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골라의 대외 관계
Foreign relations of Angola앙골라의 외교관계는 앙골라 경제가 미국의 대외원조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미국의 외교정책을 강력히 지지하고 있는 앙골라에게 기반을 두고 있다.1975년부터 1989년까지 앙골라는 동구권,[citation needed] 특히 소련,[1] 리비아, [1]쿠바와 동맹을 맺었다.이후 군사·외교적 [1]개입을 통해 서방 국가와의 관계 개선, 포르투갈어권 국가와의 연계, 중앙아프리카에서의 국익 주장 등에 주력해 왔다.1993년 미국과 [1]정식 외교관계를 수립했다.남부 아프리카 개발 공동체에 가입하여 주로 [1]영어권 이웃 국가들과의 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수단이 되었다.짐바브웨와 나미비아는 앙골라군이 조셉 카빌라 [1]정부를 지지하는 콩고민주공화국에 대한 군사개입에 동참했다.또한 콩고 공화국(브라자빌)에 개입하여 콩고 [1]현 정부를 지원하고 있다.
1998년 이후 앙골라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와 협력하여 UNITA에 [2]대한 제재와 이행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왔다.최근에는 2002년에 [2]끝난 남북전쟁 중 UNITA의 주요 수입원인 분쟁 다이아몬드에 대한 통제를 확대했다.이와 함께 앙골라는 포르투갈(옛 통치국) [1][2]및 브라질(앙골라와 많은 문화적 친분을 공유하고 있는)과의 문화 교류와 관계 확대를 위한 포럼으로서 포르투갈어권국 공동체(CPLP)의 부활을 추진하고 있다.앙골라는 아프리카 동부 및 남부 항구 관리 협회(PMAESA)의 회원입니다.
아프리카
나라 | 공식 관계 시작 | 메모들 |
---|---|---|
알제리 | ||
보츠와나 |
| |
카보베르데 | 1975년 12월 | '앙골라-Cape Verde 관계' 참조 카보베르데는 앙골라가 독립한 직후인 1975년 12월 앙골라와 우호협정을 맺었다.카보베르데와 기니비사우는 유니타 반군과 남아프리카 공화국군과 싸우기 위해 앙골라로 가는 쿠바군의 경유지 역할을 했다.페드로 피레스 총리는 앙골라에 FARP 군인들을 보내 호세 에두아르도 도스 [3]산토스 앙골라 대통령의 개인 경호원으로 일했다. |
콩고 민주 공화국 | 내전 이후 수천 명의 앙골라인들이 그 나라를 떠났다.콩고민주공화국은 2009년 앙골라에 불법 체류 중인 콩고 다이아몬드 광부들을 정기적으로 추방한 데 대한 보복으로 2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콩고민주공화국을 떠나야만 했다고 밝혔다.앙골라는 콩고 수도 킨샤사에 대표단을 파견해 정부가 강제 추방한 이민분쟁을 [4]막는데 성공했다."[5]콩고와 앙골라는 국경 양쪽에서 추방하는 것을 중단하기로 합의했습니다,"라고 2009년 10월 콩고 정보부 장관인 람버트 멘데는 말했다.Mende는 "우리는 추방 자체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며 "사람을 때리고 물건을 약탈하는 것, 심지어 옷을 약탈하는 것"이라고 말했다.[4]
| |
이집트 |
| |
적도 기니 |
| |
에티오피아 |
| |
가나 |
| |
기니비사우 | 기니비사우 정부의 요청에 따라 앙골라는 약 300명의 부대를 파견했는데 이는 앙골라의 정치적-군사적 불안을 종식시키고 현지 군대를 재편성하기 위한 것이었다.사실 이들 부대는 여당인 PAIGC를 위한 일종의 프리토리안 경비대로 인식되었다.2012년 4월 초, 새로운 군사 쿠데타가 준비되고 있을 때, 앙골라 정권은 기니비사우에서 군사 임무를 철수하기로 결정했다.
| |
케냐 | 앙골라-케냐 관계 참조
| |
모잠비크 | 1978년 9월 5일 | 앙골라-모잠비크 관계 참조
|
나미비아 | '앙골라-나미비아 관계' 참조 나미비아는 남쪽으로 앙골라와 국경을 접하고 있다.1999년 나미비아는 북쪽 [6]이웃 국가인 앙골라와 상호 방위 협정을 체결했다.이것은 1975년 앙골라 독립 이후 진행되어 온 앙골라 내전에 영향을 미쳤다.나미비아의 여당인 SWAPO는 나미비아와 접경한 앙골라 남부 지역에 거점이 있는 반군 운동인 UNITA에 맞서 앙골라에서 여당인 MPLA를 지지하려고 했다.이 방위 협정은 앙골라 군대가 조나스 사빔비의 UNITA를 공격할 때 나미비아 영토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 |
나이지리아 | 앙골라-나이지리아 관계 참조 앙골라-니제르 관계는 주로 석유 수출국으로서의 역할에 기초하고 있다.두 나라 모두 석유 수출국 기구, 아프리카 연합 및 기타 다자 기구의 회원국이다.
| |
상투메프린시페 |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앙골라-남아공 관계 참조 앙골라-남아공 관계는 앙골라 내전과 남아프리카 국경전쟁 당시 두 나라의 집권당인 아프리카민족회의(African National Congress)와 앙골라 MPLA(MPLA)가 함께 싸웠기 때문에 상당히 돈독하다.그들은 앙골라에 본부를 둔 UNITA 반군과 그들을 지지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 시대 정부에 맞서 싸웠다.넬슨 만델라는 앙골라 내전 말기에 MPLA와 UNITA 파벌 사이를 중재했다. | |
잠비아 | ||
짐바브웨 | 앙골라-짐바와의 관계 참조 앙골라와 짐바브웨의 관계는 냉전이 한창이던 1975년 앙골라와 1979년 짐바브웨가 탄생한 이래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앙골라의 외교정책은 실질적인 경제관계를 바탕으로 한 친미 기조로 전환된 반면 로버트 무가베 짐바브웨 대통령의 집권 시절인 1990년대 후반 서방과의 관계는 악화됐다.
|
아메리카 대륙
나라 | 공식 관계 시작 | 메모들 |
---|---|---|
아르헨티나 | 1977년 9월 2일 | 앙골라-아르헨티나 관계 참조
|
브라질 | 1975년 11월 | 앙골라-브라질 관계 참조 상업과 경제적 유대가 양국의 관계를 지배하고 있다.두 나라의 일부는 16세기 초부터 1822년 브라질이 독립할 때까지 포르투갈 제국의 일부였다.2007년 11월 현재 양국 간 무역은 [7]전례 없는 호황을 누리고 있다. |
벨리즈 | 2001 | 양국은 2001년 [8]1월 25일 외교관계를 수립했다. |
캐나다 | 1978 | 캐나다-앙골라 관계는 1978년에 수립되었으며, 캐나다는 짐바브웨 하라레 주재 대사관에서 앙골라로 인가되었다.2002년 내전이 끝난 이후 상호 관심 분야에 대한 참여도가 높아지면서 유대관계가 확대됐다.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앙골라 제재위원회 의장국인 캐나다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군사작전을 계속할 수 있는 능력을 제한하면서 제재조치는 앙골라의 분쟁을 종식시키기 위한 정전협정을 이끌어내는 데 도움을 주었다.
|
쿠바 | 앙골라-쿠바 관계 참조 앙골라 내전 중 쿠바군은 서방의 지원을 받는 UNITA와 FLNA 게릴라,[9] 남아프리카군에 맞서 마르크스-레닌주의 MPLA-PT 정부를 수립하기 위해 싸웠다.
| |
에콰도르 |
| |
가이아나 | 1977년 7월 24일 | 양국은 1977년 [10]7월 24일 외교관계를 수립했다. |
멕시코 | 1976년 1월 | 앙골라-멕시코 관계 참조
|
미국 | '앙골라-미국 관계' 1980년대 중반부터 적어도 1992년까지 미국은 조나스 사빔비가 창설한 이후 2002년까지 주도했던 UNITA 반군 운동에 대한 군사 및 기타 지원의 주요 원천이었다.미국은 이 기간 동안 앙골라를 외교적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미국과 앙골라 공화국(옛 앙골라 인민 공화국) 간의 관계는 1992년 선거 전에 공산주의를 이념적으로 포기한 이후 따뜻해졌다. | |
우루과이 | '앙골라-우루과이 관계' 참조
| |
베네수엘라 |
|
아시아
나라 | 공식 관계 시작 | 메모들 |
---|---|---|
아르메니아 | 1994년 10월 3일 |
|
아제르바이잔 | 1994년 12월 | 앙골라-아제르바이잔 관계 참조
|
중국 | '앙골라-중국 관계' 참조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는 2006년 6월 앙골라를 방문해 석유의 대가로 인프라 개선을 위해 90억 달러의 차관을 제공했다.중국은 [12]2002년 내전이 끝난 이후 앙골라에 많은 투자를 해왔다.주앙 마누엘 베르나르도 주중 앙골라 현 대사는 [13]2007년 11월 중국을 방문했다. | |
동티모르 |
| |
인도 | '앙골라' 보기인도 관계
| |
이스라엘 | '앙골라-이스라엘 관계' 참조 앙골라-이스라엘 관계는 주로 무역과 친미 외교 정책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훌륭하다.2006년 3월 양국 간 교역액은 4억달러에 달했다.2005년 호세 에두아르도 도스 산토스 대통령이 이스라엘을 방문했다.
| |
일본. | 1976년 9월 | '앙골라-일본 관계' 참조 일본과 앙골라의 외교관계는 1976년 9월 수립됐다.일본은 내전에 [14]이어 지뢰 제거에 기부했다.
|
파키스탄 | 앙골라 정부는 제69차 유엔총회에서 올해 9월 선출 예정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비상임이사국 후보 선출을 위해 파키스탄의 지원을 요청했다.앙골라 외교관은 기념식 가장자리에 파키스탄의 경제 및 상업 정책을 담당하는 관리들과 만나 양국 간의 비즈니스 기회를 평가했습니다.그것은 공통 관심 분야에서의 협력과 관련된 측면을 논의해 줄 것을 요청했다. | |
대한민국. | 1992년 1월 6일 |
|
터키 | 1975년[15] | '앙골라' 보기터키 관계 |
아랍에미리트 |
| |
베트남 | 1971년 8월 | 앙골라-베트남 관계 참조 앙골라-베트남 관계는 앙골라가 독립하기 4년 전인 1971년 8월 아고스티뉴 네토 앙골라 대통령이 베트남을 [16]방문하면서 수립됐다.앙골라와 베트남은 소련 붕괴 이후 냉전시대 국제공산주의 외교정책에서 친서방 실용주의로 전환하면서 확고한 파트너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
유럽
나라 | 공식 관계 시작 | 메모들 |
---|---|---|
벨기에 | ||
불가리아 | 1975년 11월 20일 |
|
덴마크 |
| |
프랑스. | 앙골라-프랑스 관계 참조 앙골라 카빈다주의 무장 분리주의자들을 지원하는 전 프랑스 정부의 정책과 국제적인 앙골라가이트 스캔들로 인해 양국 관계는 항상 우호적이지는 않았다.2008년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의 방문 이후, 관계는 개선되었다.
| |
독일. |
| |
교황청 | 1975년 4월 14일 | |
헝가리 |
| |
이탈리아 |
| |
네덜란드 | ||
폴란드 |
| |
포르투갈 | 1975년 11월 11일 | '앙골라-포르투갈 관계' 참조 앙골라-포르투갈 관계는 1991년 앙골라 정부가 공산주의를 포기하고 명목상 민주주의를 받아들인 이후 상당히 개선되어 왔고 친미주의 외교정책은 덜하다.포르투갈은 1483년부터 1975년 독립할 때까지 400년 동안 [18]앙골라를 식민지화했다.앙골라의 독립전쟁은 어느 한쪽의 군사적 승리로 끝난 것이 아니라 카에타노 정권을 대체한 포르투갈의 쿠데타로 중단되었다. |
러시아 | 앙골라-러시아 관계 참조
| |
세르비아 | 앙골라-세르비아 관계 참조 세르비아 국방장관 드라간 슈타노바치는 2011년 루안다에서 열린 회의에서 세르비아는 [19]앙골라에 새로운 군사병원 건설을 위해 앙골라 군당국과 협상할 것이라고 밝혔다. 앙골라는 코소보에 대한 세르비아의 입장을 지지하고 세르비아의 영토 [20]보전을 인정한다.
| |
스페인 | 1977년 10월 19일 | '앙골라-스페인 관계' 참조
|
스웨덴 |
| |
스위스 |
| |
영국 |
|
오세아니아
나라 | 공식 관계 시작 | 메모들 |
---|---|---|
호주. |
| |
뉴질랜드 |
|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a b c d e f g h "Angola". U.S. Department of State. April 2008. Retrieved 20 October 2020. This article incorporates text from this source, which is in the public domain.
{{cite web}}
: CS1 유지보수: 포스트스크립트(링크) - ^ a b c "Angola". U.S. Department of State. December 2001. Retrieved 20 October 2020. This article incorporates text from this source, which is in the public domain.
{{cite web}}
: CS1 유지보수: 포스트스크립트(링크) - ^ Lobban, Richard (1995). Cape Verde:Crioulo Colony to Independent Nation. Scarecrow Press. pp. 111–112. ISBN 9780810829183.
- ^ a b Bearak, Barry (13 October 2009). "Congo and Angola Agree to End Expulsions".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13 October 2009.
- ^ "Congo and Angola 'end expulsions'". London: BBC News. 13 October 2009. Retrieved 13 October 2009.
- ^ William, Vincent. "Namibia: Situation Report" (PDF).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 on Refugees. Retrieved 26 August 2006.
- ^ 앙골라 브라즈IL: 포르투갈어 - Wayback Machine에서 2008년 9월 4일 Mario de Quiroz, ipsnews.net, 2007년 11월 13일
- ^ "Archived copy"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30 December 2017. Retrieved 23 February 2019.
{{cite web}}
: CS1 maint: 제목으로 아카이브된 복사(링크) - ^ 피에로 글리제스, 임무 충돌: 아바나, 워싱턴, 아프리카, 1959~1976년 ISBN 978-0-8078-5464-8
- ^ "Countries with which Guyana has Establishment Diplomatic Relations –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Co-operative Republic of Guyana".
- ^ "U.S. Embassy in Angola". U.S. Embassy in Angol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1 March 2017. Retrieved 10 July 2017.
- ^ "Angola: China's African foothold". London: BBC News. 20 June 2006. Retrieved 19 November 2007.
- ^ "Angola: Ambassador Considers Relations With China Excellent". Angola Press Agency via AllAfrica. 2007. Retrieved 19 November 2007.
- ^ "Angola: Japan grants USD one million to boost de-mining activity". ReliefWeb. 26 May 2009. Retrieved 10 July 2017.
- ^ a b c d "Relations between Turkey and Angola".
- ^ "Vietnam – Angola Relations". Embassy of the Socialist Republic of Vietnam in Angola. 200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July 2011. Retrieved 4 January 2008.
- ^ "Apostolic Nunciature Angola". GCatholic.org. Retrieved 22 May 2015.
- ^ Alker, Hayward R.; Ted Robert Gurr; Kumar Rupesinghe (2001). Journeys Through Conflict: Narratives and Lessons. p. 204.
- ^ "Angola: Serbia Negotiates Building of New Military Hospital". Angola Press Agency (Luanda). 23 September 2011. Retrieved 10 July 2017.
- ^ 앙골라: 국가원수, 2008-06-24, 앙골라 프레스 에이전시 세르비아에 메시지 보내기
외부 링크
- 위키미디어 커먼스의 앙골라 국제관계 관련 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