풋볼 빅토리아

Football Victoria
풋볼 빅토리아
Football Victoria logo.svg
약어FV
포메이션1884
유형주 축구 관리 기구
본부3/436 St Kilda Rd
멜버른, VIC 3004
위치
대통령
키몬 탈리아도로스
최고경영자
피터 필로풀로스
소속풋볼 오스트레일리아
웹사이트footballvictoria.com.au

축구 빅토리아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에 있는 축구 주 정부 기관이다.그것은 그 스포츠의 국가 통치 기구인 풋볼 오스트레일리아와 제휴되어 있다.

역사

축구 빅토리아는 1884년 빅토리아주 앵글로호주축구협회라는 이름으로 운영을 시작했으며 빅토리아에서 가장 오래된 스포츠 협회 중 하나이다.[1]수년 동안 여러 차례 명칭이 바뀌었지만, 이 때부터 빅토리아에서 축구의 통치기구로 존속하고 있다.

2009년 빅토리아주 축구 선수 등록이 5만 명을 돌파해 연맹 역사상 최다를 기록했다.[2]

2018년 축구연맹은 '축구 연맹 빅토리아'에서 '축구 연맹 빅토리아'로 명칭이 바뀌었다.[3]

포메이션

빅토리아 축구 연맹은 주 내에서 스포츠의 모든 측면을 감독하지만, 지역 리그와 경기를 관리하는 12개의 지역 협회가 있다.

빅토리아 주의 축구 피라미드

호주의 전체 축구 피라미드는 호주 축구 리그 시스템을 참조하라.

빅토리아에 있는 축구 피라미드는 A리그 아래 빅토리아에 있는 축구 7단계로 구성되어 있다.(A-리그와 지역 리그와는 달리) 모든 레벨 간의 승진과 강등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적 형식을 가지고 있다.이 시스템의 모든 클럽은 FFA컵 참가 자격이 주어지며, 등급 순위에 따라 시드된다.

2013시즌을 위해, 축구 연맹 빅토리아는 리그의 구조조정을 발표했다.[4]기존에 각각 임시리그 1, 2, 3으로 알려졌던 5, 6, 7단계가 메트로폴리탄리그(8단)와 마찬가지로 제거됐다.이들은 주리그4와 5로 대체되어 지리적으로 북, 동, 남, 서부로 나뉘어 있어 이론적으로 주리그5가 VPL로 승격될 수 있는 최하위 부문이 되었다.빅토리아 프리미어리그와 스테이트리그 1대 3은 그대로였다.

2013년에는 빅토리아에서 첫 번째 State League 챔피언스 시리즈가 열릴 예정이다.State League 1 이하 각 리그 챔피언은 다음과 같이 소속 지역 내 다른 지역 챔피언들과 결승전을 치른다.

  • 주리그1북서v남동
  • 주리그2북서 vs 남동부
  • 주리그3 북서부 vs 남동부
  • 스테이트 리그 4 북과 서, 남과 동, 결승전에서 우승자들이 만난다.
  • 결승전에서 우승자들이 만나는 가운데, State League 5 North vs West & South vs East

빅토리아식 축구 피라미드와 연결되지 않아 승급이나 강등이 없지만 FFV에 소속된 다양한 지역 리그가 있다.이들 리그에는 베이사이드 FA 프리미어, 지프스랜드 사커 리그, 노스이스트 사커 리그, 벤디고 아마추어 사커 리그, 발라랏 & 지구 축구 협회, 질롱 지역 축구 협회, 사우스웨스트 빅토리아 주니어 축구 협회가 포함되며, 다양한 주니어 리그도 포함된다.

남자 피라미드

레벨 리그
1 내셔널 프리미어 리그 빅토리아
14개 클럽
↓ 강등 2
2 내셔널 프리미어 리그 빅토리아 2
클럽 12개
↑ 프로모션 2
↓ 강등 2
3 내셔널 프리미어 리그 빅토리아 3
클럽 12개
↑ 프로모션 2
↓ 강등 2
4 빅토리아 주립 리그 1부 북서부
클럽 12개
↑ 홍보 1
↓ 강등 2
빅토리아 주 리그 디비전 1 남동부
클럽 12개
↑ 홍보 1
↓ 강등 2
5 빅토리아 주립 리그 2부 북서부
클럽 12개
↑ 프로모션 2
↓ 강등 2
빅토리아 주 리그 디비전 2 남동부
클럽 12개
↑ 프로모션 2
↓ 강등 2
6 빅토리아 주립 리그 3부 북서부
클럽 12개
↑ 프로모션 2
↓ 강등 2
빅토리아 주 리그 디비전 3 남동부
클럽 12개
↑ 프로모션 2
↓ 강등 2
7 빅토리아 주 리그 4부 북쪽
클럽 12개
↑ 홍보 1
↓ 강등 2
빅토리아 주 리그 4부 리그 서부
클럽 12개
↑ 홍보 1
↓ 강등 2
빅토리아 주 리그 디비전 4 남쪽
클럽 12개
↑ 홍보 1
↓ 강등 2
빅토리아 주 리그 4부 동부
클럽 12개
↑ 홍보 1
↓ 강등 2
8 빅토리아 주 리그 디비전 5 노스
클럽 12개
↑ 프로모션 2
강등 금지
빅토리아 주 리그 디비전 5 웨스트
클럽 12개
↑ 프로모션 2
강등 금지
빅토리아 주 리그 디비전 5 남쪽
클럽 12개
↑ 프로모션 2
강등 금지
빅토리아 주 리그 디비전 5 동부
클럽 12개
↑ 프로모션 2
강등 금지
9 지역
12개 구
승급 금지

여성 피라미드

[3]

레벨

리그/디비전

1

내셔널 프리미어 리그 빅토리아 위민스
(8개 클럽)

클럽 형성된 빅토리아 여왕
알라메인 FC 동부 표준시
베이사이드 유나이티드 동부 표준시
박스힐 유나이티드 동부 표준시 2001, 2003, 2004, 2005, 2006, 2008, 2009, 2010, 2012
불린 라이온즈 동부 표준시 2018
칼더 유나이티드 동부 표준시 2016, 2019
하이델베르크 유나이티드 동부 표준시 2007
사우스 멜버른 동부 표준시 2011, 2014, 2015, 2017
빅토리아 여자 NTC 동부 표준시

2

빅토리아 여자 프리미어리그
(10개 클럽)

클럽 형성된 빅토리아 여왕
보룬다라 이글스 동부 표준시
케이시 코메츠 FC 동부 표준시 1998, 1999 & 2002
엘담 노스 동부 표준시
질롱 갤럭시 유나이티드 FC 2016년 1월 1일
멜버른 나이츠 FC 동부 표준시
프레스턴 라이온즈 FC 동부 표준시
남야라 동부 표준시
남부 유나이티드 동부 표준시
멜버른 대학교 에스트1947
화이트호스 유나이티드 동부 표준시

3

여자 스테이트 리그 디브 1 북서부
클럽 10개
발라랏시티 FC
분도라 유나이티드
엘우드 시티 SC
에센던 로얄스 SC
FC 클리프턴 힐
킬러 파크 SC
몰랜드 얼룩말
올드 시베리안스
스프링 힐 FC
세인트앨번스 세인츠

여자 스테이트 리그 디브 1 남동부
클럽 10개
Berwick City WVPL 챔피언스 1992, 1993, 1994 & 1995
브라이튼
FC 노블 허리케인
녹스 유나이티드 WSC
모나시 대학교
몽불크
무어울바크
링우드 시티
사우스 스프링베일
스카이 우트 FC

4

여자 스테이트 리그 디브 2 북서부
클럽 10개
브런즈윅 제브라스 WVPL 챔피언스 1996 & 1997
흄 시
라 트로베 우니
마리비농 그린스
마리비르농 우트
스프링 힐
선샤인 조지스
웨스트 프레스턴
웨스턴 이글스
서부 교외
야라 제츠

여자 스테이트 리그 디브 2 남동부
클럽 10개
앨버트 파크 WSC
애슈버턴 우트
보마리스
벤틀리 그린스
돈캐스터 로버스
인데버 우트
녹스시티
노블 파크
리치먼드
샌드링엄

5

여자 스테이트 리그 디브 3 북서부
8클럽
알토나 시
알토나 매직
아본데일 FC
브런즈윅 시
다이아몬드 밸리 웃드
멜버른 대학교
미첼 레인저스
노스시티 라이온즈
포트 멜버른

여자 스테이트 리그 디브 3 남동부
8클럽
애슈버턴
베이즈워터 스트라이커
FC 클리프턴 힐
피츠로이 시
랑와린
모닝턴 불꽃
샌드링엄
스윈번 대학교 WSC

참조

  1. ^ [1] 2009년 6월 17일 웨이백 머신보관
  2. ^ [2] 웨이백 머신에 2011년 9월 28일 보관
  3. ^ "FFV rebrands as Football Victoria, unveils visual identity". Football Victoria. 19 October 2018. Retrieved 20 October 2018.
  4. ^ "Football Federation Victoria : Restructure of 2013 men's leagues". Footballfedvic.com.au. Retrieved 21 August 2013.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