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브르나 에클레시아아과

Fabrica ecclesiae

가톨릭교회에서 fabrica eclesiæ('교회의 작업실'을 위한 라틴어)는 어학적으로 교회 건축을 의미하지만, 더 넓은 의미에서 그러한 건축에 필요한 자금이다.

이 표현은 또한 교회의 보수와 유지, 예배의 일상 경비, 그리고 이러한 비용을 충당하는데 필요한 금액을 지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 특정한 연결에서 이 표현은 교황 심플리시우스아우피나의 주교인 가우덴티우스에게 보낸 편지(475년 11월 19일)에서 처음 접하게 되지만, 그때까지도 불경스러운 사용에서 차용되어 새로운 것은 아니었다.

역사

첫 번째 기독교 세기 동안 교구 전체에서 종교 예배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을 충당하고자 하는 시간적 요인은 전적으로 성당 교회에 속했고, 주교가 선택적으로 종교 비용을 지출하고, 그의 목사들을 지원하고 가난한 사람들을 돌보는 데 사용한 공동 기금을 구성했다..

그러나 5세기, 특히 이탈리아에서는 이 공동기금이 네 부분으로 나뉘었고, 그 중 하나는 원단 에클레시아를 위해 적립되었다. 그러나 494년 시칠리아에서는 특별히 그 원단을 위해 남겨진 부분이 없었고, 가울에서는 그런 할당을 알 수 없었던 것 같다. 스페인에서는 교회 수입의 3분의 1이 원단과 동의어인 루미나레(조명)에 할당되었다.

농촌 지역에서 기독교가 증가함에 따라 규율의 변화가 생겼고, 이에 따라 각 교회는 별도의 유산을 얻게 되었다. 사실, 후원자들은 더 이상 그들의 선물을 교구 전체에서 주지 않고, 종종 그곳에서 특별히 존경받는 몇몇 성인을 기리기 위해 특정한 한 교회에 주었다. 공동기금 자체가 교구 교회들 사이에서 갈렸다. 어떤 작가들은 이 분열이 교회적 은인의 확립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또 다른 작가들은 교회의 사적 소유권에 대한 표준적 인식을 따랐다고 주장한다.

설립자들에 의해 소유권이 완전히 포기된 교회들에 대한 공공 예배의 행사를 제한하려고 헛되이 노력한 끝에, 캐논법은 결국 개인, 수도원, 심지어 성공회 멘사, 부동산의 사유재산으로 남아 있는 교회들에 대한 공공 예배를 허용했다. 그러나 소유주는 교회의 필요(pro sertis tectis, 또는 루미나레)를 위해 특별한 기금을 따로 떼어 둘 의무가 있었다. 따라서 주교가 새로운 교구를 설립할 때, 그는 만약 다른 어떤 후원자도 교구를 기부하지 않았다면 물론 교구 재산이나 기금에서 공제될 정해진 수입으로 교구의 필요를 충당하게 되었다. 어떤 사람들은 봉건사회를 지배하는 원칙의 결과 중세 교회와 그 수익은 사유재산이 되었고, 가구에 관한 교황 그레고리 7세와 그의 후계자들이 신성로마제국에 대항한 갈등은 사실 잃어버린 재산을 교회적 영역으로 되돌리기 위한 노력이었다고 주장한다. 그렇게 많은 분쟁의 결과는 이전의 소유권이 주스 후원자의 '후원권'으로 변모한 것이었다.

교회 소유권이 이러한 단계를 거치고 있는 동안, 캐논 법률은 누가 특정 교회의 유지, 즉 그 주인과 그 수익의 모든 수령자(프랭크포르의 시노드, 794년)에 기여해야 하는지를 결정하였다. 따라서 고통에 시달리는 가운데, 교회의 후원자는 그 유지에 대한 부담을 분담해야 한다.; 그래서 너무 교회적 은인의 현직자와 십일조를 부여받은 사람들(십이지장자)이다. 마지막으로 교회의 자원이 부족할 때는 신자 스스로가 신성한 예배의 비용에 기여할 수밖에 없었다. 이 조항들은 그레고리 9세(cc. i와 iv de Eclesis ædificandandis, III, 48), 트렌트 평의회(Sess. XXI, de ref. c. 7)에 의해 승인되었다. 이 문제에서 공통의 교회법을 대표한다.

임원

직물(fabrica eclesii)은 또한 교회 재산의 관리를 담당하는 사람들, 보통 평신도들을 의미한다. 그들의 조직은 한 나라마다 다르고, 같은 나라에서 일률적으로 조직된 것도 아니다. 후원권을 부여받는 교회와 수도원이 있는 시간적 행정에도 합당한 교회들은 이러한 의존적 조건에 의해 다른 교회들보다 더 밀접한 영향을 받았다. 그런 교회에서 후원자는 때때로 시간 관리를 위해 장교를 임명했다. 흔히 "교회 직물"은 13세기를 거치지 않는다고 여겨진다. 교회 1세기에는 주교가 사제와 사제의 도움으로 교회 재산을 관리했지만, 4세기에는 동양과 서양 부르사르의 일부 국가(경제학)에 나타나 주교의 지시에 따라 교회의 시간적 사무를 관리했고, 다른 나라에서는 주교가 계속되었다. 그가 선택한 믿을 만한 사람의 도움을 받아 교회 재산을 관리한다.

각 교회가 그들만의 특별한 유산을 갖게 되었을 때, 주교는 당연히 그러한 재산의 관리를 지역 성직자들에게 넘겨주어야 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제권을 남겨두어야 했다. 오랫동안 인베가스가 충돌하는 동안 이 권리는 완전히 소멸되었다. 평화가 회복되었을 때, 성직자들은 종종 교구의 주민들에게 종교 비용을 부담하라고 호소할 의무가 있었다. 특히 프랑스와 영국에서, 모인 교구민들은 지역사회가 부담해야 할 비용의 일부를 설립했다. 당연히 이 집회는 교구 시간제의 관리와 관련된 가장 중요한 행위와 관련하여 자문되었다. 그러한 목적을 위해, 그것은 편협한 사용을 위해 따로 마련된 교회 재산의 통상적인 관리에 참여하는 일반 대표들을 선정했다. 그들은 베스리맨, 교회원, 프로큐레이터(프로쿠라토르), 맘부르(맘부르니), 루미나리에, 가거, 프로비소스, 유리리치, 오페라리, 알티르만니 등으로 불렸다.

13세기 의회에서 자주 언급되는 것은 평신도들에 의해 시간적 사무의 행정에 참여하기 위해 동료 평신도들에 의해 선택되었고, 동시에 교구 사제와 교회의 권위에 대한 권리는 유지되었다. 편협한 재산에 대한 독점적인 일반 행정의 경향을 점검하기 위한 14세기, 15세기, 16세기의 의회에서 반응이 보인다.

결국 트렌트 평의회(Sess. XXII de ref. c. ix)는 교회 재산 관리에 참여하는 것을 인정했지만, 평신도 관리자들이 항상 그리고 모든 장소에서 주교나 그의 대리인에게 연차 계정을 제공할 것을 요구했다. 어떤 일반 법률도 직물 위원회의 역량이나 구성을 결정하지 못했기 때문에(콘솔 드 파브리크) 이런 점에서 매우 큰 편차가 있었다. 근대에 들어 세속적인 권력은 예배를 목적으로 따로 떼어 놓은 교회 재산의 관리와 교회 직물의 조직화에 자주 간섭해왔다. 대부분의 유럽 국가에서 국가는 교회 재산의 관리와 교회 직물의 진행을 규제한다. (성전건축물에서 시행 중인 규정의 개요를 참조한다.)

오페라

오페라투스카니(이탈리아)에서 원단 에클레시아의 기초를 설명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다. 이탈리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용어는 팹브리케리아(Fabbriceria)이지만, 지역 단체들은 지역에 따라 오페라(Opera), 또는 팹브리카(Pabbrica)나 카펠라(Cappella) 또는 마라마(Maramma)를 대신 사용한다.

오페라 로고. 읽기: 오페라에서 의미하는 O PER æ

오페라는 고해성 재단으로 주교와 내무부의 일부에서 선출된 대표단이 주도한다. 이것은 이탈리아 전역의 Fabrica Eclesiae 파운데이션의 고도로 다각화된 성질의 오래된 유산이다. 원래 그들은 그들의 영적인 일과 금전적인 일을 분리하고자 하는 주교들에 의해 지정되었지만, 수 세기 동안 지방 정부 출신의 사람들이 대표단에 들어갔다. 과거에는 원단을 통제하는 것이 매우 중요했는데, 그들은 곡물의 상업을 관리하고 여러 궁궐을 소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것은 마치 도시의 제2의 주님이 되는 것과 같았다. 오늘날 직물들은 단지 그들의 건물을 복원 공사, 유지 보수, 감시, 그리고 매일의 종교 봉사를 방해하지 않고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대부분의 직물들은 2007년에 설립된 전국 협회인 Associazione Fabbricerie Italiane의 산하에 있다. 다음의 직물들은 Assiiazione Fabbricerie Italiane의 일부분이다.

  • 오페라 라아칼레 델라 카테드랄레 디 치우시 (치우시)
  • 오페라 디 산타크로스 디 피렌체 (플로렌스 산타크로스 교회)
  • 오페라 산타 마리아 델 피오레 디 피렌체 (플로렌스성당)
  • 베네란다 파브리카 델 두오모 디 밀라노 (밀라노카케드랄)
  • 오페라 델 두오모 디 오르비토 (오르비토의 )
  • 파브리카 델라 바실리카 카테드랄레 디 파르마 (파르마의 성)
  • Fabbriceria deella Chiesa Cattedrale Monumbale di S. 파비아의 스테파노 마르티레 (파비아고양이)
  • 파브브리케리아 델라 치에사 캣테드랄레 디 피엔자 (피엔자고양이)
  • 오페라 델라 프리마지알레 피사나 (피사)
  • 오페라 델 두오모 디 프라토 델라 치에사 캣테드랄 기념비적인 디 S. 스테파노 (프라토고양이)
  • 오페라 델라 메트로폴리탄다 디 시에나 (시에나)
  • 파브리카리아 델라 사그레스티아 델라 카테드랄레 디 토디(토디)
  • 프로쿠라토리아 디 산 마르코 디 베네치아 (베니스)
  • 오페레 에클레시아체 리우나이트 디 몬테풀치아노 (몬테풀치아노)
  • 파브리카리아 델 두오모 디 몬레알레 (몬레알레 주)

원천

  • Public Domain Herbermann, Charles, ed. (1913). "Fabrica Ecclesiæ". Catholic Encyclopedia.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

이 글에는 현재 공개 도메인에 있는 출판물의 텍스트가 통합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