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별 정보격차
Gender digital divide성별 정보격차는 기술 제품, 기술 분야, 디지털 기술 교육으로 분류된 성별 편향으로 정의된다.[1][2]
배경
교육 시스템은 점점 더 공평하고, 포괄적이며, 고품질의 디지털 기술 교육과 훈련을 보장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디지털 기술이 더 많은 학습과 기술 개발의 길을 열어주지만, 여전히 디지털 기술 교육에서 여성과 소녀들은 뒤쳐지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디지털 기술의 성별 격차는, 적어도 10년 이상의 국내외 노력에도 불구하고 증가하고 있다.[1]
디지털 기술 격차
여성들은 전세계적으로 스마트폰 작동, 인터넷 탐색, 소셜 미디어 사용, 디지털 미디어의 정보 보호 방법(생활과 업무, 모든 연령대의 사람들과 관련이 있는 기능)을 덜 알고 있다. 휴대전화로 앱을 사용하는 등 가장 낮은 숙련도 수준과 대형 데이터 세트 분석을 지원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코딩 등 최첨단 기술과의 차이가 있다.[1]
스프레드시트에서 간단한 산술 공식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기본적인 목적을 위해 ICT를 활용하는 방법을 알고 있는 수많은 국가의 여성은 남성보다 25% 덜하다.[3] 유네스코는 남성이 여성보다 약 4배 정도 컴퓨터를 프로그램하는 능력과 같은 선진 ICT 기술을 보유할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한다.[1] G20 국가 전체에서 ICT 특허의 7%가 여성에 의해 생성되며,[4] 전 세계 평균은 2%[5]에 달한다. 실리콘밸리의 기술기업 채용담당자들은 인공지능(AI)과 데이터과학 분야의 기술직 취업 지원자가 여성 1% 미만인 경우가 많다고 추산하고 있다.[6] 이러한 차이를 강조하기 위해, 2009년에는 대학 교육을 받은 여성들이 STEM에서 일하는 것이 670만 명에 비해 250만 명이었다. 당시 전체 노동력은 여성 49%, 남성 51%로 격차가 뚜렷했다. [7]
디지털 기술의 성 격차는 지역 경계와 소득 수준에 걸쳐 뚜렷하게 나타나지만, 나이가 많거나, 교육을 덜 받았거나, 가난하거나, 농촌과 개발도상국에 거주하는 여성에게는 더욱 심하다. STEM의 어떤 분야에서도 남성보다 여성이 졸업할 가능성이 훨씬 적다.[8] 디지털 기술 격차는 빈곤과 교육적 접근성의 문제와 교차한다.[1]
근본원인
여성과 소녀들은 안전하지 않은 도로, 이동의 자유에 대한 제한, 또는 그 시설 자체가 여성들에게 적합하지 않다고 여겨지기 때문에 공공 ICT 시설에 접근하기 위해 애쓸 수 있다.[1]
여성들은 디지털 기술을 구입하거나 인터넷 연결 비용을 지불하는 데 필요한 재정적 독립성을 갖지 못할 수 있다. 디지털 접속은 가능할 때 조차도 남성이 통제하고 감시하거나 여성의 외모, 데이트, 아내나 어머니로서의 역할에 초점을 맞춘 '핑크 콘텐츠'로 알려진 제한된 콘텐츠 선택을 포함하는 '벽이 있는 정원'에 한정할 수 있다.[9] 안전과 괴롭힘(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에 대한 두려움 또한 많은 여성과 소녀들이 ICT로부터 이익을 얻거나 심지어 이용하기를 원하는 것을 억제한다.[10]
많은 맥락에서 여성과 소녀들은 디지털 기기를 소유하거나 빌릴 경우 물리적 폭력의 우려에 직면하게 되는데, 경우에 따라 비밀리에 기기를 사용하게 되어 온라인 위협에 더욱 취약해지고 디지털 기술을 습득하기 어렵게 된다.[11]
남성 영역으로서의 기술에 대한 고정관념은 많은 맥락에서 공통적이며 어릴 때부터 디지털 기술에 대한 소녀들의 신뢰에 영향을 미친다. OECD 국가에서는 15세 때 정보통신기술(ICT) 관련 직업을 열망하는 여학생이 0.5%인 반면 남학생은 5%인 것으로 나타났다.[12] 항상 그렇지는 않았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전자컴퓨팅이 시작될 때, 선진국에서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은 '여성의 일'로 여겨졌다. 초기 기술 회사의 경영자들은 여성들이 꼼꼼하고 단계별 지시를 잘 따르는 고정관념 때문에 프로그래밍에 적합한 여성들을 허용했다. 많은 유색인종을 포함한 여성들이 컴퓨터 산업에서 직업으로 몰려든 것은 다른 분야에 비해 성과주의적으로 비쳤기 때문이다.[13] 컴퓨터가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통합되면서 프로그래머들이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이 눈에 띄었다. 결과적으로, 여성들은 밀려나고 그 분야는 남성 중심적이 되었다.[1]
액세스 구분 대 스킬 구분
연결성과 하드웨어의 가격 하락으로 인해, 기술 부족은 성별 정보격차의 주된 원인이 되어 접근의 장벽을 넘어섰다. 수년간, 그 격차는 기술적 난제의 징후로 간주되었다. 남성들에 비해 여성의 구매력과 재정자립도가 제한되어 있어, 세상이 더 저렴한 기기를 가지고 있고 연결 가격이 낮을 때 여성이 남성을 따라잡을 것으로 생각되었다.[1] ICT 접속 비용은 여전히 이슈가 되고 있으며 교육 격차에 의해 추월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 보급의 성별 격차는 아랍 국가 및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17% 정도인 반면,[14] ICT 기술력의 성별 격차는 일부 아시아 및 중동 국가에서 25%에 달한다.[15]
많은 사람들이 저렴한 장치와 광대역통신망에 접근할 수 있지만, 이 기술을 이용하여 자신의 삶을 향상시키는 데 필요한 기술을 가지고 있지 않다.[1] 브라질에서는 (접근비보다) 기술 부족이 저소득층이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는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16] 기술 부족과 인터넷의 필요성 부족이 모든 소득 집단에 걸쳐 주요 제한 요소였던 인도에서 말이다.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로 이해, 관심 또는 시간의 부족이 저렴한 가격이나 가용성보다 더 큰 문제다.[1] 비록 기술 부족이 남성과 여성 모두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는 것을 막았지만, 그것들은 여성들에게 더 심각한 경향이 있다. 중하위권 10개국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인터넷 사용의 장벽으로 기술 부족을 보고한 비율은 여성이 남성보다 1.6배 높았다.[17] 여성도 ICT에 접속해 사용해야 할 이유를 못 본다고 보고할 가능성이 높다.[18] ICT에 대한 경험이나 이해도가 거의 없는 사람들이 자신의 이익과 효용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필요에 대한 관심과 인식은 기술과 관련이 있다.[1]
디지털 기술과 양성평등의 관계
많은 사회에서, 양성평등은 디지털 현실과 디지털 직업에서 양성평등으로 바뀌지 않는다. 세계경제포럼(WEF)의 글로벌 성 격차 지수(강력한 양성평등을 반영) 상위권에 랭크된 국가들에서도 디지털 기술력 격차의 지속성은 여성과 소녀들의 디지털 능력을 배양하는 개입의 필요성을 보여준다.[1]
디지털 역량 강화의 이점
여성과 소녀들이 디지털 기술을 개발하도록 돕는 것은 더 강한 여성, 더 강한 가정, 더 강한 지역사회, 더 강한 경제 그리고 더 나은 기술을 의미한다.[1] 디지털 기술은 사회에 대한 완전한 참여를 위해 필요한 필수적인 삶의 기술이라고 인정받고 있다. 디지털 기술을 습득하는 주요 이점은 다음과 같다.[1]
- 노동시장 진입 촉진
-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에서 여성의 안전 지원
- 여성 커뮤니티 및 정치 참여 강화
- 여성과 사회에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 준다.
- 여성이 기술 및 양성평등의 미래를 이끌 수 있도록 지원
- 국제적 목표를 향한 진보를 가속화한다.[1]
디지털 기술 성별 격차 해소
증가하는 소녀와 여성의 디지털 기술은 디지털 기술에 대한 초기, 다양하고 지속적인 노출을 포함한다.[19] 개입은 공식적인 교육 환경에 국한되어서는 안 되며, 여성과 소녀들이 다양한 공식적, 비공식적 맥락(가정, 학교, 지역사회 및 직장에서)에서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다면적인 접근법을 반영해야 한다.[1] 정보격차는 연령대별로 줄어들기 때문에 해결책은 평생학습지향을 가정할 필요가 있다. 오늘날 학습된 기술들이 반드시 5년 또는 10년 안에 관련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기술적 변화는 '생명에 이르는' 관점에 박차를 가한다. 디지털 기술은 여성과 소녀들이 더 뒤처지지 않도록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해야 한다.[1]
여성과 소녀 디지털 기술 개발은 다음을 통해 강화된다.[1]
- 지속적이고 다양하며 라이프 전반에 걸친 접근방식 채택
- 인센티브, 목표 및 할당량 설정
- 정규 교육에 ICT 포함
- 참여 경험 지원
- 의미 있는 사용 및 가시적 이점 강조
- 협업 및 동료 학습 장려
- 안전한 공간을 만들고, 여성이 있는 곳에서 여성들을 만나는 것.
- 제외 관행 및 언어 검사
- 성인지 교사 채용 및 교육
- 롤모델 및 멘토 홍보
- 부모들을 태우는 것;
- 지역사회 연계 활용 및 협력사 모집
- 기술 자율성과 여성의 디지털 권리 지원.[1]
AI 기술의 여성 그네더링
남성은 계속해서 기술 공간을 지배하고 있으며, 인식되지 않은 편견이 복제되어 알고리즘과 인공지능(AI)에 내장되면서 그 불균형은 성 불평등을 영구화하는 역할을 한다.[1]
기술 분야에 여성과 소녀들의 제한된 참여는 기존의 성 편견을 밖으로 복제하고 새로운 성 편견을 창출하는 데 기인할 수 있다. 여성의 기술 분야 참여는 불평등한 디지털 기술 교육과 훈련으로 제약을 받는다. 초등학교 때 이른 시기에 발생하는 학습과 자신감 격차는 여학생들이 교육을 통해 이동함에 따라 증폭되기 때문에 고등교육에 도달할 무렵에는 컴퓨터 과학과 관련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의 고급 학문을 극히 일부만 추구하게 된다.[19] 교육에서 일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분열이 더 커진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은 전문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6%만이 여성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20]
남성 위주의 팀과 기업이 창출하는 기술은 성 편견을 반영하는 경우가 많다. 기술 분야에서 남성과 여성 사이의 균형을 확립하는 것은 인간 사회의 풍부한 다양성을 더 잘 반영하고 궁극적으로 수용하는 기술 제품 창조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1] 예를 들어 AI는 사람들의 삶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술 분야의 한 분야다.[1] 오늘날 AI는 인터넷 검색엔진에서 보여지는 정보를 큐레이션하고, 치료법을 결정하고, 대출 결정을 내리고, 취업 신청 순위를 매기고, 언어 번역하고, 광고를 내고, 징역형을 추천하고, 가석방 결정에 영향을 주고, 로비 및 캠페인 활동을 교정하고, 취향과 선호를 직감하고, 보험 가입자를 결정한다., 다른 작업들 중에서. 이 기술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성은 AI 연구자의 12%에 불과하다.[20] 성별 분열을 마무리하는 것은 보다 포괄적이고 양성평등한 디지털 기술 교육과 훈련을 확립하는 것에서 시작된다.[1]
디지털 보조 장치
디지털 도우미는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를 지원하는 다양한 인터넷 연결 기술을 포함한다. 디지털 보조자와 상호작용할 때 사용자는 좁은 범위의 입력 명령어에 제한되지 않고, 입력하든 말하든 가장 적절하거나 자연스러워 보이는 입력 정보를 사용하여 질의하도록 권장된다. 디지털 보조자들은 기술과 더 많은 인간과 유사한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고 지속시키려 한다. 디지털 보조원에는 음성 비서, 챗봇 및 가상 에이전트가 포함될 수 있다.[1]
음성조교 여성화
음성 도우미는 기술 플랫폼과 많은 국가에서 일상 생활에 중심이 되었다. 2008~2018년 사이 음성 기반 인터넷 검색 질의 빈도가 35배 증가해 모바일 인터넷 검색의 5분의 1(2020년까지 50%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에 육박했다.[21] 현재 음성 도우미는 일상적인 일(노래를 바꾸는 일)에서 필수적인 일(응급 서비스 참여)에 이르기까지 매달 10억 개 이상의 작업을 관리하고 있다.[22]
오늘날, 대부분의 선도적인 음성 비서들은 명실상부한 여성 또는 여성 전용이다. 아마존에는 알렉사(알렉산드리아 고대 도서관의 이름),[23] 마이크로소프트에는 코르타나(관능적인 옷을 입지 않은 여성으로 자신을 투사하는 비디오 게임 헤일로의 합성 지능의 이름),[24] 애플에는 시리(아이폰 4S의 노르웨이 공동창작자 코칭으로 '너를 승리로 이끄는 아름다운 여성'이라는 뜻)가 있다.[25] 구글의 음성 도우미가 단순히 구글 어시스턴트(Google Assistant)이고 때로는 구글 홈(Google Home)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목소리는 여성이다.
보조원을 여성화하는 추세는 기술 회사에서 성비 불균형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발생하는데, 일반적으로 남성은 기업 전체 노동력의 3분의 2에서 3분의 3을 대표한다.[14] 아마존이나 애플과 같은 회사들은 사람들이 남성 목소리보다 여성 음성을 더 선호한다는 것을 입증하는 학술적인 연구를 인용하여 음성 도우미를 여성으로 만들기로 한 결정을 정당화했다. 추가 조사 결과 소비자들은 명확한 성별 표시가 없는 음성 도우미를 강하게 싫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6] 이는 기업이 고객을 유치하고 즐겁게 함으로써 이익을 낸다는 의미인 성 편향에 대한 의문을 없앤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고객들은 그들의 디지털 비서가 여성처럼 들리기를 원하며, 따라서 디지털 비서는 여성처럼 들림으로써 최대의 이익을 얻을 수 있다.[1]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을 전문으로 하는 연구원들은 남성과 여성 모두 여성의 목소리를 더 도움이 되는 것으로 특징짓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인정했다. 이러한 인식은 양육자(엄마들이 종종 아버지보다 훨씬 더 많은 보살핌을 받든 아니든)로서 여성을 둘러싼 전통적인 사회적 규범과 디지털 시대를 앞선 사회 구성적 성 편향에 뿌리를 두고 있을 수 있다.[1]
참고 항목
참조
이 글에는 무료 콘텐츠 작업에서 얻은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다. CC BY-SA 3.0 IGO Text에 따라 라이센스를 취득한 후, 가능하다면 얼굴을 붉힐 것이다: 교육을 통해 디지털 기술의 성별 분열을 마무리하는 유네스코, EQUESCO, Equals 스킬s Union, 유네스코. 유네스코.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UNESCO, EQUALS Skills Coalition (2019). "I'd blush if I could: closing gender divides in digital skills through education" (PDF).
- ^ Egodawatte, Gunawardena; McDougall, Douglas; Stoilescu, Dorian (2011-05-04). "The effects of teacher collaboration in Grade 9 Applied Mathematics". Educational Research for Policy and Practice. 10 (3): 189–209. doi:10.1007/s10671-011-9104-y. ISSN 1570-2081. S2CID 144810635.
- ^ UNESCO (2017). Global Education Monitoring Report 2017/8. Accountability in Education: Meeting Our Commitments. Paris, UNESCO: UNESCO.
- ^ OECD (2018). "Bridging the Digital Gender Divide: Include, Upskill, Innovate". OECD.
- ^ Mariscal, J., Mayne, G., Aneja, U. and Sorgner, A (2018). "Bridging the Gender Digital Gap". Buenos Aires, CARI/CIPPEC.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 ^ Shah, Huma; Warwick, Kevin (2016). "Imitating Gender as a Measure for Artificial Intelligence: - Is It Necessary?". Proceedings of the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gent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SCITEPRESS - Science and Technology Publications: 126–131. doi:10.5220/0005673901260131. ISBN 978-989-758-172-4.
- ^ Beede, David N.; Julian, Tiffany A.; Langdon, David; McKittrick, George; Khan, Beethika; Doms, Mark E. (2011-08-01). "Women in STEM: A Gender Gap to Innovation". Rochester, NY. SSRN 1964782. 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
journal=
(도움말) - ^ Card, David; Payne, A. Abigail (2021). "High School Choices and the Gender Gap in Stem". Economic Inquiry. 59 (1): 9–28. doi:10.1111/ecin.12934. hdl:11343/253940. ISSN 1465-7295.
- ^ Brunner, J. (2014-04-21). "Bridging the gap between wild and laboratory animals". Lab Animal. 43 (5): 175. doi:10.1038/laban.505. ISSN 0093-7355. PMID 24751854. S2CID 19511454.
- ^ EQUALS Research Group (2018). "Taking Stock: Data and Evidence on Gender Equality in Digital Access, Skills and Leadership: Preliminary Findings of a Review". EQUALS Research Group. Geneva, EQUALS Global Partnership.
- ^ Girl Effect & Vodafone Foundation (2018). "Real girls, real lives, connected".
- ^ "Bridging the rural digital divide". OECD Digital Economy Papers. 2018-02-23. doi:10.1787/852bd3b9-en. ISSN 2071-6826.
- ^ Thompson, Clive (2019). "The Secret History of Women in Coding". The New York Times.
- ^ a b ITU (2017). "ICT Facts and Figures 2017" (PDF).
- ^ Araba Sey and Nancy Hafkin, Editors Macau (2019). "aking Stock: Data and Evidence on Gender Equality in Digital Access, Skills and Leadership" (PDF). EQUALS Global Partnership.
- ^ World Economic Forum (2015). "Expanding Participation and Boosting Growth: The Infrastructure Needs of the Digital Economy" (PDF). World Economic Forum.
- ^ World Wide Web Foundation (2015). Women's Rights Online: Translating Access into Empowerment. Geneva: Web Foundation.
- ^ GSMA (2015). "Accelerating Digital Literacy: Empowering women to use the mobile internet". GSMA.
- ^ a b Accenture (2017). Getting to Equal 2017: Closing the Gender Pay Gap. Dublin, Accenture.
- ^ a b Carretero, S., Vuorikari, R. and Punie, Y (2017). "The Digital Competence Framework for Citizens. Luxembourg, European Commission" (PDF).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 ^ "Measuring User-Created Content: Implications for the ICT Access and Use by Households and Individuals Surveys". OECD Digital Economy Papers. 2008-01-30. doi:10.1787/230554851603. ISSN 2071-6826.
- ^ "Pathway Mapping Methodology – Global Alliance to Monitor Learning". Retrieved 2020-03-20.
- ^ "Assessing Digital Stories: Th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of New Media Evaluation", Digital Storytelling in the Classroom: New Media Pathways to Literacy, Learning, and Creativity, Corwin Press, pp. 83–92, 2013, doi:10.4135/9781452277479.n4, ISBN 978-1-4522-6825-5
- ^ Quirós, C. T., Morales, E. G., Pastor, R. R., Carmona, A. F., Ibáñez, M. S. and Herrera, U. M. (2018). "Increase in gender gap in the digital sector - Study on Women in the Digital Age".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 ^ Clark, P (2018). "The digital future is female — but not in a good way".
- ^ Danielescu, Andreea (2020-07-22). "Eschewing Gender Stereotypes in Voice Assistants to Promote Inclusion". Proceedings of the 2nd Conference on Conversational User Interfaces. CUI '20. Bilbao, Spain: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1–3. doi:10.1145/3405755.3406151. ISBN 978-1-4503-7544-3. S2CID 2204974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