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우루의 지리

Geography of Nauru
나우루
Nauru map english.svg
나우루 섬 지도
LocationNauru.png
지리
위치태평양
좌표0°32˚S 166°55°E / 0.533°S 166.917°E / -0.533; 166.917
면적21km2(8.1제곱 mi)
최고 고도65m(213ft)
최고점커맨드 리지
관리
나우루
최대정산데니고모두 (팝 1,800)
인구통계학
인구10,058 (2011)
팝 밀도441.67/km2(1143.92/sq mi)
민족군나우루아인
나우루의 확대, 상세 지도

나우루오세아니아 마셜 제도의 남쪽 남태평양에 위치한 작은 인산염 바위섬 국가다. 적도 남쪽의 좌표 0°32 miS 166°55 0E/0.533°S 166.917°E/ -0.533; 166.917에 불과하다. 나우루는 태평양에 있는 3대 인산염 바위섬 중 하나이다. 다른 섬들은 키리바시바나바(오션 섬)와 프랑스령 폴리네시아마카테아이다.

육지 면적은2 21km(8.1평방 미)이며, 해안선은 30km(19미)이다. 해상 청구권은 200해리(370km)의 해역을 가진 308,480km2(11만9,100mi)의 배타적 경제수역과 22km의 해역을 말한다.

기후는 11월부터 2월까지 장마가 있는 열대지방이다.

모래사장이 산호초 주변의 비옥한 고리에 솟아 있다.[1] 솟아오른 인산염 고원('상향')이 섬의 중앙 부분을 차지한다. 가장 높은 지점은 고원 테두리를 따라 해발 213피트(65m)이다.

나우루의 유일한 경제적으로 중요한 천연 자원은 바닷새에 의한 과노 퇴적물로부터 형성된 인산염과 특히 [2]참치를 위한 어업이다.

산호와 모래사장에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이 섬에는 자연적인 항구도 없고, 강이나 실속 있는 호수도 없다.

나우루는 섬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독특한 항해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나우루의 지질학

미국 에너지부의 대기 방사선 측정 프로그램에서 2002년 나우루의 항공 이미지. 재생식물은 채굴된 땅의 63%를 차지한다.[3]

나우루는 태평양의 나우루 분지(Nauru)에 위치한 상승된 산호 환원으로 132마(Ma)의 중간 산호마루에서 형성된 태평양 판의 일부에 위치한다.에오세 중반(35ma)부터 올리고세 시대에 걸쳐 잠수함 화산핫스팟 위에 쌓이고 현무암으로 이루어진 해산을 형성했다. 그 해산은 높이가 4300미터가 넘는다. 이 핫스팟은 태평양 판의 주요 재편성과 동시에 발생했다. 그 화산은 해수면까지 침식되었고 산호 환초는 꼭대기에서 약 500미터 두께로 자랐다. 지표면 근처의 산호는 5Mya에서 0.3Mya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원래의 석회암은 바닷물에서 나온 마그네슘에 의해 돌로미트화되었다. 이 산호는 약 30미터 해수면 위로 올라갔고, 지금은 전형적인 카르스트 스타일로 침식된 돌로마이트 석회석 외벽으로 높이 20미터까지 올라갔다. 적어도 해발 55미터의 깊이까지, 석회암은 충치, 싱크홀, 동굴을 형성하면서 용해되었다. 섬 위쪽에 있는 구멍들은 몇 미터 두께의 인산염 층으로 채워져 있었다.

아니바레 만은 화산 동쪽의 수중 붕괴에 의해 형성되었다. 부아다 석호는 해수면이 낮아졌을 때 석회암 용액으로 형성되었고, 그 뒤로는 붕괴가 뒤따랐다.

나우루는 태평양판과 함께 연간 104mm(4.1인치)의 속도로 북서쪽으로 이동하고 있다.

나우루에는 개울과 강이 존재하지 않는다. 지붕 유역 시스템에서 물이 모인다. 물은 인산염의 하중을 받고 돌아오는 배 위의 밸러스트로서 나우루로 운반된다.[4]

민물은 부아다 석호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또한 북동쪽의 이주우아나바르에 있는 비탈진 기지의 일부 고사리 연못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 섬의 남동쪽에 있는 모카동굴에는 지하 호수가 있다.

환경문제

  • 주기적인 가뭄, 한정된 천연 담수 자원(지붕 저장 탱크는 빗물을 수집하지만, 대부분 노후화된 단일 담수화 발전소에 의존함)
  • 극심한 토양 상태는 높은 알칼리성, 높은 인산염 수치, 낮은 칼륨에 의해 발생한다. , 망간, 구리, 몰리브덴, 아연은 식물이 사용할 수 없게 한다. 이것은 얇거나 손상된 토양과 결합하여 저출산을 유발한다.
  • 지난 90년 동안 집중적인 인산염 채굴은 나우루의 80%를 황무지로 만들고 남은 한정된 지하자원을 위협하고 있다.

나우루는 생물다양성, 기후변화, 사막화, 바다해양쓰레기법칙에 관한 국제환경협정의 당사자다.

기후

지구온난화 국면에서 본 1909년 이후 나우루의 기온변화

나우루의 기후는 적도와 해양에 근접해 있기 때문에 일년 내내 덥고 매우 습하다. 나우루는 11월에서 2월 사이에 장마비가 내리지만 사이클로인은 거의 없다. 연간 강우량은 변동성이 매우 높으며 엘니뇨-남부 진동(El Niyno-Southern Oviation)의 영향을 받으며, 몇 가지 심각한 가뭄이 기록된다.[5][6] 나우루의 온도는 낮에는 30~35℃(86~95℃)이며 밤에는 25℃(77℃) 정도로 상당히 안정적이다.[7]

나우루에는 개울과 강이 존재하지 않는다. 지붕 유역 시스템에서 물이 모인다. 물은 인산염의 하중을 받고 돌아오는 배 위의 밸러스트로서 나우루로 운반된다.[8]

극한점

이것은 북, 남, 동, 서, 혹은 다른 어떤 장소보다 더 먼 나우루의 극점 목록이다.

참조

  1. ^ CIA factbook. "Nauru Terrain - Geography". www.indexmundi.com. Retrieved 19 April 2016.
  2. ^ 연차보고서 제1부: 수산, 연구 및 통계에 관한 정보: 나우루 공화국 제4차 중태평양수산위원회 과학위원회 작업용지 17. WCPFC 2008.
  3. ^ 나우루 공화국 1999. 유엔기후변화협약에 따른 기후변화대응 URL 2006-05-03 접속
  4. ^ "Yaren district, Nauru". Encyclopedia Britannica. Retrieved 2019-09-02.
  5. ^ Nauru Department of Economic Development and Environment (2003). "First National Report to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to Combat Desertification" (PDF). United Nations.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2 July 2011. Retrieved 25 June 2012.
  6. ^ Affaire de certaines terres à phosphates à Nauru.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2003. pp. 107–109. ISBN 978-92-1-070936-1.
  7. ^ "Pacific Climate Change Science Program" (PDF). Government of Austral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7 February 2012. Retrieved 10 June 2012.
  8. ^ "Yaren district, Nauru". Encyclopedia Britannica. Retrieved 2 September 2019.

참고 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