erin (May 22, 2015). "Catholic bishop tells women to abstain from yoga". Lincoln Journal Star.
  2. ^ a b c d "Bishop Fabian Bruskewitz".
  3. ^ 파비안 웬델린 브루스케위츠 주교, catholic-hierarchy.org[self-published source]
  4. ^ a b "Priestly shortage? Not in Lincoln". Catholic News Agency. October 26, 200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2, 2006.
  5. ^ 링컨, 네브라스카 - 세미나를 2006-12-06년 웨이백 머신보관보컬로 채우는 방법 - Fr T.I. 토번, AD2000, Vol 6 No 8 (1993년 9월), 페이지 4
  6. ^ a b 미국의 지글러, 제프 프리스틀리 보컬스: 숫자의 보기, 이그나티우스 인사이트는 원래 2005년 7월 카톨릭 세계 보고서에 실렸다.
  7. ^ "Bishops compile song list to put Catholics on same page of hymnal".
  8. ^ https://www.usatoday.com/news/religion/2006-03-22-altar-girls_x.htm
  9. ^ 이그나티우스 프레스 2006-03-16년 파비안 브루스케비츠 주교웨이백 머신 설명에 보관: 셰퍼드 스피치
  10. ^ 브루스케비츠 주교의 후계자로 지명되었다.
  11. ^ "Diocese of San Diego promotes LGBT retreat headed by Protestant dissidents". California Catholic Daily. April 30, 2018.
  12. ^ "Signs of the Times". America. July 29, 2002.
  13. ^ http://votf.org/johnjay/John_Jay_Causes_and_Context_Report.pdf
  14. ^ Chapman, Michael W. (March 8, 2016). "Catholic Bishop: Gay Marriage Is 'Repulsive' And Will Seek 'To Destroy Everything Christian'". CNSNews.com.
  15. ^ 안데르센, 에린. "브루스케비츠: 동성애자의 권리는 '기독교인의 모든 것을 파괴하는 것'을 추구한다." 링컨 저널 스타, 2016년 3월 18일 2017년 4월 18일 회수
  16. ^ "Bishop Bruskewitz가 2006년 4월 2일, Catholic World NewsNational Review Board를 향해 쏘아붙인다."
  17. ^ "Bishop Fabian W. Bruskewitz Speech on Humanae Vitae". PRI Staff. Population Research Institute. March 11, 2003.
  18. ^ Wayback Machine에 2006-06-18을 보관TV 오늘인터뷰 세그먼트
  19. ^ Bruskewitz, Fabian W. (March 22, 1996) [March 19, 1996]. "Statement of Bishop Bruskewitz excommunicating certain groups". Southern Nebraska Register. Denver, CO: Catholic Press Society. Roman Catholic Diocese of Lincoln. ISSN 0744-695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12, 2012. Retrieved May 29, 2011 – via catholicculture.org.
  20. ^ Hansen, S. L. (December 8, 2006). "Vatican affirms excommunication of Call to Action members in Lincoln". catholicnews.com. Washington DC: Catholic News Servi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07-10.
  21. ^ a b "네브라스카에 있는 일부 가톨릭교도 면회 명령" 뉴욕 타임즈. 1996년 5월 17일. 2011년 5월 29일 회수
  22. ^ Call To Action 보도 자료 2006-06-18 Wayback Machine보관
  23. ^ 1996년 5월 웨이백 머신에서 SSPX 아카이브 2010-12-24와 DIALOGASS산 대화 상자
  24. ^ 1996년 6월 웨이백 머신에서 SSPX Archived 2010-12-24와 DIALOGESS산 대화록
  25. ^ 1996년 7월 웨이백 머신에서 SSPX Archived 2010-12-24와 DIALOGESS산 대화록
  26. ^ EWTN: "파비안 브루스케비츠 주교와의 인터뷰" 1996
  27. ^ 콜 스탠드: 러너 아웃, 카톨릭 세계 뉴스
  28. ^ "바티칸은 미국의 반체제 단체에게 파문을 통보했다." 카톨릭 세계 뉴스
  29. ^ 링컨 저널 스타: 2006년 12월 7일 "바티칸은 해고 판결을 지지한다"
  30. ^ Johnson, Dirk (March 26, 1996). "Nebraska Bishop Threatens Excommunication for Dissenters".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May 15, 2020.
  31. ^ 레지스 스캔론, "교차로에 있는 미국 가톨릭 신자", 호밀레틱과 목회 리뷰 1997년 7월
  32. ^ 스포트라이트에 대한 믿음, 국가 가톨릭 등록부
  33. ^ 마이클 폴슨, 2004년 4월 11일 보스턴 글로브에서 "케리와 성찬을 둘러싼 논쟁"
  34. ^ Laugesen, Wayne (May 27, 2005). "Bishops Debate, Renew Call for Death Penalty End". The National Catholic Register. Retrieved May 15, 2020.
  35. ^ 방랑자: 2005년 12월 1일 "증거가 리판 주교를 우나 보체 회의에 데려온다"
  36. ^ 2006년 2월 1일 "Bishops Bruskewitz and Corrada는 1962년 미스al이 미래의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37. ^ 웨이백머신보관된 2012-12-30 파비안 브루스케비츠의 무기

외부 링크

성공회 계승

가톨릭 교회 직함
선행자 링컨 주교
1992 - 2012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