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루크 호르미즈드

Farrukh Hormizd

호르미즈드 5세라고도 알려진 파루크 호르미즈드 또는 파로크 호르미즈드(Parrokh Hormizd)는 이란의 왕자로, 7세기 초 사사니아계 이란의 대표적인 인물 중 한 명이었다. 는 이란 북부의 군사령관(스파흐베드)을 지냈다. 그는 후에 "이란의 자원을 나누며" 이란 귀족들과 갈등을 빚었다.[1] 그는 후에 사산 왕좌를 탈취하기 위해 그녀에게 청혼한 후 아자르미도흐트의 명령으로 궁전 음모에서 시야바흐쉬에 의해 살해되었다. 그에게는 로스탐 파로크자드파루크자드라는 두 아이가 있었다.

배경

파루크 호르미즈드(Parlukh Hormizd)는 이스파흐부단 가문의 일원으로, 7개의 파르티아 가문 중 한 명이었다. 그는 바위의 후손인 빈두이의 아들이었으며, 그의 여동생은 카바드 1세의 아내였으며, 호스로 1세의 어머니였다. 파루크의 아버지와 삼촌 비스타헴미흐라니드 바흐람 초빈을 물리치고 호스로 2세를 왕위에 복귀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러나 호스라우는 빈두이흐를 처형하게 하였고, 이로 인해 비스타헴이 그에게 반기를 들게 되었다. 비스타옴의 반란은 590/1–596 또는 594/5–600까지 지속되었고, 그는 자신의 장군 중 한 명에게 배신당했다. 비스타옴이 죽은 후, 파루크는 그의 뒤를 이어 북쪽의 첨탑이 되었다.

경력

602–628년 비잔틴-사사니아 전쟁 후 파루크 호르미즈드와 그의 아들 로스탐 파로크자드는 호스로우 2세에 반기를 들어 비잔틴 황제 헤라클리우스아트로파테네를 침공할 수 있게 하였고, 그곳에서 아두르 구스나프 사원을 비롯한 여러 도시를 약탈했다.[2]

628년 이란의 봉건 가문들은 비밀리에 호스로를 상대로 반란을 일으켜 샤흐르바라즈에 가담했다. 카바드는 그 후 사사니아 제국의 봉건 가문들에 의해 석방되었는데,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파루크 호르미즈드 자신이 대표로 있는 이스파흐부단 가문과 그의 두 아들 로스탐 파로크자드, 그리고 파루크자드로 대표된다. 미흐란 가문을 대표했던 샤흐르바라즈. 바라즈티로트 2세 바그라투니로 대표되는 아르메니아 파벌과 마침내 카나랑으로 대표되는 것이다.[3]

2월 25일 쉐로는 그의 지휘관 아스패드 구스나프와 함께 크테시폰(Ctesiphon)을 붙잡아 호스로 2세를 감금했다. 그 후 그는 자신을 사산 제국의 샤라고 선언하고 카바드 2세의 왕조를 자처했다. 그는 계속해서 그의 형제들과 이복 형제들을 모두 처형시켰는데, 그는 호스로가 가장 좋아하는 아들이었던 후계자 마르단샤를 포함했다. '교육이 좋고 용맹하고 의협심이 강한 남자들'[4]이라는 그의 형제들을 모두 살해한 것은 미래의 유능한 통치자의 사사니아 왕조를 묶었고, '미친 광란'과 '무모한'으로 묘사되어 왔다.[5] 사흘 후 그는 미어 호르모즈드에게 아버지를 처형하라고 명령했다. 그러나, 아버지의 살해 후 카바드는 미어 호르모즈드도 살해하는 것을 계속하였다.[6] 이어 이란 귀족들의 합의로 승리한 헤라클리우스 황제와 화해를 하였는데, 이 덕분에 614년 예루살렘에서 사라진 참십자사유물과 함께 비잔틴인들이 잃어버린 영토, 붙잡힌 병사, 전쟁 배상금을 모두 (재)할 수 있었다.[7]

호스로 2세의 몰락은 4년간 지속된 내전으로 절정에 달했고, 귀족의 가장 강력한 구성원들이 완전한 자치권을 얻고 그들만의 정부를 만들기 시작했다. 페르시아인(파르시그)과 파르티아인(팔라브) 귀족 가문의 적대관계도 재개되어 국가의 부를 분열시켰다.[4] 달 후, 파괴적인 페스트가 서부 사사니아 지방을 휩쓸어 카바드 2세를 포함한 인구의 절반이 죽었다.[4] 그는 8살 난 아들 아르다시르 3세의 뒤를 이었고, 2년 후 이란의 저명한 장군 샤흐르바라즈에 의해 살해되었는데, 그는 40일 후 파루크 호르미즈드의 쿠데타로 차례로 살해되어 보란을 왕위에 오르도록 도왔다.[8]

보란이 왕위에 오르자 그녀는 파루크 호르미즈드를 제국의 최고 장관(우주르크 프라마다르)으로 임명했다.[9] 이어 그녀는 정의 구현, 인프라 재건, 세금 인하, 동전 채굴 등을 통해 이란에 안정을 가져다주려 했다.[10] 그녀의 통치는 파르스, 쿠제스탄, 미디어, 아바샤르 지방에 있는 그녀의 동전 던지기로 보아 명백하게 귀족과 성직자들에게 받아들여졌다.[10][11] 그녀의 성별에 대한 반대 목소리는 나오지 않았다.[12] 그러나 얼마 후 그녀는 630년에 퇴위되었고, 샤흐바라즈의 아들이자 호스로 2세의 누이인 샤푸르-이 샤흐르바라즈는 이란의 샤가 되었다.[13] 그러나 강력한 장군 피루즈 호스로우파르시그파에게는 인정받지 못했다. 따라서 샤푸르이 샤흐르바라즈는 보란의 누이인 아자르미도흐트에게 유리하게 퇴위되었다.[14]

유습과 죽음

파루크 호르미즈드는 파흘라프와 파르시그 사이에 권위를 강화하고 모듬 비벤디를 만들기 위해 아자르미도흐트(파르시그 지명자)에게 청혼했다.[15] 그러나 아자르미도흐트는 사양했다.[16] 파루크 호르미즈드 대통령은 자신의 제안이 거절된 후 "오늘 나는 인민의 지도자며 이란 나라의 기둥"이라고 선언하며 "더 이상 왕좌 자체를 외면하지 않는다"고 말했다.[16] 그는 군주와 같은 방식으로 동전을 채굴하기 시작했는데, 특히 파르스이스타크르와 미디어의 나하반드에서 그러했다.[16] 아자르미도흐트는 파루크 호르미즈드를 상대하기 위해 이란의 유명한 군사령관(스파흐드)이자 잠깐 샤인 바흐람 초빈의 손자였던 미흐라니드 왕조 시야바흐쉬와 동맹을 맺은 것으로 추정된다.[17] 시야바흐쉬의 도움으로 아자르미도흐트는 파루크 호르미즈드를 살해했다.[18]

당시 호라산에 주둔하고 있던 로스탐 파로크자드가 그의 뒤를 이어 팔라브 족의 우두머리가 되었다. 아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 그는 "만난 아자르미도흐트의 모든 군대를 물리치고"[19] 크테시폰으로 떠났다. 그 후 크테시폰에서 시야바흐쉬의 군대를 격파하고 도시를 점령했다.[19] 아자르미도흐트는 얼마 지나지 않아 보란을 왕위에 복귀시킨 로스탐에 의해 눈이 멀고 살해되었다.[19][20]

가계도

레전설
오렌지
상제, 하느님
노란색
바위
샤푸르
빈두이허비스타옴
파루크 호르미즈드티루이흐빈두이허
로스탐 파로크자드파루크자드
샤흐람수르카브 1세이스판다드바흐람파루칸

참조

  1. ^ 사산 왕조, A. 샤푸르 샤바지, 백과사전 이란카(2005년 7월 20일)[1]
  2. ^ 푸샤리아티(2008), 페이지 152-153
  3. ^ 푸샤리아티(2008), 페이지 173
  4. ^ Jump up to: a b c 샤바지 2005.
  5. ^ 기아 2016, 페이지 255-256.
  6. ^ 알타바리 1985-2007, v. 5: 페이지 398.
  7. ^ 오만 1893, 페이지 212. (
  8. ^ Poursharati 2008, 페이지 185.
  9. ^ Chaumont 1989, 페이지 366.
  10. ^ Jump up to: a b 다래이 1999, 페이지 77–82.
  11. ^ 다래이 2014 페이지 59.
  12. ^ 에므라니 2009, 페이지 6.
  13. ^ Poursharati 2008, 페이지 204–205.
  14. ^ Poursharati 2008, 페이지 204.
  15. ^ Poursharati 2008, 페이지 205–206.
  16. ^ Jump up to: a b c Poursharati 2008, 페이지 205.
  17. ^ Poursharati 2008, 페이지 206, 210.
  18. ^ Poursharati 2008, 페이지 206.
  19. ^ Jump up to: a b c Poursharati 2008, 페이지 210.
  20. ^ Gignoux 1987, 페이지 190.

원천

  • Schmitt, Rüdiger (2005a). "Personal Names, Iranian iv. Sasanian Period". Encyclopaedia Iranica.
  • Schmitt, Rüdiger (2005b). "Personal Names, Iranian iv. Parthian Period". Encyclopaedia Iranica.
  • Pourshariati, Parvaneh (2008). Decline and Fall of the Sasanian Empire: The Sasanian-Parthian Confederacy and the Arab Conquest of Iran. London and New York: I.B. Tauris. ISBN 978-1-84511-645-3.
  • Daryaee, Touraj (2014). Sasanian Persia: The Rise and Fall of an Empire. I.B.Tauris. pp. 1–240. ISBN 978-0857716668.
  • Daryaee, Touraj (2009). "Shapur II". Encyclopaedia Iranica.
  • Kia, Mehrdad (2016). The Persian Empire: A Historical Encyclopedia [2 volumes]: A Historical Encyclopedia. ABC-CLIO. ISBN 978-1610693912.
  • Chaumont, Marie Louise (1989). "Bōrān". Encyclopaedia Iranica, Vol. IV, Fasc. 4. p. 366.
  • Sundermann, W. (1988). "Bānbišn". Encyclopaedia Iranica, Vol. III, Fasc. 7. London et al. pp. 678–679.
  • Brosius, Maria. "WOMEN i. In Pre-Islamic Persia". Encyclopaedia Iranica, Vol. London et al.
  • Al-Tabari, Abu Ja'far Muhammad ibn Jarir (1985–2007). Ehsan Yar-Shater (ed.). The History of Al-Ṭabarī. 40 vols.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 Shahbazi, A. Shapur (2005). "Sasanian dynasty". Encyclopaedia Iranica, Online Edition.
  • Daryaee, Touraj (1999). "The Coinage of Queen Bōrān and Its Significance for Late Sāsānian Imperial Ideology". Bulletin (British Society for Middle Eastern Studies). 13: 77–82. JSTOR 24048959.
  • Emrani, Haleh (2009). Like Father, Like Daughter: Late Sasanian Imperial Ideology & the Rise of Bōrān to Power (PDF). Sasanika. pp. 1–16.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5-08-15. Retrieved 2019-05-29.
  • Howard-Johnston, James (2010). "Ḵosrow II". Encyclopaedia Iranica, Online Edition.
  • Gignoux, Ph. (1987). "Āzarmīgduxt". Encyclopaedia Iranica, Vol. III, Fasc. 2. p. 190.
파루크 호르미즈드
이스파부단
선행자
ē샤르 대왕(샤)
630 –631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