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 애덤스

Faye Adams
페이 애덤스
출생명패니 튤
로도 알려져 있다.페이 스크럭스
"아토믹 애덤스
패니 존스
태어난 (1923-05-22) 1923년 5월 22일(98)
미국 뉴어크, 뉴저지
기원뉴욕 시
장르복음, 리듬, 블루스
직업가수
년 활동1940년대 후반 – 1960년대 초반
레이블애틀랜틱, 헤럴드, 임페리얼
관련 행위조 모리스와 그의 오케스트라

페이 아담스(Faye Adams, 1923년 5월 22일 출생)는 194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 초까지 리듬과 블루스와 복음을 녹음하고 공연한 미국의 가수다. 그녀는 음악 사업에서 은퇴하기 전인 1950년대 초에 여러 차례 차트 히트를 쳤다.[1]

전기

초년

아담스는 뉴저지 뉴어크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아버지는 복음 가수이자 그리스도 교회(COGIC)의 핵심 인물인 데이비드 투엘이었다.[1] 다섯 살 때 그녀는 언니들과 함께 뉴어크 라디오 쇼에서 정기적으로 공연을 하면서 영적인 노래를 불렀다.

음악적 경력

그녀의 결혼 이름인 페이 스크럭스는 1940년대 후반과 1950년대 초반뉴욕 나이트클럽의 단골 공연자가 되었다. 조지아 애틀랜타에서 공연하던 중 가수 루스 브라운에 의해 발견되었는데, 그는 애틀랜틱 레코드의 밴드 리더 조 모리스와 함께 오디션에서 우승했다. 스크럭스의 이름을 페이 애덤스로 바꾼 모리스는 1952년 그녀를 가수로 영입해 헤럴드 레코드에 계약했다. 그녀의 첫 발매는 모리스의 노래 "Shake a Hand"로 1953년 미국 빌보드 R&B 차트에서 10주 동안 1위를 차지했고 미국 팝 차트에서 22위에 올랐다.[1] 그것은 백만 부 팔렸고 금 디스크를 받았다.[2]

어쿠스틱 뮤직 단체에 따르면, "소울 음악의 첫 번째 명확한 증거는 R&B로 전향한 전 고스펠 그룹인 "5" Royales와 "Shake A Hand"가 R&B 표준이 된 페이 애덤스에서 나타난다.[3]

1954년 애덤스는 'I'll Be True'(1954년 빌 헤일리, 1957년 젊은 재키 드셰넌)와 'It Hurts Me to My Heart'[4]로 두 개의 R&B 차트 토퍼를 추가했다. 이 기간 동안, 그녀는 모리스 밴드를 떠났고 "Atomic Adams"로 청구되었다. 그녀는 1955년 영화 리듬 앤 블루스 레뷔에 출연했다. 1957년에 그녀는 임페리얼 레코드로 옮겼지만 그녀의 상업적 성공은 줄어들었다. 1950년대 후반까지 그녀는 1960년대 초까지 다양한 작은 라벨을 위해 계속 녹음했지만, 시간이 흘러간 나이든 녹음 예술가로 보여졌다. 앨런 프리드는 아담스를 "큰 목소리를 가진 작은 소녀"라고 불렀고, 그녀는 리듬 앤 블루스 쇼 투어를 둘러보았는데, 이 투어에는 더 드리프터스, 더 카운츠, 더 스페니엘도 출연했다.[1]

만년

1963년까지 그녀는 음악 산업에서 은퇴했다. 그녀는 1968년에 재혼했고,[5] 패니 존스로서 뉴저지에서의 복음의 뿌리와 가정생활로 돌아왔다.[4] 1970년대에 그녀는 남편 클라렌스 E. 존스와 함께 여러 개의 복음과 세속적인 노래를 공동 작곡한 것으로 인정받았고, 사보이 레코드에 "Sinner Man"이라는 싱글을 발매했다.[6]

1998년 2월에는 리듬앤블루스 재단으로부터 상을 받았으며, 당시 영국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6]

음악사학자 겸 작가인 마브 골드버그에 따르면 그녀가 2016년 11월 2일 사망했을 가능성이 있지만 이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6]

음반 목록

싱글스

연도 라벨 A측 B측 차트 위치
US 팝[7] 미국
R&B
[7]
1953 애틀랜틱 1007 "스위트 토크" "조심해, 내가 말했잖아"
헤럴드 416 "셰이크핸드" "너를 떠나야 해" 22 1
헤럴드 419 "I'll Be True" "내 영혼에 대한 행복" 1
1954 헤럴드 423 "매일" "Say a Prayer"
헤럴드 429 "썸바디, 어디론가, 언젠가" "크레이지 믹스업 월드
헤럴드 434 "가슴 아프게 해" "아인트 냥 텔" 1
헤럴드로439번길 "Ain't nothing With" "당신에게 내 마음을 빚졌어"
1955 헤럴드 444 "친구에게 무엇이든" "당신의 사랑은 내 가슴을 태운다"
헤럴드 450 "You Ain't Be True" "나의 가장 큰 소망"
헤럴드 462 "노 웨이 아웃" "Same Old Me"
1956 헤럴드 470 "틴에이저 하트" "범죄 목격자"
헤럴드 480 "태킨 유 백" "웃는 걸 잊지 마"
헤럴드 489 "언제, 어디서나" "망치가 계속 두드린다"
1957 임페리얼 5443 "내 마음의 키퍼" "So Much" 13
임페리얼 5456 "조니 리" "미친 너"
임페리얼 5471년 "I Have a Twinkle in My Eye" "Someone Like You"
1958 임페리얼 5525 "When We Kiss" "모든 것"
헤럴드 512 "셰이크 어 핸드" "I'll Be True"

연도 협회 결과.
1998 리듬 앤 블루스 파운데이션 파이오니어상

[6]

참조

  1. ^ a b c d Ankeny, Jason. "Biography: Faye Adams". Allmusic. Retrieved 25 May 2010.
  2. ^ Murrells, Joseph (1978). The Book of Golden Discs (2nd ed.). London: Barrie and Jenkins. p. 63. ISBN 0-214-20512-6.
  3. ^ "Timeline of Musical Styles & Guitar History". Acoustic Music. Retrieved March 4, 2021.
  4. ^ a b Colin Larkin, ed. (1995). The Guinness Who's Who of Blues (Second ed.). Guinness Publishing. p. 11. ISBN 0-85112-673-1.
  5. ^ Eagle, Bob; LeBlanc, Eric S. (2013). Blues: A Regional Experience. Santa Barbara, California: Praeger. pp. 264–265. ISBN 978-0313344237.
  6. ^ a b c d Marv Goldberg, "Faye Adams" 2018년. 2021년 3월 9일 회수
  7. ^ a b Whitburn, Joel (1996). Top R&B/Hip-Hop Singles: 1942–1995. Record Research. p. 4.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