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동 직격탄

Joint Direct Attack Munition
합동 직격탄
(JDAM)
GBU-31 xxl.jpg
GBU-31: JDAM 키트가 장착된 Mk84 폭탄
유형폭탄 유도 키트
원산지미국
서비스 이력
사용중1997년 ~ 현재
사용처'연산자' 참조
전쟁쿠르드-터키 분쟁
테러와의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 ~ 현재)
파키스탄 북서부 전쟁
예멘 내 알카에다 반군
이라크 전쟁
소말리아 전쟁 (2006-2009)
소말리아 내전 (2009년 ~ 현재)
시리아 내전
미국 주도의 시리아 내전 개입
미국 주도의 이라크 개입(2014~현재)
터키의 시리아 군사 개입
올리브 브랜치 작전
이라크 내전 (2014년 ~ 2017년)
예멘 내전 (2015년 ~ 현재)
사우디아라비아 주도의 예멘 개입
나즈란, 지잔, 아시르 분쟁
마라위 전투
생산 이력
단가 25,000달러 (취득 로트에 따라 다름)해외 판매가격은 상당히 높다.)
변종'바리안트' 참조
사양
길이9.9~12.75피트(3.02~3.89m)

최대 발사 범위최대 28km(15해리)

날개폭19.6 ~ 25 인치 (500 ~640 mm)
지침.
시스템.
관성유도/GPS
정확성.지정 43피트(13m), 약 23피트(7m) 실현

JDAM(Joint Direct Attack Munition)은 유도되지 않은 폭탄, 즉 "덤 폭탄"을 전천후 정밀 유도 무기로 변환하는 유도 키트입니다.JDAM이 장착된 폭탄은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수신기와 결합된 통합 관성유도시스템에 의해 유도되며, 최대 28km(15해리)의 사거리를 제공한다.JDAM이 장착된 폭탄은 500~2000파운드(230~910kg)[1]에 이른다.JDAM의 유도 시스템은 미 공군 해군이 공동 개발한 것으로 JDAM의 [2]'공동'이다.폭탄에 설치할 경우 JDAM 키트는 부착된 폭탄의 마크 80 또는 BLU(Bomb, Live Unit) 명칭 대신 GBU(유도폭탄 유닛) 식별자가 부여됩니다.

JDAM은 독립형 무기가 아니라 무유도 중력탄을 정밀유도탄(PGM)으로 바꿔주는 볼트온 유도 패키지다.시스템의 핵심 구성 요소는 공기역학적 제어 표면이 있는 테일 섹션, (차체) 스트레이크 키트, 결합된 관성 유도 시스템과 GPS 유도 [2]제어 장치로 구성됩니다.

JDAM은 레이저 유도 폭탄과 영상 적외선 기술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지반과 기상 조건이 좋지 않아 이를 방해할 수 있다.레이저를 찾는 사람들이 현재 일부 JDAM에 [3]장착되고 있다.

1998년부터 2016년 11월까지 보잉은 30만 개 이상의 JDAM 유도 키트를 완성했다.2017년에는 하루에 [4]130개 이상의 키트를 제작했습니다.2020년 2월 현재 43만 킷이 [5]생산되고 있다.

역사

발전

2003년 3월 미 해군 선원들이 USS Constellation(CV-64)에 JDAM 키트를 장착하고 있다.

페르시아 걸프전 사막폭풍 작전 당시 미 공군의 폭격 작전은 어떤 날씨에도 정확한 정밀 폭탄이 없었기 때문에 처음 보고된 것보다 효과가 낮았다.폭탄에 장착된 레이저 유도 패키지는 맑은 상태에서는 매우 정확한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공기 중의 먼지, 연기, 안개 또는 구름 덮개 속에서 레이저 명칭의 "잠금"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악천후 정밀 유도 군수품"의 연구, 개발, 시험 및 평가(RDT&E)는 1992년에 시작되었다.GPS를 사용한 급진적 개념을 포함하여 몇 가지 제안이 검토되었다.그 당시에는 GPS 위성이 거의 없었고 실시간 무기 안내를 위해 위성 항법 장치를 사용한다는 생각은 검증되지 않았고 논란이 되었다.INS/GPS 유도 무기와 관련된 기술적 위험을 파악하기 위해 공군은 1992년 초 에글린 공군 기지에 "JDAM 작전 컨셉 데모(OCD)"라고 불리는 신속한 대응의 하이 기어 프로그램을 만들었다.Honeywell, Interstate Electronics Corporation, Sverdrup Technology, McDonnell Douglas는 USAF 46번째 테스트 윙이 1년 이내에 GPS 무기의 실현 가능성을 입증하는 것을 돕기 위해 고용되었다.OCD 프로그램은 GBU-15 유도 폭탄에 INS/GPS 유도 키트를 장착했으며 1993년 2월 10일 F-16에서 첫 번째 INS/GPS 무기를 27km 하류 88,000피트 지점에 투하했다.다양한 기상 조건, 고도,[6] 범위에서 다섯 번의 시험이 더 실시되었다.OCD 프로그램에서 36피트(11m)의 순환 오류 발생 가능성(CEP)이 확인되었습니다.

최초의 GPS 유도 무기의 첫 비행 실험은 1993년 2월 10일 에글린 공군 기지의 목표물에 직격탄을 날리는 결과를 낳았다.

첫 번째 JDAM 키트는 1997년에 제공되었으며 1998년과 1999년에 운용 테스트가 실시되었습니다.테스트 중에 450개 이상의 JDAM을 떨어뜨려 33피트(10m) [7]CEP에서 공개된 정확도로 95% 이상의 시스템 신뢰성을 달성했습니다.JDAM의 시험 및 평가에는 제어된 매개변수 강하 외에도 맑은 날씨 테스트의 정확도 저하 없이 구름, 비, 눈을 통한 강하로 구성된 "작동 대표 시험"이 포함되었다.또한 여러 개의 무기 투하와 관련된 실험이 있었고 각 무기는 개별적으로 [8]표적이 되었다.

2004년 11월 23일 USAF 훈련 중 7개의 2,000파운드 JDAM에 의해 Ex-Schectady(LST-1185)가 손상되었다.

JDAM과 B-2 Spirit 스텔스 폭격기는 연합군 작전 에 첫 선을 보였다.미주리주 화이트맨 공군기지에서 왕복 30시간 비행하는 B-2기는 연합군 기간 동안 650대 이상의 JDAM을 수송했다.2002년 Acquisition Review Journal에 게재된 기사는 "Operation Allied Force ..."를 인용했다.B-2s는 신뢰성이 96%인 651기의 JDAM을 발사하여 목표물의 87%를 달성했습니다.최초의 JDAM의 운용 성공으로 프로그램은 500파운드(230kg)의 Mark 82와 1,000파운드(450kg)의 Mark 83으로 확대되어 1999년 말부터 개발을 개시했다.[9]영속적 자유 작전과 이라크 자유 작전의 교훈으로, 미 해군과 공군은 GPS 정밀도 향상, 이동 중인 표적에 대한 터미널 유도용 정밀 탐색기 등의 키트 개선을 추구했다.

JDAM 폭탄은 순항 미사일과 같은 대안들에 비해 저렴하다.당초 예상 비용은 테일킷 1개당 40,000달러였지만 경쟁입찰 후 맥도널 더글러스(이후 보잉)와 18,000달러에 납품 계약을 맺었다.그 후, 현재의 달러 단위 코스트는 2004년에 21,000달러, [10]2011년에는 27,000달러로 증가했습니다.Tail Kit 비용에는 Mk80 시리즈 철 폭탄, 퓨즈 및 근접 센서 비용이 추가되어 전체 무기 비용이 약 3만 달러에 달합니다.비교를 위해, 전술 토마호크라고 불리는 최신 토마호크 순항 미사일의 가격은 거의 73만 [11][12]달러이다.

운용상의 용도

F-16 Fighting Falcon의 왼쪽 날개 아래에 탑재된 JDAM과 동체 아래에 보이는 LITTENING II 타깃팅 팟

유도 기능은 테일 컨트롤 시스템 및 GPS 지원 관성 항법 시스템(INS)을 통해 촉진됩니다.항법 시스템은 항공기 시스템의 위치 및 속도 벡터를 제공하는 항공기의 전달 정렬에 의해 초기화됩니다.항공기에서 해제되면 JDAM은 지정된 목표 좌표로 자율적으로 이동합니다.목표 좌표는 이륙 전 항공기에 적재하거나, 무기 방출 전 비행 중인 항공 승무원에 의해 수동으로 변경되거나, LITENTING II 또는 "Sniper"와 같은 탑재 표적 장비의 데이터 링크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JDAM 시스템은 GPS 신호를 이용할 수 있을 때 최소 16피트(5m) 이하의 무기 정확도 CEP를 제공한다.GPS 신호가 걸리거나 손실되더라도 JDAM은 최대 100초의 [2]자유 비행 시간 동안 98피트(30m) 이하의 CEP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무기에 대한 GPS 유도 도입은 공대지전에 몇 가지 개선을 가져왔다.첫 번째는 GPS가 비, 구름, 안개, 연기 또는 인공 외설물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진정한 전천후 능력이다.이전의 정밀 유도 무기는 적외선, 가시광선 또는 반사된 레이저 스팟을 사용하여 지상 목표물을 "보는" 것에 의존했다.이러한 탐색자들은 목표물이 안개와 낮은 고도 구름과 비(코소보에서 마주친 경우) 또는 먼지와 연기에 의해 가려졌을 때 효과적이지 않았다.[citation needed]

두 번째 장점은 Launch Acceptive Region(LAR; 출시 승인 지역) 확장입니다.LAR는 무기를 발사하고 목표물을 타격하기 위해 항공기가 있어야 할 지역을 정의합니다.목표물까지 유도하기 위해 탐색자를 사용하는 비GPS 기반 정밀 유도 무기는 탐색자의 시야로 인해 발사 봉투에 상당한 제약이 있다.이러한 시스템 중 일부(: 페이브웨이 I, II 및 III)는 무기 궤적 전체에 걸쳐 표적이 탐색자의 시야에 있도록 발사되어야 한다(또는 발사 후 잠금 장치의 교전의 경우 표적이 터미널 비행 중에 시야에 있도록 무기를 발사해야 한다).이것은 무기를 발사할 때 항공기가 일반적으로 표적을 향해 똑바로 비행하도록 요구한다.이 제한은 항공기의 WSO(Weapon System Operator)가 수동으로 목표물을 향해 무기를 조종할 수 있는 능력을 통해 일부 다른 시스템(GBU-15AGM-130 등)에서 완화된다.WSO를 사용하려면 무기와 통제 항공기 사이의 데이터 링크가 필요하며, 무기가 수동 통제 하에 있는 한 통제 항공기가 해당 지역에 남아 있어야 한다(그리고 방어 사격에 취약할 수 있음).GPS 기반 비행통제시스템이 무기의 현재 위치와 목표 위치를 알기 때문에 이 무기들은 목표물에 맞도록 궤적을 자율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이것은 발사 항공기가 항공기 [citation needed]뒤에 있는 목표물들을 공격하기 위해 무기를 방출하는 것을 포함하여 매우 큰 축 외 각도로 무기를 방출할 수 있게 해준다.

이라크 상공을 작전하기 위해 적재되기 전 JDAM, 2003

세 번째 장점은 발사 후 어떠한 지원도 필요 없는 진정한 "불과 포기의" 능력이다.이를 통해 발사 항공기는 GPS 유도 [citation needed]무기를 발사한 직후 목표 지역을 벗어나 다음 임무로 나아갈 수 있다.

GPS 기반 가이던스에 의해 제공되는 또 다른 중요한 기능은 단순히 목표물에 도달하는 것 이외에 다른 기준을 충족하도록 비행 궤적을 완전히 조정할 수 있는 능력이다.무기 궤적은 표적이 정확한 머리글과 수직 각도로 충격을 받을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습니다.이는 표적 표면에 수직으로 충격을 가하고 공격 각도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최대 투과), 탄두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탄두를 최적의 각도로 폭발시킬 수 있으며, 발사 항공기와는 다른 방향에서 표적 영역으로 무기를 날리게 할 수 있다(공기 탐지 위험 감소).GPS는 또한 모든 시스템에 공통되는 정확한 시간원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여러 개의 무기가 미리 계획된 시간과 [citation needed]간격으로 표적을 어슬렁거리고 타격할 수 있다.

이 같은 장점을 인정받아 페이브웨이, GBU-15, AGM-130 등 대부분의 무기가 GPS 기능을 탑재해 업그레이드됐다.GPS의 유연성과 시커 [citation needed]가이던스의 뛰어난 정확성을 결합한 기능 강화입니다.

2008년 이라크에서 GBU-38이 폭발했다.

JDAM의 정확성에도 불구하고, JDAM의 고용에는 위험이 따른다.2001년 12월 5일 하미드 카르자이 대통령이 미군 특수부대(SF)과 함께 사이드 알림 칼레이 인근에서 반 탈레반 세력을 이끌고 있을 때 아프가니스탄에서 B-52기가 추락해 하마터면 사망할 뻔했다.대규모 탈레반 병력이 카르자이 대통령과 미국 SF 부대의 연합군과 교전을 벌여 그들을 거의 압도했다.SF 사령관은 근접항공지원부(CAS)에 탈레반의 진격을 막기 위한 공격을 요청했다.이후 JDAM이 투하됐지만 탈레반 진지를 타격하는 대신 아프간과 미국 진지를 타격해 3명이 사망하고 20명이 부상했다.조사 결과 특수부대 소속 미 공군 전술통제부(TACP)가 교전 중 GPS 수신기의 배터리를 교체해 기기를 디폴트 상태로 되돌리고 자체 좌표를 표시한 것으로 드러났다.TACP는 이 일이 일어난 것을 깨닫지 못하고 자신의 좌표를 배달 [13][14]항공기에 중계했다.

업그레이드

DSU-33 에어버스트 센서(오른쪽)

항구적 자유 작전과 이라크 자유 작전의 경험으로 인해 미국 공군 전력 계획자들은 하나의 패키지로 추가 기능을 모색하게 되었고, 그 결과 JDAM [15]키트에 정밀 터미널 안내 검색기를 배치하기 위한 지속적인 프로그램 업그레이드가 이루어졌습니다.이 개량형으로 알려진 레이저 JDAM(Laser JDAM)은 JDAM이 장착된 폭탄의 코에 레이저 시커를 추가하여 움직이는 표적을 JDAM과 교전시킬 수 있습니다.Laser Seeker는 보잉의 국방, 우주 및 보안 부대와 이스라엘의 Elbit [16]Systems가 공동으로 개발한 것입니다.Boeing에 의해 Precision Laser Guidance Set(PLGS)라고 불리며 레이저 시커 자체(현재는 DSU-38/B로 알려짐)와 폭탄 본체 아래에 고정된 와이어 하네스와 DSU-38/B를 테일 키트와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2004 회계연도에 보잉과 미 공군은 JDAM의 레이저 유도 능력 테스트를 시작했고, 이 테스트들은 시스템이 움직이는 목표물을 [17]조준하고 파괴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이 이중 유도 시스템은 레이저 유도 기능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이전의 JDAM과 동일한 정확도로 GPS/INS에서만 작동할 수 있습니다.

GBU-54 레이저 시커

2007년 6월 11일, 보잉미국 공군에 의해 [18]2009년 6월까지 600명의 레이저 지원자를 인도하는 2800만 달러의 계약을 받았다고 발표했다.보잉에 따르면 네바다주 넬리스 공군기지에서 실시된 실험에서 F-16 격투기 매와 F-15E 스트라이크 이글스는 고속 이동 목표물을 타격하는 데 성공한 LJDAM 12대를 투하했다.이 발사기는 탑재된 표적 장비를 사용하여 자체 지정 및 자체 유도하여 표적과 충돌합니다.LJDAM 키트 외에 보잉사는 해군 개발 계약(JDAM의 방해 방지 시스템)에 따라 테스트를 진행 중이며 개발은 2007년 중에 완료되어 [19]2008년에 인도될 예정이다.이 시스템은 통합 GPS 걸림 방지 시스템(IGAS)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보잉은 2008년 9월 15일 B-52H[20]탑재된 LJDAM으로 시험 비행을 실시했다고 발표했다.

GBU-54 LJDAM은 2008년 8월 12일 이라크에서 77전투비행대대의 F-16기가 디얄라주에서 [21]이동 중인 차량과 교전하면서 첫 선을 보였다.게다가 GBU-54 LJDAM은 2010년 [22]10월 제510전투비행대에 의해 아프간 전장에 첫 선을 보였다.

2012년 9월, 보잉은 미 해군용 레이저 JDAM의 풀 레이트 생산을 개시해, 2,300개 이상의 폭탄 [23]키트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2008년 7월 24일 독일은 보잉사와 LJDAM의 첫 번째 국제 고객이 되는 계약을 체결했다.독일 공군에 대한 배송은 2009년 중반에 시작되었다.또한 2009년 [24]추가 키트 옵션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미 공군은 2014년 11월 탄약지도를 교란하기 위한 전자전 교란원 추적 공격용 GBU-31 JDAM 버전 개발에 착수했다.Home-on-Jam 시커는 AGM-88 HARM과 유사하게 동작하며 무선 주파수 방해 전파 전파원을 따라 [25]전파 전파를 파괴합니다.

JDAM 확장 범위

2006년 호주국방과학기술기구보잉 오스트레일리아와 협력하여 우메[26]시험장에서 500파운드(230kg)의 JDAM 변형을 성공적으로 시험했다.

2009년 보잉은 한국과 [27][unreliable source?]합동 직격탄 사거리(JDAM-ER) 2000파운드(910kg) 버전을 공동 개발한다고 발표했다.윙킷은 같은 정확도로 JDAM의 사거리를 80km로 3배 늘리고 [28]대당 가격은 1만 달러다.첫 번째 시제품은 2010년 또는 2011년에 완성될 예정입니다.

호주의 JDAM-ER 무기의 윙킷은 페라 엔지니어링에 의해 제작될 것이다.첫 테스트는 2013년, 생산 [29]수주는 2015년에 실시될 예정이다.

2010년 보잉사는 제트 엔진 테일킷을 JDAM-ER에 10배 더 큰 [30][31]항속거리를 추가할 것을 제안했다.미 공군은 처음에는 이 개념에 관심을 보이지 않았지만, 2020년까지 보잉사는 이 서비스가 저가 순항 미사일 획득에 다시 관심을 갖게 될 것이라고 믿었다.파워드 JDAM은 500파운드 폭탄과 윙킷, 추진 모듈을 결합해 저비용 엔진을 통해 보다 정교한 미사일의 사거리를 제공하면서도 은밀한 형태나 저고도 비행 능력을 갖추지 않아 저렴하다.생존 가능성은 낮지만, 전력화 JDAM은 네트워크를 통해 방공 시스템을 [5][32]압도하는 저렴한 대치 무기를 제공할 수 있다.

정밀 공중 지뢰 제거

2014년 9월 23일, 미 공군은 JDAM 키트를 장착한 Quickstrike 기뢰로 구성된 정밀 유도 공중 기뢰를 최초로 투하했다.퀵스트라이크는 선박이 치명적 범위 내를 통과할 때 폭발시키는 표적탐지장치(TDD)와 코에 금고/팔 장치, 뒤쪽에 낙하산 리터 테일킷으로 교체된 마크 80 시리즈 범용 폭탄이다.해군 기뢰 투하는 역사적으로 어려웠는데, 이는 수송기가 320노트(370mph; 590km/h)의 속도로 500피트(150m)를 저속으로 비행해야 하기 때문에 적의 사격에 취약하기 때문이다. 사막 폭풍 작전의 첫 공중 기뢰 작전이 항공기를 잃는 결과를 낳았고, 미국은 그 이후 공중 전투기를 띄우지 않았다.Quickstrike-J는 JDAM 탑재 1,000파운드 또는 2,000파운드 버전이고 GBU-62B(V-1)/B Quickstrike-ER는 JDAM-ER에 기초한 500파운드 또는 2,000파운드 활공 버전이며, 발사 시 범위는 40nmi(46mi; 7411km)입니다.해군 기뢰의 정밀 공중 투하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공중 기뢰 공급 기술의 첫 발전으로, 수송기의 생존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왜냐하면 항공기는 저지대에서 바로 저공으로 여러 개의 저속 패스를 하는 대신, 교착된 거리나 고도에서 모든 기뢰를 한 번에 방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e, 그리고 광산의 효율성을 높인다. 왜냐하면 광산은 느슨하게 정의된 지역에 무작위로 광산을 배치하는 대신 항구, 선박 수로, 운하, 하천 및 내륙 수로에 직접 부설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광산은 필요한 광산의 수를 줄이고 선박 수송 통로를 차단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적의 해군 항구를 봉쇄할 수도 있고, 수륙양용 [33][34][35]공격으로 위협받는 지역을 보호하기 위해 방어 기뢰를 신속하게 심을 수도 있다."[36]퀵싱크"라고 불리는 폭탄 버전이 2022년에 시험되었다.

통합

B-52H Stratofortress 날개 아래 HSAB(Heavy Stores Adaptor Beam)에 탑재된 JDAM
2009년 아프가니스탄에서 2,000파운드 GBU-31s의 파급력이 F-15E 2대 감소.

현재의

JDAM은 현재 다음 제품과 호환됩니다.

과거.

JDAM은 다음 항공기와 호환된다.

연산자

JDAM 연산자가 파란색으로 표시된 지도

현재 연산자

일반적인 특징

  • 주요 기능:유도 공대지 무기
  • 계약자:보잉
  • 길이: (JDAM 및 탄두) GBU-31 (v) 1/B: 152.7 인치 (3,880 mm), GBU-31 (v) 3/B: 148.6 인치 (3,770 mm), GBU-32 (v) 1/B: 119.5 인치 (3,040 mm), GBU (38 V)
  • 발사중량 : (JDAM 및 탄두) GBU-31 (v) 1/B : 2,036파운드 (924kg), GBU-31 (v) 3/B : 2,115파운드 (959kg), GBU-32 (v) 1/B : 1,013파운드 (459kg), GBU - 38 (V)
  • 날개폭: GBU-31: 25인치(640mm), GBU-32: 19.6인치(500mm)
  • 범위: 최대 28km(15해리)
  • 천장: 14,000m (45,000피트)
  • 유도 시스템: GPS/INS
  • 단가: 테일킷당 약 22,000달러 (FY 07달러)[2]
  • 도입일 : 1999
  • 인벤토리:테일킷은 풀 레이트로 생산되고 있습니다.예상 재고는 미 공군이 158,000명, 해군이 82,000명(2005년 10월 현재)으로 약 240,000명입니다.

변종

Mk 84, BLU-109, Mk 83, Mk 82 무유도 폭탄에 장착된 JDAM 키트의 USAF 아티스트 렌더링.
  • 공칭중량 900kg
    • GBU-31(V) 1/B(USAF) Mk 84
    • GBU-31(V)2/B(USN/USMC) Mk 84
    • GBU-31 (V) 3/B (USAF) BLU-109
    • GBU-31(V)4/B(USN/USMC)BLU-109
    • GBU-31 (V) 5/B (USAF) BLU-119/B
    • GBU-31v11: BLU-136 클러스터 폭탄 교환[63] 가이드
  • 공칭중량 450kg
    • GBU-32(V) 1/B(USAF) Mk 83
    • GBU-32(V)2/B(USN/USMC) Mk 83
    • GBU-35(V) 1/B(USN/USMC) BLU-110
  • 공칭중량 (500파운드)

유사한 시스템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JDAM continues to be warfighter's weapon of choi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10-26. Retrieved 2007-07-27.
  2. ^ a b c d "Joint Direct Attack Munition GBU- 31/32/38". USAF. June 18, 2003. Retrieved 1 April 2014.
  3. ^ "Laser Guided JDAM Debuts in Iraq". Defense Upda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26, 2014. Retrieved 2010-10-05.
  4. ^ 보잉사는 세인트루이스에서 만들어진 정밀 유도 폭탄 키트 생산을 촉진한다. Charles는 항공편으로 진행 중인 전쟁에 맞서 싸운다 - STLToday.com, 2017년 1월 27일
  5. ^ a b 파워드 JDAM: 보잉사의 크루즈 미사일에 대한 새로운 대안.공군 매거진2020년 2월 28일
  6. ^ INS/GPS 운용 컨셉 데모(OCD) 하이 기어 프로그램, IEEE Aerospace and Electronic Systems Magazine, 1994년 8월 8일.
  7. ^ Davis, Charles H. (19 April 2000). "JDAM: The Kosovo Experience and DPAS" (PDF). The Boeing Company.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6 September 2007. Retrieved 2007-09-01. {{cite journal}}:Cite 저널 요구 사항 journal=(도움말)
  8. ^ "U.S. Air Force B-2 Bomber Drops 80 JDAMS in Historic Test" (Press release). The Boeing Company. 17 September 2003. Retrieved 2007-09-02.
  9. ^ a b Myers, Dominique (2002). "Acquisition Reform-Inside The Silver Bullet" (PDF). Acquisition Review Journal. IX (Fall 2002): 312–322.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07-09-26. Retrieved 2007-09-01.
  10. ^ "Air Force Justification Book Procurement of Ammunition, Air Force" (PDF). Department of Defense Fiscal Year (FY) 2012 Budget Estimates. US Air For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5 December 2011. Retrieved 29 December 2011.
  11. ^ "JDAM 혁명" 2006-11-07년 9월 공군협회지 에어포스 온라인에 실린 피터 그리어의 웨이백 머신 기사에서 아카이브.
  12. ^ "BGM-109 Tomahawk: Variants". Retrieved 2007-07-27.(p52)
  13. ^ Mark Burgess (June 12, 2002). "Killing Your Own: The Problem of Friendly Fire During the Afghan Campaign". CDI.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17, 2010. Retrieved 2010-10-05.
  14. ^ uni-bielefeld.de 그 이유는 분석(p. 9) 때문입니다.
  15. ^ "Dual Mode Guided Bomb". Deagel.com. Retrieved 2010-10-05.
  16. ^ 미국, 이스라엘 군수품 업그레이드 지원, 국방뉴스, 2010년 5월 3일
  17. ^ "Boeing Scores Direct Hit in Laser JDAM Moving Target Test". The Boeing Company. July 11,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24, 2011. Retrieved 2010-10-05.
  18. ^ "Boeing Awarded Laser JDAM Contract" (Press release). The Boeing Company. June 11, 2007. Retrieved 2010-10-05.
  19. ^ "Boeing Completes JDAM Anti-Jamming Developmental Flight Test Program" (Press release). The Boeing Company. June 18, 2007. Retrieved 2010-10-05.
  20. ^ Boeing 프레스 릴리즈, 2008년 9월 15일 Wayback Machine에서 2008년 9월 18일 아카이브.
  21. ^ "Air Force employs first combat use of laser joint direct attack munition in Iraq". Media release. Joint Base Balad Public Affairs. 2008-08-2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April 2014. Retrieved 27 March 2012.
  22. ^ Nystrom, Tech. Sgt. Drew (2010-10-01). "Vultures make impact with first GBU-54 combat drop in Afghanistan". Media release. 455th Air Expeditionary Wing Public Affairs Offi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6-22. Retrieved 2015-06-22.
  23. ^ 보잉, 미 해군용 레이저 JDAM 풀레이트 생산 개시 - Defense-Aerospace.com, 2012년 9월 25일
  24. ^ a b 독일LDJAM Archived 2008-07-25의 첫 번째 해외 고객이 되었습니다.Boeing.com
  25. ^ 스마트 무기가 전자전(EW) 교란 발생원을 추적 사살할 수 있도록 하는 공군 - Militaryaerospace.com, 2014년 11월 13일
  26. ^ 사거리 확장 'SMART' 폭탄 시험 - 호주 국방부, 2009년 9월 12일
  27. ^ 보잉, 타임즈 에어로스페이스 코리아와 제휴하여 스마트 폭탄 개발Aerospace-Technology.com
  28. ^ James M. Hasik (2008). Arms and Innovation: Entrepreneurship and Alliances in the Twenty-First Century Defense Industry. ISBN 978-0-226-31886-8.
  29. ^ "Australia's Ferra Engineering to produce JDAM-ER wing kits". flightglobal.com. 11 March 2013. Retrieved 21 January 2017.
  30. ^ Majumdar, Dave (11 June 2012). "Boeing makes progress developing extended-range JDAM". www.flightglobal.com. Flight International. Retrieved 20 April 2017.
  31. ^ Drew, James (11 June 2012). "Sharp-Shooting Bombs, Missiles Shaping The Modern Battlefield". aviationweek.com. Penton. Retrieved 20 April 2017.
  32. ^ 보잉은 JDAM 폭탄을 값싼 순항 미사일로 바꾸려는 노력을 부활시킨다.인터내셔널 항공편2020년 3월 2일
  33. ^ 마이클 W. 피에트룰라 대령, "해양전의 새로운 주름들", 외교관, 2015년 12월 3일.
  34. ^ Get Ready, 중국이란: 미국 해군 슈퍼 광산 출시 - Nationalinterest.org, 2015년 10월 19일
  35. ^ 21세기 항공 채굴 2017-05-02 웨이백 머신에 보관
  36. ^ "AFRL technology makes new weapon for sinking ships a reality". Air Force. 4 May 2022.
  37. ^ "반란 진압: AT-6B와 A-29B" 방위 회담, 2011년 9월 10일.취득일 : 2012년 1월 15일
  38. ^ a b "CF-188 Hornets on Op MOBILE drop first JDAM bomb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03-08. Retrieved 2011-10-27.
  39. ^ a b "Joint Direct Attack Munition (JDAM)" (PDF). Boeing. 2015. Retrieved 31 July 2022.
  40. ^ "Indian LCA combat aircraft now being armed with American JDAM precision bombing kits". ANI News. Retrieved 2022-03-29.
  41. ^ "boeing.com Boeing JDAM Wins Australian Competi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04-11. Retrieved 2007-07-27.
  42. ^ "Belgische Luchtmacht/Force Aérienne Belge Belgian Air Force - BAF". F-16.net. Retrieved 30 June 2022.
  43. ^ "Flyvevaben Royal Danish Air Force - RDAF". F-16.net. Retrieved 30 June 2022.
  44. ^ "FMS: Third Phase of Finnish F/A-18 MLU". Retrieved 2007-07-27.
  45. ^ "Selected Acquisition Report" (PDF). dod.gov.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4-04-22. Retrieved 2017-04-06.
  46. ^ "GBU-31 JDAM (Joint Direct Attack Munition)". www.haf.gr.
  47. ^ Mehta, Aaron (May 25, 2017). "State Approves First NATO Joint Weapons Sale". Defense News.
  48. ^ "First International JDAM Sale: Boeing to Integrate Weapon on Israeli Aircraft". Retrieved 2007-07-27.
  49. ^ "global security.org". Retrieved 2007-07-27.
  50. ^ 航空ファン 2008-12 P118
  51. ^ "SIPRI arms transfer database". 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2013-11-06.
  52. ^ "Archived copy"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2-09-15. Retrieved 2012-05-13.{{cite web}}: CS1 maint: 제목으로 아카이브된 복사(링크)
  53. ^ "Dutch secretary of defense details plan for purchase of JDAM'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09-30. Retrieved 2007-07-27.
  54. ^ "Norway Signs Contract for Boeing JDAM". Retrieved 2007-07-27.
  55. ^ "Al Quwwat al Jawwiya al Sultanat Oman Royal Air Force of Oman - RAFO". F-16.net. Retrieved 30 June 2022.
  56. ^ http://www.pafwallpapers.com/gallery_F-16-bk52/F-16-bk52_jdam.jpg[베어 URL 이미지 파일]
  57. ^ Gomez, Jim (22 March 2012). "Philippines using US smart bombs". inquirer.net. Retrieved 2017-01-21.
  58. ^ "Polskie Siły Powietrzne Polish Air Force - PolAF". F-16.net. Retrieved 30 June 2022.
  59. ^ "Gates says Washington to sell smart bombs to Saudi Arabia". Retrieved 2007-07-27.
  60. ^ "armada.mde.es". Retrieved 2013-05-25.
  61. ^ 미국 타이베이 경제문화대표부(TECRO)F-16C/D 블록 70 항공기관련 장비지원 2019년 8월 20일
  62. ^ Cooper, Tom (2018). Hot Skies Over Yemen, Volume 2: Aerial Warfare Over Southern Arabian Peninsula, 1994-2017. Warwick, UK: Helion & Company Publishing. p. III. ISBN 978-1-911628-18-7.
  63. ^ 공군은 논란이 되고 있는 집속탄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폭탄을 시험한다.Military.com 를 참조해 주세요.2020년 9월 2일
  64. ^ "Komutanlar Anadolu Kartali'nda (In Turkis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01-20. Retrieved 2010-10-05.
  65. ^ "Anadolu Kartali'na Yerli Bilim Katkisi (In Turkis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7-19. Retrieved 2010-10-05.

참고 문헌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