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투펭귄

Gentoo penguin
젠투펭귄
Brown Bluff-2016-Tabarin Peninsula–Gentoo penguin (Pygoscelis papua) 03.jpg
타바린 반도 브라운 블러프에서
과학적 분류 edit
왕국: 애니멀리아
문: 챠다타
클래스: 아베스
주문: 스피니스케폼목
패밀리: 물떼새과
속: 피고셀리스
종류:
파푸아
이항명
피고셀리스파푸아
(포스터, 1781년)
Gentoo penguin distribution.svg
젠투펭귄 분포

젠투펭귄(/ddʒntu//JEN-too)(Pygoscelis puppa)은 아델리펭귄(P. adeliae)과 턱끈펭귄(P 남극)과 가장 가까운 종이다.최초의 과학적 설명은 1781년 포클랜드 제도의 모식 지역인 요한 라인홀드 포스터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그 종은 다양한 방식으로 울부짖지만, 가장 자주 들리는 것은 큰 나팔소리로, 그 새는 머리를 뒤로 [2]젖히고 울부짖는다.

이름

펭귄에게 젠투의 적용은 불분명합니다.겐투는 힌두교도와 이슬람교를 구별하기 위한 영인도의 용어였다.영어 용어는 포르투갈의 젠티오(gentio, pagan, gentile)에서 유래했을 수 있습니다.어떤 사람들은 새의 머리에 있는 하얀 반점[3]터번을 닮았다고 추측한다.

그것은 또한 조니가 스페인어로 후아니토이고 희미하게 [4][5][6]젠투처럼 들리는 이 새의 다른 이름인 "조니 펭귄"의 변형일 수도 있다.포식자인 조니 룩은 조니 [7]펭귄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을 것이다.

파푸아라는 이름잘못된 명칭이다; 원래 설명에서 제임스 쿡 선장과 함께 세계일주를 했던 자연학자 요한 라인홀드 포스터는 이 종이 파푸아에서 발생했다고 잘못 추측했고, 실제로는 남쪽에서 6000km 이상 떨어진 [3]곳에 있는 젠투족들이었다.뉴기니에서는 [8]펭귄이 발견되지 않는다.또 다른 사람들은 이 오류를 1776년 프랑스 박물학자 피에르 소네라가 "사기 가능성이 있는 주장"으로 추적하고 있는데,[9] 그는 또한 자신이 이 섬에 가본 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파푸아 펭귄의 위치를 주장했습니다.

분류법

젠투펭귄은 피고셀리스속에 속하는 3종 중 하나이다.미토콘드리아와 DNA 증거에 따르면 이 속은 약 3800만 년 전 다른 펭귄으로부터 분리되었으며, 이는 Aptenodytes의 조상으로부터 약 200만 년 후이다.차례로, 아델리 펭귄은 19Mya [10]즈음에 다른 속 동물들과 갈라졌고, 턱끈과 젠투는 마침내 14Mya 즈음에 갈라졌다.

국제조류학회의[11]인정한 아종은 4종이다.

케르구엘렌 제도의 개체군은 잠정적으로 태니아타에 포함되지만, 다른 [12]아종일 수도 있다.

2021년 이전에는 젠투펭귄의 아종이 P. p. puppa (남극 젠투)와 작은 P. p. elsworthi (남극 젠투)[13][14] 두 종만 알려져 있었다.하지만, 2020년 한 연구는 젠투 펭귄이 형태학적으로 비슷하지만 별개의 4종류의 복합체로 나뉘는 것을 제안했다: 북부 젠투 펭귄, 남부 젠투 펭귄, 동부 젠투 펭귄, 그리고 새롭게 기술된 사우스 조지아 젠투 펭귄.국제조류학회의는 2021년에 이 연구 결과를 포함시켰지만, 새롭게 인정되거나 새롭게 기술된 종은 P.[12] 파푸아 아종으로 격하되었다.[15][16]

묘사

젠투 펭귄은 정수리를 가로지르는 보닛처럼 뻗은 넓고 하얀 줄무늬와 밝은 오렌지색 부리로 쉽게 알아볼 수 있다.그것은 옅은 흰 분홍색에 물갈퀴가 있는 발과 꽤 긴 꼬리를 가지고 있는데, 모든 펭귄 종 중에서 가장 눈에 띄는 꼬리입니다.병아리는 등이 회색이고 앞면은 흰색이다.젠투 펭귄이 땅 위를 걸어갈 때, 꼬리가 뒤로 튀어나와 좌우로 쓸어내리기 때문에 학명은 "엉덩이 꼬리"[17]라는 뜻이다.

웨스트 포클랜드 머리 클로즈업

젠투펭귄은 5190cm(2035인치)[18][19]까지 자랄 수 있어 황제펭귄왕펭귄에 이어 세 번째로 큰 펭귄 종이다.수컷의 최대 체중은 털갈이 직전 약 8.5kg(19파운드)이며, 짝짓기 직전 약 4.9kg(11파운드)의 최소 체중은 약 4.9kg(11파운드)이다.암컷의 경우, 털갈이 직전에는 최대 무게가 8.2kg(18파운드)이지만,[20] 둥지에서 새끼를 보호하면 몸무게가 4.5kg(9.9파운드)으로 줄어듭니다.북쪽에서 온 새들은 남쪽 새들보다 평균 700g 더 무겁고 10cm 더 크다.남방 젠투 펭귄의 길이는 [21]75-80 센티미터에 달합니다.그들은 최고 36km/[22]h의 속도에 도달하여 모든 펭귄 중에서 가장 빠른 수중 수영선수입니다.젠투족은 매우 춥고 혹독한 기후에 잘 적응한다.

사육

남극반도 앞바다 파머 군도의 빈케 섬에 사는 가족

젠투 펭귄의 번식 군집은 얼음이 없는 표면에 위치해 있습니다.군집은 해안선에 바로 위치하거나 상당히 내륙에 위치할 수 있습니다.그들은 얕은 해안 지역을 선호하며 종종 풀무더기 사이에 둥지를 튼다.예를 들어 사우스조지아에서 번식 군집은 내륙 2km에 있습니다.펭귄들이 풀이 무성한 지역에 둥지를 틀고 있는 내륙의 더 먼 곳에서는 시간이 지나면 잔디가 짓밟히기 때문에 펭귄들은 매년 조금씩 장소를 옮긴다.

젠투족은 아남극의 많은 섬에서 번식한다.주요 군락지는 포클랜드 제도, 사우스 조지아, 사우스 샌드위치 제도, 케르겔렌 제도이며, 소규모 군락지는 맥쿼리 섬, 허드 섬, 크로젯 제도, 사우스 셰틀랜드 제도, 남극 반도에서 발견됩니다.총 사육 개체수는 60만 마리 이상으로 추정된다.젠투족은 일부일처제로 번식하고 불륜은 일반적으로 [23]식민지에서 추방되는 처벌을 받는다.둥지는 보통 대략 둥근 돌무더기로 만들어지며 높이가 20cm이고 지름이 25cm인 꽤 클 수 있다.그 돌들은 조심스럽게 보호되고 있고, 돌들의 소유권은 개인들 사이의 시끄러운 논쟁과 물리적 공격의 대상이 될 수 있다.수컷 펭귄이 암컷에게 초이스 스톤을 제공함으로써 암컷의 환심을 살 수 있을 정도로 암컷에게도 귀하게 여겨집니다.

두 개의 알을 낳는데, 둘 다 무게가 약 130g(4.6온스)이다.부모들은 매일 임무를 바꿔가며 부양을 공유한다.알은 34일에서 36일 후에 부화한다.그 병아리들은 군집의 다른 병아리들과 합류하여 목발을 만들기 전까지 약 30일 동안 둥지에 머문다.병아리는 성숙한 깃털로 탈모하여 80일에서 100일 정도에 바다로 나갑니다.

다이어트

젠투족은 주로 크릴과 같은 갑각류를 먹고 살며, 물고기는 식단의 약 15%만을 차지한다.그러나 그들은 기회주의적인 먹이이고 포클랜드 주변에서는 거의 같은 비율의 물고기를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티사놉세타 나레시, 미크로메지스티우스오스트랄리스, 쪼그려 앉은 바닷가재(Munida gregaria), 오징어(Loligo gahi, Gonatus sarternus, Moroteuthis ingens).

생리학

남극에 사는 젠투펭귄들이 바다와 바위가 많은 외곽에 둥지를 틀 수 있는 길인 '펭귄 고속도로'를 걷고 있다.

젠투족들의 식단은 염분이 높은데, 이는 특히 젠투족 병아리의 경우 체내 나트륨 농도가 높은 것과 관련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이에 대항하기 위해, 다른 많은 해양 조류 종들과 마찬가지로, 젠투들은 눈 위에 고도로 발달된 염분샘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몸 안에 있는 고농도의 나트륨을 흡수하고 [24]부리 끝에서 몸 밖으로 나오는 고농도의 식염수 농축 용액을 생산한다.

젠투펭귄은 그들의 가장 가까운 친척인 아델리펭귄만큼 지방을 저장하지 않는다; 젠투펭귄은 사냥 후 에너지의 순이득이 아델리 [25]펭귄보다 젠투에서 더 크기 때문에 사냥할 때 에너지 투자를 덜 요구한다.배아로서, 젠투는 발달하는데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발달 중인 젠투 태아에게는 산소 소비량이 높다.태아가 자라고 더 많은 산소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젠투 병아리가 부화할 때까지 소비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그때까지, 그 병아리는 하루에 [26]약 1800밀리리터의2 산소를 소비하고 있다.

포식자

사우스조지아 고둘에서 젠투 병아리를 공격하는 갈색 스쿠아(스테르코라리우스 남극)

바다에서는 표범 바다표범, 바다사자, 범고래가 모두 젠투의 포식자이다.육지에서는 다 자란 건강한 젠투 펭귄의 포식자는 존재하지 않는다.스쿠아거대한 페트렐은 정기적으로 많은 병아리를 죽이고 알을 훔친다; 페트렐은 다치고 병든 성인 젠틀맨을 죽인다.다시마 갈매기와 눈 덮개새와 같은 다양한 바닷새들도 병아리와 알을 낚아챈다.킹 조지 섬의 스쿠아들은 영토 [27]분쟁에서 성인 젠투 펭귄을 공격하고 다치게 하는 것이 목격되었다.

보존현황

2019년 현재[update], IUCN 적색 목록은 젠투가 안정적인 개체수 추세에 대한 관심을 가장 덜 받는 종으로 분류하고 있지만, 일부 주요 지역에서 급격한 감소가 전체 종 개체수의 완만한 감소를 이끌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25년간 [1]인구가 3분의 2나 감소한 사우스조지아 버드 아일랜드가 그 예다.공해, 사냥,[28] 낚시, 인간 레크리에이션 활동 등 이 종에 대한 많은 위협들이 여전히 존재한다.

영향을 주다

Linux 디스트리뷰션 Gentoo Linux는 gentoo penguin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습니다.젠투 리눅스가 고성능 운영체제[29]: 383 지향하고 있기 때문에 펭귄이 가장 빨리 헤엄치는 펭귄이라는 사실에 고개를 끄덕인다.

갤러리

레퍼런스

  1. ^ a b BirdLife International (2020). "Pygoscelis papua".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20: e.T22697755A157664581. doi:10.2305/IUCN.UK.2020-3.RLTS.T22697755A157664581.en. Retrieved 18 November 2021.
  2. ^ Woods, R.W. (1975) Birds of the Falkland Islands, Antony Nelson, 영국 Shropshire.
  3. ^ a b Campbell, David G. (2002). The Crystal Desert: Summers in Antarctica. Houghton Mifflin Harcourt. p. 278. ISBN 978-0-547-52761-1.
  4. ^ Chester, Jonathan (1996). Penguins: Birds of Distinction. Australia: Penguin Books. p. 42. ISBN 978-0-14-025968-1. Until the 1930s, the gentoo was generally known in the Falklands as the Johnny penguin.
  5. ^ "gentoo penguin".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5 ed.).
  6. ^ Beaglehole, J.C. (2017). The Journals of Captain James Cook on his Voyages of Discovery. Vol. II. Taylor & Francis. p. 910. ISBN 978-1-351-54324-8. In the 18th century, English-speaking sealers commonly called [the gentoo] the Johnny penguin. The Spanish translation of this was Juanito, which has degenerated into gentoo.
  7. ^ Gorman, James (1990). The Total Penguin. Prentice Hall. p. 87. ISBN 978-0-13-925041-5. Sealers called it the "Johnny penguin" or "John penguin." In that incarnation, it seems to have given its name to the striated caracara, a bird of prey that feeds on young gentoo penguins in the Falklands and is called the "Johnny rook".
  8. ^ Troelstra, Anne S. (2017). Bibliography of Natural History Travel Narratives. Brill. pp. 411–. ISBN 978-90-04-34378-8.
  9. ^ Gray, Jeannie; Fraser, Ian (2013). Australian Bird Names. Csiro. p. 42. ISBN 978-0-643-10471-6.
  10. ^ Baker AJ, Pereira SL, Haddrath OP, Edge KA (2006). "Multiple gene evidence for expansion of extant penguins out of Antarctica due to global cooling". Proc Biol Sci. 273 (1582): 11–17. doi:10.1098/rspb.2005.3260. PMC 1560011. PMID 16519228.
  11. ^ "Kagu, Sunbittern, tropicbirds, loons, penguins – IOC World Bird List". Retrieved 2022-06-11.
  12. ^ a b "Subspecies Updates – IOC World Bird List". Retrieved 2022-06-11.
  13. ^ environment.gov.au. "Pygoscelis papua papua — Gentoo Penguin (subantarctic)". Retrieved 2019-12-12.
  14. ^ itis.gov. "Pygoscelis papua (J. R. Forster, 1781)". Retrieved 2019-12-12.
  15. ^ Tyler, Joshua; Bonfitto, Matthew T.; Clucas, Gemma V.; Reddy, Sushma; Younger, Jane L. (2020). "Morphometric and genetic evidence for four species of gentoo penguin". Ecology and Evolution. 10 (24): 13836–13846. doi:10.1002/ece3.6973. ISSN 2045-7758. PMC 7771148. PMID 33391684.
  16. ^ Pertierra, Luis R.; Segovia, Nicolás I.; Noll, Daly; Martinez, Pablo A.; Pliscoff, Patricio; Barbosa, Andrés; Aragón, Pedro; Rey, Andrea Raya; Pistorius, Pierre; Trathan, Phil; Polanowski, Andrea (2020). "Cryptic speciation in gentoo penguins is driven by geographic isolation and regional marine conditions: Unforeseen vulnerabilities to global change". Diversity and Distributions. 26 (8): 958–975. doi:10.1111/ddi.13072. ISSN 1472-4642.
  17. ^ "Gentoo penguin videos, photos and facts – Pygoscelis papua". Arkiv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05-20.
  18. ^ "Pygoscelis papua (gentoo penguin)". Animal Diversity Web.
  19. ^ Barham, Peter and Barham, Barbara. "Gentoo Penguin – Pygoscelis Papu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09-20. Retrieved 2008-09-23.{{cite web}}: 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20. ^ "Gentoo penguin videos, photos and facts – Pygoscelis papua". Arkiv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07-18.
  21. ^ "Antarctica fact file wildlife, gentoo penguins". coolantarctica.com.
  22. ^ "Gentoo penguin". BBC Natur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02-05.
  23. ^ Trather, PN; Forcada, J; Atkinson, R; Downie, RH; Shears, JR (December 2008). "Population assessments of gentoo penguins (Pygoscelis papua) breeding at an important Antarctic tourist site, Goudier Island, Port Lockroy, Palmer Archipelago, Antarctica". Biological Conservation. 141 (12): 3019–3028. doi:10.1016/j.biocon.2008.09.006. Breeding pairs of Pygoscelis papua remained constant throughout the 1996/1997 breeding season. Males observed attempting to breed outside of their original breeding pair were violently rejected from the colony.
  24. ^ Schmidt-Nielsen, K. (1960). "The Salt-Secreting Gland of Marine Birds". Circulation. 21 (5): 955–967. doi:10.1161/01.cir.21.5.955. PMID 14443123.
  25. ^ D’Amico, V. L., Coria, N., Palacios, M. G., Barbosa, A., & Bertellotti, M. (2016). "Physi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wo overlapped breeding Antarctic penguins in a global change perspective". Polar Biology. 39: 57–64. doi:10.1007/s00300-014-1604-9. hdl:10261/156947. S2CID 17563166.{{cite journal}}: 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26. ^ Actams, N. J. (1992). "Embryonic metabolism, energy budgets and cost of production of king Aptenodytes patagonicus and gentoo Pygoscelis papua penguin eggs". Comparative Biochemistry and Physiology Part A: Physiology. 101 (3): 497–503. doi:10.1016/0300-9629(92)90501-g.
  27. ^ 2014년 2월 INACH(칠레아 남극 연구소)의 번역자인 로버트 런야드의 관찰 및 사진 보고서.
  28. ^ International), BirdLife International (BirdLife (2019-08-28).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Pygoscelis papua".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Retrieved 2021-05-25.
  29. ^ Christopher Negus (5 May 2008). Linux Bible: Boot Up to Ubuntu, Fedora, KNOPPIX, Debian, openSUSE, and 11 Other Distributions. John Wiley & Sons. pp. 389–. ISBN 978-0-470-28706-4.

이 기사에는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 Alike 3.0 Unported License 및 GFDL에 따라 ARKive 팩트 파일 "Gentoo penguin"의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