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잔

Fezzan
페잔
ⴼⵣⵣⴰⵏ (버버 언어)
فزان (아랍어)
지역
Fezzan was a governorate within both Italian Libya and the Kingdom of Libya, 1927–1963.
페잔은 1927년부터 1963년까지 이탈리아령 리비아와 리비아 왕국였다.
나라 리비아
자본의사바
지역
• 합계551,1702 km (212,810 평방 mi)
인구.
(2006년)[2]
• 합계442,090
• 밀도0.80/km2 (2.1/140 mi)

페잔(영국: /fˈzːn/fez-AN,[3][4] 미국: /fɛznn, fˈznn/fez-AN,[3][5] 베르베르어: ⴼⵏ roman roman, 로마자: Fezzan, 아랍어: فā roman romanized, 로마자: Fizzann, 라틴어: Fizzan, Fizzahn,파자니아)는 현대 리비아의 남서부 지역이다.이곳은 대부분 사막이지만, 북쪽의 산, 고지, 건조한 강 계곡(와디)에 의해 부서져, 오아시스는 그렇지 않으면 살기 힘든 사하라 사막의 깊은 곳에서 고대 도시와 마을이 살아남을 수 있도록 해줍니다.이 용어는 원래 나푸사를 포함한 아프리카의 해안가 너머의 땅과 와르글라일리지를 넘어 현대 리비아 서쪽까지 뻗어 있는 지역에 적용되었습니다. 베르베르 지역이 트리폴리, 치르타 또는 알제리 지역과 관련되면서 트리폴리타니아 남쪽의 건조한 지역에 그 이름이 점점 더 많이 적용되었다.

이름.

베르베르어페잔(또는 ifezzan)은 "거친 바위"[6]를 의미합니다.페잔은 또한 "의 나라"[7]라는 뜻의 라틴어와 그리스어 이름인 파사니아 또는 파자니아에서 유래한 것일 수도 있다.

지리

페잔 사하라 사막의 완카자 사구

페잔은 북쪽에는 화산재 샤티 계곡(와디샤티)이, 서쪽에는 와디 이라완이 교차하고 있습니다.지역은 차드 국경을 가로지르는 티베스티 산맥의 일부와 멀리 떨어진 오아시스, 국경 초소와 함께 페잔에서 정착된 인구를 지원할 수 있는 유일한 지역입니다.이데한 우바리와 이데한 무르주크의 수원으로 알려진 거대한 모래언덕 바다가 페잔의 남은 육지의 대부분을 덮고 있습니다.

역사

기원전 5세기부터 기원후 5세기까지, 페잔은 북아프리카의 카르타고와 로마 제국, 그리고 서아프리카와 중앙아프리카의 사힐리아사이의 사하라 횡단 무역로를 연속적으로 운영한 가라만테스의 본거지였다.

왼쪽 아래쪽에 페잔이 있는 리비아의 위성사진은 큰 사막을 보여준다.

기원전 19년의 로마 장군 셉티머스 플라쿠스와 서기 50년의 수에토니우스 파울리누스는 사하라 북부 지역으로 소규모 군사 원정을 이끌었고, 로마 탐험가 율리우스 마테누스는 서기 1세기 초에 그곳을 여행했다.파울리누스는 페잔에 도착해서 [8]더 남쪽으로 갔다.

로마[9] 제국의 멸망과 그에 따른 상업적 위기로, 페잔은 중요성을 잃기 시작했다.중세 초기 사하라 사막화 과정으로 인해 인구가 크게 감소하였다.

13세기와 14세기 동안 페잔은 카넴-보르누리비아의 [10]젤라까지 확장했던 카넴 제국으로부터 분리되었다.16세기 초 카넴-보르누 제국에 대한 전쟁은 무르주크가 페잔의 수도가 되면서 무함마드 왕조가 세워지게 되었다.1565년경에는 무함마드 이븐 알 문타시르가 통치했다.

북아프리카의 오스만 통치자들은 17세기에 그 지역에 대한 그들의 지배권을 주장했다.압둘하미드 2세(1876–1909)의 치세에 [11]페잔은 이스탄불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지방이었기 때문에 젊은 터키인들의 정치적 망명지로 사용되었다.

1911년부터 페잔은 이탈리아에 의해 점령되었다.그러나 베니토 무솔리니의 등장으로 적어도 1923년까지 이탈리아의 이 지역에 대한 통제는 불안정했다.이탈리아인들은 급진적인 사누시야 수피 교단의 아랍 부족 신봉자들에 의해 초기 정복 시도에서 저항을 받았다.지역의 투아레그 부족은 제2차 세계 대전 직전에 유럽의 확장에 의해서만 평온해졌고, 그들 중 일부는 북아프리카 작전에서 이탈리아 군대와 협력했다.

자유 프랑스군은 1943년 1월 16일 페잔의 주요 도시인 무르주크를 점령하고 사바에 주둔한 참모진과 함께 페잔을 통치하며 페잔-가다메스 [12]군사 영토를 형성했다.프랑스의 행정은 주로 Sayf Al Nasr [12]가문의 유명 인사들을 통해 행해졌다.서부 페잔의 부족들에게 불안감을 안겨준 것은 프랑스 [12]통치하의 알제리에 대한 가트와 그 주변 지역의 행정적 애착이었다.하지만 1951년 프랑스의 군사 통치가 중단되면서 페잔은 모두 리비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페잔은 2011년 리비아 내전 기간 동안 무아마르 카다피 국가원수의 거점이었지만 7월부터 반 카다피 세력세력을 키워 [13]9월 중하순에 걸쳐 이 지역의 가장 큰 도시인 사바를 장악했다.

LF 국가 코드(.lf)는 국제표준화기구([14]ISO)가 리비아 페잔을 대신하여 ('불확정 기간' 동안) 보류했다.

페잔에는 하루 40만 배럴의 유정이 있지만 석유회사들은 리비아 북부에서 인력을 들여오고 있다.이 지역 부족들은 석유 거래로 돈을 벌지 못하고 있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로부터 이민자들을 밀수하는 쪽으로 방향을 틀고 있다.이곳은 유럽의 이민자 위기를 부채질하고 있으며 연간 10억 달러의 [15]산업이다.

행정부.

무르주크 요새와 모스크

페잔은 1963년까지 오스만 투르크와 이탈리아에 속했고, 리비아 독립국(트리폴리타니아키레나이카 옆에 있음)의 주(윌라야) 또는 주(무하파자)였다.1963년 리비아의 새로운 행정 구역이 도입되면서 페잔은 독립 행정 구역으로 폐지되고 아와바리사바로 나뉘었다.1983년, 이러한 행정 구역은 더 작은 구역이나 발라디야를 위해 폐지되었다.발라디야트 시스템은 1987년에 개편되었고 1995년에 샤비야트 시스템으로 대체되었다.

옛 페잔 지방은 와디샤티이, 와디 알 하야, 주프라, 가다메스, 무르주크, 사바, 가트지역(일부 지도는 가다메스를 트리폴리타니아 인근 지역에 할당한다)을 포함하고 있다.역사적인 수도, 가장 큰 도시, 정치 및 행정 중심지는 사바입니다.

인구.

이 지역의 거주민에는 베르베르족, 다와다족, 남서쪽의 유목민 투아레그족, 남동쪽의 투부족이 포함된다.이 목축민들은 종종 알제리, 차드, 니제르 국경을 자유롭게 넘나든다.북쪽에서는 아랍계, 베르베르계 그리고 정착한 투아레그와 투부가 섞여 있다.페잔은 리비아 국토 면적의 약 30%를 차지하고 있지만, 인구의 극히 일부만을 지원하고 있다.사바와 같은 큰 도시는 북쪽과 서쪽의 와디스에 있는 지표수 부근에서 생존한다.북동부 지역은 크고 사람이 살지 않는 화산지대하루즈가 지배하고 있다.

페잔의 인구는 20세기 중반 이후 리비아 전체 인구 증가와 함께 빠르게 증가해 국가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절반으로 높아졌다.

연도 인구. 비율
리비아의
인구.
1954 59,315 5.4
1964 79,326 5.1
1973 128,012 5.7
1984 213,915 5.9
1995 352,276 7.3
2006 442,090 7.8

출처 : 1964년, 1973년, 1995년, 2006년 센서스에서 수집.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Abdel Aziz Tarih Sharaf, "Jughrafia Libia", 알렉산드리아, Munsha'at al Ma'arif, 1971년 2월 2일자, 페이지 233-233.
  2. ^ 2006년 인구 조사, 무르주크, 사바, 와디알하야, 가트, 주프라, 와디알샤티 지역의 인구 합계에 근거함
  3. ^ a b "Fezzan". Collins English Dictionary. HarperCollins. Retrieved 26 July 2019.
  4. ^ "Fezzan". Lexico UK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n.d. Retrieved 26 July 2019.
  5. ^ "Fezzan".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5th ed.). HarperCollins. Retrieved 26 July 2019.
  6. ^ 모로코 왕국 아카데미에서 출판된 아랍어 아마이 사전 / 3권 /(Dictionalette bilingue arabe-amazigh, tome 1(1990), tome 2(1996), tome 3(1999), 출판물 de l'Academie marocaine).
  7. ^ 프레센스 아프리카인.듀 수일 판, 1975; 페이지 477.
  8. ^ degraft-Johnson(1954) 아프리카의 영광, 페이지 26
  9. ^ Goodchild, R. G. (June 1952). "Mapping Roman Libya". The Geographical Journal. 118 (2): 142. doi:10.2307/1791944. ISSN 0016-7398.
  10. ^ 서아프리카 역사에 대한 초기 아랍어 출처의 말뭉치 259-60페이지
  11. ^ Jön Turklerin Korkulu Rüyası: Fizan denen shu yer! (tr) Wayback Machine에서 2012-09-15 아카이브 완료
  12. ^ a b c Berry, LaVerle Benette "Chapter 1 – Historical Settings - World War and Independence – Allied Administration" 리비아 지역 핸드북(1987년판) 워싱턴 D.C. 의회도서관 연방연구부, A Country Study: 리비아, 2009년 5월 17일 입수 가능:
  13. ^ Wedeman, Ben (20 September 2011). "Government forces enter Libya's Sabha, to cheers". CNN. Retrieved 20 September 2011.
  14. ^ "ISO 3166-1 Decoding Table". ISO. 2012. LF – Libya Fezzan – indeterminately reserved
  15. ^ "Why the number of migrants crossing the Mediterranean is falling". The Economist. 8 September 2017. Retrieved 8 September 2017.

외부 링크

Wikimedia Commons의 Fezzan 관련 미디어

좌표:26°19, 58°N 13°25°31°E/26.3328°N 13.4253°E/ 26.3328, 13.4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