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브리스 루치니
Fabrice Luchini파브리스 루치니(프랑스어 발음: [파브지스 리키니]; 출생 로버트 루치니; 1951년 11월 1일)는 프랑스의 무대 및 영화 배우다. 그는 포티체, 6층의 여성들, 그리고 인 더 하우스와 같은 영화에 출연했다.
2015년 영화 Courted에서의 역할로 그는 제72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에서 남우주연상을 수상하였다.[1]
인생과 경력
파브리스 루치니는 파리에서 아시시[2] 출신의 이탈리아 이민자 가족으로 태어났다. 그는 녹색당원이었다. 그는 파리의 18대 아론분화에서 구테 도르의 이웃 근처에서 자랐다. 그가 13살이었을 때, 그의 어머니는 그를 마티뇽 애비뉴에서 유행하는 패러브에서 미용사로 도제했는데, 그곳에서 그는 자신의 본명인 로버트 대신 미용사의 아들 파브리스의 이름을 택하게 된다. 그의 첫 번째 영화 배역은 1969년 투트 퓌트였다. 그 후 그는 1970년에 Eric Rohmer의 Le Genou de Claire에 출연해 청소년으로서의 작은 역할을 맡았다. 그는 계속해서 로메르의 Peceval Le Gallois와 Les Nuits de la pleine lune에 출연했으며, 또한 Nagisa Ohima, Pierre Zucca, Claude Lelouch, Cedric Klapisch, Edouard Molinaro가 감독한 영화에도 출연했다. 1990년에 그는 크리스찬 빈센트 라 디크레트에 출연했다.
선택 필모그래피
- Tout Peuther (1969년) - Fabrice
- 르 게노 드 클레어(1970년) - 빈센트
- 발파라이소, 발파라이소(1971)
- 콘테스 이모로(1973) - 안드레 / 줄리의 사촌 - 이야기 1
- 빈센트 mit l'ann dans un pré (et s'en 빈트 단스 l'autre)(1975) - 빈센트 베르그네
- Ne(1975)
- 레스 에크란 데치레(1976년, 쇼트) - 파브리스
- 바이올렛 노지에르(1978년) - 카뮈, 레투디안트
- Pisceval Le Gallois(1978) - Pisceval
- Meme les mômes ont du ar l'me(1980) - 아서
- 라 펨므 데 라바티푸르(1981) - 메르실라트
- 라포레 데센찬테(1981년, 쇼트)
- T's folle ou kuoi? (1982년) - 장프랑수아 세브란
- 지미 재즈(1982년, 쇼트) - 파브리스
- 지그재그 스토리(1983) - 밥 헴러
- Il ne faut jurer de rien (1983년, Short)
- 레트레 드 라 시에라 모레나 (1983년)
- 에마뉘엘레 4 (1984) - 오스왈도
- Les nuits de la fleine lune(1984) - 옥타브
- 루지-고지(1985) - 프레데릭
- 교수(1985) - 미셸
- Conseil de Famille (1986) - 그늘진 변호사
- Max mon amour (1986) - 니콜라스
- 트리플 초(1986, 쇼트)
- 4개의 아벤투르 드 르넷 외 미라벨(1987) - 그림 그리기 세일즈맨
- Hôtel du paradis (1987) - 아서
- 레오릴레스는 레스 덴트를 포함한다(1987) - 뤽 파브리
- 알루엣, je te flumerai(1988) - 자크
- La Couleur du vent(1988) - Serge
- La discréte (1990) - 앙투안
- 천왕성(1990) - 주르단
- 카사노바 레투르 드 카사노바(1992) - 카밀
- Riens du tout(1992) - Lepetit
- L'Arbre, Le maire et la médiathéque(1993) - Marc Rossignol - 학교 교사
- 독성 사건(1993) - 분석가
- 토우트 차... 붓다!(1993) - 파브리스 레노먼드
- 샤베르트 르 대령(1994) - 더빌
- L'anée Juliette(1995) - Camille Prader
- 보마르카이, 인솔렌트(1996) - 피에르-아우구스틴 카론 드 보마르카이
- 옴므, 팜, 모드 덴플로이(1996) - 파비오 리니
- Air So Pure(1997) - 매그너스
- 르 보수(1997년) - 곤자그
- Rien sur Robert (1999년) - Didier 사원
- 파스 드 스칸데일(1999) - 그레고어 제앙쿠르
- Barnie et ses petites contariétés(2001) - Barnie
- Le coht de la vie (2003) - 브렛
- 가끔 열대지방에 있는 사람들(2004) - 윌리엄
- 라 클로체 a sonné(2005) - 사이먼 아르코스
- 장필리프(2006) - 파브리스
- 몰리에르(2007) - M. 주르데인
- 파리(2008) - 롤랑 베르누일
- 라 필레 드 모나코(2008) - 베르트랑 보부아
- Musée haut, Musé bas(2008) - Ungardien musée Malraux
- My Father's Guests(2010) - Arnaud Paumelle
- 포티체(2010) - 로버트 푸졸
- 레 팜 뒤 6에메 에지(2010) - 장 루이 주베르
- 하원(2012년) - 저메인 저메인
- 아스테릭스·오벨릭스: 신 세이브 브리타니아(2012) - 쥘 세사르
- 알케스테 아 바이클렛(2013년) - 서지 타누르
- 젬마 보베리(2014년) - 마틴 주버트
- 운데뷔르(2015년) - 프란시스 바우벨
- 르헤르민(2015년) - 미셸 라신
- 슬랙 베이(2016년) - 안드레 반 페테그헴
- 운 옴므 프레스레 (2018) - 알랭 와플러
- 렘페레우르 드 파리 (2018) - 푸셰
- 앙리 픽의 미스터리 (2019) - 장-미셸 루슈
- 잔 다르크 (2019년) - 프랑스의 왕
- 앨리스와 시장 (2019년) - 폴 테라노
- Le Meilur reste a venir(2019) - Arthur
- 텔레비전
- La chaîne (Claude Santelli의 TV 영화) – Laurent (1979)
- 판타지마스 [ (TV 미니시리즈) – 보나딘(1980)
- "레트레인트 듀이블"(Juan Luis Buknuel)
- "레차포 매직"(클로드 샤브롤)
- 르보 몽드 (미셸 폴락 TV 영화) – 장 피에르 다빈 (1981년)
- 세리누아르 (TV시리즈)
- "Adieu la vie"(Maurice Dugowson) – 코왈(1986)
- "La fée carabine"(이브 보이셋) – 목사(1988) – 목사 (1988)
- 뚜앙보엣(Charles Nemés의 TV 미니 시리즈) – 미니맥스(1986)
- 레즈 서류 de l'écran(TV 시리즈)
- 라젠트 뒤 머르 (장 프랑수아 들라수스의 TV 영화) – 베른드 (1988)
- Au nom du peuple france (Maurice Dugowson) – 로베스피에르 (1988)
- 레스누츠 레볼루션장어(Charles Bravant의 TV 미니시리즈) – 후게노 산스쿨로떼(1989)
- 6가지 범죄 산사범 (버나드 스토라 TV 영화) – 사이먼 램피아스 (1990)
- 내 에이전트 호출! (TV 시리즈 / 1편) - 본인(2017년)
극장
- 수행 고도트 (1978년)
- 트로을루스와 크레시다(1979)
- De toutes les couleurs (1982)
- Boyage au bout de la nuit (1986)
- 르빌레우르 드 누이트 (1986)
- 라발스 뒤 하사드 (1986)
- 르 시크릿 (1987)
- Boyage au bout de la nuit (1987년)
- Boyage au bout de la nuit (1988)
- 언폴리 렉트리크(1989)
- 듀스 팜므파티는 환타지와 라 베이비시터를 붓는다(1990년)
- 라 소시에테 드 챠세(1991)
- Partengers(1993)
- « 아트 »(1994)
- Fabrice Luchini dit des textes de Baudelaire, Hugo, La Fonttaine, Nichane (1996년)
- 단순화(1996)
- 라리베 아 뉴요크(2000년)
- Ecoute monami (et auttes de Louis Jouvet)(2002)
- Knock ou leamphe de la médecine(2002)
- Fabrice Luchini dit des textes de La Fontaine, Niches, Céline, Baudelaire(2005)
- 몰리(2005)
- Le Point sur Robert(2006, 2007, 2008, 2009)
- 파브리스 루치니는 필리프 무레이에게 불을 붙였다(2010, 2011, 2012).
- 라퐁텐(2011년)
- Une heure de talkillité(2013년)
문학
- 2010년, 파브리스 루치니는 두 책의 서문을 썼다: 판스 옥수스가 출판한 A la rencentre de Sacha Guitry와 프레스 드 라 르네상스가 출판한 Laurent Terzieff의 Sul avec tous.
- 2011년, 그는 Les Cahiers d'histoire de la 철학(Edensions du Cerf)이 출판한 필립 무레이의 저서에 협력했다.
- 또한 2011년에는 파브리스 루치니 조명을 받은 파편을 아우디올립을 통해 아무레우를 단념케 하는 파브리스 루치니 조명을 출시하였다.
- 2012년에는 바클레이 / 유니버설 뮤직 프랑스에 CD와 DVD로 변주곡(La Fonttaine & Baudelaire)을 발매하였다.
수상
- 프릭스 장 가빈(1991)
- 세사르상 남우조연상, 투트 차... 붓다! (1994)
- 프릭스 뒤 브리아디에(2002)
- 제29회 모스크바 국제영화제 남우주연상 은조지(2007)[3]
- 제72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남우주연상 수상 볼피컵(2015년)
참조
- ^ "LIVE: The winners of the 72nd Venice Film Festival". Retrieved 12 September 2015.
- ^ "L'énigme Luchini" (in Italian). Retrieved 27 May 2015.
- ^ "29th Moscow International Film Festival (2007)". MIFF.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April 2013. Retrieved 2013-05-30.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파브리스 루치니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