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겨스케이팅 점프

Figure skating jumps
ISU 약어
1Eu 오일러 점프
T 토루프
F 플립.
Lz 러츠
S 살코우
고리
A 악셀

피겨 스케이팅 점프는 남자 싱글, 여자 싱글, 페어 스케이팅의 세가지 경쟁적인 피겨 스케이팅 분야의 요소이지만 아이스 댄싱은 아닙니다.[a]피겨 스케이팅에서 점프하는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입니다.[2]그들은 원래 개인의 강제적인 인물이었고, 때로는 특별한 인물이었습니다; 많은 점프들은 그것들을 발명한 스케이트 선수들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거나, 그것들이 발달한 인물들로부터 이름 지어졌습니다.20세기 초에 이르러서야 조직적인 스케이팅 경기가 시작되고 난 후에, 다회전으로 완성될 가능성이 있는 점프가 발명되고, 점프가 공식적으로 분류되었습니다.1920년대에 오스트리아 스케이터들은 연습에서 처음으로 더블 점프를 하기 시작했습니다.스케이트 선수들은 점프를 실험했고, 그 시기가 끝날 무렵에는 점프의 현대적인 레퍼토리가 개발되었습니다.점프는 1930년대까지 국제 대회 동안 프리 스케이팅 프로그램에서 큰 역할을 하지 않았습니다.전후부터 1950년대와 1960년대 초반까지 남녀 스케이트 선수 모두에게 트리플 점프가 보편화되었고, 2레볼루션 점프의 완전한 레퍼토리가 완전히 개발되었습니다.1980년대에 남자들은 4-5번의 어려운 트리플 점프를 완수할 것으로 기대되었고, 여자들은 더 쉬운 트리플 점프를 수행해야 했습니다.1990년대에 이르러, 의무적인 피겨 선수들이 대회에서 제외된 후, 다회전 점프는 피겨 스케이팅에서 더 중요해졌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6개의 점프는 토 점프(토 루프, 플립, 러츠)와 에지 점프(살코, 루프, 악셀)의 두 그룹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2018년 이전에는 하프 루프로 알려졌던 오일러 점프는 에지 점프입니다.점프는 회전수에 따라 구분되기도 합니다.페어스케이팅 선수들은 나란히 그리고 일제히 점프를 하는 나란히 점프와 여성이 파트너의 도움을 받고 추진할 때 점프를 하는 스로우 점프의 두 가지 종류의 점프를 합니다.

국제빙상경기연맹(ISU)에 따르면, 점프는 가장 많은 점수를 얻기 위해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져야 합니다: 점프는 "매우 좋은 높이와 매우 좋은 길이"를 가져야 합니다;[3] 점프 콤비네이션 동안 보여지는 리듬을 포함하여 쉽게 실행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좋은 이착륙을 가져야 합니다.다음 사항은 필요하지 않지만 고려해야 합니다. 점프를 시작하기 전에 단계를 수행해야 하거나, 창의적이거나 예상치 못한 엔트리가 있어야 합니다. 점프는 음악과 일치해야 합니다. 그리고 스케이트 선수는 점프의 이륙부터 착지까지 "매우 좋은 신체 자세"를 가져야 합니다.[3]점프 조합은 선수가 첫 번째 점프의 착지 발이 다음 점프의 이륙 발이 될 때 "즉시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두 개 이상의 점프"로 정의됩니다.[4][4][5]모든 점프는 완료된 순서로 간주됩니다.주니어와 시니어를 막론하고 페어 팀은 쇼트 프로그램 동안 단독 점프를 한 번 해야 합니다.

점프는 셋업, 로드, 트랜지션, 피벗, 이륙, 비행, 착륙, 출구의 여덟 부분으로 나뉩니다.악셀과 왈츠 점프를 제외한 모든 점프는 뒤로 스케이트를 타는 동안 이륙합니다. 악셀과 왈츠 점프는 앞으로 스케이트를 타는 것으로 시작합니다.스케이트 선수의 몸은 점프에서 착지할 때마다 최대 13-14g의 힘을 흡수하여 과도한 부상과 스트레스 골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스케이트 선수들은 난이도를 높이기 위해 점프에 변형이나 특이한 엔트리와 퇴장을 추가합니다.각운동량, 관성 모멘트, 각가속도, 스케이트 선수의 질량 중심 등의 요인에 따라 점프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는지 여부가 결정됩니다.

역사

노르웨이 피겨 스케이팅 선수 악셀 폴센이 악셀 점프 1895를 만들었습니다.

피겨스케이팅 역사가 제임스 R에 의하면.Hines, 피겨 스케이팅에서 점프하는 것은 "비교적 최근"입니다.[2]비록 스케이트 선수들이 1800년대의 지난 25년 동안 얼음에서 점프를 실험했지만, 점프는 19세기 영국의 스케이트 관행에서 "스케이팅 선수의 예술이 아닌 신나는 묘기"[6]로 여겨졌습니다.[7]자연 얼음 위에서 모자, 통, 나무 통나무와 같은 장애물들을 피하기 위해, 홉, 또는 회전이 없는 점프는 안전상의 이유로 행해졌습니다.[8][9]1881년, "빙상 위의 추적"("Tracing on the Ice")이라는 책에서 두 페이지에 걸쳐 세 번의 점프를 묘사하면서 점프에 대해 간단히 언급했습니다.[10][11]스케이트를 타는 것은 프리 스케이팅의 운동적인 측면의 한 부분이었고, 여성 스케이트 선수들에게 부적절하다고 여겨졌습니다.[12]

하인스는 나선형, 스프레드 이글, 스핀, 점프와 같은 프리 스케이팅 동작은 원래 개인의 강제적인 수치였고, 때로는 특별한 수치였다고 말합니다.예를 들어 하인스가 "진보적"이라고 부르는 노르웨이의 스케이트 선수 악셀 파울센은 1882년 제1회 국제대회에서 특별한 인물로 자신의 이름을 딴 악셀이라는 첫 점프를 선보였습니다.[13][14]점프는 루프 점프와 같은 대응하는 모습과도 관련이 있었습니다.악셀과 살코와 같은 다른 점프들은 그것들을 발명한 스케이트 선수들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습니다.[6]20세기 초에 이르러서야 조직적인 스케이팅 경기가 시작되고 난 후에, 다회전으로 완성될 가능성이 있는 점프가 발명되고, 점프가 공식적으로 분류되었습니다.이러한 점프는 운동 프리 스케이팅 프로그램에서 요소가 되었지만, 무회전 점프와 하프 점프보다 더 큰 가치는 없었습니다.1920년대에 오스트리아 스케이터들은 악셀에서 처음으로 더블 점프를 하고 회전을 다듬기 시작했습니다.[9]스케이트 선수들은 점프를 실험했고, 그 시기가 끝날 무렵에는 점프의 현대적인 레퍼토리가 개발되었습니다.[15]

점프는 1930년대까지 국제 대회 동안 프리 스케이팅 프로그램에서 큰 역할을 하지 않았습니다.[2][9]특히 노르웨이 세계와 올림픽 챔피언 소니아 헤니와 같은 여성들이 여성 스케이터들이 조작하고 점프를 할 수 있도록 짧은 치마를 대중화함으로써 스포츠에 대한 운동 신경이 세계 대전 사이에 증가했습니다.제2차 세계대전으로 국제대회가 중단됐을 때 남녀 모두 더블 점프가 일상화됐고, 악셀을 제외한 모든 점프가 더블로 진행되고 있었습니다.[16][17]작가 엘린 케스트노바움에 따르면 악셀과 더블 점프에 필요한 회전 기술의 발전은 [18]특히 미국과 체코슬로바키아에서 계속되었습니다.하인스에 따르면 전후의 선수들은 "1930년대의 선수들이 생각하지 못했던 극단적인 수준으로 점프의 한계를 밀어붙였다"고 합니다.[19]예를 들면, 오스트리아 출신의 세계 챔피언 펠릭스 캐스퍼는 피겨 스케이팅 역사상 가장 길고 높은 운동 점프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하인스는 그의 악셀이 이륙부터 착륙까지 높이가 4피트, 25피트라고 보고했습니다.영국 출신의 여자 스케이트 선수들을 포함한 남녀 모두 자신들의 경기 프로그램에서 살코와 루프를 두 배로 늘리고 있었습니다.[20]

전후 기간 동안, "의도적으로 남자 스케이트에 더 큰 운동 정신을 가져오려고"[18] 노력했던 미국의 스케이트 선수 딕 버튼은 1948년 대회에서 첫 더블 악셀을 연기했고, 1952년 트리플 루프인 첫 트리플 점프를 연기했습니다.[18]트리플 점프, 특히 트리플 살코즈는 1950년대와 1960년대 초에 남자 스케이트 선수들에게 더 흔해졌고, 특히 북미의 여자 스케이트 선수들은 2회전 점프의 전체 레퍼토리를 포함했습니다.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반까지, 남자들은 일반적으로 트리플 살코즈를 공연했고 여자들은 정기적으로 더블 악셀을 경기에서 공연했습니다.남자는 트리플 플립, 러츠, 루프와 같은 더 어려운 다회전 점프를 포함하고 여자는 트리플 살코와 토루프를 포함합니다.1980년대에 남자들은 4-5번의 어려운 트리플 점프를 완수할 것으로 기대되었고 여자들은 루프 점프와 같은 더 쉬운 트리플 점프를 수행해야 했습니다.[21]1990년대에 이르러, 의무적인 피겨 선수들이 대회에서 제외된 후, 다회전 점프는 피겨 스케이팅에서 더 중요해졌습니다.[22]케스트나움에 따르면, 트리플 러츠와 같은 점프는 여자 스케이팅 경기에서 더 중요해졌습니다.[23]여자가 올림픽에서 마지막으로 세단뛰기 없이 금메달을 딴 것은 1976년 올림픽도로시 해밀입니다.[24]스포츠 기자 드보라 마이어스(Dvora Meyers)에 따르면, 21세기 초반의 "여자 피겨 스케이팅의 쿼드 혁명"은 2018년 러시아 스케이트 선수 알렉산드라 트루소바(Alexandra Trusova)가 주니어 시절에 쿼드러플 살코(Quadruple Salchow)를 공연하기 시작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24]

피겨스케이팅 가장자리

점프 종류

이착륙의 이상 징후는 굵은 글씨와 이탤릭체로 강조 표시됩니다.
기본적인 피겨 스케이팅 점프는 모두 뒤로 착지합니다.
피겨스케이팅 기본 점프의 분류 및 구분
Abbr. 점프
토 어시스트
발바뀜
모서리변경
곡선변경
방향전환
이륙 모서리 랜딩엣지
A 악셀 바깥쪽전진 밖으로.
(opposite 발)
Lz 러츠 바깥쪽뒤로 밖으로.
(opposite 발)
F 플립. 안쪽뒤로 밖으로.
(opposite 발)
루프(리트버거) 바깥쪽뒤로 밖으로.
(동일한 발)
S 살코우 안쪽뒤로 밖으로.
(opposite 발)
T 토루프 바깥쪽뒤로 밖으로.
(동일한 발)
에우 오일러
(하프 루프)
바깥쪽뒤로 안에서.
(opposite 발)

가장 일반적인 6개의 점프는 토 점프(토 루프, 플립, 러츠)와 에지 점프(살코, 루프, 악셀)의 두 그룹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25]2018년 이전에는 하프 루프로 알려졌던 오일러 점프는 에지 점프입니다.[26]스케이트 선수들이 이륙할 때 스케이트의 토픽을 얼음 속으로 누르기 때문에 토 점프는 에지 점프보다 더 높은 경향이 있습니다.[13]양발은 이륙 시 빙판 위에 있고, 이륙 시 빙판의 토픽은 장대높이뛰기 역할을 합니다.토 점프에 반회전을 추가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27]

스케이트 선수들은 스케이트의 네 가능한 가장자리에 얼음을 남겨서 가장자리 점프를 수행합니다. 리프트는 "무릎을 구부리고 자유 다리의 스윙과 결합하여 얻은 스프링"으로부터 얻어집니다.[13]그들은 스케이트 선수의 상체, 팔, 그리고 자유 다리에 대한 정밀한 회전 조절이 필요하고, 그 혹은 그녀가 이륙 가장자리에 얼마나 잘 기우는지에 대한 것이 필요합니다.점프와 점프의 이륙 준비는 물론 준비와 이륙의 회전을 조절하는 것이 정확하게 타이밍을 맞춰야 합니다.[28]스케이트 선수가 에지 점프를 할 때는 토 점프를 할 때보다 다리를 뻗고 팔을 더 많이 사용해야 합니다.[29]

점프는 회전수에 따라 구분되기도 합니다.예를 들어, 악셀을 제외한 모든 단일 점프는 1회전, 더블 점프는 2회전 등을 포함합니다.회전이 많을수록 스케이트 선수들은 더 많은 점수를 받습니다.[13]더블과 트리플 버전은 "클린 이착륙에 주의를 기울이면서 기술적, 운동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중요성이 높아졌습니다.[30]페어스케이팅 선수들은 나란히 그리고 일제히 점프를 하는 나란히 점프와 여성이 파트너의 도움을 받고 추진할 때 점프를 하는 스로우 점프의 두 가지 종류의 점프를 합니다.[13]

오일러

오일러는 에지 점프입니다.2018-2019 시즌을 앞두고 국제빙상경기연맹(ISU) 규정상 하프루프 점프로 알려졌는데, 이때 이름이 바뀌었습니다.[26]유럽에서 오일러는 스웨덴의 피겨 스케이트 선수 페르 토렌의 이름을 따서 토렌 점프라고도 불립니다.[31]오일러는 스케이트 선수가 스케이트의 뒤쪽 바깥쪽 가장자리에서 이륙하여 반대쪽 발과 가장자리에 착지할 때 실행됩니다.세 번째 점프 전에 세 번째 점프 콤비네이션을 할 때 가장 일반적으로 수행되며, 살코 점프나 플립 점프를 시도하기 위해 스케이트 선수를 올바른 가장자리에 놓는 방법으로 사용됩니다.한 번의 점프로만 가능합니다.[26]오일러는 두 개의 나열된 점프 사이에서 조합하여 사용할 때 0.50점의 기준점 값을 가지며 또한 나열된 점프가 됩니다.[32]

토루프

토루프 점프는 피겨 스케이팅에서 가장 간단한 점프입니다.[33]그것은 1920년대에 미국의 프로 피겨스케이팅 선수 브루스 메이프스에 의해 발명되었습니다.[34]경쟁에서 단일 토루프의 기본값은 0.40이고, 이중 토루프의 기본값은 1.30이고, 삼중 토루프의 기본값은 4.20이며, 4중 토루프의 기본값은 9.50입니다.[32]

토루프는 선수들이 토픽을 이용해 점프를 할 뿐만 아니라 엉덩이가 이미 회전하는 방향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가장 간단한 점프로 여겨집니다.[35]토루프는 토 보조 이륙이 점프에 힘을 더하고 스케이트 선수가 이륙 시 보조 발 쪽으로 몸을 돌릴 수 있기 때문에 공중에서 필요한 회전을 약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다중 회전을 추가하기가 더 쉽습니다.[36]이 점프는 종종 콤비네이션 중 더 어려운 점프에 추가되며, 콤비네이션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수행되는 두 번째 점프입니다.[37]가장 흔히 시도되는 점프일 뿐만 아니라,[35] "가장 흔히 시도되는 이륙 점프", [38][39]즉 첫 번째 회전이 공중이 아닌 얼음 위에서 시작되는 점프이기도 합니다.[36]콤비네이션 점프에 토루프를 추가한다고 해서 스케이트 선수들의 쇼트나 프리 스케이팅 프로그램의 난이도가 올라가는 것은 아닙니다.[40]

플립.

ISU는 플립 점프를 "뒤 안쪽 가장자리에서 이륙하여 반대쪽 발의 뒤 바깥쪽 가장자리에 착지하는 토 점프"로 정의하고 있습니다.[34]자유족발의 발끝에서 보조를 받아 실행됩니다.[41]경쟁에서 싱글 플립의 기본값은 0.50, 더블 플립의 기본값은 1.80, 트리플 플립의 기본값은 5.50, 쿼드러플 플립의 기본값은 11.00입니다.

러츠

국제빙상경기연맹(ISU)은 러츠 점프를 "뒤쪽 바깥쪽 가장자리에서 시작하여 반대쪽 발의 뒤쪽 바깥쪽 가장자리에 착지하는 토픽 어시스트 점프"로 정의하고 있습니다.[34]그것은[33] 피겨 스케이팅에서 두 번째로 어려운 점프이며 "아마도 악셀 다음으로 두 번째로 유명한 점프"입니다.[37]그것은 1913년에 처음 공연한 오스트리아 비엔나 출신의 피겨 스케이트 선수 알로이스 러츠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습니다.[34][37]시합에서 단일 러츠의 기본값은 0.60이고, 이중 러츠의 기본값은 2.10이고, 삼중 러츠의 기본값은 5.90이고, 4중 러츠의 기본값은 11.50입니다.[32]바깥쪽 가장자리가 없는 "치트된" 러츠 점프를 "플루츠"라고 부릅니다.[37]

러시아 피겨스케이팅 선수 알렉산드라 트루소바가 2019년 쿼드러플 러츠를 선보입니다.

살코우

살코 점프는 에지 점프입니다.이것은 1909년 발명가인 울리히 살초의 이름을 따 지어졌습니다.[34][42]살코우는 한쪽 발의 안쪽 가장자리에서 이륙하고 반대쪽 발의 바깥쪽 가장자리에서 착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34]이것은 "보통 스케이트 선수들이 더블을 배우는 첫 번째 점프, 그리고 트리플을 배우는 첫 번째 혹은 두 번째 점프"입니다.[43]이륙과 착륙 모두 후방 가장자리에 있어야 하기 때문에 타이밍이 중요합니다.[37]살코우는 스케이트 날이 이륙하기 전에 앞으로 돌아가기 시작하거나 스케이트 선수가 빙판에 착지했을 때 완전히 뒤로 돌아가지 않은 경우 부정행위로 간주됩니다.[43]

경쟁에서 단일 Salchow의 기본값은 0.40, 이중 Salchow의 기본값은 1.30, 삼중 Salchow의 기본값은 4.30, 4중 Salchow의 기본값은 9.70입니다.[32]

고리

루프 점프는 에지 점프입니다.그것은 독일 피겨 스케이팅 선수 베르너 리트베르거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믿어졌고, 러시아어와 독일어로 리트베르거라고 알려져 있습니다.[34][44]스케이트 선수가 빙판을 떠나지 않고 회전을 할 경우 날이 빙판 위에 남겨질 모양에서 이름을 따오기도 합니다.[45]미국 피겨 스케이팅에 따르면, 루프 점프는 "모든 점프 중 가장 기본적인 것"입니다.[37]스케이트 선수는 스케이트 발의 뒤쪽 바깥쪽 가장자리에서 이륙하여 공중에서 한 바퀴 회전한 후, 같은 발의 뒤쪽 바깥쪽 가장자리에 착지함으로써 이를 실행합니다.[41]그것은 종종 복합적으로 두 번째 점프로 수행됩니다.[46]

경쟁에서 단일 루프 점프의 기본값은 0.50, 이중 루프의 기본값은 1.70, 삼중 루프의 기본값은 4.90, 4중 루프의 기본값은 10.50입니다.

악셀

악셀 점프는 노르웨이 피겨 스케이팅 선수 악셀 폴센의 이름을 따서 악셀 폴센 점프라고도 불립니다.[47]피겨스케이팅에서 가장 오래되고 어려운 점프입니다.[17][45]악셀 점프는 피겨 스케이팅에서 가장 많이 연구된 점프입니다.[48]이것은 전진 이륙으로 시작하는 유일한 점프로, 식별하기 가장 쉬운 점프입니다.[25]모든 ISU 경기에서 주니어와 시니어 싱글 선수들쇼트 프로그램과 프리 스케이팅 프로그램에서 더블 또는 트리플 악셀을 사용해야 합니다.[49]

피겨 스케이팅 전문가인 한나 로빈스의 말에 따르면 악셀은 "트리플보다는 쿼드러플 점프"를 하는 추가적인 하프 회전을 가지고 있습니다.[50]스포츠 기자 노라 프린시오티는 트리플 악셀에 대해 "스케이터가 충분한 키를 얻고, 발생하는 힘을 흡수할 수 있을 정도의 강한 베이스로 착지하기 전에 모든 회전을 완료할 수 있을 정도로 빠르게 점프에 들어가려면 엄청난 힘과 신체 조절이 필요하다"[51]고 말합니다.미국 스케이트 선수인 미라이 나가수(Mirai Nagasu)는 "트리플 악셀에 넘어지는 것은 정말 잔인합니다."[52]라고 말했습니다.

경기에서 싱글 악셀의 기본값은 1.10, 더블 악셀의 기본값은 3.30, 트리플 악셀의 기본값은 8.00, 쿼드러플 악셀의 기본값은 12.50입니다.[32]뉴욕 타임즈에 따르면, 트리플 악셀은 남자 스케이트 선수들이 연기하는 것이 더 일반적이 되었지만, 2022년 현재,[54] 쿼드러플 악셀은 미국 스케이트 선수 일리아 말리닌에 의해 두 개의 국제 대회에서 착지되었습니다.[53]

1989년 여자 선수 최초로 트리플 악셀 착지한 일본 피겨스케이팅 선수 이토 미도리

규칙 및 규정

싱글 스케이팅

국제빙상경기연맹싱글 스케이팅과 페어 스케이팅 종목의 점프 요소를 "개인 점프, 점프 조합 또는 점프 순서"로 정의합니다.[5]아이스 댄스에서는 점프가 허용되지 않습니다.[55]

또한 ISU에 따르면 점프는 가장 많은 점수를 얻기 위해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져야 합니다. 점프는 "매우 좋은 높이와 매우 좋은 길이"를 가져야 합니다.[3] 점프 콤비네이션 시 보여주는 리듬을 포함하여 쉽게 수행할 수 있어야 하며, 이착륙이 잘 되어야 합니다.다음 사항은 필요하지 않지만 고려해야 합니다. 점프를 시작하기 전에 단계를 수행해야 하거나, 창의적이거나 예상치 못한 엔트리가 있어야 합니다. 점프는 음악과 일치해야 합니다. 그리고 스케이트 선수는 점프의 이륙부터 착지까지 "매우 좋은 신체 자세"를 가져야 합니다.[3]백 플립과 같이 공중제비 형태의 점프는 허용되지 않습니다.백 플립은 너무 위험하고 "미학적 가치"가 부족하다고 여겨져 ISU에 의해 1976년부터 금지되었습니다.[56][57]

점프 순서는 "회전 횟수가 많은 두 번 또는 세 번의 점프로 구성되며, 두 번째 및/또는 세 번째 점프는 첫 번째/두 번째 점프의 착지 곡선에서 악셀 점프의 이륙 곡선으로 직접 스텝이 적용된 악셀 형식의 점프"로 구성됩니다.[3]스케이트 선수가 첫 번째 점프의 착지 발이 다음 점프의 이륙 발일 때 실행됩니다.[5][4]자유 발은 얼음에 닿을 수 있지만, 얼음 위에 체중 이동이 없어야 하며, 스케이트 선수가 점프 사이에 한 바퀴를 완전히 돌면, 그 요소는 계속해서 점프 순서로 간주되어 전체 값을 받습니다.[3]2022-23년 규칙이 변경되기 전에, 그 스케이트 선수는 점프 순서에서 실행된 점프의 기본 값의 80%만 받았습니다.[58]스케이트 선수는 점프 사이에 오일러 연기도 할 수 있습니다.[5][b]점프 조합과 점프 순서 모두 "동일하거나 다른 싱글, 더블, 트리플, 쿼드러플 점프"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그들의 프리 스케이팅 프로그램에서, 스케이트 선수들은 그들의 프리 스케이팅 프로그램에 3개의 점프 조합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점프 조합 또는 점프 시퀀스는 3개의 점프를 포함할 수 있는 반면, 다른 두 개는 각각 2개의 점프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60]

2019년 러시아 피겨스케이팅 선수 알리나 자기토바, '자기토바 룰' 이름 그대로

모든 점프는 완료된 순서로 간주됩니다.추가 점프나 점프를 실행할 경우, 요건에 부합하지 않는 추가 점프는 값이 없습니다.[61]미국의 스케이트 선수 일레인 자약의 이름을 따 "자약 룰"이라고 불리는 프로그램에서 선수들이 연기할 수 있는 점프 수에 대한 제한은 1982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자약이 프리 스케이팅 프로그램에서 6번의 트리플 점프, 4번의 토루프 점프, 그리고 2번의 살코우를 연기한 이후 1983년부터 시행되고 있습니다.[62][22]작가 엘린 케스트나움은 ISU가 "스케이터가 같은 기술을 반복해서 보여준 것에 대해 칭찬을 받는 것을 허락하기보다는 다양성과 균형을 장려하기 위해" 이 규칙을 제정했다고 말합니다.[22]케스트나움은 또한 남녀 모두의 점프 회전수가 증가함에 따라 선수들이 더 어려운 조합을 추가하고 점프 직전 또는 후에 어려운 단계를 추가함으로써 점프의 난이도가 증가하여 "점프를 프로그램의 흐름에 더 원활하게 통합"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63]

쇼트 프로그램과 프리 스케이팅 모두 프로그램 후반부에 시작된 점프, 점프 조합 또는 점프 순서는 "프로그램의 난이도를 균등하게 분배하기 위해" 가산점을 받습니다.[64]그러나 2018-2019 시즌에는 쇼트 프로그램에서 마지막 점프 요소만 수행하고 프리 스케이트에서 마지막 점프 요소 3개만 수행하여 스케이트 선수의 최종 점수에 반영되었습니다.국제 피겨 스케이팅 잡지는 이 규정을 2018년 동계 올림픽에서 프리 스케이팅 프로그램을 "백로딩"함으로써 금메달을 획득한 러시아 출신의 알리나 자기토바의 이름을 따서 "자기토바 규칙"이라고 불렀습니다.혹은 프로그램의 후반부에 그녀의 모든 점프를 배치하여 프로그램의 후반부 동안 수행된 점프에 10%의 보너스를 주는 그 당시의 규칙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59][65]또한 2018년부터 싱글 스케이트 선수들은 프리 스케이팅 프로그램에서만 같은 두 번의 트리플 혹은 쿼드러플 점프를 반복할 수 있습니다.그들은 4회전 점프를 한 번만 반복할 수 있었고, 트리플 악셀과 쿼드러플 점프의 기본값은 "극적으로 감소"되었습니다.[59]2022년 기준으로 점프 순서는 2~3번의 점프로 이루어졌지만, 두 번째 혹은 세 번째 점프는 악셀이어야 했습니다.점프 시퀀스는 전체 값으로 계산되기 시작했고 스케이트 선수들은 페널티 없이 스텝 시퀀스에 싱글 점프를 포함시킬 수 있었습니다.[66]

주니어 남녀 싱글 선수들은 쇼트 프로그램에서 쿼드러플 점프를 할 수 없습니다.[67]선후배 남녀는 쇼트프로그램에서 더블 또는 트리플 악셀 점프를 완주해야 하지만 주니어 여자는 더블 악셀을 완주해야 합니다.[34]: 10 남녀 주니어 및 시니어 스케이트 선수는 프리 스케이팅 프로그램에 "최대 7개의 점프 요소(악셀식 점프 중 하나)"를 포함해야 합니다.[34]: 10-11 주니어 선수와 시니어 선수 모두 쇼트 프로그램 동안 수행한 점프가 잘못된 회전 수를 완료하는 것을 포함하여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점수를 받지 못합니다.[68]

페어스케이팅

1983년 캐나다 페어 스케이팅 선수 바바라 언더힐과 폴 마티니가 스로우 점프를 하고 있습니다.

주니어와 시니어를 막론하고 페어 팀은 쇼트 프로그램 동안 한 번의 단독 점프를 수행해야 합니다. 주니어의 경우 더블 플립이나 더블 악셀, 시니어의 경우 더블이나 트리플 점프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69]프리 스케이팅 프로그램에서는 주니어와 시니어 모두 최대 3번의 점프 콤비네이션 또는 2번의 점프 콤비네이션과 1번의 점프 시퀀스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점프 콤비네이션과 점프 시퀀스는 동일하거나 다른 싱글, 더블, 트리플, 쿼드러플 점프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하나의 점프 조합 또는 점프 순서는 최대 3개의 점프로 구성할 수 있고, 다른 두 개는 각각 최대 2개의 점프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60]점프 순서는 모든 유형의 점프로 시작하고 곧바로 악셀 유형의 점프로 이어집니다.[69]주니어 페어는 짧은 프로그램 동안 필요한 점프와 다른 점프를 할 경우 단독 점프 점수를 얻지 못합니다.주니어 페어와 시니어 페어 모두 프리 스케이팅 프로그램 중에 두 바퀴 이상의 점프를 반복하면 점수를 얻지 못합니다.[70]

모든 점프는 수행된 순서대로 간주됩니다.파트너가 단독 점프 또는 점프 시퀀스 또는 조합(2회 또는 3회 점프로 구성될 수 있음)에서 동일한 회전 수를 실행하지 않을 경우 회전 수가 적은 점프만 점수로 계산됩니다.[71]더블 악셀과 2회전 이상인 트리플과 쿼드러플 점프는 모두 달라야 하지만 점프 순서와 조합은 동일한 2회전 점프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추가 점프는 팀 점수에 반영되지 않습니다.[72]그러나 팀은 점프 조합이나 순서에서 같은 두 번의 점프를 할 수 있습니다.점프나 점프를 잘못 수행할 경우, 잘못 수행된 점프만 계산되지 않으며 점프 순서나 조합으로 간주되지 않습니다.두 파트너 모두 쇼트 프로그램 동안 단독 점프를 두 번 수행할 수 있지만, 두 번째 점프는 첫 번째 점프보다 점수가 적습니다.[70]

스로우 점프는 "이륙할 때 남자가 여자를 공중에 던지고 뒤로 바깥쪽 가장자리에서 여자의 도움 없이 착지하는 파트너 보조 점프"입니다.[73]스케이트 캐나다는 "남자 파트너는 여자가 비행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41]라고 말합니다.던지기 점프의 종류는 던지기 악셀, 던지기 살코, 던지기 토루프, 던지기 플립, 던지기 러츠 등이 있습니다.[41]던지기 트리플 악셀은 남자가 던진 후 여자가 3회전과 1회전 반회전을 해야 하는데, 이는 다른 트리플 점프보다 반회전이 더 많이 걸리고, 전진 이륙이 필요하기 때문에 달성하기 어렵습니다.[74]팀이 스로우 점프에 진입하는 속도와 수행하는 회전 수는 팀의 난이도를 높이고 높이 및/또는 거리를 만듭니다.[41]페어 팀은 쇼트 프로그램 동안 한 번의 스로우 점프를 수행해야 하며, 시니어 팀은 더블 또는 트리플 스로우 점프를 수행할 수 있으며, 주니어 팀은 더블 또는 트리플 토루프, 플립 또는 러츠를 수행해야 합니다.회전 수가 잘못된 경우를 포함하여 스로우 점프가 올바르게 수행되지 않으면 값을 받지 못합니다.페어 팀은 프리 스케이팅 프로그램에서 회전수가 다른 최소 두 번의 스로우 점프를 수행해야 합니다.던지기 점프는 4분의 1회전 이상 과회전하면 회전수가 더 높은 점프로 판단됩니다. 예를 들어, 한 쌍이 더블 스로우 점프를 시도하지만 과회전하면 심판은 다운그레이드된 트리플 스로우 점프로 기록합니다.[75]

실행

케스트바움(Kestbaum)에 따르면, 점프는 설정, 로드(load), 전환(transition), 피벗(pivot), 이륙(offit), 비행(flight), 착륙(landing), 그리고 출구(exit)의 여덟 부분으로 나뉩니다.악셀을 제외한 모든 점프는 뒤로 스케이트를 타는 동안 이륙합니다. 악셀은 앞으로 스케이트를 타는 것으로 시작합니다.[76]스케이트 선수들은 점프를 하면서 동시에 세 방향으로 이동합니다:[30][77] 수직으로 (빙판을 벗어나서 뒤로); 수평으로 (빙판을 떠나기 전에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계속); 그리고 주변으로.그들은 장대높이뛰기 선수의 발사체 운동과 매우 유사한 점프를 수행하면서 위와 위를 가로질러 호와 같은 경로로 이동합니다.점프의 높이는 수직 속도, 길이는 수직 및 수평 속도로 결정됩니다.[78]점프의 궤적은 이륙 시 설정되므로 스케이트 선수가 공중에 있으면 아크의 모양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79]그들의 몸은 점프에서 착지할 때마다 13~14g의 을 흡수하는데,[80] 이것이 과도한 부상과 스트레스 골절의 원인이 된다고 스포츠 연구원 리 카벨과 에리카 베이트만은 말합니다.[81]

스케이트 선수들은 난이도를 높이기 위해 점프에 변형이나 특이한 엔트리와 퇴장을 추가합니다.예를 들어, 한쪽 또는 양쪽 팔을 머리 위로 올리거나 엉덩이를 뻗은 상태에서 점프를 수행하는데, 이는 팔에 의존하는 대신 이륙 가장자리와 몸 전체에서 회전을 생성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또한 팔에 의지하지 않고 회전을 완료할 수 있는 허리의 힘과 기술적인 능력을 보여줍니다.점프에 대한 특이한 항목은 스케이트 선수들이 점프와 거의 준비 없이 이전 동작에서 점프로의 전환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76]스케이트 선수들은 팔이 몸에 단단히 당겨질 때 더 빨리 회전하는데, 이것은 회전할 때 팔이 몸에서 계속 당겨지는 힘을 필요로 합니다.[82]

2009년 여자 선수로는 최초로 쿼드러플 점프에 성공한 일본 피겨 스케이팅 선수 안도 미키

이타카 대학의 과학자 데보라 킹(Deborah King)에 따르면, 점프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스케이팅 기술과 상관없이 모든 점프에는 공통적인 기본 물리학이 있습니다.[29]각운동량, 관성 모멘트, 각가속도, 스케이트 선수의 질량 중심 등의 요인에 따라 점프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는지 여부가 결정됩니다.[83][84]기본적으로 직선 운동인 마른 땅에서 점프하는 것과 달리 얼음 위에서 점프하는 것은 각운동량 때문에 더 복잡합니다.예를 들어, 대부분의 점프는 회전을 수반합니다.[85]델라웨어 대학의 과학자 제임스 리차드(James Richards)는 점프의 성공은 "얼마나 많은 각운동량으로 얼음을 떠나느냐, 얼마나 작은 관성 순간을 공중에서 만들 수 있느냐, 그리고 얼마나 많은 시간을 공중에서 보낼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고 말합니다.[83]리차드는 스케이트 선수가 트리플과 쿼드러플 점프를 할 때 공중에서 같은 시간을 보내는 경향이 있지만, 트리플과 쿼드러플을 시작할 때의 각운동량은 더블 점프보다 약간 높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고회전 점프를 완성하는 비결은 관성 모멘트를 어떻게 조절하느냐에 있습니다.리차드는 또한 많은 스케이트 선수들이 이륙을 위해 필요한 각운동량을 얻을 수 있었지만 점프를 완료하기에 충분한 회전 속도를 얻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83]킹은 스케이트 선수들이 충분히 오래 공중에 있어야 하고, 필요한 회전을 완수할 수 있는 충분한 높이와 얼음에서 뛰어내릴 때 얻을 수 있는 수직 속도의 양이 있어야 한다고 말하면서 동의합니다.쿼드러플 점프를 하는 선수들은 공중에 더 오래 있고 회전 속도가 더 빠른 경향이 있습니다.킹은 또한 대부분의 스케이트 선수들이 3루타와 4루타에 접근하는 속도의 차이는 적었지만 [86]"실제로 3루타에 비해 쿼드로 천천히 스케이트를 타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킹은 그들의 점프 접근 속도가 느려지는 것은 그들이 점프를 실행하는 방법의 차이라기보다는 [86]스케이트 선수들의 "자신감과 점프에 대한 통제감과 타이밍" 때문이라고 추측했습니다.그러나 수직 이륙 속도는 쿼드러플 토루프와 트리플 토루프 모두에서 더 높았으며, 이는 "쿼드러플 토루프를 위한 추가적인 회전을 완료하기 위해 더 많은 점프와 공중에서의 더 많은 시간"을 초래했습니다.[86]사이언티픽 아메리칸의 타냐 루이스가 말했듯이, 2022년 현재 남녀 싱글 스케이팅 경기 모두에서 보편화된 쿼드러플 점프를 실행하려면 "소중한 힘, 속도, 우아함"이 필요합니다.[29]

예를 들어, 스케이트 선수는 회전 도중에 팔 위치에 작은 변화를 줌으로써 점프를 성공적으로 완료할 수 있으며, 엉덩이와 무릎의 작은 굽힘은 스케이트 선수가 "처음보다 더 낮은 무게 중심을 가지고 착지할 수 있으며, 아마도 몇 가지 소중한 회전 정도와 착지를 위한 더 나은 신체 위치를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83]그들이 발가락 점프를 할 때, 그들은 스케이트의 발가락 픽을 사용하여 얼음에서 장대높이뛰기 형태의 움직임을 완성해야 하는데, 이것은 추가적인 수평 속도와 함께 그들의 다리에 더 많은 에너지를 저장하도록 도와줍니다.그들이 다리 위를 회전할 때 수평 운동은 접선 속도로 변환됩니다.[29]5중 점프가 수학적으로 가능하다고 믿는 킹은 더 많은 회전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발놀림을 실행하거나 이륙에 접근할 때 회전 운동량을 향상시켜 얼음에서 떨어질 때 회전축에 대한 회전력을 만들어 낼 수 있다고 말합니다.그녀는 또한 스케이트 선수들이 "여전히 위쪽으로 폭발"[29]하는 동안 회전 운동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면 더 빨리 회전하고 회전 횟수를 늘릴 수 있다고 말합니다.러시아의 코치 기술을 보도하고 있는 스포츠 작가 드보라 마이어스는, 경기에서 쿼드러플 점프를 더 많이 하는 여성 스케이트 선수들은 전문가들이 말하는 프리-회전, 즉 빙판에서 이륙하기 전에 상체를 비트는 연습을 사용한다고 말하고 있으며, 이 연습을 통해 착지 전에 4회전을 완료할 수 있습니다.마이어스는 또한 이 기술은 스케이트 선수가 작고, 가볍고, 어리기에 달려있으며, 다리의 힘을 많이 쓰지 않기 때문에 등에 더 큰 부담을 준다고 말합니다.하지만 스케이트 선수들이 나이를 먹고 사춘기를 겪으면서, 그들은 "처음부터 기술이 건전하지 않았기 때문에"[24] 쿼드러플 점프를 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습니다.또한 허리 부상의 증가로 인해 18세 이전에 은퇴하는 경향이 있습니다.[24]

가장자리의 경향은 그 가장자리가 만든 원의 중심을 향하기 때문에 스케이트 선수의 상체, 팔, 자유 다리도 가장자리의 힘에 의해 당겨지는 경향이 있습니다.상체, 팔, 그리고 자유 다리가 수동적으로 따라오도록 허용하면, 그것들은 결국 가장자리의 회전 가장자리를 따라잡고 더 빠르게 회전할 것이고, 이것은 또한 더 빠른 스핀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원리입니다.가장자리의 고유한 힘과 스케이트 선수의 상체, 팔, 그리고 자유 다리에 의해 발생하는 힘은 회전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성공적인 점프는 이러한 힘의 정확한 조절을 요구합니다.가장자리의 곡률로 기울어지는 것은 스케이트 선수들이 가장자리의 고유한 각운동량을 조절하는 방법입니다.그들의 상체, 팔, 그리고 자유 다리는 점프와 이륙을 준비할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에 의해 조절됩니다. 점프는 이륙 시 정확한 회전량을 산출하도록 설계됩니다.회전수가 충분하지 않으면 이륙 시 정확한 위치에 있지 않고, 회전수가 너무 많으면 상체가 충분히 높지 않습니다.스케이트 선수들은 다양한 움직임과 몸의 위치뿐만 아니라 서로에 대한 움직임의 타이밍을 파악해야 하며, 연습 시간이 필요하지만 한 번 숙달되면 자연스러워지는 점프 자체에 대해서도 기록해야 합니다.[87]

콤비네이션 점프의 수는 제한이 없으며, 콤비네이션 점프 사이에 회전이나 발 변경이 허용되면 순서 수는 얼마든지 가능하지만, 루프 콤비네이션의 경우처럼 한 점프의 착지가 다음 점프의 착지일 경우 착지 방법이 다음 점프의 가능성을 지시합니다.복합 점프 시 회전 운동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선수들은 각 점프 착지 시 회전을 조절해야 합니다. 만약 선수가 회전을 조절하지 않으면, 그들은 이후의 점프에서 과회전하여 넘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착지와 이륙 가장자리의 특성과 어깨와 상체의 위치를 조절하는 팔 사용법, 엉덩이의 위치를 결정하는 자유 다리에 따라 선수들이 회전을 조절하는 방법이 다릅니다.한 점프의 착지가 다음 점프의 도약으로 직접 이어진다면, 첫 번째 점프의 착지 다리의 굴곡은 다음 점프의 도약의 스프링을 준비하는 역할을 합니다.첫 번째 점프를 완료하고 다음 점프를 이륙하는 사이에 일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일련의 움직임이 다음 점프를 준비하는 역할을 하는 경우 스프링용 레그 벤드를 착지 레그의 벤드에서 분리할 수 있습니다.[88]

첫 점프 기록

다음 표는 안전한 정보가 있는 경기에서 처음 기록된 점프 목록입니다.

점프 Abbr. 남자들 연도 숙녀분들. 연도 참조.
싱글 토루프 1T United States 브루스 메이프스 1920년대 n/a [34]
싱글 살코 1S Sweden 울리히 살초 1900년대 Germany 마르가레테 클레베 1917 [89][16][34]
싱글 루프 1Lo Germany 베르너 리트베르거 1910 n/a [34] [90]
싱글 러츠 1Lz Austria 알로이스 러츠 1913 n/a [34]
싱글 악셀 1A Norway 악셀 파울센[c] 1882 Norway 소냐 헤니 1920년대 [34]
더블 살코 2S n/a 1920년대 United Kingdom 세실리아 콜레지 1930년대 [91]
더블 러츠 2Lz n/a Czech Republic 알레나 브르자 ň바[d] 1949 [92][93]
더블 악셀 2A United States 딕 버튼 1948 United States 캐롤 하이스 1953 [34][94]
트리플 토루프 3T United States 토마스 리츠 1964 n/a [34]
트리플 살코 3S United States 로니 로버트슨 1955 Canada 페트라부르카[e] 1962 [34]
트리플 루프 3Lo United States 딕 버튼 1952 East Germany 가브리엘레 세이퍼트 1968 [34][95]
트리플 플립 3층 n/a East Germany 카타리나 비트
West Germany 마누엘라 루벤
1981 [34]
트리플 러츠 3Lz Canada 도널드 잭슨 1962 Switzerland 데니스 빌만 1978 [34]
트리플 악셀 3A Canada 번 테일러 1978 Japan 미도리 이토 1988 [34]
4중 토루프 4T Canada 커트 브라우닝 1988 Russia 알렉산드라 트루소바 2018 [34][96]
쿼드러플 살코 4S United States 티모시 괴벨 1998 Japan 안도 미키 2002 [34]
4중 루프 4Lo Japan 하뉴 유즈루 2016 비준을 받지 않은[f] [34][98]
쿼드러플 플립 4층 Japan 우노 쇼마 2016 Russia 알렉산드라 트루소바 2019 [34][99]
쿼드러플 러츠 4Lz United States 브랜든 므로즈 2011 Russia 알렉산드라 트루소바 2018 [35][34]
쿼드러플 악셀 4A United States 일리아 말리닌 2022 비준을 받지 않은 [100]

참고 항목

각주

  1. ^ 2021-22 시즌까지 ISU 규정과 통신에서 여성은 여성으로 불렸습니다.[1]
  2. ^ 2018년 이전에는 하프 루프는 1회전 점프로 간주되었습니다.[59]
  3. ^ 경쟁사외
  4. ^ https://olympics.com/en/athletes/jacqueline-du-bief, 에 따르면 1952년 재클린 뒤 비프는 국제 대회에서 더블 러츠를 한 최초의 여성이었지만, 그것은 논란의 여지가 있는 우승이었고, 그녀는 나중에 그녀의 책 Thin Ice에서 미국인 소냐 클롭퍼가 그 타이틀을 받을 자격이 있다고 썼습니다.
  5. ^ 2023-24 ISU 미디어 가이드에 따르면 페트라 부르카는 트리플 살코를 한 최초의 여성으로 인정받을 수 있지만 1961년 유럽 선수권 대회의 한 보고서는 헬리 셍스트슈미드(AUT)와 야나 므라즈코바(CZE)가 당시 트리플 살코를 착지했다고 언급했습니다.
  6. ^ 국제적으로 여성이 공연하지 않습니다.ISU[97] 비준을 받지 않은 2021년 아델리아 페트로시안 국내 수행

참고문헌

  1. ^ "Results of Proposals in replacement of the 58th Ordinary ISU Congress 2021" (Press release). Lausanne, Switzerland: International Skating Union. 30 June 2021. Retrieved 20 July 2022.
  2. ^ a b c Hines 2011, 페이지 131.
  3. ^ a b c d e f "ISU Communication 2258 Single and Pair Skating". 26 April 2023. Retrieved 12 October 2023.
  4. ^ a b c 케스트나움 2003, 페이지 289.
  5. ^ a b c d S&P/ID 2018, 페이지 100
  6. ^ a b Hines 2006, 페이지 101.
  7. ^ Hines 2006, 페이지 131.
  8. ^ Hines 2011, 페이지 131-132.
  9. ^ a b c 케스트나움 2003, 페이지 91.
  10. ^ Hines 2011, 페이지 66.
  11. ^ Hines 2011, 페이지 68.
  12. ^ 케스트나움 2003, 페이지 91-92.
  13. ^ a b c d e Hines 2011, 페이지 132.
  14. ^ Hines 2006, 페이지 100.
  15. ^ Hines 2006, p. 5.
  16. ^ a b 케스트나움 2003, 페이지 92.
  17. ^ a b Hines 2011, p. xxxii.
  18. ^ a b c 케스트나움 2003, 페이지 93.
  19. ^ Hines 2006, 페이지 102.
  20. ^ Hines 2006, 페이지 103.
  21. ^ 케스트나움 2003, 93-95쪽.
  22. ^ a b c 케스트나움 2003, 페이지 96.
  23. ^ 케스트나움 2003, 페이지 138.
  24. ^ a b c d Meyers, Dvora (3 February 2022). "How Quad Jumps Have Changed Women's Figure Skating". FiveThirtyEight. ABC News. Retrieved 23 July 2022.
  25. ^ a b Abad-Santos, Alexander (5 February 2014). "A GIF Guide to Figure Skaters' Jumps at the Olympics". The Atlantic. Retrieved 20 July 2022.
  26. ^ a b c Cornetta, Katherine (1 October 2018). "Breaking Down an Euler". Fanzone.com. U.S. Figure Skating. Retrieved 20 July 2022.
  27. ^ Petkevich 1988, p. 237.
  28. ^ Petkevich 1988, p. 199.
  29. ^ a b c d e Lewis, Tanya (14 February 2022). "How Olympic Figure Skaters Break Records with Physics". Scientific American. Retrieved 22 July 2022.
  30. ^ a b 케스트나움 2003, 페이지 282.
  31. ^ Hines 2011, 222쪽.
  32. ^ a b c d e f "ISU Communication 2475 Single and Pair Skating". Retrieved 12 October 2023.
  33. ^ a b Park, Alice (22 February 2018). "How to Tell the Difference Between the 6 Figure Skating Jumps You'll See at the Olympics". Time. Retrieved 20 July 2022.
  34.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ISU Figure Skating Media Guide 2023/24". Retrieved 12 October 2023.
  35. ^ a b c Sarkar, Pritha; Fallon, Clare (28 March 2017). "Figure Skating – Breakdown of Quadruple Lumps, Highest Scores and Judging". Reuters. Retrieved 20 July 2022.
  36. ^ a b 케스트나움 2003, 페이지 287.
  37. ^ a b c d e f USFS, 페이지 2
  38. ^ "ISU Technical Panel Handbook Single Skating 2023-24". 8 July 2023. Retrieved 12 October 2023.
  39. ^ "ISU Technical Panel Handbook Pair Skating 2023-24". 12 July 2023. Retrieved 12 October 2023.
  40. ^ King, Deborah; Smith, Sarah; Higginson, Brian; Muncasy, Barry; Scheirman, Gary (2004). "Characteristics of Triple and Quadruple Toe-Loops Performed during The Salt Lake City 2002 Winter Olympics". Sports Biomechanics. 3 (1): 112. doi:10.1080/14763140408522833. PMID 15079991. S2CID 14116488.
  41. ^ a b c d e "Skating Glossary". Skate Canada. 201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August 2020. Retrieved 20 July 2022.
  42. ^ 하인스 2011, 페이지 193.
  43. ^ a b 케스트나움 2003, 페이지 284.
  44. ^ Hines 2011, p. 150.
  45. ^ a b 케스트나움 2003, 페이지 285.
  46. ^ 케스트나움, 페이지 285
  47. ^ USFS, 페이지 1
  48. ^ Mazurkiewicz, Anna; Twańsak, Dagmara; Urbanik, Czesław (July 2018). "Biomechanics of the Axel Paulsen Figure Skating Jump". Polish Journal of Sport and Tourism. 25 (2): 3. doi:10.2478/pjst-2018-0007.
  49. ^ S&P/ID 2018, 페이지 102-104, 106-107
  50. ^ Robbins, Hannah (11 February 2018). "Triple Axel New Ladies' Figure Skating Staple". The Collegian. Tulsa, Oklahoma: University of Tulsa. Retrieved 21 July 2022.
  51. ^ Princiotti, Nora (12 February 2018). "What is a Triple Axel? And Why is it So Hard for Figure Skaters to Pull Off?". Boston.com. Retrieved 21 July 2022.
  52. ^ Calfas, Jennifer (12 February 2018). "Why Mirai Nagasu's Historic Triple Axel at the Olympics Is Such a Big Deal". Time. Retrieved 21 July 2022.
  53. ^ Victor, Daniel (12 February 2018). "Mirai Nagasu Lands Triple Axel, a First by an American Woman at an Olympics".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21 July 2022.
  54. ^ Skretta, Dave (22 October 2022). "Malinin's quad axel lifts 17-year-old to Skate America title". Associated Press News. Retrieved 7 November 2022.
  55. ^ Samuels, Robert (18 February 2018). "Ice Dancing is More than pairs Figure Skating Without Jumps". Washington Post. Retrieved 21 July 2022.
  56. ^ Hines 2006, pp. 29, 91.
  57. ^ Brown, Stacia L. (18 August 2015). "The Rebellious, Back-Flipping Black Figure Skater Who Changed the Sport Forever". The New Republic. Retrieved 21 July 2022.
  58. ^ "What You Need to Know About the New Rules". Coach Aimée Skating Academy - Learn to Ice Skate - PSA Excellence on Ice Awarded Program. 26 February 2007. Retrieved 12 October 2023.
  59. ^ a b c Walker, Elvin (19 September 2018). "New Season New Rules". International Figure Skating. Retrieved 21 July 2022.
  60. ^ a b "Communication No. 2494: Single & Pair Skating/Ice Dance". Lausanne, Switzerland: International Skating Union. 30 June 2022. p. 4. Retrieved 5 July 2022.
  61. ^ 규칙 612 특별 규정 및 기술 규칙 2022
  62. ^ Hines 2006, p. xxvii.
  63. ^ 케스트나움 2003, 페이지 99.
  64. ^ S&P/ID 2018, 페이지 16
  65. ^ Germano, Sara (21 February 2018). "In Figure Skating, Russia's (Perfectly Legal) Secret Sauce". The Wall Street Journal. Retrieved 21 July 2022.
  66. ^ "New Rules for New Development in Figure Skating". Lausanne, Switzerland: International Skating Union. 14 October 2022. Retrieved 13 December 2022.
  67. ^ Russell, Susan D. (December 2019). "Talent and Tenacity: Next Gen Makes History on the Junior Grand Prix Circuit". International Figure Skating. p. 23.
  68. ^ "Communication No. 2334". International Skating Union. 8 July 2020. p. 3. Retrieved 21 July 2022.
  69. ^ a b 기술 패널, 페이지 15
  70. ^ a b 기술 패널, 페이지 17
  71. ^ S&P/ID 2018, pp.113, 118
  72. ^ S&P/ID 2021, 페이지 116
  73. ^ S&P/ID 2021, 페이지 111
  74. ^ Henderson, John (26 January 2006). "Duo Throws Caution to Wind". The Denver Post. Retrieved 21 July 2022.
  75. ^ 기술 패널, 페이지 18
  76. ^ a b 케스트나움 2003, 페이지 27.
  77. ^ Cabell & Bateman 2018, p. 21.
  78. ^ Cabell & Bateman 2018, 페이지 19.
  79. ^ 카벨 & 베이트먼 2018, 페이지 20.
  80. ^ Cabell & Bateman 2018, p. 35.
  81. ^ Cabell & Bateman 2018, 페이지 38.
  82. ^ Cabell & Bateman 2018, 페이지 22.
  83. ^ a b c d Lamb, Evelyn (7 February 2018). "How Physics Keeps Figure Skaters Gracefully Aloft". Smithsonian. Retrieved 21 July 2022.
  84. ^ Cabell & Bateman 2018, p. 27.
  85. ^ Petkevich 1988, p. 193.
  86. ^ a b c 킹 외, 페이지 120
  87. ^ Petkevich 1988, pp. 193-194.
  88. ^ Petkevich 1988, pp. 271-272.
  89. ^ 스티븐스 2023년 21-22쪽
  90. ^ 스티븐스 2023년 51쪽
  91. ^ Hines 2011, p. xxiv.
  92. ^ Elliott, Helene (13 March 2009). "Brian Orser Heads List of World Figure Skating Hall of Fame inductees". Los Angeles Times. Retrieved 9 October 2022.
  93. ^ 스티븐스 2023, 83쪽.
  94. ^ Judd, Ron C. (2001). The Winter Olympics: An Insider's Guide to the Legends, the Lore, and the Games. Seattle, Wash.: The Mountaineer Books. p. 100.
  95. ^ Pucin, Diane (7 January 2002). "Button Has Never Been Known to Zip His Lip". Los Angeles Times. Retrieved 21 July 2022.
  96. ^ "A Quadruple Jump on Ice". The New York Times. Associated Press. 26 March 1988. p. 1001057. Retrieved 22 July 2022.
  97. ^ "Фигуристка Аделия Петросян впервые в истории исполнила четверной риттбергер" [Figure skater Adelia Petrosyan performed a quadruple loop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TASS (in Russian). Retrieved 19 December 2021.
  98. ^ "Hanyu First to Nail Quadruple Loop". The Japan Times. Kyodo News. 1 October 2016. ISSN 0447-5763. Retrieved 21 July 2022.
  99. ^ Griffiths, Rachel; Jiwani, Rory (6 December 2019). "As it Happened: Wins for Kostornaia and Chen on Last Day of Competition in Turin". Olympic Channel. Retrieved 22 July 2022.
  100. ^ "Ilia Malinin (USA) lands first quad Axel – International Skating Union". isu.org. Retrieved 16 September 2022.

작동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