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버른 중앙 상권
Melbourne central business district멜버른 CBD 빅토리아 주 멜버른 | |||||||||||||||
---|---|---|---|---|---|---|---|---|---|---|---|---|---|---|---|
![]() 유레카 타워에서 본 멜버른의 CBD | |||||||||||||||
![]() | |||||||||||||||
좌표 | 37°48′50″S 144°57′47″E / 37.814°S 144.963°E좌표: 37°48′50″S 144°57′47″E / 37.814°S 144.963°E/ | ||||||||||||||
인구 | 47,285 (부활, 2016)[1] | ||||||||||||||
• 밀도 | 26,620/km2(68,420/sq mi) | ||||||||||||||
확립된 | 1835 | ||||||||||||||
우편번호 | 3000, 3001, 3004[2] 8001(PO 박스) | ||||||||||||||
표고 | 30m(98ft) | ||||||||||||||
면적 | 1.79km2(0.7제곱 mi) | ||||||||||||||
LGA | |||||||||||||||
주 선거인단 | |||||||||||||||
연방 부서 | |||||||||||||||
|
멜버른 중심상업지구(구어로는 단순히 "The City" 또는 "The CBD"[3]라고도 한다)는 호주 빅토리아주 멜버른 시의 중심이자 주요 도시 지역으로, 1837년에 세워진 도시의 가장 오래된 부분인 호들그리드(Hoddle Grid)를 중심으로 하며, 그 주변지역이 포함된다. 이 지역을 포함한 멜버른시의 더 큰 지방정부 지역과 그 주변의 내부 교외지역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
것이 아니라면 현재 공식적인 지역 경계는 하지만 호주 통계국 통계 지역 레벨 2'Melbourne'[4]의 경계의 넓이는 보통''CBD'또는'도시'의 뜻의 보통으로 알려져 영역을 나타내는;이것은 Hoddle 그리드 포함한다, n. 병렬 거리의 구역 바로까지 정확하게 계산하지 않다찌꺼기퀸 빅토리아 시장을 포함한 빅토리아 스트리트까지 올라갔지만 플래그스태프 가든과 플린더스 스트리트와 야라 강 사이의 지역은 아니다.
센트럴시티는 그레이터 멜버른 대도시권의 핵심으로 호주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주요 금융 중심지다. 멜버른의 유명한 골목길과 아케이드가 있는 곳으로 현대 건축물과 빅토리아 건축물이 뚜렷하게 어우러져 있으며 [5]호주에서 가장 높은 건물 6개 중 5개가 있는 곳으로 유명하다. 최근에는 세계 최고의 거리 예술 메카 중 하나로 뉴욕, 베를린과 나란히 자리 잡고 있으며, 창조도시 네트워크(Creative City Network)에서 유네스코의 '문학의 도시'를 지정하기도 했다.[6]
멜버른의 기초
배트맨 조약
4월 1835년에, 존 배트맨, 오똑한 grazier과 질롱:오스트레일리아 동남부와 Dutigalla 협회(포트 필립 협회 나중에)[7][8]의 멤버 론서스턴에서 반 디멘즈 랜드(지금 국가의 태즈메이니아)의 섬에 채취용 소형 스쿠너. 레베카에 타 신선한 목초를 땅의 식민지 뉴 사우스 웨일즈의 자세한 내용은 수도관의 남동쪽에 검색에 항해했다.땅 A우스트랄 대륙). 그는 배스 해협을 가로질러 포트필립 만으로 들어갔고, 5월에 야라 강 어귀에 도착했다.[9] 그는 주변 지역을 답사한 뒤 원주민 원주민 단체인 쿨린민족동맹의 우룬제리(Wurundjeri)의 원로들을 만나 60만 에이커(940평방미터, 2400km2)에 대한 거래를 협상했고, 이후 배트맨 조약으로 알려졌다.[10] 머리 크리크 은행(현대판 노스코트 근교 부근)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이 거래는 담요, 칼, 거울, 설탕, 그리고 기타 그러한 물품들의 제공으로 이루어졌으며,[11] 또한 매년 우룬제리에게 분배된다.[10] 이날 배트맨의 저널 엔트리의 마지막 문장은 정착촌 설립헌장으로 유명해졌다.[7]
그래서 배는 큰 강을 거슬러 올라갔다. 그리고 약 6마일 상공에서 강물이 모두 좋은 물과 매우 깊은 곳을 발견했다고 말할 수 있어 기쁘다. 이곳은 마을을 위한 장소가 될 것이다.
— 존 배트맨 저널 (1835년 6월 8일)[9]
반 디멘스 땅으로 돌아오자마자, 배트맨의 조약은 1835년 8월 버크 주지사의 선언에 따라 뉴사우스웨일스 주지사인 리처드 버크 경에 의해 무효로 간주되었다.[12] 원주민들이 호주 대륙의 땅에 대한 공식적인 권리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은 부크 주지사와 반 디멘스 랜드 주지사 조지 아서 경의 믿음이었다. 포고문은 테라눌리우스의 교리에 따라 공식적으로 The Crown이 호주 대륙 전체를 소유하고 있으며 그것만이 토지를 팔고 분배할 수 있다고 선언했다.[12] 따라서 그것은 정부의 동의 없이 이루어진 어떤 계약이나 조약도 무효로 하고, 그러한 조약에 의존하려는 사람은 누구나 불법침입이라고 선언했다.[12] 그러나 포고문이 작성될 당시, 반 디멘스 랜드의 저명한 사업가 존 파스코 포크너도 이 지역에 대한 탐험 자금을 지원했는데, 이 탐험대는 조지 타운에서 슈나이너 엔터프리스호를 타고 항해했다.[13] 동시에, 포트필립 협회는 레베카를 타고 론체스톤에서 항해한 두 번째 탐험에도 자금을 지원했다.[7]
포크너의 기정사실
엔테프리제에 탑승한 정착당은 8월 29일 야라 강으로 들어가 배트맨이 선택한 장소 근처에 정박했다.[14] 그 일행은 다음날(오늘날 윌리엄 스트리트 근처, 현재 멜버른의 날로 기념되고 있다) 해안으로 가서 그들의 상점과 가축을 상륙시키고 정착촌을 건설하기 시작했다.[13] 레베카에 탑승한 협회 일행은 인덴트 헤드의 임시 수용소에서 시간을 보낸 후 9월에 도착했는데, 그곳에서 그들은 원주민 원주민 단체인 쿨린 민족 동맹의 와타우롱과 32년간 살아왔던, 죽은 것으로 믿어지는 탈옥수인 윌리엄 버클리를 만났다.[15] 배트맨은 엔터프리스의 정착민들이 이 지역에 정착지를 세우고 이 정착민들에게 이 협회의 땅을 무단침입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에 실망했다. 그러나, 부르크 총독 선언에 따르면, 양 당사자는 사실상 크라운 땅을 침범하고 있었다.[12] 10월에 (민주적 성격으로 주목받았던)[13] 포크너가 도착하자, 양당의 팽팽한 논쟁에 이어 토지가 균등하게 공유되도록 교섭이 이루어졌다.
양당의 뒤를 이어 포크너가 도착했기 때문에 10월 식민지 관리청의 승인을 얻은 부르크 총독 포고령을 알고 있었다.[12] 그는 그 정착이 기정사실화되려면 협력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그 후 토지는 분할되었고, 정착은 평화적으로 존재했지만, 공식적인 통치 체계는 없었다.[14] 그것은 "배트마니아"와 "베어브라스"[9][16]를 포함한 여러 이름으로 언급되었는데, 이 중 배트맨과 포크너가 후자를 합의하였다.[16] 포크너는 베어브라스 설립에 주도적인 역할을 맡았는데,[13] 1836년 초에는 177명의 유럽 정착민(남자 142명, 여자 정착민 35명)으로 구성되었다.[14] 찰스 그랜트 식민지 담당 국무장관은 같은 해에 정착촌의 기정사실화를 인정했고, Bourke 주지사가 베어브래스를 왕관 정착촌으로 이전할 수 있도록 승인했다.[14] 배트맨과 포트필립 협회는 7,000파운드의 보상금을 받았다.[7] 그리고 1837년 3월, 그날의 영국 수상 윌리엄 램(멜버른 경)을 기리기 위해 부르크 총독에 의해 공식적으로 "멜본"으로 개명되었다.[14]
경계 및 지리
멜버른 CBD는 현재의 공식 경계가 있는 것이 아니라 퀸 빅토리아 시장을 포함한 바로 북쪽에 평행한 거리인 호들 그리드와 플린더스 스트리트와 강 사이의 지역으로 일반적으로 이해되고 있다. 많은 공식 구분된 지역들이 유사하지만, 모두 약간씩 다르다. 더 큰 몇몇 사람들은 여전히 '멜본'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것은 약간의 혼란을 초래한다.
호주 통계국(ABS) 통계영역 수준 2 '멜본'의 경계는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CBD'의 영역을 잘 나타내고 있다. 호들 그리드는 물론 퀸 빅토리아 시장을 포함한 빅토리아 스트리트까지의 북쪽 바로 평행 거리 면적을 포함한다. 그러나 플래그스태프 가든이나 스트리트(Stree)는 아니다.그 서쪽, 플린더스 가와 스완스턴 가 서쪽의 야라 강 사이의 지역. 지도는 여기서 찾을 수 있다. 이것은 더 큰 지역인 멜버른이라고도 불리는 주 교외 수준 지역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
우편번호 3000의 면적은 매우 유사하지만, 플린더스 스트리트 역의 동쪽에 있는 지역, 그리고 북부 엘리자베스 가의 다리 위쪽도 포함한다. 이것의 지도는 이곳과 이곳에서 찾을 수 있다.
멜버른의 지역(부활지)은 공식적인 지역이지만 [17]더 크다; 우편번호 3004의 면적과 결합된 우편번호 3000의 지역이다(도메인과 식물원 공원지, St Kilda Road의 동쪽을 포함한 중앙 도시의 남쪽 지역). 그리고 이 두 우체국은 모두 멜버른으로 알려져 있다.
'중앙상업지구' 또는 'CBD'라는 용어는 마을계획가 E.F에 의해 멜버른 시의 중심상업지역에 대한 계획계획에 관한 보고서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보리는 멜버른 시에 의뢰되어 1964년에 출판되었다. 보고서에 사용된 지도는 CBD를 단지 호들그리드(Hoddle Grid)로, 그리고 북쪽으로 바로 평행한 거리, 플린더스 가와 강 사이의 영역으로, ABS 지역과 매우 유사하다.
1999년부터 멜버른 계획안에는 구 CBD, RMIT 지역을 제외한 훨씬 더 넓은 지역인 'Capital City Zone'이 포함되었지만, 사우스 크로스 역을 포함한 사우스뱅크의 상당 부분이 웨스트게이트 고속도로, 킹스웨이를 따라 줄지어 내려가며, 사우스 멜버른 코벤트리 스트리트, 북부 부두 및 남부 부두 지역까지 이른다.CCZ의 지도는 여기서 찾을 수 있다. 멜버른 계획안 21.08조에서 '중앙 도시'로 기술된 지역은 유사하지만, 도클랜즈도 포함한다.[18]
공식적으로는 이스트 멜버른에 있는 스프링 가의 의회 하우스와 재무부 건물, 공식적으로는 도클랜드에 있는 스펜서 가의 남십자 철도역 등, 때로는 'CBD'나 중심 도시 안에 포함되는 중요한 기능을 가진 인접 지역들이 몇 군데 있다. 다른 지역은 지난 30년간 아파트, 사무실 건물 및 CBD와 유사한 중요 기능들이 많이 개발되었으며, 서쪽으로는 도크랜드(도크랜드 스타디움 포함)가 있고, 서쪽으로는 야라 강 건너편으로는 사우스뱅크와 사우스워프 등이 편입되기도 한다.
이 지역이 중심 업무 지구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멜버른의 지리적 또는 인구학적 중심지는 아니다; 남동쪽으로의 도시의 무질서한 확장으로 인해 지리적 중심지는 남동쪽 교외에 있다(2002년에 그것은 본 스트리트, 글렌 아이리스에[19] 위치했다).
호들 그리드


호들 그리드(Hoddle Grid)는 1837년 정부 조사관 로버트 호들(Robert Hoddle)이 도시 중심가에 설치한 직사각형 모양의 도로 격자다. 모든 주요 거리는 폭 1과 1/2의 체인(99피트 또는 30m)인 반면, 모든 블록은 정확히 10개의 체인 사각형(10에이커), 201m × 201m 또는 659ft × 659ft × 659ft이다. 그것은 길이가 1.6km이고 너비가 0.80km이다. 플린더스 스트리트, 스펜서 스트리트 라트로브 스트리트, 스프링 스트리트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그리드의 가장 긴 축은 실제 북쪽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70도 방향을 잡아 야라강의 진로에 더 잘 맞춰져 있다. 호들 그리드 외곽의 대부분의 동맥 거리는 멜버른의 거의 북-남으로 거의 8도 시계방향으로 정렬되어 있었다. 1900년에는 자기북부가 8° 3'E로 2009년에는 11° 42'E로 증가하였다.[20]
비록 식민지 정부 관행이 일반적으로 정부 건물이나 시장을 위해 지정된 토지 이외의 공공 광장은 포함하지 않았지만,[21] 호들 조사에는 시위나 공공의 어슬렁거리는 것을 피하기 위해 공공 광장이나 피아자는 포함되지 않았다.[22]
마을 전체가 처음에는 호들 그리드에 수용되었지만, 1850년대에 골드 러시가 불러온 엄청난 이민 급증은 피츠로이와 사우스 멜버른(에메랄드 힐), 그리고 그 너머의 첫 번째 교외 지역으로 확산되는 그리드를 순식간에 뒤엎어 버렸다.
호들 그리드와 그 주변지역들은 20세기 중반까지 도시의 중심이자 가장 활발한 부분으로 남아 있었는데, 콜린스 가의 중심에는 소매업, 은행업 및 프라임 오피스 공간, 콜린스 가의 언덕에는 의료 전문가, 윌리엄 가 주변의 법률 전문가, 플린더스 레인과 서부 끝에는 창고업 등이 있었다. GPO, 주 도서관, 대법원, 세관 같은 정부 건물들은 국회의사당과 철도역을 가장자리에 두고 여러 블록을 차지하고 있었다.
리틀 론스데일 거리의 빈민가 등 주거 용도는 1950년대까지 상업용도로 대체되었는데, 1990년대까지는 오래된 건물들이 바뀌면서 반환되지 않았다. 2000년대 이후, 이것은 많은 고층 아파트와 학생 주택 프로젝트와 함께 가속화되었다.
주민 손실, 소매업 및 주점 제한 시간으로 인해, 한 해설자는 70년대에 이 도시는 "전쟁으로 폐허가 된 베를린처럼 황폐했다"고 언급하면서, 중심 도시는 9-5개의 상업적 이용에 의해 지배적인 도시였다.[23]
인구통계학
2016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CBD(멜버른의 2급 통계 지역)의 인구는 3만7321명으로 이 중 절반가량이 유학생이었다. 호주에서 태어난 주민은 14.3%에 불과했고, 중국에서 태어난 주민은 24.9%에 불과했다. 그 외 출생지는 말레이시아 8.3%, 인도 6.2%, 인도네시아 4.5%, 한국 4.0% 순이었다. 거주자의 21.7%가 집에서 영어만 사용했으며 30.8%는 만다린어를 사용하였다. 이들 해외 출생자는 대부분 학생으로 3차 교육기관에 재학 중인 주민의 57.3%, 20~29세 거주자의 54.3%가 거주하고 있다.[4]
일반적으로 호주의 수도들, 특히 멜버른과 시드니와 공통적으로, CBD는 지난 10년간 2017년까지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보였다. 주거 단위, 인구, 일자리, 방문 등이 모두 눈에 띄게 증가하면서 중심 상권이 주로 사업 또는 업무 중심 중심 중심에서 사업 중심과 주거 복합 지구로 변화하고 있다.[24] 2010년대 이전에는, 호주 CBD는 일반적으로 교외에서 노동자들이 통근하는 장소였으며, 고용과 쇼핑의 기회를 넘어서는 거의 도움이 되지 않았다.
이 시기에는 때때로 작은 1, 2개의 침실 아파트와 (주차장이 없는) 원룸형 학생 주택의 매우 높은 탑들이 많이 지어져서 학생들을 포함한 CBD의 거주인구가 크게 증가했다. 노후된 건물 상당수가 로프트형 아파트로 전환됐고, 이보다 넓은 면적을 가진 노후 아파트가 일부 있어 상대적으로 고급 주택의 양도 적다. 어린 자녀를 둔 가정은 거의 없고, 14세 미만 거주자는 3.1%에 불과하고, 50세 이상 거주자도 똑같이 적어 대부분의 거주자는 학생 또는 청년 전문직 종사자다.[4]
이코노미
CBD는 그레이터 멜버른의 핵심 중심 활동 지역이다. 여기에는 페더레이션 스퀘어, 멜버른 아쿠아리움, 멜버른 타운홀, 빅토리아 주 도서관, 빅토리아 주 의회, 빅토리아 주 대법원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멜버른 메트로폴리탄과 빅토리아 역의 주요 종착역인 플린더스 가와 남십자 역이 될 뿐만 아니라 멜버른 전차망의 가장 밀도가 높은 구간이기도 하다.
북동쪽 경계선에 접해 있는 곳에는 멜버른 박물관뿐만 아니라 세계문화유산 목록에 등재된 왕립전시관과 칼튼 가든이 있다. 바로 남쪽에는 멜버른 컨벤션 센터, 멜버른 카지노, 아트 센터 멜버른, 빅토리아 국립 갤러리 등이 있다.
중심상업지구는 호주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주요 금융 중심지다.[25] 이 곳에는 BHP와 리오 틴토 그룹 등 세계 2대 광산기업과 호주 4대 은행인 ANZ와 호주은행 등 2개 대형 게임회사가 입주해 있다. 최대 통신 회사인 Telstra, 두 개의 최대 운송 관리 회사인 Crown and Tabcorp: 톨게이트와 트랜스퍼번 그리고 상징적인 양조 회사 포스터의 그룹.
또한 이스트 멜버른 교외가 있는 빅토리아 주 정부뿐만 아니라 멜버른 시의 주요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한다. 이 지역에는 주요 캠퍼스인 RMIT 대학(시티 캠퍼스)과 빅토리아 대학 캠퍼스(시티 킹, 퀸, 플린더스 캠퍼스) 3개 캠퍼스가 있다. 멜버른 대학의 빅토리아 예술대학 캠퍼스는 바로 남쪽에 있다.
CBD는 인접한 사우스뱅크 지역과 함께 최근 몇 년간 비교적 무제한의 높이 제한을 받아 왔으며, 호주에서 가장 높은 건물 6개 중 4개(또는 첨탑 10개 중 5개)를 보유하고 있다. CBD에서 가장 높은 곳은 현재 2018년 12월에 1위를 차지한 오로라 멜버른 센트럴이다. 멜버른은 역사적으로 시드니와 가장 높은 빌딩을 놓고 경쟁을 벌였는데 2000년대까지 모두 사무용 타워였고 1980년대와 1990년대 호주에서 가장 높은 빌딩 3개는 모두 멜버른 CBD에 있었다.
문화와 스포츠
예술
멜버른에 있는 거의 모든 주요 극장은 CBD나 그 주변에 위치해 있다. 공주극장, 리젠트극장, 포럼극장, 코미디극장, 아테나음극장, 여왕폐하극장, 캐피톨극장 등 역사극장들이 모두 호들그리드 내에 위치해 있다. 아트 센터 멜버른(State Theatre, Hamer Hall, Playhouse, Fairfax Studio 포함)과 멜버른 리사이틀 센터는 CBD 바로 남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시드니 마이어 뮤직 볼은 동쪽에 있다.
페더레이션 스퀘어 예술단지는 플린더스(Finders)와 스완스턴 스트리트(Swanston Streets) 모퉁이의 프라임 부지를 차지하고 있으며 오스트레일리아 무빙 이미지 센터(Center for the Moving Image), 빅토리아 국립 갤러리의 호주 미술관(Australian Artream)과 코오리 헤리티지 트러스트(Koori Heritage Trust), 디킨 에지) 강당 등이 있다.
호주의 문학 중심지이기도 하며, 1인당 도서관과 출판사가 호주의 어느 도시보다 많다. 세계 최대 여행 가이드북 출판사 론리 플래닛의 본사는 칼튼의 CBD 바로 외곽에 위치해 있다. 2008년 멜버른은 창조도시네트워크에서 유네스코에 의해 "문학의 도시"로 지정되었다.[6] 주립도서관 빅토리아(State Library Victoria)는 도시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는 도서관이며 휠러 센터를 주최한다. 멜버른은 세계 최고의 스트리트 아트 메카 중 하나로 뉴욕, 베를린과 나란히 자리 잡았으며,[26] 광범위한 거리 예술이 가득한 차선, 골목, 아케이드 등이 호주의 최고의 문화 명소로 론리 플래닛 독자들에 의해 투표되었다.[27]

CBD는 많은 소규모 독립 갤러리들의 본거지로서, 종종 오래된 건물들의 윗층이나 차선 아래쪽에 있으며, 빅토리아에서 가장 상업적인 갤러리들 중 일부는 '도시'에도 있다.
스포츠
CBD 내에는 스포츠 경기장이 없지만 멜버른의 '스포츠의 수축'은 졸리몬트라고 알려진 인접한 파크랜드에 위치한 MCG(멜본 크리켓 그라운드)이다. 멜버른 크리켓 클럽과 멜버른 풋볼 클럽이 그 곳에 기반을 두고 있다. 멜버른 크리켓 클럽은 상당히 독점적인 회원권을 가지고 있는 반면, 멜버른 풋볼 클럽은 멜버른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지만, 다른 교외 클럽의 지지자들에 의해 중앙 지역을 대표하는 것으로 연관되어 있고, 그 지지자들을 도시 전체가 아닌 지역성을 대표하는 것으로 인식한다.[28] 멜버른 축구 클럽은 최근 교외에서 꼬리표를 떼고 수도권 전역이 포용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29]
이벤트
CBD는 1901년 호주 정부 출범, 1956년 하계 올림픽, 1981년 영연방 정부 수반 회의, 1995년 세계 경찰 및 소방 대회, 2000년 세계 경제 포럼, 2006년 영연방 경기, 2015 크리켓 월드컵, G20 각료 회의 등 여러 중요한 행사를 개최하였다.d 2020 T20 월드컵. 또한 매년 개최되는 문화 및 스포츠 이벤트와 축제의 수가 상당하여 호주와 세계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운송

멜버른 중심 업무 지구는 그 도시의 교통 중심지다.
멜버른 교외의 열차 네트워크를 위한 플린더스 스트리트 역이 허브고 주간 지역 교통 스펜서 스트릿에 있는 기지가 허브 가장 바쁜 station,[30]남 십자성 역과 인생은 지하 철도 Loop–Parliament, 멜버른 중유럽 및 플래그 스태프 방송국의 3개 지하철 역톤에 위치해 있어히히히아스트와 노스 프링
멜버른 트램 네트워크는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크며, 교외에서 대부분의 노선이 CBD의 거리 중 하나를 달려 내려가며, 스완스턴 스트리트가 6개 노선을 유치하여 세계에서 가장 붐비는 전차 회랑 중 하나가 되었다. 트램은 플린더스, 콜린스, 부르크, 라 트로브, 스펜서, 마켓, 엘리자베스, 스프링 스트리트도 따라 달린다. 최근 몇 년 동안 거의 모든 CBD 전차 정류장은 모든 접근성이 뛰어난 "슈퍼탑"[31]으로 다시 지어졌다.
도시는 또한 버스 서비스에 의해 잘 연결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버스들이 멜버른 센트럴과 퀸 빅토리아 빌리지에 주요 버스 정류장을 두고 론데일 거리를 달리고 있다. 대부분의 버스 노선은 이 지역들로 가는 열차 노선이 부족하기 때문에 시의 북쪽과 동쪽 교외를 운행한다.
주요 자전거 도로는 CBD와 스완스턴 가의 주요 자전거 도로로 이어진다.
페리는 연방 부두의 야라 강 북쪽 둑과 아쿠아틱 센터의 회전 분지를 따라 정박한다. 멜버른과 올림픽 공원까지 가는 수상 택시 서비스도 있다.
자매도시
멜버른에는 6개의 국제 자매 도시가 있다.[32] 멜버른 시의회에 따르면, "이 도시 전체는 교육, 문화, 스포츠 교류에서 비할 데 없는 비즈니스 네트워킹 기회에 이르는 그들의 영향력에 의해 자양분이 되었다"[33][34][35]고 한다. 인정된 도시는 다음과 같다.
|
참조
주의:
- ^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27 June 2017). "Melbourne (State Suburb)". 2016 Census QuickStats. Retrieved 30 June 2017.
- ^ "Geographic coordinates of Melbourne. Latitude, longitude, and elevation above sea level of Melbourne, Australia".
- ^ Richards, Tim. "It's rooted: Aussie terms that foreigners just won't get". Traveller. Retrieved 11 January 2017.
- ^ a b c "2016 Census QuickStats: Melbourne". quickstats.censusdata.abs.gov.au. Retrieved 24 September 2019.
- ^ 뉴욕 타임즈 컴퍼니, 디아몬스타인, 바바랄리 (1987년 8월 9일), "멜버른 워크 위의 빅토리아 풍경", 뉴욕 타임즈 컴퍼니, 회수: 2011년 8월 5일
- ^ a b "멜본, 호주: 2011년 9월 4일 유네스코 창조도시 네트워크 웨이백머신에 보관된 문학도시: 2011년 8월 10일
- ^ a b c d Serle, Percival (1949). "Batman, John". Dictionary of Australian Biography. Sydney: Angus and Robertson. Retrieved 25 September 2009.
- ^ "Port Phillip Association" (Web). Encyclopædia Britannica. 2009. Retrieved 25 September 2009.
- ^ a b c "Journal of John Batman". State Library of Victor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Web) on 21 September 2009. Retrieved 25 September 2009.
- ^ a b "The Deed". Batmania. National Museum of Austral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Web) on 26 July 2008. Retrieved 25 September 2009.
- ^ Ellender, Isabel; Christiansen, Peter (2001). People of the Merri Merri. The Wurundjeri in Colonial Days. Melbourne: Merri Creek Management Committee. ISBN 0-9577728-0-7.
- ^ a b c d e "Governor Bourke's Proclamation 1835" (Web). Documenting Democracy. National Archives of Australia. Retrieved 25 September 2009.[영구적 데드링크]
- ^ a b c d Serle, Percival (1949). "Fawkner, John Pascoe". Dictionary of Australian Biography. Sydney: Angus and Robertson. Retrieved 25 September 2009.
- ^ a b c d e "Foundation of the Settlement" (PDF). History of the City of Melbourne. City of Melbourne. 1997. pp. 8–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2 September 2009. Retrieved 25 September 2009.
- ^ Morgan, John (1852). The Life and Times of William Buckley (Web). Hobart: Archibald MacDougall. pp. 116. Retrieved 25 September 2009.
- ^ a b Reed, Alexander Wyclif (1973). Place names of Australia. Sydney: Reed. p. 149. ISBN 0-589-50128-3.
- ^ 공식 지역 지도는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 ^ 2009년 빅토리아 정부, 페이지 3 그림 12: 센트럴 시티[specify]
- ^ 글렌 아이리스는 여전히 도시의 무질서한 확산의 중심지, The Age, 2002년 8월 5일
- ^ 자기분열
- ^ "Australians don't loiter in public space – the legacy of colonial control by design". The Conversation. 19 May 2017. Retrieved 19 May 2017.
- ^ Lewis, Miles (1995). Melbourne: The City's History and Development. Melbourne: City of Melbourne. pp. 25–29.
- ^ "Rare house in Melbourne's CBD to return to its commercial roots". Commercial Real Estate. 16 March 2017. Retrieved 19 May 2017.
- ^ "CITY OF MELBOURNE CLUE 2017 REPORT" (PDF). City of Melbourne.
- ^ 프리드먼, 존 (1997), "Cities Unbound: 유네스코 사회변혁 관리, 아시아 태평양 지역 시외 네트워크: 2011년 8월 5일
- ^ 앨런, 제시카. 세계 최고의 스트리트 아트 보기 도시, 국제 비즈니스 타임즈(2010년) 2010년 10월 16일 검색됨
- ^ 탑스필드, 쥬얼. 브럼비는 빅토리아 관광을 낙서 홍보인 The Ege(2008)에 대해 비난한다. 2010년 10월 16일 검색됨
- ^ 멜버른 데몬스 – 호주에서 온 녹슨 버킷 ConvictCreations.com
- ^ 악마들의 새로운 근거지? 2006년 7월 8일 Wayback Machine에 보관
- ^ "Research and statistics". Public Transport Victoria. 2013–201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May 2016. Retrieved 23 May 2016.
- ^ "Accessible trams". Public Transport Victoria. Retrieved 23 May 2016.
- ^ "International connections". City of Melbour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August 2016. Retrieved 29 July 2016.
- ^ "City of Melbourne – International relations – Sister cities". City of Melbour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September 2008. Retrieved 4 April 2008.
- ^ "Melbourne and Boston: Sister Cities Association". Melbourne-Boston.org. Retrieved 18 February 2015.
- ^ "The World Today – Melbourne makes Milan sister city". ABC Australia. 22 July 2003. Retrieved 18 February 2015.
원천
- Government of Victoria (2009), Melbourne Planning Scheme, Department of Planning and Community Development (PDF 버전). 2017년 4월 25일 회수)
- Melbourne City Council (1997), The History of the City of Melbourne, Melbourne City Records and Archives Branch (PDF 버전). 2011년 8월 5일 회수)
외부 링크
![]() | 위키보이지에는 멜버른/시티 센터 여행 가이드가 있다. |
- 공식 관광 웹사이트
- 멜버른 CBD의 지역사
위키미디어 커먼즈 멜버른 중앙 비즈니스 구역과 관련된 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