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조요리츠네

Kujō Yoritsune
후지와라노 요리쓰네
藤原 頼経
Kujō Yoritsune.jpg
쇼군
재직중
1226–1244
모나크고호리카와
시조
고사가
시크켄호조 야스토키
호조 쓰네토키
선행자미나모토노사네토모
성공자후지와라노요리츠구
개인내역
태어난(1218-02-12)1218년 2월 12일
일본 교토
죽은1256년 9월 1일(1256-09-01) (38세)
일본 교토 시
배우자Take no gosho
아이들.
부모님
서명

후지와라노 요리쓰네(藤原 no, 1218년 2월 12일 ~ 1256년 9월 1일, r. 1226년–1244년)라고도 알려진 구조 요리쓰네(九祖 요리쓰네, 1218년 2월 12일 ~ 1256년 9월 1일)는 일본 가마쿠라 막부의 네 번째 쇼군이었다.[1]아버지는 구죠 미치이칸파쿠였고, 할머니는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조카딸이었다.그의 아내는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손녀였고 미나모토노 요리에의 딸이었다.호랑이(중국 점성술에 따르면)의 해(중국 점성술에 따르면)에 월, 당일에 태어났으며, 그래서 태어날 때 주어진 이름은 미토라(三太郞, "트리플 타이거")이다.

요리쓰네는 위대한 후지와라 가문의 일원이었다.쿠조 가문은 역사적으로 강력한 후지와라 궁중 가문의 5개 분파 중 하나였다.

가족

  • 아버지 : 쿠조 미치이에
  • 어머니: 사이온지 린코
  • 아내:미나모토노요시코(1202–1234)
  • 첩:오미야노쓰보네
  • 어린이:
    • 쿠조요리츠구 by 오미야
    • 쿠조 미치조 by 오미야
    • 미나모토노메구히메 by 오미야

요리쓰네 바쿠푸의 사건

7세 때인 1226년 요리쓰네는 아버지와 그를 꼭두각시 쇼군으로 세운 가마쿠라 막부 레지던트 호조 요시토키와 호조 마사코 사이의 정치적 거래로 다이쇼군 세이가 되었다.

  • 1225(카로쿠 1, 11개월):가마쿠라에서는 요리쓰네의 성년식이 8세에 열렸으나, 모든 바쿠후 일에 대한 통제는 전적으로 섭정(식켄)인 호조 야스토키의 손에 맡겨졌다.[2]
  • 1226(카로쿠 2, 1개월):고호리카와 천황은 요리츠네를 예술가적 궁정 위계(도조 쿠게)의 정점에 있는 5급 1등으로 올렸다.[2]
  • 1230(강기 2, 12개월):요리쓰네는 미나모토노요리에의 딸과 결혼했다.그녀는 그보다 15살 연상이다.[3]
  • 1231(강기 3, 2개월):요리쓰네는 도조 쿠게 4급 2등으로 올라간다.[3]
  • 1231(강기 3, 3개월):요리쓰네는 좌익의 장군이 된다.[3]
  • 1231(강기 3, 4개월):요리쓰네는 도조 쿠게 4급 1등으로 올라간다.[3]
  • 1232(조이 1, 2개월):요리쓰네는 도조 쿠게의 3급 2등으로 올라간다.[3]
  • 1233(텐푸쿠 1, 1개월):요리쓰네는 임시 미들 카운슬러( court, 취나곤)[4]의 궁정직을 받는다.
  • 1234(분랴쿠 1, 12개월):요리쓰네는 도조 쿠게의 3급 1등으로 올라간다.[5]
  • 1235(Katei 1, 11번째):요리쓰네는 도조 쿠게의 2등 서열 2등으로 올라간다.[5]
  • 1236(Katei 2, 7번째):요리쓰네는 도조 쿠게 2등급을 일등으로 끌어올린다.[5]
  • 1237(Katei 3, 8번째):요리쓰네는 미야코 로쿠하라 구간의 저택 건축을 명령했다.[5]
  • 1238(Ryakunin 1,번째 달):요리쓰네는 야스쿠토키와 여러 지방의 연단을 대동하고 미야코로 가는 도중에 가마쿠라를 떠난다.후지와라노 유키미티스는 가마쿠라에서 머물며 이 땅의 질서를 보존한다.[5]
  • 1238(랴쿠닌 1, 2개월):요리쓰네는 미야코에 도착하여 로쿠하라에 있는 그의 새 궁전에서 살기 시작한다.[6]
  • 1238(Ryakunin 1, 10번째):요리쓰네는 미야코를 떠나 가마쿠라로 돌아온다.[6]
  • 1242년 7월 14일(닌지 3, 6월 15일):호조 야스토키는 60세에 세상을 떠났다.겐닌 1세부터, 또는 19년 동안 야스토키는 가마쿠라 막부의 섭정 또는 총리(식켄)를 지냈다.야스토키의 아들 호조 쓰네토키가 그의 뒤를 이어 식켄이 되었으나 요리쓰네가 직접 바쿠후를 맡았다.[7]
  • 1244(2):금년 봄, 가마쿠라 상공의 여러 가지 기상천외한 현상들이 요리쓰네를 깊이 괴롭혔다.[8]
  • 1244(강엔 2, 4개월):요리쓰네의 아들 요리쓰구는 6살 때 성년식을 했다.같은 달 요리쓰네는 고사가 천황에게 아들 쿠조 요리쓰구를 위해 쇼군으로서의 책무를 포기할 수 있도록 허락을 구했다.[8]
  • 1245년 9월 11일(강엔 3월 7일):요시쓰네는 머리를 삭발하고 불교의 사제가 되었다.[8]
  • 1246(강엔 4, 7개월):요리쓰네의 아들인 쇼군 요리쓰구(지금의 7세)는 호조 쓰네토키(자신의 16세)의 누이와 결혼한다.[8]
  • 1256년 9월 1일(고겐 1, 8월 11일):후지와라 요리쓰네라고도 알려진 쿠조 요리쓰네는 3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 1256년 10월 14일 (고겐 1, 9월 24일):가마쿠라 쇼군으로서 요리쓰네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후지와라 요리쓰구로도 알려진 쿠조 요리쓰구는 18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9]

요리쓰네 바쿠푸의 에라스

요리쓰네가 쇼군이었던 해는 둘 이상의 연호넨고로 더 구체적으로 확인된다.

메모들

  1. ^ 누스바움, 루이 프레데릭(2005).일본 백과사전의 「후지와라노 요리쓰네」, 212페이지, 구글 북스에서.
  2. ^ a b 티칭, 이삭(1834년)Annales des empeerurs du japon, 페이지 240, 페이지 240, Google Books에서
  3. ^ a b c d e Titsingh, 페이지 241, 페이지 241, Google Books
  4. ^ Titsingh, 페이지 242, 페이지 242, Google Books; Varley, H. Paul. (1980)진노쇼토키 272쪽.
  5. ^ a b c d e Titsingh, 페이지 243, 페이지 243, Google 북스
  6. ^ a b Titsingh, 페이지 244, 페이지 244, Google 북스
  7. ^ Titsingh, 페이지 246, 페이지 246, Google 북스
  8. ^ a b c d Titsingh, 페이지 247, 페이지 247, Google 북스
  9. ^ Titsingh, 페이지 252, 페이지 252, Google Books

참조

  • 미사, 제프리 P. (1976년)가마쿠라 바쿠후:서류에 관한 연구.스탠포드: 스탠포드 대학 출판부.
  • __________. (1974).중세 초기의 무사 정부: 가마쿠라 바쿠후, 슈고, 지토 뉴 헤이븐에 관한 연구: 예일 대학 출판부.
  • 누스바움, 루이 프레데릭, 케테 로스(2005)가 그것이다.일본 백과사전.케임브리지:하버드 대학 출판부. ISBN978-0-674-01753-5; OCLC 58053128
  • 오야마쿄헤이.가마쿠라바쿠후 鎌倉府府.도쿄 : 쇼각칸 小学館, 1974.
  • 티칭, 이삭(1834년)니혼 오다이 이치란; 아, 안날레스엠페루르자폰.파리:영국 왕립 아시아 협회, 영국 및 아일랜드의 동양 번역 기금.OCLC 5850691.
  • 바리, H. 폴(1980).신과 소버린의 연대기: 기타바타케 지카후사의 진노 쇼토키.뉴욕: 컬럼비아 대학 출판부.ISBN 978-0-231-04940-5; OCLC 6042764
선행자 쇼군:
쿠조요리츠네

1226–1244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