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단가라

Gandangara
군둥구라족
aka: 군둥구라, 군둥가리, 군다노라, 구라궁가, 부라고랑(틴달레)[1]
IBRA 6.1 Sydney Basin.png
시드니 분지 생물 지역
계층
언어 패밀리:군둥구라 사람들은 그들만의 언어를 가지고 있으며, 은나발어와 많은 유사점을 공유한다.
언어 브랜치:유인쿠릭
언어 그룹:은군나발
그룹 방언:군단가라
면적(약 11,000km2(4,200평방마일))
바이오레지온:남부 고원, 컴벌랜드 평야
시드니 분지
장소:시드니, 뉴사우스웨일스, 호주
좌표:34°20ºS 150°0ºE/34.333°S 150.000°E/ -34.333; 150.000좌표: 34°20µS 150°0§ E / 34.333°S 150.000°E / -34.333; 150.000[1]
산:블루마운틴, 그레이트디바이딩 산맥, 서던하이랜드
강:에이본, 카타락트, 코르도, 콕스, 조르주, 네팡, 왈라감바, 윙카리비, 울론딜리
기타 지질:일라와라 절벽
주목받는 사람

건둥구라족(Gundungara, Gandangara, Gandangara 등)은 호주 뉴사우스웨일스주 남동부에 거주하는 호주 원주민이다.그들의 전통적인 땅은 오늘날의 굴번, 울론딜리 샤이어, 블루 마운틴, 그리고 남부 고지대를 포함한다.

이름.

민족명인 군당가라는 "동쪽"과 "서쪽"[1]을 모두 나타내는 어휘적 요소를 결합한다.

언어

군당가라어를 간략하게 기술하려는 첫 시도는 1901년 [2]R. H. 매튜스에 의해 수행되었다.이 언어는 파마-녕간어족유인-쿠르어족으로 분류되며 은군나왈어[3]매우 가깝다.

나라

간단가라는 뉴사우스웨일스 남동부 지역에서 약 11,000 평방 킬로미터(4,100 평방 미)에 이르는 지역에 걸쳐 살았다.Norman Tindale에 따르면, 그들의 땅은 캠든 근처까지 네판 강([1]Wollondilly)을 따라 흐르는 굴번과 베리마를 둘러싸고 있었다.여기에는 울론딜리강콕스강, 그레이트디바이딩 [4]산맥 서쪽의 일부 지역이 포함된다.

그들의 이웃은 북쪽다루그족[5]어라족, 다키농족, 위라주리 은구나왈족,[4] 튀라왈족이다.[5]

사회 조직

간단가라는 다양한 무리들로 형성되었고, 그 중에는 간단가라가 있었다.

  • 테라불랏(콕스 강 중부의 지역)
  • 부라고랑[6]

역사

1802년 탐험가 프란시스 바라리에는 그의 일행이 시드니 남서쪽의 "소목장"을 통해 나타이를 건너 울론딜리 강으로 그리고 현재 예란데리가 서 있는 높은 곳까지 이동하면서 군둥가라 사람들을 만났다.Barallier는 그의 일기에서 군둥가라 일가족이 [7]"그들 스스로 친구로서 받고 싶은 낯선 사람들을 위해 오두막을 짓고 있다"고 말했다.네피안 사암 토양의 열악한 질로 인해 초기 정착민들은 대부분의 땅을 탐탁지 않게 여겼으며, 침해를 막기 위해 강가의 참마밭에 안전하게 접근하기 위해 킹 주지사에게 청원했다고 한다.이 약속은 1807년 [8]킹이 떠날 때까지 유지되었다.

1811년 맥쿼리 주지사는 아핀 주변 다라왈 지역의 정착민들에게 400 헥타르(1,000에이커)[9]에 달하는 토지 조성금을 주기 시작했다.

1814년 3월, 몇몇 원주민들은 백인 [8]정착민들을 위해 일한 것에 대한 임금을 받지 못한다고 불평한 후 격렬하게 쫓겨났다.지난 5월 밀레하우스와 정육점 농장 근처에서 원주민 여성과 3명의 아이들이 교전 중 살해됐고, 보복으로 3명의 유럽인이 살해됐다.비록 이것은 전통적인 다라왈 땅이었지만, 6월에 브링겔리에서 일어난 것과 같은 이 치명적인 사건들은 서쪽에서 온 간단가라족에 기인한다.간단가라족은 국경전쟁에 참가하기 위해 다루그족의 잔당들과 결탁한 서라왈/다라왈족과 연합하여 옥수수밭을 습격하였다.다루그 인구의 감소는 그들 영토의 일부를 이웃 부족 집단이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방했고, 그들끼리도 싸웠다.유럽의 식민지 확장으로부터 그들의 영토를 방어하는 것에 대한 고려 외에도, 극심한 가뭄의 기간이 이러한 전략 전환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간단가라의 습격대는 정착민들의 [10]사유지에서 농작물을 수확하면서, Thurrawal과 Dharug도 공격했고, 그래서 후자는 영국 당국을 돕고, 무단 거주자들의 [11]정착지로 피난처를 찾음으로써 그들과 협력하기 시작했다.다른 부족들과 마찬가지로, 간단가라 부족은 일단 발포하면 원주민들이 날카로운 [12]공격을 할 수 있는 재장전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고 그들을 공격하기 위해 군대를 놀려대며 우수한 머스킷총 화력에 대처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했다.

1816년, 간단가라가 먹이를 찾아 언덕에서 나오면서 네피 강에서 4명, 캠든에 있는 맥쿼리 부인의 사유지에서 3명 등 7명의 정착민이 살해되었다.맥쿼리는 제임스 월리스 대위가 지휘하는 제46연대에 호크스베리 강에서 남부 [10]지역으로 모든 원주민을 집결시키라고 명령했다.이러한 징벌적 원정은 [12]살아남은 모든 사람에게 공포를 주는 것을 목표로 했다.월리스는 종종 정착민들이 그들의 거주지에 살고 있는 다라왈 사람들을 넘겨주기를 꺼리는 것을 발견했지만, 결국 그가 나중에 상기시킨 것은 아핀 근처의 카타락트[14] 강 아래에서 캠핑을 하는 한 무리를 추적한 "멜란콜리지만 필요한 의무"[13]였다.지역 역사학자 앤 마리 휘태커에 따르면, 1816년 4월 17일에 일어난 사건은 대학살이었다.

한 아이의 울음소리와 덤불 속에서 짖는 개를 들은 월리스는 도망자들을 찾기 위해 그의 병사들을 정렬시켰다.달빛 아래 그들은 바위 풍경을 가로질러 뛰어내리는 형체들을 볼 수 있었다.원주민들 중 일부는 총에 맞았고 다른 이들은 절벽에서 가파른 협곡으로 내몰렸다.적어도 14명이 죽었고 유일한 생존자는 두 명의 여성과 세 명의 어린이였다.죽은 사람들 중에는 코니비갈 [a]산장, 발린이라고 불리는 노인, 뒤넬이라고 불리는 다라왈 남성, 그리고 여러 명의 여성과 아이들이 [15][13]있었다.

원주민 후손들은 14명의 숫자는 과소평가된 것이며 더 많은 사람들이 [16]학살당했다고 주장한다.목이 잘린 후 코니비갈과 뒤넬의 시신은 먹이를 찾는 [13]원주민들에게 경고하기 위해 브로튼의 소유지 근처 나무에 매달려 있었다.그것은 다른 피살된 여자들 그들의 두개골, 30실링의 럼주도 시드니에서 1갤런인 윌리엄 반스의 기억 1903,[13]에 따라 영국 그들이 에딘버러 대학에서 공부를 위해 재워 주었다로 보내 졌다, 그리고 1991년과 2000년만 반환된 recently,[15] 하며, 협상 b.이 교환되었다운트 높이는캔버라에 있는 [14]유골을 매장하기 위해 10년 넘게 노력했어요아핀 대학살이 일어난 곳으로 추정되는 지역은 [b]의회법에 의해 원주민 공동체에 반환되었다.

1828년, 측량총장인 토마스 미첼과 미타공 근처의 간단가라 사이에 약간의 교류가 있었다.미첼은 도로 공사를 감독하고 있었다.간다랑가라는 도로 건설에 대해 건방진 노래를 작곡했다고 한다(아마도 적절한 모방으로).길은 삐걱거리는 긴 신발로 가고, 길은 삼촌과 형제 백인이 본다.단지 친척을 방문하기 위해 길을 만드는 것은 불필요한 노력이었던 것 같다.간다랑가라 출신의 남성들도 그 [citation needed]당시 미첼의 가이드 역할을 했다.

맥쿼리의 지시로 그들을 해산, 검거, 죽이려는 시도에도 불구하고, Burragorong과 같은 거친 오지들로 피난할 수 있는 Gandara 인구는 Dharug와 같은 다른 이웃 민족들보다 다소 더 나은 조직적인 사회 집단으로 유지되어 왔고, 1860년대에 그들은 요구로 돌아왔다.그들의 [8]토지 반환

간단가라의 잔재들은 1900년대 초 민족지식가인 R. H. 매튜스에 의해 인터뷰된 월론딜리 강의 버라고랑에 살고 있었다. 매튜스는 그곳에서 그들의 전설적 [17][18]전승 중 일부를 기록했다.

신념

간단가라의 믿음에 따르면, 원시 의 시간(군영가룽, "아득한 과거")에 무지개구랑가치돌뱅미라가냥이라는 두 명의 창조자가 월론딜리 강 상류의 지점에서 출발하여 조둔두에서 트레킹이 끝날 때까지 여행을 떠났다고 한다. 피시 리버.이 뱀의 움직임과 추격의 거리는 약 169 킬로미터([19]105 mi)나 됩니다."가장 잘 문서화된 원주민 문화 풍경 중 하나"로 여겨지는 간단가라의 지명의 상세한 묘사들이 있는 이 풍경들의 대부분은 [20]2차 세계대전 이후 와라가감바건설과 함께 물에 잠겼다.그 당시 동물들은 사람이었고, 그 원시세계의 동물들을 통틀어 버링글링이라고 불렀습니다.

구랑가치는 완전히 뱀이 아니라 일부 물고기와 일부 파충류이며, 특히 울론딜리강과 윙기카리브강의 합류점에 있는 머로럴로 알려진 지역의 얕은 여울에 야영하고 있습니다.그가 햇볕을 쬐고 있을 때, 두터운 물고기 사냥꾼인 미라가엔 더 퀼이 구랑가치의 눈에서 반사된 빛을 흘끗 보고 그를 향해 창을 던지려 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퀼은 구랑가치가 피난처를 찾았던 물웅덩이 깊은 곳에서 먹이를 강제로 돌려보내려 했고, 여기저기 메스꺼운 밀레와 히코리 나무껍질 뭉치를 심었다.구랑가치는 그 계획에 현명하게 굴을 파고, 풍경을 통해 터널을 뚫어 석호수를 그의 기차로 끌어들였다. 그리고 나서 그는 Birrimbunnungalai라고 불리는 높은 바위 능선에 나타났는데,[c][21] 그것은 Birrimbunnung풍부하기 때문이다.

구랑가치가 꿈틀거리고 지형을 가로질러 미끄러지거나 포식자로부터 도망치거나 때로는 그와 직접 싸우는 동안 풍경이 그려졌다.미라가엔은 사냥감을 따라잡으면 몽둥이로 그를 후려갈기고, 구랑가치는 고문자를 꼬리에서 채찍으로 때려눕히곤 했다.현재 미끄러운 바위(원래 이름 Wonggaree)라고 불리는 이 유적지는 사람들이 미끄러질 정도로 바위를 부드럽게 닳혀 오랫동안 몸싸움을 벌인 지점이다.[21]2021 FlyLife 기사에서 Karl Brandt는 호주산 폐어를 Gurangatch의 [22]영감으로 제안했다.

대체 철자

  • 간단가라[23]
  • 간단가라
  • 군둥구라
  • 군둥구라

몇 마디

  • 부발. (남자아이)
  • 봄비[24]
  • 불란(여자)
  • 다(어느 성별의 아이)
  • [25]씌우다
  • 물룽가(女)
  • 모리엔(남자)
  • 워럼발(젊음)[26]
  • werriberri(트리 펀).

메모들

  1. ^ 이 이름은 보고서에 다양하게 쓰이고 있다: 월리스는 그를 킨카비갈과 킨나비갈이라고 부르고, 오르간은 이것을 카르님베이글이라고 쓰고, 그의 후손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의 최근 보고는 칸나비 바이갈이라고 쓰고 있다.
  2. ^ "전 울론딜리 주 노동당 하원의원 필 코스타는 의회에 있는 동안 아핀 대학살의 장소로 추정되는 땅을 원주민 공동체에 양도하는 것을 도왔다고 확인했다." (베르톨라 2015)
  3. ^ 그 지역의 백인들에겐 '바위 같은 물웅덩이'로 알려진 집수 지역

인용문

  1. ^ a b c d 틴데일 1974년
  2. ^ Mathews 1901, 페이지 140-148.
  3. ^ 코흐 2004, 페이지 21-22.
  4. ^ a b Smith 2009, 87페이지
  5. ^ a b 코너 2006, 페이지 37
  6. ^ Smith 2009, 94페이지
  7. ^ 트랜터 2000
  8. ^ a b c Goodall 2008, 페이지 31
  9. ^ Whitaker 2005, 페이지 6-8.
  10. ^ a b Whitaker 2005, 페이지 11
  11. ^ 코너 2006, 페이지 46
  12. ^ a b 코너 2006, 페이지 47-48
  13. ^ a b c d 장기 2016.
  14. ^ a b 베르톨라 2015.
  15. ^ a b Whitaker 2005, 12페이지
  16. ^ 그랜트 2016.
  17. ^ 매튜스 1908 페이지 203
  18. ^ Smith 2009, 93페이지
  19. ^ Smith 2009, 87-88페이지.
  20. ^ Smith 2009, 페이지 106
  21. ^ a b Mathews 1908, 페이지 203–206.
  22. ^ Brandt, Karl (Autumn 2021). "Monster Fish". FlyLife (102): 94.
  23. ^ Gilchrist, Catie (2014). "Casula Powerhouse: Celebrating Art, Community and Cultural Diversity". The Dictionary of Sydney. Retrieved 17 September 2021.
  24. ^ 스미스 2009, 페이지 88, 89
  25. ^ Smith 2009, 99페이지
  26. ^ 매튜스 1901, 페이지 142

원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