힌두교도
Hindus시리즈의 일부(on) |
힌두교의 |
---|
![]() |
힌두교도( 힌두스타니:[ˈɦɪ두]; /ˈ ɪ두 ː즈/)는 힌두교를 종교적으로 고수하는 사람들입니다.역사적으로, 이 용어는 또한 인도 아대륙에 사는 사람들을 위한 지리적, 문화적, 그리고 나중에 종교적인 정체성으로 사용되었습니다.[68][69]
"힌두"라는 용어는 고대 페르시아어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이 이름들은 산스크리트어 이름인 신두(Sindhu, सिन्धु)에서 따온 것으로 인더스 강을 의미합니다.같은 용어의 그리스 어원은 "인더스" (강을 뜻하는)와 "인디아" (강의 땅을 뜻하는)[70][71][72]입니다."힌두"라는 용어는 또한 신두 강 주변 또는 그 너머의 인도 아대륙에 사는 사람들을 위한 지리적, 민족적 또는 문화적 식별을 암시했습니다.[73]기원후 16세기경, 이 용어는 터키인이나 이슬람교도가 아닌 아대륙의 거주자들을 가리키기 시작했습니다.[73][a][b]힌두어는 고대 철자법의 변형으로, 오늘날 그 사용은 경멸적으로 여겨집니다.[74][75]
종교적 또는 문화적인 의미에서, 지역 인도 인구 내에서 힌두 자아 정체성의 역사적 발전은 불분명합니다.[68][76]경쟁적인 이론들은 힌두 정체성이 영국 식민지 시대에 발전했거나 무슬림의 침략과 중세 힌두-무슬림 전쟁 이후인 서기 8세기 이후에 발전했을 수 있다고 말합니다.[76][77][78]힌두 정체성에 대한 인식과 힌두라는 용어는 산스크리트어와 벵골어로 13세기에서 18세기 사이에 만들어진 몇몇 문헌에서 나타납니다.[77][79]비디야파티, 카비르, 툴시다스, 에크나트 같은 14~18세기 인도 시인들은 힌두 다르마(힌두교)라는 말을 사용했고 투라카 다르마(이슬람)와 대비시켰습니다.[76][80]기독교 수사 세바스티아오 만리케는 1649년 종교적 맥락에서 '힌두'라는 용어를 사용했습니다.[81]18세기에 유럽 상인들과 식민지 주민들은 이슬람교를 신봉하던 터키인, 무굴인, 아랍인들과 같은 집단을 모하메드인들과 달리 인도 종교의 추종자들을 힌두교도라고 통칭하기 시작했습니다.[68][73]19세기 중반까지 식민지 오리엔탈리즘 문헌들은 힌두교도들을 불교도, 시크교도, 자인들과 구별했지만 [68]식민지법은 20세기 중반까지 힌두교도들을 모두 힌두교도라는 용어의 범위 안에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했습니다.[82]학자들은 힌두교, 불교, 자인, 시크교를 구분하는 관습이 현대적인 현상이라고 말합니다.[83][84][c]
약 12억 [87]명의 힌두교 신자들은 기독교인들과 이슬람교도들 다음으로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종교 집단입니다.2011년 인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힌두교도의 대다수는 약 9억 6천 6백만 명(전 세계 힌두 인구의 94.3%)이 인도에 살고 있습니다.[88]인도 다음으로 힌두교 인구가 많은 9개 국가의 순서는 감소하고 있습니다.네팔,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파키스탄, 스리랑카, 미국, 말레이시아, 아랍에미리트, 영국.[89]이들은 모두 세계 힌두 인구의 99%를 차지하고 있으며, 세계의 나머지 국가들을 합치면 2010년[update] 기준으로 약 6백만 명의 힌두교도가 있습니다.[89]
어원
힌두라는 단어는 외래어입니다.[90][91]이 힌두어는[92] 인도-아리아어와 산스크리트어[92][72] 신두(Sindhu)에서 유래된 말로, "강, 바다"를 포괄하는 "큰 물의 본체"를 의미합니다.[93][d]그것은 인더스 강의 이름으로 쓰였고 또한 그 지류들을 가리켰습니다.실제 용어 '힌두'는 "인더스 강 너머에 살았던 사람들(산스크리트어: 신두)[72]에 대한 페르시아 지리학적 용어"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기원전 6세기 다리우스 1세의[94] 비문에서 '베다의 삽타 신두'라고 불리는 펀자브 지역은 젠드 아베스타에서 합타 힌두라고 불립니다.기원전 6세기 다리우스 1세의 비문에는 인도 북서부를 가리키는 히[n]dush 지방이 언급되어 있습니다.[95][96][97]인도의 사람들은 힌두반이라고 불렸고 8세기 문자 Chachnama에서 인도 언어의 형용사로 힌두브 ī가 사용되었습니다.D에 의하면. N. 자, 이 고대 기록에서 '힌두'라는 용어는 민족지리학적 용어로 종교를 지칭하지 않았습니다.[98]
종교를 암시하는 '힌두'에 대한 최초의 알려진 기록 중에는 불교 학자인 Xuanzang이 쓴 7세기 중국 서부 지역에 대한 기록이 있을 것입니다.아르빈드 샤르마에 따르면 현장은 "종교에 함축성이 넘치는" 인투라는 번역된 용어를 사용합니다.[99]현장은 이 용어가 달의 이름을 딴 나라를 가리킨다고 제안했지만, 또 다른 불교학자 이칭은 인투가 그 나라의 일반적인 이름이 아니라고 결론을 반박했습니다.[100]
알비루니의 11세기 문헌 타리크 알힌드, 델리 술탄 시대의 문헌들은 '힌두'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여기에는 불교도 등 비이슬람 민족이 모두 포함되며, '지역 또는 종교'라는 모호성을 간직하고 있습니다.[95][need quotation to verify]인도의 역사학자 로밀라 타파르는 '힌두' 공동체가 궁정 연대기에서 무슬림 공동체의 비정형 '타인'으로 등장한다고 말합니다.[101]비교종교학자 윌프레드 캔트웰 스미스는 '힌두'라는 용어가 처음에는 지리학적으로 '인디언', '토종', 사실상 '토종'이라는 용어를 그대로 유지했다고 지적합니다.서서히, 인도 그룹들은 그들 자신과 그들의 "전통적인 방식"을 침략자들의 방식과 구별하면서, 그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102]
찬드 바르다이가 쓴 1192년 무함마드 고리의 손에 의해 프리스비라지 차우한이 패배했다는 내용의 이 문헌은 "힌두스"와 "터키인"에 대한 언급으로 가득 차 있으며, 한 단계에서는 "두 종교 모두 그들의 굽은 칼을 뽑았다"고 말하지만, 이 문헌의 연대는 불분명하고 대부분의 학자들은 더 최근의 것으로 간주합니다.[103]이슬람 문헌에서 '1350년 바흐마니 치하의 데칸에서 작곡된 압드 알 말리크 이사미의 페르시아어 작품 후투후의 살라틴'은 민족지리학적인 의미에서 '힌디'라는 단어를, 힌두교의 추종자라는 의미에서 '힌두'라는 단어를 사용합니다."[103]시인 Vidyapati의 Kirtilata (1380)는 종교라는 의미에서 힌두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그것은 한 도시의 힌두교와 터키인 (무슬림)의 문화를 대조하고 "힌두인과 터키인은 가까이에 살고, 각자 상대방의 종교 (담므)를 비웃는다"[104][105][106]고 결론짓습니다.
종교적 맥락에서 '힌두'라는 단어를 사용한 가장 초기의 유럽어(스페인어) 중 하나는 1649년 세바스티오 만리케에 의한 출판이었습니다.[81]인도의 역사학자 DN Jha의 에세이 "힌두 정체성을 찾아서"에서 그는 "14세기 이전에는 어떤 인도인도 자신들을 힌두교도로 묘사하지 않았다"며 "영국인들은 인도에서 '힌두'라는 단어를 빌려왔고, 그것에 새로운 의미와 의미를 부여했으며, 힌두교라고 불리는 재인식된 현상으로 인도로 재수입했다"[107]고 썼습니다.18세기에 유럽 상인들과 식민지 주민들은 인도 종교의 추종자들을 힌두교도라고 통칭하기 시작했습니다.[107]
'힌두'에 대한 또 다른 중요한 언급으로는 14세기 이슬람 왕조의 군사적 팽창과 싸웠던 안드라프라데시 왕국의 비문이 있는데, 여기서 '힌두'라는 단어는 부분적으로 '터키인' 또는 이슬람 종교적 정체성과 대조되는 종교적 정체성을 암시합니다.[108]힌두라는 용어는 나중에 카슈미르의 후기 라자타랑기니스(힌두카, 1450년)와 차이타냐 샤리탐리타와 차이타냐 바가바타를 포함한 16-18세기 벵골의 가우디야 바이슈나바 텍스트와 같은 일부 산스크리트어 텍스트에서 가끔 사용되었습니다.이 텍스트들은 야바나(외국인) 또는 므레차(야만인)라고 불리는 이슬람교도 출신의 힌두교도들과 16세기 차이탄야 차리탐리타 텍스트 및 17세기 박타 말라 텍스트를 "힌두다르마"라는 문구를 사용하여 대조하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79]
용어.

중세시대의 용법(8세기~18세기)
학자 아르빈드 샤르마는 '힌두스'라는 용어가 서기 712년 아랍의 인도 북서부 신드 지역 침공 이후 무함마드 이븐 카심이 비이슬람교도들과 함께 만든 '브라흐마나바드 정착촌'에서 사용됐다고 지적했습니다.'힌두'라는 용어는 무슬림이 아닌 사람들을 의미했고, 그 지역의 불교도들을 포함했습니다.[109]알 비루니의 11세기 문헌에서 힌두교인들은 이슬람에 대해 "종교적 적대자"로 언급되는데, 이들은 부활을 믿고 다양한 신념을 가지고 있으며, 중심주의적 종교관과 다원주의적 종교관을 가지고 있는 힌두교인들 사이에서 진동하는 것처럼 보입니다.[109]델리 술탄 시대의 문헌인 샤르마(Sharma)에서는 힌두라는 용어가 지역이나 종교의 사람들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모호하게 남아 있으며, 이븐 바투타(Ibn Battuta)가 아프가니스탄의 산맥에 대해 "힌두 쿠시(Hindu Kush)"라는 이름을 설명한 예를 들어줍니다.이븐 바투타(Ibn Battuta)는 그렇게 불렸다고 썼습니다. 왜냐하면 많은 인도 노예들이 눈 때문에 눈이 얼어 죽었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산맥을 넘어 행진할 때 말이죠.힌두라는 용어는 양가적이고 지리적 지역이나 종교를 의미할 수 있습니다.[110]
힌두라는 용어는 무굴 제국 시대의 문헌에 등장합니다.예를 들어 자한기르는 시크교도 구루 아르잔을 힌두교라고 불렀습니다.[111]
베아스 강둑의 고빈달에는 아르잔이라는 힌두교인이 있었습니다.그는 영적인 안내자인 척하면서 자신이 성인이라고 주장하는 것을 방송함으로써 많은 단순한 마음을 가진 인도인들과 심지어는 무지하고 어리석은 이슬람교도들까지도 신자로 끌어들였습니다. [...] 쿠스로우가 자신의 집에 들렀을 때 [아르잔]이 나와서 [쿠스로우]와 인터뷰를 했습니다.그는 여기저기서 주워온 기본적인 정신적인 계율들을 그에게 주면서, 그의 이마에 사프란으로 표시를 만들었는데, 그것은 힌두교도들의 고사성어에서 카슈카라고 불리며, 그들은 이것을 행운이라고 여깁니다.이것이 저에게 보고되었을 때, 저는 그가 얼마나 완벽하게 거짓인지 깨닫고 그를 저에게 데려오라고 명령했습니다.나는 무르타자 칸에게 그의 집과 집과 그의 자녀들의 집을 하사하고, 그의 소유물과 물건을 몰수하고 처형하라고 명령했습니다.
시크교도 학자 파샤우라 싱은 "페르시아 문헌에서 시크교도는 비이슬람 인도인의 의미에서 힌두교로 간주되었습니다."라고 말합니다.[113]그러나 로버트 프레이저와 메리 해먼드와 같은 학자들은 시크교가 처음에는 힌두교의 호전적인 종파로 시작되었고 20세기에 들어서서야 힌두교로부터 공식적으로 분리되었다고 말합니다.[114]
식민지 시대의 용법(18~20세기)

식민지 시대에 힌두라는 용어는 인도의 토착 종교, 즉 기독교와 이슬람교 이외의 종교를 의미했습니다.[115]18세기에는 힌두 용어와 함께 젠투(Gentoo)라는 용어도 사용되었습니다.[116]식민지 시대 초기 영국-힌두 법과 영국의 인도 법정 제도에서 힌두교라는 용어는 인도의 모든 종교와 유대교와 조로아스터교라는 두 비인도 종교의 사람들을 가리켰습니다.[115]20세기에 힌두교도들을 위한 개인법이 만들어졌고, 이러한 식민지 '힌두법'의 '힌두'라는 용어는 분파적 힌두교도 외에도 불교, 자인, 시크교도들에게도 적용되었습니다.[82][f]
영국 식민지법의 규정을 넘어, 유럽의 오리엔탈리스트들, 특히 후에 아시아 사회라고 불리는 영향력 있는 아시아틱 연구소들이 18세기에 설립되었는데, 처음에는 인도에서 이슬람교와 힌두교의 두 가지 종교만을 확인했습니다.이러한 동양주의자들은 18세기에 힌두교의 하위 집단으로 불교와 같은 모든 인도 종교를 포함했습니다.[68]이 문헌들은 이슬람교의 추종자들을 모하메드인이라고 불렀고, 다른 모든 것들은 힌두교도라고 불렀습니다.19세기 초에 이르러, 이 본문은 힌두교도들을 다른 그룹들로 나누어, 다양한 믿음들에 대한 연대 연구를 위해 시작되었습니다.가장 초기에 등장한 용어들 중에는 시크교도(Charles Wilkins에 의해 후에 시크교도로 표기됨), 붓디즘(Boudhism), 그리고 인도의 종교에 대한 아시아틱 리서치 보고서의 9권에서 자이나교라는 용어가 주목을 받았습니다.[68]
페닝턴에 의하면, 힌두교와 힌두교라는 용어는 인도의 식민지 연구를 위해 만들어졌다고 합니다.하위 그룹 용어의 다양한 세분화와 분리는 "공동체 갈등"의 결과로 추정되며, 힌두교는 이러한 동양주의자들에 의해 "고대의 기본적인 억압적인 인도의 종교적 하부조직"을 고수하는 사람들을 암시하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페닝턴은 말합니다.[68]그렇게 확인된 다른 인도 종교의 추종자들은 나중에 불교, 시크교 또는 자인으로 불렸고, 반목적인 2차원적인 방식으로 힌두교와 힌두교를 비이성적인 전통 종교로, 다른 종교들은 이성적인 개혁 종교로 정형화했습니다.그러나, 이 19세기 중반의 보고서들은 힌두교와 불교, 또는 새롭게 구성된 다른 종교적 정체성 사이의 교리적 또는 의식적 차이에 대한 어떠한 징후도 제공하지 않았습니다.[68]이러한 식민지 연구는 "힌두교에 대해 끝없이 당황하고 열심히 조사했지만, 남아시아의 무굴과 아랍인들의 관습과 종교에 대해 심문하고 보고하는 것을 피하지 않았다"고 페니그턴은 진술하며, 힌두교를 특징짓기 위해 종종 이슬람 학자들에게 의존했습니다.[68]
현대적 용법

현대에서 힌두교도라는 용어는 힌두교의 하나 이상의 측면과 동일시하는 사람들을 의미하며, 그들이 실천을 하고 있든, 비실천을 하고 있든, 또는 자유방임을 하고 있든 말든 말입니다.[119]이 용어는 불교, 자이나교, 시크교와 같은 다른 인도 종교나 사르나교와 같은 인도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애니미스트 부족 종교와 동일시하는 사람들을 포함하지 않습니다.[120][121]힌두라는 용어는 현대적인 표현으로, 힌두교 안에서 고정된 일련의 종교적 믿음을 가진 것이 아니라 문화적으로 혹은 인종적으로 자신을 힌두교로 받아들이는 사람들을 포함합니다.[66]줄리어스 립너는 힌두교인들에게 힌두교로 받아들여지거나 자신을 힌두교로 묘사하기 위해 최소한의 의미에서 종교적일 필요는 없다고 말합니다.[122]
힌두교 신자들은 영성과 전통에 대한 다양한 생각을 지지하지만, 기독교 질서, 의심의 여지가 없는 종교적 권위, 통치기구, 단 한 명의 건국 예언자도 없습니다. 힌두교 신자들은 다신교, 범신론, 일신론, 불가지론, 무신론 또는 인본주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123][124][125]힌두교라는 용어가 포함하는 전통과 관념의 범위가 넓기 때문에 포괄적인 정의를 내리기가 어렵습니다.[72]종교는 "그것을 정의하고 분류하려는 우리의 욕구를 거부한다".[126]힌두교도는 자신의 선택에 의해 다른 인도 또는 인도 이외의 종교적 사상을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고, 자신의 개인적인 신념을 따르거나 진화시킬 수 있으며, 여전히 힌두교인으로 인식할 수 있습니다.[66]
1995년 인도 대법원 판결에서 P. B. Gajendragadkar 대법원장의 말이 인용되었습니다.[127][128]
- 우리가 힌두 종교를 생각할 때, 세계의 다른 종교들과는 다르게, 힌두 종교는 어떤 예언자도 주장하지 않습니다; 그것은 어떤 신도 숭배하지 않습니다; 그것은 어떤 하나의 철학적 개념도 믿지 않습니다; 그것은 어떤 종교적인 의식이나 공연을 따르지 않습니다; 사실,그것은 어떤 종교나 신조의 좁은 전통적인 특징들을 만족시키는 것처럼 보이지 않습니다.그것은 대체로 삶의 방식으로 묘사될 수 있고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닙니다.
힌두교는 광범위한 철학을 포함하고 있지만, 힌두교도들은 달마, 업, 카마, 아르타, 목샤, 삼사라와 같은 철학적 개념을 공유하고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습니다.[129]힌두교도들은 또한 우파니샤드가 내장된 베다와 같은 텍스트와 결혼식 중의 의식 또는 아기가 태어날 때 또는 화장 의식과 같은 일반적인 의식 문법(산스카라(통과 의례)을 공유했습니다.[130][131]어떤 힌두교인들은 그들이 영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공유된 장소로 순례를 떠나고, 박티 또는 푸자의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의 형태를 연습하고, 신화와 서사시, 주요 축제, 구루와 가족에 대한 사랑과 존경, 그리고 다른 문화적 전통을 기념합니다.[129][132]힌두교도는 다음을 할 수 있습니다.
- Advaita (비이중주의), Vishtadvaita (자격을 갖춘 전체의 비이중주의), Dvaita (이중주의), Dvaitadvaita (비이중주의와 함께 이중주의) 등 힌두 철학의 모든 학파를 따릅니다.[133][134]
- Shaivism, Vaishnavism, Shaktism 등과 같은 특정한 형태의 신에 중심을 둔 전통을 따르라.[135]
- 목샤(moksha)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요가 시스템 중 하나를 연습합니다. 즉, 현재 삶의 자유(jivanmukti) 또는 사후 삶의 구원(videhamukti)입니다.[136]
- 정신적인 이유로 박티나 푸자를 연습하라, 그것은 자신의 구루나 신성한 이미지를 향할 수도 있습니다.[137]이 관습의 눈에 보이는 공적인 형태는 우상이나 동상 앞에서 예배하는 것입니다.진 파울러(Jeanne Fowler)는 힌두인이 아닌 관찰자들이 이 관습을 "돌이나 우상 숭배, 그 이상의 것은 없다"고 종종 혼동하는 반면, 많은 힌두인들에게 이것은 영적 절대자(브라만)의 상징적 발현을 나타내는 이미지라고 말합니다.[137]이 연습은 금속이나 석상, 사진 이미지, 링가, 또는 자신의 직업의 물건이나 나무, 동물(소), 도구, 일출, 자연의 표현, 또는 전혀 아무것도 아닌 것에 초점을 맞출 수 있고, 명상, 자파, 제물 또는 노래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137][138]인덴은 이 관습이 힌두교인들에게 다른 것을 의미하며, 오해를 받고 우상숭배로 잘못 표현되었으며, 서양과 토착 인도학자들에 의해 다양한 합리화가 이루어졌다고 말합니다.[139]
논쟁.
인도 헌법에서 힌두라는 단어는 다음과 같은 종교를 주장하는 사람들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힌두교, 자이나교, 불교 또는 시크교.[140]하지만 이것은 시크교도들과[120][141] 이전 힌두교도들이었던 신불교도들에 의해 도전을 받아왔습니다.[142]신과 보일에 따르면, 자인들은 '힌두'로 일컬어지는 개인법의 적용을 받는 것에 반대하지 않았지만,[142] 인도 법원은 자인교가 별개의 종교임을 인정했습니다.[143]
인도 공화국은 인도 헌법이 종교를 이유로 한 "어떤 국민에 대한 차별"을 금지하고 있는 반면, 인도 대법원이 "힌두교"를 규정할 것을 거듭 요청받은 특이한 상황에 처해 있는데, 제30조는 "모든 소수자,종교에 기반을 두든 언어에 기반을 두든."결과적으로, 종교 단체들은 "종교적 소수"의 자격을 얻기 위해 힌두교의 다수와 구별되는 것으로 인식되는 것에 관심을 가집니다.그래서 대법원은 2005년과 2006년에 자이나교가 힌두교의 일부인가 하는 문제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힌두 정체성의 역사
10세기 이후, 특히 12세기 이슬람의 침략 이후에 시작된 정치적 대응은 인도의 종교 문화와 교리와 융합되었다고 셸던 폴락은 말합니다.[77]라마 신에게 바치는 사원들이 인도 북부에서 남부로 걸쳐 지어졌고, 문자 기록은 물론 하지학적 비문들도 라마야나의 힌두교 서사시를 지역 왕들과 비교하고 이슬람의 공격에 대한 그들의 대응을 시작했습니다.데바기리의 야다바 왕 라마찬드라는 예를 들어 폴록이라고 하며, 13세기 기록에는 "이 라마를 어떻게 묘사할 것인가?그는 바라나시를 (바바리아인, 투르크계 무슬림) 무리로부터 해방시키고, 그곳에 황금 사원인 사르가다라를 지었습니다."[77]폴락은 야다바 왕 라마찬드라가 시바 신(샤이즘)의 신자로 묘사되지만, 데칸 지역에 있는 그의 왕국의 위치에서 멀리 떨어진 바라나시에서의 정치적 업적과 신전 건축 후원은 비슈누 신의 아바타인 라마로 역사적 기록에 묘사되어 있다고 지적합니다.[77]Pollock은 많은 그러한 사례들을 제시하고 현대까지 계속된 힌두 종교 텍스트인 라마야나에 근거한 새로운 힌두 정치적 정체성을 제시하며, 이러한 역사적 과정이 인도에 이슬람이 도래하면서 시작되었음을 시사합니다.[144]
브라자둘랄 샤토파디야야는 폴락 이론에 의문을 제기하고 텍스트와 비문 증거를 제시했습니다.[145]차토파디야야에 따르면 이슬람 술탄과 비자야나가라 왕국 간의 전쟁, 타밀나두의 왕국에 대한 이슬람의 습격 등 이슬람의 침략과 전쟁에 대한 힌두교의 정체성과 종교적 대응이 서로 다른 왕국에서 발전했다고 합니다.이 전쟁들은 단지 라마야나, 샤토파디아야의 신화적인 이야기를 사용하여 묘사된 것이 아니라, 중세의 기록들은 광범위한 종교적 상징성과 오늘날 힌두교 문학의 일부로 여겨지는 신화들을 사용했습니다.[78][145]정치적인 용어를 가진 종교의 이러한 출현은 서기 8세기에 최초의 무슬림의 신드 침공과 함께 시작되었고, 13세기 이후로 심화되었습니다.14세기 산스크리트어 텍스트인 Madhuravijayam은 비자야나가라 왕자의 부인 Gangadevi에 의해 쓰여진 회고록으로, 예를 들어 종교적인 용어를 사용하여 전쟁의 결과를 묘사합니다.[146]
마두라의 숲에 일어난 일에 대해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합니다.
코코넛 나무들이 모두 잘려 나갔고, 그 자리에 있는 것을 보게 될 것입니다.
사람의 두개골이 달린 쇠 스파이크가 줄지어 있고,
한때 발찌 소리가 아름다운 여자들의 발찌 소리로 매력적이었던 고속도로에서,
브람스가 끌려가는 소리가 귀를 찌르는 소리가 들리고, 쇠고랑에 묶인 채로
한때는 모래장으로 희었던 탐브라파르니의 물,
지금은, 악인들에게 학살된 소의 피가 새빨갛게 흐르고 있습니다.
지구는 더 이상 부의 생산자도 아니고, 인드라도 때에 따라 비를 내리지 않습니다.
죽음의 신은 야바나 [무슬림]에 의해 파괴되지 않으면 남은 생명을 부당하게 빼앗습니다.[147]
칼리 시대는 이제 그 힘의 정점에 있는 것에 대해 깊은 축하를 받을 자격이 있습니다.
신성한 학문은 사라지고, 교양은 감춰지고, 달마의 목소리는 조용해집니다.— Madhuravijayam, Translated by Brajadulal Chattopadhyaya[146]
13세기와 14세기 카카티야 왕조 시대의 텔루구어로 쓰인 역사서들은 비슷한 "외계인 타자(투르크어)"와 "자기 정체성(힌두어)"의 대조를 보여줍니다.[148]Chattopadhyaya와 다른 학자들은 [149]인도의 Deccan 반도와 북인도에서 중세 시대 전쟁 동안의 군사적, 정치적 캠페인이 더 이상 주권에 대한 탐구가 아니라 "이슬람의 다른 것"에 대한 정치적, 종교적 적대감을 구현했다고 진술합니다.그리고 이것이 힌두 정체성 형성의 역사적 과정을 시작했습니다.[78][g]
Andrew Nicholson은 힌두 정체성 역사에 대한 학문적 고찰에서 15세기부터 17세기까지 박티 운동의 토착 문헌들이 카비르, 아난타다스, 에크나트, 비디야파티와 같이 이 세기 동안 힌두교와 터키(이슬람교도) 사이에 뚜렷한 종교적 정체성이 형성되었음을 시사한다고 말합니다.[150]이 시기의 시는 힌두교와 이슬람의 정체성을 대조하며, 니콜슨은 문학이 이슬람교도들을 "힌두교의 종교적 정체성에 대한 독특한 감각"과 결합시켜 비난한다고 말합니다.[150]
인도의 다른 종교 가운데 힌두교의 정체성.
학자들은 힌두, 불교, 자인의 정체성이 소급적으로 도입된 현대 건축물이라고 말합니다.[84]8세기 이후 남인도와 같은 지역의 비문적 증거에 따르면 중세 인도는 엘리트 종교와 민속 종교적 관습 수준에서 "공유된 종교 문화"를 가졌을 가능성이 높으며,[84] 그들의 집단적 정체성은 "다중적이고, 층이 있고, 모호하다"고 합니다.[151]샤이즘과 바이슈나비즘과 같은 힌두교 교파들 사이에서도, 힌두교 정체성인 레슬리 오르는 "확고한 정의와 명확한 경계"가 부족했습니다.[151]
자인-힌두의 정체성이 겹치는 부분에는 힌두교의 신들을 숭배하는 자인들, 자인과 힌두교도 사이의 결혼, 그리고 힌두교의 우상과 조각이 특징인 중세 자인 사원들이 포함됩니다.[152][153][154]인도를 넘어 인도네시아 자바 섬에서는 힌두교도와 불교도의 결혼, 힌두교와 불교 주제를 동시에 포함하는 중세 사원 건축과 조각, 힌두교와 불교가 융합되어 "하나의 전체 체계 안에서 두 개의 분리된 길"로 기능했음을 역사적 기록이 증명하고 있습니다.[155]Ann Kenny와 다른 학자들에 의하면.[156]마찬가지로 시크교도와 힌두교도의 유기적인 관계가 있다고 자에너는 말하고 있으며, 종교적인 사상과 그들의 공동체에서 사실상 모든 시크교도의 조상들이 힌두교도였습니다.[157]시크교도와 힌두교도, 특히 카트리스 사이의 결혼은 빈번했습니다.[157]어떤 힌두교 가정에서는 시크교도 아들을 시크교도로 키웠고, 어떤 힌두교도들은 시크교를 힌두교의 전통으로 여깁니다.[157]
율리우스 립너는 힌두교, 불교, 자인, 시크교를 구분하는 관습은 현대적 현상이지만 편리한 추상이라고 말합니다.[83]인도의 전통을 구분하는 것은 상당히 최근의 관행이라고 Lipner는 말하고, "일반적인 종교의 본질과 특히 인도의 종교에 대한 서양의 선입견의 결과 뿐만 아니라,또한 "인도에서 발생한 정치적 인식"과 식민지 역사 동안 서구의 영향의 결과로 인도 국민들에게 발생했습니다.[83]
신성지리학
플레밍과 에크와 같은 학자들은 서기 1천년기의 에픽 시대 이후의 문헌은 신성함이 종교적 사상의 공유된 집합이었던 신성한 지리로서 인도 아대륙의 역사적 개념이 있었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고 말합니다.예를 들어, 샤이즘의 12개의 Jyotirlinga와 Shaktism의 51개의 Shaktipitha는 중세 초기 Puranas에서 주제를 중심으로 한 순례지로 묘사됩니다.[158][159][160]약 1천년 중반까지 히말라야 산맥에서 남인도의 언덕, 엘로라 동굴에서 바라나시에 이르기까지 인도 전역에 걸쳐 동일한 도상과 공유된 주제, 모티프 및 포함된 전설을 가진 이 신성한 지리 및 시바 사원이 발견됩니다.[158][161]샥티 사원은 몇 세기 후로 거슬러 올라가며, 아대륙 전역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성스러운 순례지로서의 바라나시는 스칸다 푸라나 안에 포함된 바라나시마하트미아 텍스트에 기록되어 있으며, 이 텍스트의 가장 오래된 버전은 서기 6세기에서 8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162][163]
인도 아대륙 전역에 퍼져있는 시바 힌두 전통에서 12개의 성지에 대한 생각은 중세 사원뿐만 아니라 여러 장소에서 발견된 동판 비문과 사원 인장에도 나타납니다.[164]Bhardwaj에 따르면, 중국 불교와 페르시아 이슬람 여행자들의 회고록과 같은 비힌두어 문헌들은 서기 1천년 후까지 힌두교인들 사이에서 신성한 지리 순례의 존재와 중요성을 증명한다고 합니다.[165]
플레밍에 의하면, 힌두교와 힌두교라는 용어가 종교적인 맥락에서 현대적인 구성인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들은 현대 시대까지 살아남은 몇몇 텍스트에 근거하여 그들의 주장을 제시합니다.역사의 합리적인 건설을 목표로 하는 서양 선교사 또는 식민지 시대의 인도주의자들에 의해 출판된 이슬람 법정 또는 문학 중 하나.그러나 동굴사원이 수천 킬로미터씩 떨어져 있고 중세 성지순례지 목록과 같은 비문자적 증거가 존재한다는 것은 공유된 신성한 지리와 공유된 종교적 전제와 경관을 자각했던 공동체의 존재를 보여주는 증거입니다.[166][163]또한, 종교적 전통의 "생사적 현실과 역사적 현실"과 관련된 "문자적 권위"의 출현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는 것이 문화의 진화에 있어서의 규범입니다.[164]전통과 사원들은 중세시대 이전부터 존재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그것들과 신성한 지리를 묘사하는 힌두 문서들이 등장했습니다.플레밍은 이것은 청교도 문헌의 버전의 차이와 함께 건축물과 성지의 정교함을 고려할 때 명백하다고 말합니다.[166][167]다이애나 L에 의하면. Eck와 André Wink와 같은 다른 인도 학자들, 이슬람 침략자들은 11세기까지 마투라, 우자인, 바라나시와 같은 힌두교의 신성한 지리학을 알고 있었습니다.이 사이트들은 이후 몇 세기 동안 연쇄적인 공격의 표적이 되었습니다.[163]
힌두교 박해
힌두교도들은 중세와 현대 시대에 박해를 받아왔습니다.중세 박해에는 약탈과 살육, 사원 파괴, 중앙 아시아에서 온 투르크-몽골 무슬림 군대에 의한 노예화 등이 포함되었습니다.8세기 무함마드 빈-카심,[168] 11세기 가즈니의 마흐무드,[169][170] 페르시아 여행가 알 비루니,[171] 티무르가 이끄는 14세기 이슬람 군대의 침공,[172] 델리 술탄국과 무굴 제국의 다양한 수니파 이슬람 통치자들과 관련된 이슬람 문헌에 기록되어 있습니다.[173][174][175]힌두교 박해를 중단한 아크바르,[175] 사원을 파괴한 [176][178][h]아우랑제브 치하에서 무슬림이 아닌 사람을 강제로 이슬람교로 개종시키고 홀리, 디왈리 등 힌두교 축제의 축하 행사를 금지하는 등 간혹 예외가 있었습니다.[179]
힌두교도들에 대한 다른 기록된 박해들은 18세기 티푸 술탄의 통치하에서 남부 인도와 [180]식민지 시대에 있었던 박해들을 포함합니다.[181][182][183]현대 시대에 힌두교도들에 대한 종교적 박해는 파키스탄과 방글라데시의 인도 밖에서 보고되었습니다.[184][185][186]
힌두 민족주의
Christophe Jaffrelot는 현대 힌두 민족주의가 1920년대에 Maharashtra에서 인도 무슬림들이 모든 무슬림들의 칼리프로서 터키 오스만 술탄의 대의를 옹호하고 차지했던 이슬람 킬라파트 운동에 대한 반작용으로 1차 세계대전이 끝날 때에 마하라슈트라에서 생겨났다고 말합니다.[187][188] 힌두교도들은 이 발전을 분할된 충성의 하나로 여겼습니다.범이슬람 패권을 가진 인도 무슬림 주민들은 인도 무슬림들이 포용적인 반식민지 인도 민족주의의 일부인지 의문을 제기했습니다.[188]제프렐롯은 사바르카르가 영국 식민지 당국의 정치범으로 있을 때 등장한 힌두 민족주의 이데올로기를 성문화했다고 말합니다.[187][189]
크리스 베일리는 힌두 민족주의의 뿌리를 마라타 연맹이 이룬 힌두 정체성과 정치적 독립에서 찾고 있습니다. 마라타 연맹은 인도의 많은 부분에서 이슬람 무굴 제국을 전복시키고, 힌두교도들에게 그들의 다양한 종교적 신념을 추구할 자유를 주고 바라나시와 같은 힌두교 성지를 복원시켰습니다.[190]몇몇 학자들은 힌두 동원과 그에 따른 민족주의가 19세기에 인도 민족주의자들과 신 힌두주의 구루들에 의한 영국 식민주의에 대한 대응으로 등장했다고 봅니다.[191][192][193]Jaffrelot는 영국 식민지 시대 동안, 힌두교인들에게 열등하고 미신적이라는 정체성을 고정관념화하고 낙인찍음으로써, 그들 자신의 종교로 새로운 개종자들을 얻으려 했던 기독교 선교사들과 이슬람 전도사들의 노력이 힌두교인들이 그들의 영적 유산을 다시 주장하는 데 기여했다고 말합니다.로스는 이슬람교와 기독교를 조사하고, 힌두 사바(힌두 연합)와 같은 조직을 형성하고, 궁극적으로 1920년대에 힌두 정체성이 주도한 민족주의를 형성했습니다.[194]
식민지 시대 힌두 부흥주의와 동원은 힌두 민족주의와 함께 주로 무슬림 분리주의와 무슬림 민족주의에 대한 반응과 경쟁이었습니다.[195]양측의 성공은 인도 아대륙에서 힌두교 민족주의와 무슬림 민족주의의 성장을 이끌며 서로에 대한 두려움을 키웠습니다.[195]20세기에 들어 인도에서는 종교적 민족주의 의식이 커졌지만, 이슬람 민족주의만이 독립과 동시에 "이슬람 국가"로 서파키스탄과 동파키스탄(나중에 파키스탄과 방글라데시로 분리됨)이 형성되면서 성공했습니다.[196][197][198]수백만 명의 힌두교도, 자인, 불교도, 시크교도들이 새로 탄생한 이슬람 국가에서 벗어나 힌두교가 다수를 차지하는 영국 이후의 인도로 재정착하면서 종교적 폭동과 사회적 트라우마가 뒤따랐습니다.[199]1947년 인도와 파키스탄의 분리 이후 힌두 민족주의 운동은 20세기 후반에 힌두트바의 개념을 발전시켰습니다.[200]
힌두 민족주의 운동은 인도의 법을 개혁하려고 노력해 왔는데, 비판론자들은 인도의 이슬람 소수 민족에게 힌두교의 가치를 강요하려는 시도라고 말합니다.예를 들어, 제럴드 라슨은 힌두 민족주의자들은 모든 시민들이 동일한 법의 적용을 받고, 모든 사람들은 동등한 시민권을 가지며, 개인의 권리는 개인의 종교에 의존하지 않는 통일된 민법을 추구했다고 말합니다.[201]이와 대조적으로, 힌두교 민족주의자들의 반대자들은 인도에서 종교법을 폐지하는 것은 이슬람교도들의 문화적 정체성과 종교적 권리에 위협이 되고, 이슬람 신앙을 가진 사람들은 이슬람 샤리아에 기반을 둔 개인법에 대한 헌법적 권리를 가지고 있다고 말합니다.[201][202]힌두교 민족주의자들과 인도의 반대자들 사이에 논쟁이 있는 특정한 법은 여자아이들의 결혼 법적 나이와 관련이 있습니다.[203]힌두교 민족주의자들은 종교와 관계없이 모든 여자아이들에게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결혼의 법적 연령을 만 18세로 하고 결혼의 연령을 확인하기 위해 지방정부에 혼인신고를 해야 한다고 요구합니다.이슬람 성직자들은 샤리아에서 파생된 개인법에 따라, 이슬람 소녀는 사춘기에 이른 후 어떤 나이에도 결혼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제안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203]
Katharine Adeney는 인도의 힌두 민족주의는 논란의 여지가 있는 정치적 주제이며, 그것이 정부의 형태와 소수자들의 종교적 권리의 측면에서 어떤 의미를 갖거나 암시하는지에 대해 합의를 이루지 못한다고 말합니다.[204]
인구통계학

전 세계적으로 12억 명의 힌두교도(전 세계 인구의 15%)가 있으며, 그 중 약 95%가 인도에만 집중되어 있습니다.[1][206]기독교(31.5%), 이슬람교(23.2%), 불교(7.1%)와 함께 힌두교는 세계 4대 종교 집단 중 하나입니다.[207]
대부분의 힌두교도들은 아시아 국가들에서 발견됩니다.힌두 주민과 시민이 가장 많은 상위 25개국은 인도, 네팔,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파키스탄, 스리랑카, 미국, 말레이시아, 미얀마, 영국, 모리셔스,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랍 에미리트, 캐나다, 호주, 사우디 아라비아, 트리니다드 토바고, 싱가포르, 피지, 카타르, 쿠웨이트, 가이아나,부탄, 오만, 예멘.[89][206]
힌두교도의 비율이 가장 높은 상위 15개국은 네팔, 인도, 모리셔스, 피지, 가이아나, 부탄, 수리남, 트리니다드 토바고, 카타르, 스리랑카, 쿠웨이트, 방글라데시, 레위니옹, 말레이시아, 싱가포르입니다.[208]
힌두교도의 출산율, 즉 여성 1인당 자녀 수는 2.4명으로 세계 평균인 2.5명에 못 미칩니다.[209]퓨 리서치는 2050년까지 14억 명의 힌두교도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210]
대륙 | 힌두교 인구 | % 힌두교의 | % 대륙의 | 팔로어 동역학 | 세계 역학 |
---|---|---|---|---|---|
아시아 | 1,074,728,901 | 99.3 | 26.0 | ![]() | ![]() |
유럽 | 2,030,904 | 0.2 | 0.3 | ![]() | ![]() |
아메리카 대륙 | 2,806,344 | 0.3 | 0.3 | ![]() | ![]() |
아프리카 | 2,013,705 | 0.2 | 0.2 | ![]() | ![]() |
오세아니아 | 791,615 | 0.1 | 2.1 | ![]() | ![]() |
누적 | 1,082,371,469 | 100 | 15.0 | ![]() | ![]() |
더 고대에, 힌두 왕국들이 생겨났고 종교와 전통을 동남아시아, 특히 태국, 네팔, 버마,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캄보디아,[211] 라오스,[211] 필리핀,[212] 그리고 현재의 베트남 중부 지역에 퍼뜨렸습니다.[213]
3백만 명이 넘는 힌두교도들이 발리 인도네시아에서 발견되고 있는데, 이 문화의 기원은 서기 1천년에 힌두교 상인들이 인도네시아 섬들로 가져온 생각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그들의 신성한 문헌은 베다와 우파니샤드이기도 합니다.[214]푸라나족과 이티하사족(주로 라마야나족과 마하바라타족)은 인도네시아 힌두교도들 사이에서 전통을 지키고 있으며, 공동체 춤과 그림자 인형(와양) 공연으로 표현됩니다.인도에서와 마찬가지로 인도네시아 힌두교도들은 카투르 마가라고 부르는 네 가지 영성의 길을 인식합니다.[215]비슷하게, 인도의 힌두교도들처럼 발리 힌두교도들은 그것을 Catur Purusartha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삶의 추구), Artha (부와 창조적인 활동의 추구), kama (기쁨과 사랑의 추구), moksha (자기 지식과 해방의 추구)라고 부르는 네 가지 적절한 인간 삶의 목표가 있다고 믿습니다.[216][217]
문화
힌두 문화는 역사적인 베다 민족을 포함한 힌두교와 힌두교의 문화와 정체성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어입니다.[218]힌두 문화는 예술, 건축, 역사, 식단, 의복, 점성술 그리고 다른 형태로 집중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인도와 힌두교의 문화는 서로에게 깊은 영향을 받고 동화되어 있습니다.동남아시아와 대인도의 인도화와 함께, 이 문화는 긴 지역과 그 지역의 다른 종교인들에게도 영향을 미쳤습니다.[219]자이나교, 시크교, 불교를 포함한 모든 인도의 종교는 힌두교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으며, 그 영향력은 부드러운 편입니다.[220]
참고 항목
메모들
- ^ Flood(1996, p. 6)는 다음과 같이 덧붙입니다: "(...) '힌두', 즉 '힌두'는 18세기 말 영국이 인도 북서부 지역의 사람들인 '힌두스탄' 사람들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습니다.결국 '힌두'는 무슬림, 시크교도, 자인교도, 기독교도가 아닌 '인도인'과 사실상 동등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다양한 종교적 신념과 실천을 포괄하게 되었습니다.'-ism'은 1830년경 힌두교에 다른 종교와 대조적으로 상류층 브라만들의 문화와 종교를 나타내기 위해 추가되었고, 그 용어는 곧 식민주의에 반대하는 민족 정체성을 건설하는 맥락에서 인도인들 자신들에 의해 전유되었고,비록 '힌두'라는 용어는 16세기 초에 '야바나' 또는 무슬림과 대조적으로 산스크리트어와 벵골어의 하지학 문헌에서 사용되었지만."
- ^ 폰 스티텐크론 (2005, 페이지 229):100년 이상 동안 힌두(복수)라는 단어는 일반적으로 인디언을 계속해서 나타냈습니다.그러나 서기 712년부터 무슬림들이 인더스 계곡에 영구적으로 정착하기 시작하고 낮은 계급의 힌두교도들 사이에서 개종하기 시작했을 때, 페르시아 작가들은 인도의 힌두교도들과 무슬림들을 구분했습니다.힌두교도들은 무슬림이 아닌 인도인들이었습니다.우리는 페르시아 학자들이 힌두교도들 사이에서 많은 종교를 구별할 수 있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그러나 유럽인들이 힌두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을 때, 그들은 그러한 학문적인 차이 없이 인도의 비이슬람교도 집단에 그것을 적용했습니다.
- ^ 힌두 종교를 따르는 사람들에게 "힌두"라는 용어가 흔하게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이 용어는 또한 인도의 천년 된 문화 유산의 소유권인 문화적 정체성을 계속해서 지정하고 있습니다.Arvind Sharma는 종교에 대한 배타주의적인 개념은 인도와는 이질적인 것이었고, 인도인들은 이슬람 통치의 수세기 동안 그것에 굴복하지 않았고 영국의 식민 지배 하에서만 그것을 인정했다고 지적합니다.배타주의적 개념에 대한 저항은 힌두교를 종교와 문화로 모두 간주했던 사바르카르의 힌두트바로 이어졌습니다.[85]힌두트바(Hindutva)는 힌두인이 인도에서 태어나 힌두인처럼 행동하는 국가적 힌두교 정신입니다. M. S. 골워카르(M. S. Golwalkar)는 "문화적으로는 힌두, 종교적으로는 무슬림"을 의미하는 "힌두 무슬림"에 대해 말하기도 했습니다.[86]
- ^ 홍수(2008, 페이지 3):인도-아리아어 단어 신두는 "강", "바다"를 의미합니다.
- ^ 자한기르의 아들인 쿠스라우 왕자는 재위 첫 해에 황제에게 도전장을 던졌습니다.반란을 진압하고 모든 협력자들을 처형했습니다. (파샤우라 싱, 2005, pp. 31-34)
- ^ 람 바갓(Ram Bhagat)에 따르면, 이 용어는 1871년 이후 식민지 인도의 인구 조사에서 영국 정부에 의해 사용되었으며, 이는 특히 1857년 혁명의 여파로 개인의 종교에 대한 질문을 포함했습니다.[117][118]
- ^ Lorenzen (2010), p. 29: "인도어 (그리고 페르시아어와 아랍어)로 쓰여진 초기 문헌들에 관해서, '힌두'라는 단어는 적어도 16세기 초에는 많은 문헌들에서 명백하게 종교적인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al-Biruni의 아랍어 원문은 I 민족의 종교에 해당하는 용어만을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인도, 힌두 종교에 대한 그의 설명은 사실 19세기 유럽 동양주의자들의 설명과 현저하게 비슷합니다.비디야파티는 아파브란샤 텍스트 키르틸라타에서 '힌두와 투르크 다르마'라는 문구를 명확한 종교적 의미로 사용하고 두 공동체 사이의 지역 갈등을 강조합니다.카비르가 쓴 16세기 초의 문헌들에서, 명백하게 종교적인 맥락에서 '힌두스'와 '터키인' 또는 '무슬림'(무살람인)에 대한 언급은 매우 많고 모호하지 않습니다."
- ^ 또한 "무굴 기록에 따르면 그가 그랬던 것처럼, Aurangzeb"을 참조하십시오. 자세한 링크는 해당 페이지 하단에 있습니다.1193년부터 1729년까지 힌두교 사원 파괴 운동에 대한 무슬림 역사가들의 기록은 Richard Eaton(2000), Temple Descration and Indo-Muslim States, Journal of Islamic Studies, Vol. 11, 3호 283-319 참조
참고문헌
인용문
- ^ a b c "Can Muslims surpass Hindus in population numbers? Experts say practically not possible". 24 April 2022.
- ^ a b "Hindu Countries 2023". World Population Review. 2023. Retrieved 29 September 2023.
- ^ a b c d e "The Future of World Religions: Population Growth Projections, 2010–2050". Pew Research Center. 1 January 202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February 2017. Retrieved 22 February 2017.
- ^ "The Global Religious Landscape – Hinduism". A Report on the Size and Distribution of the World's Major Religious Groups as of 2010. Pew Research Foundation. 18 December 2012. Retrieved 31 March 2013.
- ^ "Christianity 2015: Religious Diversity and Personal Contact" (PDF). gordonconwell.edu. January 2015.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5 May 2017. Retrieved 29 May 2015.
- ^ "India at 75: Dreams of a Hindu nation leave minorities worried". 13 August 2022.
- ^ "1. Population growth and religious composition". 21 September 2021.
- ^ "Központi Statisztikai Hivatal". Nepszamlalas.hu. Retrieved 2 October 2013.
- ^ "The World Factbook". CIA, United States. 2013.
- ^ "Nepal". US Department of State.
- ^ "Bangla minister underscores Hindu safety".
- ^ "Census 2022: Bangladesh population now 165 million". 27 July 2022.
- ^ "Atrocities on Hindus in Bangladesh: Now, 1.8 crore Hindu Bengali citizens of Bangladesh are ready to go to India, said Ravindra Ghosh, Chairman of Bangladesh Hindu Janajagruti Samiti. APN News".
- ^ "Introduction – Bangladesh". tradeinfolink.com.my. Retrieved 9 May 2021.
- ^ "Hindu population in Bangladesh grew by 1 per cent in 2015: Report". The Economic Times. 23 June 2016. Retrieved 7 January 2021.
- ^ 방글라데시 2012 국제종교자유보고서, 미국 국무부(2012), p. 2
- ^ "Hindu Countries 2022".
- ^ 인도네시아: 종교의 자유 보고서 2010, 미국 국무부(2011), 인용문: "종교부는 천만 명의 힌두교도들이 이 나라에 살고 있으며 발리 인구의 약 90%를 차지한다고 추정합니다.중부와 동칼리만탄, 메단(북수마트라), 남부와 중부 술라웨시, 롬복(서 누사 텡가라)에도 힌두교 소수 민족이 살고 있습니다.Hare Krishna와 인도의 정신적 지도자인 Sai Baba의 추종자들과 같은 힌두교 집단들이 소수로 존재합니다.말루쿠 지방의 세람 섬에 있는 "나우루스"를 포함한 몇몇 토착 종교 단체들은 힌두교와 애니미스트적인 믿음을 포함하고 있고, 많은 이들은 또한 개신교의 가르침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 ^ 인도네시아 국제 종교 자유 보고서 2005 – 미국 국무부, 인용문: "힌두교 협회 파리지나다 힌두 다르마 인도네시아(PHDI)는 1,800만 명의 힌두교도가 이 나라에 살고 있다고 추정하는데, 이는 정부 추정치인 4백만 명을 훨씬 웃도는 수치입니다.힌두교 신자들이 발리 인구의 거의 90 퍼센트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 "Refworld 2010 Report on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 Indonesia".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 for Refuge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October 2012. Retrieved 27 May 2014.
- ^ "Hindu population in Pakistan has grown at a faster pace than in India". 26 March 2019.
- ^ "Hindu Population (PK)". pakistanhinducouncil.org.p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March 2018. Retrieved 11 January 2022.
- ^ 2006년 6월 17일 Wayback Machine에서 보관된 종교별 인구
- ^ 인구를 집계한 지 2년이 지난 2020년 1월 7일, 파키스탄은 소수민족에 침묵하고 있습니다."[망라] 샤르마는 파키스탄의 힌두교 인구를 거의 1크로어, 시크교도는 40,000명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 ^ "2014 Religious Landscape Study – Pew Forum on Religion & Public Life". 12 May 2015. Retrieved 15 May 2015.
- ^ 인구통계학과스리랑카의 인구주택총조사-2011
- ^ "The World Factbook – Central Intelligence Agency". cia.gov. 21 June 2022.
- ^ "Malaysia". U.S. Department of State.
- ^ Table: Religious Composition by Country, in Numbers – Pew Research Center. 2012. ISBN 978-2-02-419434-7.
- ^ UK Government (27 March 2009). "Religion in England and Wales 2011". Office of National Statistics (11 December 2012). Retrieved 7 September 2014.
- ^ "2011 National Household Survey". www12.statcan.gc.ca. Statistics Canada. 8 May 2013. Retrieved 21 April 2016.
- ^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 2021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 General Community Profile" (XLSX). Abs.gov.au. Retrieved 2 July 2022.
- ^ "The World Factbook – Central Intelligence Agency". cia.gov. 21 June 2022.
- ^ "Resident population by religion and sex" (PDF). Statistics Mauritius. p. 68.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6 October 2013. Retrieved 1 November 2012.
- ^ "Table: Religious Composition by Country, in Numbers (2010)". Pew Research Center's Religion & Public Life Project. 18 December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February 2013. Retrieved 14 February 2015.
- ^ "Religions in Saudi Arabia". globalreligiousfutures.org.
- ^ "The World Factbook – Central Intelligence Agency". cia.gov. 21 June 2022.
- ^ Department Of State. The Office of Electronic Information, Bureau of Public Affairs. "Singapore". 2001-2009.state.gov.
- ^ "Fiji". State.gov. 10 September 2012. Retrieved 2 July 2020.
- ^ "The World Factbook". Cia.gov. Retrieved 2 July 2020.
- ^ "The 2014 Myanmar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PDF). Department of Population, Ministry of Labour, Immigration and Population, Myanmar.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9 March 2018. Retrieved 2 October 2018.
- ^ "The World Factbook – Central Intelligence Agency". cia.gov. 21 June 2022.
- ^ "Trinidad and Tobago". U.S. Department of State.
- ^ Department Of State. The Office of Electronic Information, Bureau of Public Affairs. "Trinidad and Tobago". 2001-2009.state.gov.
- ^ "Religious Composition (Census of Guyana – 2012)". Bureau of Statistics – Guyana. July 2016. Retrieved 16 December 2017.
- ^ "CIA – The World Factbook". Cia.gov. Retrieved 5 March 2012.
- ^ "Bhutan". State.gov. 2 February 2010. Retrieved 5 March 2012.
- ^ "religion in Italy". globalreligiousfuture.org.
- ^ "hindus in the Netherlands". the hindu perspective. 23 March 2013.
- ^ "religion in France". globalreligiousfuture.org.
- ^ "Arena – Atlas of Religions and Nationalities in Russia". Sreda.org.
- ^ "The World Factbook – Central Intelligence Agency". cia.gov. 22 September 2022.
- ^ "2018 Census totals by topic – national highlights".
- ^ Knott 1998, pp. 3, 5.
- ^ Hatcher 2015, pp. 4–5, 69–71, 150–152.
- ^ Bowker 2000.
- ^ Harvey 2001, p. 13.
- ^ a b c d e "Chapter 1 Global Religious Populations" (PDF). January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 October 2013.
- ^ Dominic Goodall (1996), 힌두 경전,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978-0-520-20778-3, pp. ix–xlii
- ^ RC Zaehner (1992), 힌두 경전, 펭귄 랜덤 하우스, ISBN 978-0-679-41078-2, pp. 1-11 및 서문
- ^ Ludo Rocher (1986), The Puranas, Otto Harrassowitz Verlag, ISBN 978-3-447-02522-5
- ^ Moriz Winternitz (1996). A History of Indian Literature. Motilal Banarsidass. pp. xv–xvi. ISBN 978-81-208-0264-3.
- ^ Yajna, a Comprehensive Survey. 2007. p. 338. ISBN 978-81-86336-47-2.
{{cite book}}
:work=
무시됨(도움말) - ^ Johnson, Todd M.; Grim, Brian J. (2013). The World's Religions in Figures: An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Religious Demography (PDF). Hoboken, NJ: Wiley-Blackwell. p. 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 October 2013. Retrieved 24 November 2015.
- ^ Pandey, Anjali (2019). "Re‐Englishing 'flat‐world' fiction". World Englishes. 38 (1–2): 200–218. doi:10.1111/weng.12370. S2CID 199152662.
- ^ a b c 제프리 D. Long (2007), 힌두교에 대한 비전, IB Tauris, ISBN 978-1-84511-273-8, pp. 35–37
- ^ Lloyd Ridgeon (2003). Major World Religions: From Their Origins to the Present. Routledge. pp. 10–11. ISBN 978-1-134-42935-6.Lloyd Ridgeon (2003). Major World Religions: From Their Origins to the Present. Routledge. pp. 10–11. ISBN 978-1-134-42935-6.인용문: "흔히 힌두교는 매우 오래되었고, 어떤 의미에서는 이것이 사실입니다.그것은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영어 접미사 -ism을 Hindu라는 단어에 추가함으로써 형성되었습니다; 그것은 접미사 -ism이 없는 힌두라는 단어가 주로 종교적인 용어로 사용된 것과 거의 비슷한 시기였습니다. (...) 힌두라는 이름은 처음에 종교적인 이름이 아닌 지리적인 이름이었고, 그것은 인도가 아닌 이란의 언어들에서 비롯되었습니다.ia. (...) 그들은 그들의 문화와 함께 비이슬람교도 대다수를 '힌두'라고 불렀습니다. (...) 힌두라고 불리는 사람들이 종교에서 이슬람교도들과 가장 눈에 띄게 달랐기 때문에, 그 단어는 종교적인 의미를 지니게 되었고, 그들의 힌두 종교로 식별될 수 있는 사람들의 집단을 나타내게 되었습니다. (...) 하지만, 그것은 w를 종교적인 용어로 w.또는 힌두교는 현재 영어에서 사용되고 있고 힌두교는 종교의 이름이지만, 우리가 보았듯이, 이것이 우리에게 줄 수 있는 통일성에 대한 잘못된 인상을 조심해야 합니다."
- ^ a b c d e f g h i Pennington, Brian K. (2005), Was Hinduism Invented?: Britons, Indians, and the Colonial Construction of Religion, Oxford University Press, pp. 111–118, ISBN 978-0-19-803729-3
- ^ 로렌젠 2006, pp. xx, 2, 13–26.
- ^ Mihir Bose (2006). The Magic of Indian Cricket: Cricket and Society in India. Routledge. pp. 1–3. ISBN 978-1-134-24924-4.
- ^ "India". Online Etymology Dictionary.
- ^ a b c d 홍수 1996, 페이지 6.
- ^ a b c Hawley, John Stratton; Narayanan, Vasudha (2006), The Life of Hinduism,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 10–11, ISBN 978-0-520-24914-1
- ^ Herbst, Philip (1997), The color of words: an encyclopaedic dictionary of ethnic bias in the United States, Intercultural Press, pp. 106–107, ISBN 978-1-877864-97-1,
Hindu, Hindoo A term borrowed from the Persian word Hindu ... Hindu is used today for an adherent of Hinduism, the common religion of India. ... Hindoo is listed in dictionaries as a variant spelling, but it is one that may lend itself to derogatory use.
;
Dasgupta, Shamita Das (1998), A patchwork shawl: chronicles of South Asian women in America, Rutgers University Press, p. 121, ISBN 0-8135-2518-7,I faced repeated and constant racial slurs at school, from "nigger" to "injun" to "Hindoo." I, as one of the few children of color, was the equal opportunity target.
;
University of South Dakota, English Department (1989), "link to article", South Dakota Review, University of South Dakota: 27,On the streets, too, simple slur words like "Hindoo" and "Paki" – used almost with impunity in the seventies – underscore how language includes or excludes.
- ^ Rosenblatt, Roger (1999), Consuming desires: consumption, culture, and the pursuit of happiness, Island Press, p. 81, ISBN 1-55963-535-5,
For example, even though the majority of these newcomers were, in fact, practicing Hindus, by the mid-1960s, anti-immigration agitators had dropped the use of Hindoo as choice slur.
;
Bhatia, Sunil; Ram, Anjali (2004), "Culture, hybridity, and the dialogical self: Cases of the South Asian diaspora", Mind, Culture, and Activity, 11 (3): 224–240, doi:10.1207/s15327884mca1103_4, S2CID 144892736,Not being able to live up to the 'unattainable' images of 'Charlie's Angels' and the golden-girls of 'The Brady Bunch,' and facing 'repeated and constant' racial slurs at school such as 'nigger,' 'injun,' and 'hindoo,' combined with a lack of role models ...
;
Yule, Valerie (1989), "Children's dictionaries: spelling and pronunciation", English Today, 5 (1): 13–17, doi:10.1017/S0266078400003655, S2CID 145117424,I suspect the answer may be the long tradition of using that sort of 'simplified spelling' to indicate the speech of vulgar and low types of people. Nevertheless, there is a sort of visual onomatopoeia; a Hindu has dignity, while a Hindoo seems slightly ridiculous.
. - ^ a b c 로렌젠 2006, 페이지 24-33
- ^ a b c d e Sheldon Pollock (1993), Rāmāya ṇa와 인도의 정치적 상상력, Journal of Asian studies, Vol. 52, No. 2 266-269페이지
- ^ a b c Brajadulal Chattopadhyaya (1998), 다른 하나를 대표하는?:산스크리트어 자료와 무슬림들 (8-14세기), 마노하르 출판사, ISBN 978-81-7304-252-2, 92-103쪽, 1장 및 2장
- ^ a b O'Connell, Joseph T. (July–September 1973). "The Word 'Hindu' in Gauḍīya Vaiṣṇava Texts". Journal of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 93 (3): 340–344. doi:10.2307/599467. JSTOR 599467.
- ^ 로렌젠 2010, 페이지 29.
- ^ a b 로렌젠 2006, 페이지 15.
- ^ a b Rachel Sturman (2010), 힌두교와 법: 소개 (편집자:Timothy Lubin et al),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71626-0, 90페이지
- ^ a b c 줄리어스 립너(Julius J. Lipner, 2009), 힌두교도:그들의 종교적 신념과 실천, 제2판, Routledge, ISBN 978-0-415-45677-7페이지
- ^ a b c Leslie Orr (2014), 기증자, 신자, 신의 딸, 옥스포드 대학 출판부, ISBN 978-0-19-535672-4, 25-26페이지, 204페이지
- ^ 샤르마 2008, 페이지 25-26.
- ^ 스리다란 2000, 페이지 13-14.
- ^ 힌두 인구 예측 Pew Research (2015), 워싱턴 DC
- ^ Rukmini S Vijaita Singh 무슬림 인구 성장 둔화 힌두교도, 2015년 8월 25일; 121크로어 이상의 인도인 중 79.8%가 힌두교 신자입니다 (2011년 인구 조사 기준).
- ^ a b c 힌두 인구가 가장 많은 10개국, 2010 및 2050 Pew Research Center (2015), 워싱턴 DC
- ^ Herman Siemens, Vasti Roodt (2009). Nietzsche, Power and Politics: Rethinking Nietzsche's Legacy for Political Thought. Walter de Gruyter. p. 546. ISBN 978-3-11-021733-9.
- ^ Murray J. Leaf (2014). The Anthropology of Eastern Religions: Ideas, Organizations, and Constituencies. Lexington Books. p. 36. ISBN 978-0-7391-9241-2.
- ^ a b 홍수 2008, 페이지 3.
- ^ Takacs, Sarolta Anna; Cline, Eric H. (17 July 2015), The Ancient World, Routledge, pp. 377–, ISBN 978-1-317-45839-5
- ^ Sharmaa 2002, p. 2" 다리우스 1세의 비문은 "기원전 518년에서 515년 사이에 조각된 것으로 생각되며, 히두 [힌두]를 주제 국가 목록에 추가합니다"(Raychaud-huri 1996:584).마찬가지로, 엘람 사람의 페르세폴리스에서 "다리우스 13년부터 28년까지 연대가 다른 해"라는 점토판에는 히인투(인도)가 언급되어 있습니다(ib. 585).이러한 예들은 헤로도토스(Historiae III, 91, 94, 98–102)가 그리스어로 "h 소리의 알파벳 문자가 부족하여 이 경우에는 그것을 보존하지 못했다"(나라야난 1996:14)는 단어를 사용하여 확인했습니다.
- ^ a b 샤르마 2002, 페이지 1-36.
- ^ Thapar 2003, 페이지 38.
- ^ a b Jha 2009, p. 15.
- ^ Jha 2009, p. 16.
- ^ 샤르마 2002, p. 3" 힌두라는 단어는 공동의 동의에 의해 신두(Sindhu)라는 단어에서 유래했습니다.신두 – 힌두 – 인도의 변용 방향이 불교 순례자 잔장(= 히엔짱, 7세기)의 이야기에서 신투-히엔타우-티엔추의 말과 유사하다는 것은 주목할 만한 사실이며, 그 함축성이 종교에 넘쳐나는 인투가 된다는 것은 더욱 놀라운 사실이며,적어도 산장의 해석에서는(빌 1969[1884]:69)"
- ^ Jha 2009, p. 14 "그러나 이 "성스러운 사람들과 현자들"의 종교적 소속은 알려지지 않았으며, 이는 시안창이 인투(힌두)라는 단어를 특별히 종교적인 의미로 사용했다는 견해를 거의 뒷받침하지 않습니다. 실제로 후에 중국인 순례자 I-ting은 이 단어가 이 나라의 일반적인 이름이라는 진술의 진실성에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 ^ Thapar, Romila (September–October 1996), "The Tyranny of Labels", Social Scientist, 24 (9/10): 3–23, doi:10.2307/3520140, JSTOR 3520140
- ^ 윌프레드 캔트웰 스미스 1981, 페이지 62.
- ^ a b 로렌젠 2006, 페이지 33.
- ^ 로렌젠 2006, 페이지 31.
- ^ Esther Bloch, Marianne Keppens, Rajaram Hegde, ed. (2009). Rethinking Religion in India: The Colonial Construction of Hinduism. Routledge. p. 29. ISBN 9781135182793.
For his part, Vidyapati, in his Apabhransha text Kirtilata, makes use of the phrase 'Hindu and Turk dharmas' in a clearly religious sense and highlights the local conflicts between the two communities.
{{cite book}}
: CS1 maint: 여러 이름: 편집자 목록 (링크) - ^ Rajat Kanta Ray (2003). The Felt Community. Oxford University Press. p. 189. ISBN 978-0-19-565863-7.
The Kirtilata is said to have been composed in 1380.
- ^ a b Dube, Mukul. "A short note on the short history of Hinduism". Scroll.in.
- ^ 로렌젠 2006, 페이지 32-33.
- ^ a b Arvind Sharma (2002), 힌두교, 힌두스탄, 힌두교와 힌두트바 누멘에 대하여, Vol. 49, Fasc. 1, 5-9페이지
- ^ Arvind Sharma (2002), 힌두교, 힌두스탄, 힌두교, 힌두트바 누멘에 대하여, Vol. 49, Fasc. 1, 9페이지
- ^ Pashaura Singh (2005), 구루 아르잔 순교의 이해, 펀자브 연구지, 12(1), 29-31페이지
- ^ Wheeler Thackston (1999). The Jahangirnama: Memoirs of Jahangir, Emperor of India. Oxford University Press. p. 59. ISBN 978-0-19-512718-8.
- ^ Pashaura Singh (2005), 구루 아르잔 순교의 이해, 펀자브 연구지, 12(1) 37페이지
- ^ R. Fraser, M. Hammond (10 July 2008). Books Without Borders, Volume 2: Perspectives from South Asia. Springer. p. 21. ISBN 978-0230289130.
The Sikhs arose initially as a militant sect of Hinduism in opposition and resistance to Muslim and especially Mughal rule and its discriminatory and oppressive policies and practices. It was only in the twentieth century that they legally and formally separated from Hinduism to constitute a distinct religion followed by about 1 per cent of the current population of India
- ^ a b Gauri Viswanathan (1998), 접힘 밖: 개종, 현대, 그리고 신념, 프린스턴 대학 출판부, ISBN 978-0-691-05899-3 페이지
- ^ "A Code of Gentoo Laws, or Ordinations of the Pundits, from a Persian Translation, Made from the Original, Written in the Sanscrit Language". INDIAN CULTURE. Retrieved 12 January 2023.
- ^ Bhagat, Ram. "Hindu-Muslim Tension in India: An Interface between census and Politics during Colonial India" (PDF). iussp.org. IIPS. Retrieved 17 April 2019.
- ^ "Archive of All Colonial India documents". arrow.latrobe.edu.au. The Centre for Data Digitisation and Analysis at The Queen's University of Belfast. Retrieved 17 April 2019.
- ^ Bryan Turner (2010), 종교사회학의 뉴블랙웰 컴패니언, John Wiley & Sons, ISBN 978-1-4051-8852-4페이지, 424-425페이지
- ^ a b Martin E. Marty (1 July 1996). Fundamentalisms and the State: Remaking Polities, Economies, and Militanc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p. 270–271. ISBN 978-0-226-50884-9.
- ^ James Minahan (2012), 남아시아와 태평양의 민족:백과사전 ISBN 978-1-59884-659-1, 97-99페이지
- ^ 줄리어스 립너(Julius J. Lipner, 2009), 힌두교도:그들의 종교적 신념과 실천, 제2판, Routledge, ISBN 978-0-415-45677-7, 8페이지
- ^ 줄리어스 립너(Julius J. Lipner, 2009), 힌두교도:그들의 종교적 신념과 실천, 제2판, 루틀리지, ISBN 978-0-415-45677-7, 8페이지; 인용문: "(...) 힌두교도들에게 힌두교도로 받아들여지기 위해 최소한의 의미에서 종교적이거나, 자신을 완벽하게 힌두교도로 묘사할 필요는 없습니다.어떤 사람은 다신교적이거나 일신론적이거나 일신론적이거나 범신론적이거나 심지어 불가지론자, 인본주의적이거나 무신론자일 수도 있고, 여전히 힌두교인으로 여겨질 수도 있습니다."
- ^ Lester Kurtz (Ed.), 폭력, 평화 및 갈등 백과사전, ISBN 978-0-12-369503-1, 학술 출판, 2008
- ^ MK 간디, 힌두교의 본질, 편집자: VB Kher, Navajivan 출판사, 3페이지 참조; 간디에 따르면, "사람은 신을 믿지 않을 수도 있고, 여전히 자신을 힌두교라고 부를 수도 있습니다."
- ^ Knott, Kim (1998). Hindu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 117. ISBN 978-0-19-285387-5.
- ^ 인도 대법원, "브람차리 시데스와르 샤이와 그 외 대 웨스트 벵골 주", 1995, 아카이브 2 2006년 10월 30일 웨이백 머신에서 원본 아카이브로부터 아카이브.
- ^ 인도 대법원 1966 AIR 1119, Sastri Yagnapurshadji vs Muldas Brudardas Vaishya Wayback Machine 2014년 5월 12일 보관 (pdf), 15페이지 1966년 1월 14일
- ^ a b Frazier, Jessica (2011). The Continuum companion to Hindu studies. London: Continuum. pp. 1–15. ISBN 978-0-8264-9966-0.
- ^ 칼 올슨(2007), 힌두교의 많은 색: 주제-역사학 개론, 럿거스 대학 출판부, ISBN 978-0-8135-4068-9페이지
- ^ Rajbali Pandey (2013), 힌두 사 ṁ스카라스: 힌두교의 성체에 대한 사회 종교적 연구, 제2판, Motilal Banarsidass, ISBN 978-81-208-0396-1페이지
- ^ Flood, Gavin (7 February 2003). The Blackwell Companion to Hinduism. Wiley. ISBN 978-0-631-21535-6 – via Google Books.
- ^ Muller, F. Max. 인도철학의 여섯 체계; 삼키아와 요가; Naya와 Vaiseshika. 1899이 고전적인 작업은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주요 분류 체계를 확립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재인쇄판: (케싱어 출판사: 2003년 2월) ISBN 978-0-7661-4296-1
- ^ Radhakrishnan, S.; Moore, CA (1967). A Sourcebook in Indian Philosophy. Princeton. ISBN 0-691-01958-4.
- ^ Tattwananda, Swami (1984). Vaisnava Sects, Saiva Sects, Mother Worship (First revised ed.). Calcutta: Firma KLM Private Ltd. 이 작업은 인도의 세 주요 종교 집단의 다양한 하위 집합에 대한 개요를 제공합니다.
- ^ TS Rukmani (2008), 요가 이론과 실천 (편집자: Knut Jacobsen), Motilal Banarsidass, ISBN 978-81-208-3232-9, 61-74페이지
- ^ a b c 진 파울러 (1996), 힌두교:신념과 실천, 서식스 학술 출판사, ISBN 978-1-898723-60-8페이지
- ^ 스텔라 크람리쉬(Stella Kramrisch, 1958), 인도 장인의 전통, 미국민속학회지, 제71권, 제281호, 224-230페이지
- ^ Ronald Inden (2001), Imaging India, Indiana University Press, ISBN 978-0-253-21358-7페이지
- ^ 인도-헌법:종교권 제25조:"설명 II: 제2항의 (나)목에서 힌두교인에 대한 언급은 시크교, 자이나교 또는 불교를 주장하는 사람에 대한 언급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합니다."
- ^ Tanweer Fazal (1 August 2014). "Nation-state" and Minority Rights in India: Comparative Perspectives on Muslim and Sikh Identities. Routledge. pp. 20, 112–114. ISBN 978-1-317-75179-3.
- ^ a b Kevin Boyle; Juliet Sheen (7 March 2013). Freedom of Religion and Belief: A World Report. Routledge. pp. 191–192. ISBN 978-1-134-72229-7.
- ^ para 25, 관리 위원회 Kanya 중학교 Bal Vidya Mandir, Etah, Utar Pradesh v. Sachiv, U.P. Basic Shiksha Parishad, 알라하바드, U.P. and Ors., Per Dalveer Bhandari J., 2003년 민사 항소 9595호 판결 2006년 8월 21일, 인도 대법원
- ^ Sheldon Pollock (1993), Rāmāya ṇa와 인도의 정치적 상상력, Journal of Asian studies, Vol. 52, No. 2 261-297
- ^ a b Brajadulal Chattopadhyaya (2004), Other or The Others? in the World in the Year 1000 (편집자: James Heitzman, Wolfgang Schenkluhn), 미국 대학 출판부, ISBN 978-0-7618-2561-6, 303-323페이지
- ^ a b Brajadulal Chattopadhyaya (2004), Other or the Others? in the World in the Year 1000 (편집자: James Heitzman, Wolfgang Schenkluhn), 미국 대학 출판부, ISBN 978-0-7618-2561-6, 306-307페이지
- ^ 용어는 페르시아인, 타지카인 또는 아랍인, 투루슈카인 또는 터키인, Brajadulal Chattopadyaya (2004), 기타 또는 기타? 1000년의 세계(편집자: James Heitzman, Wolfgang Schenkluhn), 미국 대학 출판부, ISBN 978-0-7618-2561-6, 303-319페이지
- ^ Cynthia Talbot (2000), 튀르크와 힌두를 넘어: 이슬람 남아시아의 종교적 정체성 재고 (편집자: David Gilmartin, Bruce B)로렌스), University Press of Florida, ISBN 978-0-8130-2487-5, 291-294페이지
- ^ Talbot, Cynthia (October 1995). "Inscribing the other, inscribing the self: Hindu-Muslim identities in pre-colonial India". Comparative Studies in Society and History. 37 (4): 701–706. doi:10.1017/S0010417500019927. JSTOR 179206. S2CID 111385524.
- ^ a b Andrew Nicholson (2013), 힌두교의 통일:인도 지성사의 철학과 정체성, 컬럼비아 대학 출판부, ISBN 978-0-231-14987-7페이지
- ^ a b Leslie Orr (2014), 기증자, 신자, 신의 딸, 옥스포드 대학 출판부, ISBN 978-0-19-535672-4, 42페이지, 204페이지
- ^ Paul Dundas (2002),더 제인스, 2판, 루틀리지, ISBN 978-0-415-26605-5페이지 6-10
- ^ K Reddy(2011), 인도사, Tata McGrow Hill, ISBN 978-0-07-132923-1, 93페이지
- ^ Margaret Allen (1992), Indian Architecture in Indian Architecture, University of Della Press, ISBN 978-0-87413-399-8, 211페이지
- ^ Trudy King et al. (1996), 역사적 장소: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Routledge, ISBN 978-1-884964-04-6 페이지
- ^ Ann Kenny et al (2003), 시바와 부처 숭배:이스트 자바 신전 미술, University of Hawaii Press, ISBN 978-0-8248-2779-3 페이지 24-25
- ^ a b c Robert Zaehner (1997), 세계 종교 백과사전, Barnes & Noble Publishing, ISBN 978-0-7607-0712-8 페이지
- ^ a b 플레밍 2009, 51-56쪽.
- ^ Knut A. Jacobsen (2013). Pilgrimage in the Hindu Tradition: Salvific Space. Routledge. pp. 122–129. ISBN 978-0-415-59038-9.
- ^ André Padoux (2017). The Hindu Tantric World: An Overview.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p. 136–149. ISBN 978-0-226-42412-5.
- ^ Linda Kay Davidson; David Martin Gitlitz (2002). Pilgrimage: From the Ganges to Graceland; an Encyclopedia. ABC-CLIO. pp. 239–244. ISBN 978-1-57607-004-8.
- ^ 플레밍 2009, 페이지 56.
- ^ a b c Diana L Eck (2012). India: A Sacred Geography. Harmony. pp. 34–40, 55–58, 88. ISBN 978-0-385-53191-7.
- ^ a b 플레밍 2009, 57-58쪽.
- ^ Surinder M. Bhardwaj (1983). Hindu Places of Pilgrimage in India: A Study in Cultural Geograph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 75–79. ISBN 978-0-520-04951-2.
- ^ a b 플레밍 2009, 51-58쪽.
- ^ Surinder M. Bhardwaj (1983). Hindu Places of Pilgrimage in India: A Study in Cultural Geograph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 58–79. ISBN 978-0-520-04951-2.
- ^ André Wink (2002). Al-Hind, the Making of the Indo-Islamic World: Early Medieval India and the Expansion of Islam 7Th-11th Centuries. BRILL Academic. pp. 154–161, 203–205. ISBN 978-0-391-04173-8.
- ^ André Wink (2002). Al-Hind, the Making of the Indo-Islamic World: Early Medieval India and the Expansion of Islam 7Th-11th Centuries. BRILL Academic. pp. 162–163, 184–186. ISBN 978-0-391-04173-8.
- ^ Victoria Schofield (2010). Afghan Frontier: At the Crossroads of Conflict. Tauris. p. 25. ISBN 978-1-84885-188-7.
- ^ Sachau, Edward (1910). Alberuni's India, Vol. 1. Kegan Paul, Trench, Trübner & Co. p. 22.Sachau, Edward (1910). Alberuni's India, Vol. 1. Kegan Paul, Trench, Trübner & Co. p. 22.인용문: "마흐무드는 나라의 번영을 완전히 망쳤고, 그곳에서 힌두교도들은 사방으로 흩어진 먼지 원자와 같았고, 백성들의 입에는 옛 이야기와 같은 놀라운 업적을 남겼습니다."
- ^ Tapan Raychaudhuri; Irfan Habib (1982). Cambridge Economic History of India Vol-1.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91. ISBN 978-81-250-2730-0.Tapan Raychaudhuri; Irfan Habib (1982). Cambridge Economic History of India Vol-1.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91. ISBN 978-81-250-2730-0.인용문: "1398-99년 티무르가 인도를 침략했을 때, 노예들의 수집은 그의 군대에게 중요한 대상이 되었습니다.10만 명의 힌두 노예들이 그의 병사들과 수용소 추종자들에게 붙잡혔습니다.심지어 경건한 성인도 15명의 노예를 모았습니다.유감스럽게도, 그들이 반란을 일으킬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에 델리를 공격하기 전에 모두 학살되어야만 했습니다.그러나 델리를 점령한 후에, 주민들을 데리고 나와 티무르의 귀족들에게 노예로 분배하고, 수천 명의 장인들과 전문가들을 포함한 포로들을 말입니다."
- ^ Farooqui Salma Ahmed (2011). A Comprehensive History of Medieval India: Twelfth to the Mid-Eighteenth Century. Pearson. p. 105. ISBN 978-81-317-3202-1.
- ^ Hermann Kulke; Dietmar Rothermund (2004). A History of India. Routledge. p. 180. ISBN 978-0-415-32919-4.
- ^ a b David N. Lorenzen (2006). Who Invented Hinduism: Essays on Religion in History. Yoda. p. 50. ISBN 978-81-902272-6-1.
- ^ 아얄론 1986, 페이지 271.
- ^ 에이브러햄 에랄리(2000), 공작 왕좌의 황제들:위대한 무굴의 사가, 펭귄 북스, ISBN 978-0-14-100143-2페이지 398-399
- ^ Avari 2013, p. 115: 2000년 연구를 인용하면서, "Aurangzeb은 아마도 그 이전의 대부분의 술탄들보다 더 큰 잘못이 없었다; 그들은 모든 사원이 아닌, 힌두교 권력과 연관된 사원들을 모독했다.수백 개의 힌두 사원이 아우랑제브에 의해 파괴되었다는 전통적인 주장과는 대조적으로, 최근의 한 연구는 단지 15개의 파괴 정도의 소박한 모습을 제시하고 있다는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역사가 에이브러햄 에랄리는 아바리와 대조적으로 아우랑제베라의 파괴가 훨씬 더 높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1670년에 우자인 주변의 모든 사원이 파괴되었습니다." 그리고 후에 "치토르, 우다이푸르, 자이푸르 주변의 300개의 사원이 파괴되었습니다." 1705년까지의 캠페인으로 다른 곳에서 파괴된 다른 힌두교 사원들 중에서도.[177]
이슬람 시대의 박해는 비힌두교도들을 대상으로 했습니다.아바리는 "아랑제브의 종교 정책은 그와 9대 시크교도 지도자 테그 바하두르 사이에 마찰을 야기시켰습니다.펀자브와 카슈미르 두 지역에서 시크교 지도자는 아우랑제브의 지나치게 열성적인 이슬람 정책에 자극을 받아 행동에 옮겼습니다.붙잡혀 델리로 끌려간 그는 오랑제브의 부름을 받아 이슬람을 포용하고 거부당해 5일간 고문을 당했고 1675년 11월 참수당했습니다.시크교도 10명 중 2명은 무굴의 손에 의해 순교한 것입니다(Avari(2013), 155페이지). - ^ Kiyokazu Okita (2014). Hindu Theology in Early Modern South Asia: The Rise of Devotionalism and the Politics of Genealogy. Oxford University Press. pp. 28–29. ISBN 978-0-19-870926-8.
- ^ Kate Brittlebank (1997). Tipu Sultan's Search for Legitimacy: Islam and Kingship in a Hindu Domain. Oxford University Press. pp. 12, 34–35. ISBN 978-0-19-563977-3.
- ^ Funso S. Afọlayan (2004). Culture and Customs of South Africa. Greenwood. pp. 78–79. ISBN 978-0-313-32018-7.
- ^ Singh, Sherry-Ann (2005). "Hinduism and the State in Trinidad". Inter-Asia Cultural Studies. 6 (3): 353–365. doi:10.1080/14649370500169987. S2CID 144214455.
- ^ Derek R. Peterson; Darren R. Walhof (2002). The Invention of Religion: Rethinking Belief in Politics and History. Rutgers University Press. p. 82. ISBN 978-0-8135-3093-2.
- ^ Paul A. Marshall (2000). Religious Freedom in the World. Rowman & Littlefield. pp. 88–89. ISBN 978-0-7425-6213-4.
- ^ Grim, B. J.; Finke, R. (2007). "Religious Persecution in Cross-National Context: Clashing Civilizations or Regulated Religious Economie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72 (4): 633–658. doi:10.1177/000312240707200407. S2CID 145734744.Grim, B. J.; Finke, R. (2007). "Religious Persecution in Cross-National Context: Clashing Civilizations or Regulated Religious Economie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72 (4): 633–658. doi:10.1177/000312240707200407. S2CID 145734744.인용문: "힌두인들은 방글라데시와 다른 곳에서 치명적으로 박해받고 있습니다."
- ^ "Hindus from Pakistan flee to India, citing religious persecution". The Washington Post. 15 August 2012. Retrieved 15 July 2016.
- ^ a b Christophe Jaffrelot (2007), 힌두 민족주의:A Reader,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0-691-13098-9 페이지
- ^ a b Gail Minault(1982), Khilafat 운동: 인도의 종교적 상징성과 정치적 동원, Columbia University Press, ISBN 978-0-231-05072-2, 1-11페이지 및 서문 부분
- ^ Amalendu Misra (2004), 정체성과 종교, SAGE 출판사, ISBN 978-0-7619-3226-0, 148-188페이지
- ^ CA Bayly (1985), 공산주의의 선사?인도의 종교적 갈등 1700-1860, 현대아시아학, 제19권, 제2호, 186-187페이지, 177-203페이지
- ^ Christophe Jaffrelot (2007), 힌두 민족주의:A Reader,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0-691-13098-9페이지
- ^ Antony Copley (2000), Gurus와 그 추종자들:식민지 인도의 새로운 종교 개혁 운동, 옥스포드 대학 출판부, ISBN 978-0-19-564958-1, 4-5페이지, 24-27페이지, 163-164페이지
- ^ 하디(Hardy), F. 힌두교를 표현하면서 "베다 유산에 대한 근본적인 평가": 종교와 국가 정체성의 구축, 세이지 출판사, 델리, 1995
- ^ Christophe Jaffrelot (2007), 힌두 민족주의:A Reader,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0-691-13098-9, 13페이지
- ^ a b Peter van der Beer (1994), 종교적 민족주의:인도의 힌두교도와 이슬람교도,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978-0-520-08256-4, 11-14페이지, 1-24페이지
- ^ Peter van der Beer (1994), 종교적 민족주의:인도의 힌두교도와 이슬람교도,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978-0-520-08256-4, 31페이지, 99페이지, 102페이지
- ^ Jawad Syed; Edwina Pio; Tahir Kamran; et al. (2016). Faith-Based Violence and Deobandi Militancy in Pakistan. Palgrave Macmillan. pp. 49–50. ISBN 978-1-349-94966-3.
- ^ Farahnaz Ispahani (2017). Purifying the Land of the Pure: A History of Pakistan's Religious Minorities. Oxford University Press. pp. 28–37. ISBN 978-0-19-062167-4.
- ^ Peter van der Beer (1994), 종교적 민족주의:인도의 힌두교도와 이슬람교도,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978-0-520-08256-4, 26-32페이지, 53-54페이지
- ^ 람-프라사드, C. "현대 정치 힌두교" 힌두교와 동행하는 블랙웰, 블랙웰 출판사, 2003.ISBN 0-631-21535-2
- ^ a b GJ Larson (2002), 세속 인도의 종교와 개인법: 심판의 부름, 인디애나 대학 출판부, ISBN 978-0-253-21480-5, 55-56페이지
- ^ 존 맨스필드 (2005),개인법 또는 통일 민법?, 독립 인도의 종교와 법(편집자: Robert Baird), 마노하르, ISBN 978-81-7304-588-2, 121-127페이지, 135–136, 151–156페이지
- ^ a b Sylvia Vatuk (2013), 무슬림 법정에서의 가족법 재정 (편집자:엘리사 기운치), 루틀리지, ISBN 978-0-415-8185-9, 52-53페이지
- ^ Katharine Adeney and Lawrence Saez (2005), Coalition Politics and Hindu Nationalism, Routledge, ISBN 978-0-415-35981-8 페이지
- ^ Washington DC, Pew Research Center, 국가별 종교 구성 (2012년 12월) (2012년)
- ^ a b 컨트리 퓨 리서치, 워싱턴 DC(2012)의 2010년 힌두 인구 총계
- ^ 표: 국가별 세계 종교 구성별 종교 구성(%), Pew Research Center(2012)
- ^ "The World Factbook – The World Factbook". cia.gov. Retrieved 18 May 2021.
- ^ 힌두교도의 지역별 합계출산율, 2010~2050 Pew Research Center(2015), 워싱턴 DC
- ^ 세계 힌두 인구 전망, 2010-2050 Pew Research Center (2015), 워싱턴 DC
- ^ a b Vietnam, Laos, Cambodia. Hunter Publisher. Inc. 2003. p. 8. ISBN 978-2-88452-266-3.
- ^ Philippine History Module-based Learning I' 2002 Ed. Rex Bookstore.Inc. p. 40. ISBN 978-971-23-3449-8.
- ^ Gitesh Sharma (January 2009). Traces of Indian Culture in Vietnam. Rajkamal Prakshan Group. p. 74. ISBN 978-81-905401-4-8.
- ^ Martin Ramstedt (2003), 현대 인도네시아의 힌두교, Routledge, ISBN 978-0-7007-1533-6, pp. 2-23
- ^ Murdana, I. Ketut (2008), 발리 예술과 문화: 개념과 행동에 대한 번뜩이는 이해, Mudra – JURNAL SENI Budaya, 인도네시아; 22권, pp. 5-11
- ^ Ida Bagus Sudirga (2009), Widya Darma – Agama 힌두, Ganeca Indonesia, ISBN 978-979-571-177-3
- ^ IGP Sugandhi (2005), Seni (Rupa) Bali 힌두 달람 페르스펙티프 인식론자 Brahma Widya, Ororen, Vol 2, Number 1, pp. 58–69
- ^ 플레밍 2009.
- ^ Sengupta, Jayshree. "India's cultural and civilisational influence on Southeast Asia". ORF. Retrieved 11 October 2021.
- ^ "Religion and Indian Philosophy". Geriatrics. 6 March 2014. Retrieved 11 October 2021.
서지학
- Ayalon, David (1986), Studies in Islamic History and Civilisation, BRILL, ISBN 965-264-014-X
- Bowker, John (2000). The Concise Oxford Dictionary of World Religions.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280094-7.
- Avari, Burjor (2013). Islamic Civilization in South Asia: A History of Muslim Power and Presence in the Indian Subcontinent. Routledge. ISBN 978-0-415-58061-8.
- Fleming, Benjamin J. (2009), "Mapping Sacred Geography in Medieval India: The Case of the Twelve "Jyotirliṅgas"", International Journal of Hindu Studies, 13 (1): 51–81, doi:10.1007/s11407-009-9069-0, S2CID 145421231
- Flood, Gavin D. (1996), An Introduction to Hindu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 Flood, Gavin (2006), The Tantric Body. The Secret Tradition of Hindu Religion, I.B Taurus
- Flood, Gavin, ed. (2008), The Blackwell Companion to Hinduism, Malden, MA: Blackwell Publishing Ltd., ISBN 978-1-4051-3251-0
- Harvey, Andrew (2001). Teachings of the Hindu Mystics. Shambhala. ISBN 978-1-57062-449-0.
- Hatcher, Brian A. (2015), Hinduism in the Modern World, Routledge, ISBN 978-1-135-04631-6
- Jha, D. N. (2009), Rethinking Hindu Identity, Routledge, ISBN 978-1-84553-459-2
- Lorenzen, David N. (October 1999), "Who Invented Hinduism?", Comparative Studies in Society and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1 (4): 630–659, doi:10.1017/s0010417599003084, JSTOR 179424, S2CID 247327484
- Lorenzen, David N. (2006), "Who invented Hinduism?", in Davaid N. Lorentzen (ed.), Who Invented Hinduism? Essays on Religion in History, Yoda Press, pp. 1–36, ISBN 81-902272-6-2
- Lorenzen, David N. (2010), "Hindus and others", in Esther Bloch; Marianne Keppens; Rajaram Hegde (eds.), Rethinking Religion in India: The Colonial Construction of Hinduism, Routledge, pp. 25–40, ISBN 978-1-135-18279-3
- Sridharan, Kripa (2000), "Grasping the Nettle: Indian Nationalism and Globalization", in Leo Suryadinata (ed.), Nationalism and globalization: east and west,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pp. 294–318, ISBN 978-981-230-078-2,
... The term Hindutva equates religious and national identity: an Indian is a Hindu ... 'the Indian Muslims are not aliens ethnically. They are flesh of our flesh and blood of our blood' ...
- Sharma, Arvind (2008), "The Hermeneutics of the word "Religion"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World of Indian Religions", in Sherma, Rita; Sharma, Arvind (eds.), Hermeneutics and Hindu Thought: Toward a Fusion of Horizon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pp. 19–32, ISBN 978-1-4020-8192-7
- Smith, Wilfred Cantwell (1981), On Understanding Islam: Selected Studies, Walter de Gruyter, ISBN 978-90-279-3448-2
- von Stietencron, Heinrich (2005), "Hinduism: On the Proper Use of a Deceptive Term", Hindu Myth, Hindu History, Religion, Art, and Politics, Orient Blackswan, pp. 227–248, ISBN 978-81-7824-122-7
- Thapar, Romila (1989), "Imagined religious communities? Ancient history and the modern search for a Hindu identity", Modern Asian Stud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3 (2): 209–231, doi:10.1017/S0026749X00001049, JSTOR 312738, S2CID 145293468
- Thapar, Romila (1993), "Imagined religious communities?", Interpreting Early India, Delhi: Oxford University Press, pp. 60–88
- Thapar, Romula (2003), The Penguin History of Early India: From the Origins to AD 1300, Penguin Books India, ISBN 978-0-14-302989-2
- Sharmaa, Arvind (2002), "On Hindu, Hindustān, Hinduism and Hindutva", Numen, Brill, 49 (1): 1–36, doi:10.1163/15685270252772759, JSTOR 3270470
추가열람
- Esther Bloch; Marianne Keppens; Rajaram Hegde, eds. (2009). Rethinking Religion in India: The Colonial Construction of Hinduism. Routledge. ISBN 978-1-135-18279-3.
- Dass, Baboo Ishuree (1860). Domestic manners and customs of the Hindoos of northern India, or, more strictly speaking, of the north west provinces of India. Medical Hall Press, Benares.
- Truschke, Audrey (2023), "Hindu: A History", Comparative Studies in Society and History, 65 (2): 246–271, doi:10.1017/S0010417522000524, S2CID 2561746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