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휘플
George Whipple조지 휘플 | |
---|---|
![]() | |
태어난 | 조지 호이트 위플 1878년 8월 28일 |
죽은 | 1976년 2월 1일 ( | (97세)
국적. | 미국 |
부모 | 애슐리 쿠퍼 위플 프랜시스 안나 호이트 |
모교 | 예일 대학교 존스 홉킨스 의과대학 |
로 알려져 있다 | 빈혈의 경우 간 요법 |
어워드 | 1934년 노벨 생리의학상 |
과학 경력 | |
필드 | 약 |
기관 | 로체스터 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프란시스코 |
조지 호이트 위플(George Hoyt Whipple, 1878년 8월 28일 ~ 1976년 [1]2월 1일)은 미국의 의사, 병리학자, 생물의학 연구자, 의과대학 교육자이자 행정가이다.위플은 빈혈의 [1][2]간 치료에 대한 발견으로 1934년 조지 리처드 미노, 윌리엄 패리 머피와 함께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이것은 위플을 [1][3]로체스터 대학에 소속된 여러 노벨상 수상자들 중 첫 번째가 되게 한다.
초기 생활
위플은 뉴햄프셔 [1]애쉬랜드에서 애슐리 쿠퍼 위플과 프랜시스 안나 호이트 사이에서 태어났다.애슐리 쿠퍼 위플은 의사였고, 그의 아버지(조지의 친할아버지)는 의사이자 뉴햄프셔 메디컬 [1][4][5]소사이어티의 회장이었다.휘플의 아버지는 조지가 두 살 [4][5]때 폐렴이나 장티푸스로 사망했다.그의 외할아버지도 위플이 2살 때 돌아가셨고, 친할아버지도 1년 [6]후에 돌아가셨다.이로 인해 휘플은 어머니인 프랜시스와 할머니인 프랜시스 무디 호이트에 의해 길러지게 되었고, 그녀는 그에게 근면과 [4][6]교육의 가치를 심어주었다.
휘플은 앤도버 예비학교에 다녔고 1896년에 예일대학교에 학부생으로 다니기 시작했고 1900년에 [1][4]A.B. 학위를 취득했다.이 몇 년 동안,[4] 그는 평생 간직할 친화력인 야외 활동가로 발전했다.그는 호숫가에서 자란 것에 대해 자서전에서 이렇게 썼다. "저는 시골에서 자라서 매우 행운이라고 생각합니다.저는 야생 생활과 캠핑, 하이킹, 스노우 슈, 스케이트, 밥 썰매, 카누, 낚시, 사냥에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이 모든 것이 제 삶의 필수적인 부분이었습니다.[6]그는 심지어 야외에 대한 그의 사랑을 일, 공부,[6] 그리고 가르치는 데 있어서 그의 성공에 기여한 것으로 돌렸습니다.예비학교와 학부 시절 여름, 그는 약국과 뉴햄프셔의 스캄 호수, 위니페소키 호수에서 관광객들과 [4][6]캠핑객들에게 도움과 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을 했다.그의 여름 경험에 대해 위플은 "가끔 나는 학교 [6]기간만큼 여름 근무 기간 동안 많은 것을 배웠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교육
학부 시절, 그는 베타 세타 파이 동호회 회원이 되었고, 상을 받은 체조 선수, 노잡이, 뛰어난 과학 [7]학생임을 증명했습니다.그의 과학에서의 우수성은 Sigma Xi의 우등 사회로의 선출과 수석 [4][5][6]졸업으로 증명되었다.휘플이 예일 대학 4학년 때 생화학자인 러셀 헨리 치텐든과 라파예트 멘델과 교류한 것은 그의 삶과 [4][8]경력에 지울 수 없는 흔적을 남겼다.위플은 자서전에서 멘델을 "나에게 강한 영향을 준 특이한 남자... 그와 함께 일하는 것은 흥분되고 잊혀지지 않았다"[6]고 묘사했다.
추가 교육을 위한 자금이 부족하자 휘플은 예일대를 졸업한 후 1년간 휴학했다.이 해 동안, 그는 Dr.에서 일했다.뉴욕 오시닝에 있는 홀브룩 군사학교는 수학과 과학을 가르치고 체육 [4][6]코치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1901년, 그의 어머니의 조언, 설득, 그리고 지도 아래, 휘플은 존스 홉킨스 [4]의과대학에 다녔다.그는 [1]1905년에 박사 학위를 받았다.경험을 쌓고 의과대학 연구에 보조금을 지급하기 위해, 휘플은 존 J. 아벨의 [4]생리학과의 조교직에 지원했고 합격했다.이후 1학년 해부학 과정에서의 성과로 [4]2학년 해부학 강사 자리를 얻었다.이 기간 동안, 조직학에 대한 그의 관심은 [4]발전했다.William Welch, Eugene Opie, 그리고 William McCallum의 조언 아래, Whipple은 부검에서 발견된 조직 [4]발견과 임상 질병과 질병을 연관시키도록 영감을 받았습니다.맥컬럼과 웰치는 함께 휘플이 소아 병리학자가 [4]될 수 있기를 바라며 휘플에게 병리학과의 후배 자리를 제공하기로 공모했다.결국, 휘플은 병리학자가 [4]되겠다는 그의 직업적 포부를 형성한 자리를 수락했다.
직업
1905년, 위플은 존스 홉킨스 의과대학의 병리학과에 [1]병리학과 조수로 입사했다.그는 1914년 [1]떠날 때까지 병리학 조교수, 강사, 부교수, 부교수로 연속 승진했다.이 기간 동안, 그는 파나마 안콘 병원에서 병리학자로 [1]1년을 보냈다.파나마에서 그는 열대병에 [4][8]대한 경험을 쌓기 위해 상주 병리학자인 사무엘 달링과 고가스 장군과 함께 일했다.이 경험은 그에게 흑수열과 [4]관련된 대규모 용혈을 연구할 기회를 주었다.파나마에서 보낸 후 존스 홉킨스 의과대학으로 돌아오기 전, 휘플은 유럽으로 여행을 가서 하이델베르크에 있는 크렐과 모라위츠의 연구실에서 시간을 보냈고 그곳에서 [4]토끼의 빈혈에 대해 배웠다.1911년, 휘플은 한스 [4]마이어와 함께 간문맥 혈류와 개의 간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비엔나로 갔다.
1914년 34세의 나이로 위플은 사우스캐롤라이나 찰스턴의 캐서린 볼 워링과 결혼했다.그들은 [1]두 아이를 가졌다.그는 또한 연구 의학 교수, 캘리포니아 대학 샌프란시스코 의과대학 [1]후퍼 연구 재단 이사로도 임명되었습니다.그는 1920년과 [1]1921년에 그 의과대학의 학장이었다.
1921년, 로체스터 대학 총장 벤자민 러쉬 레스의 끈질긴 노력으로, 휘플은 교수 겸 병리학 회장이 되고, 아직 건설되지 않은 의과대학(URMC)[9]의 설립 학장이 되는 것에 동의했습니다.Lees는 Whipple을 채용하기로 결심하고 UC San Francisco로 직접 날아가 의대를 처음부터 [4]세울 기회를 제공했습니다.Whipple은 이 제안이 임상 분야와 임상 전 [4]분야 간의 교류를 촉진하는 프로그램을 만들고자 하는 그의 열정을 충족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이라고 생각했습니다.이 학교에 대한 그의 비전에는 이러한 교류를 [8]촉진하기 위해 의과대학과 병원을 같은 부지에 수용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었다.최초의 학생들은 1925년에 [8]URMC에 입학했다.
은퇴.
1953년, 75세의 나이로 위플은 Deachim에서 은퇴했고,[4] 1955년에 대학에서의 은퇴가 뒤따랐다.그는 훌륭한 [9][10]선생님으로 기억되었다.위플은 자서전 'A Tween Doctors'에서 "나는 선생님으로 기억될 것이다"[6][11]라고 썼다.그는 은퇴 후 몇 년 동안 로체스터 대학에서 병리학과와 의과대학 활동을 하면서 보냈지만, 야외에서 꿩 사냥, 마가리 강에서 연어 낚시, 플로리다 [4]해안에서 타폰 낚시로 시간을 채우며 그의 근원으로 돌아갔습니다.
휘플은 1976년 97세의 나이로 사망했고 그의 유골은 로체스터의 마운트 호프 [8][12]묘지에 뿌려졌다.휘플 수술과 휘플의 삼합회를 묘사한 앨런 휘플과는 관련이 없었지만 두 사람은 평생 [13]친구였다.휘플 부부는 또한 로체스터에 본사를 둔 이스트먼 [14]코닥의 설립자인 조지 이스트먼과 깊은 우정을 가지고 있었다.
휘플의 연구
위플은 그의 경력 동안 300개 이상의 [4]출판물을 집필하거나 공동 집필했습니다.
그의 경력 동안 휘플의 연구 관심사는 주로 빈혈과 [1]간의 생리학과 병리학을 포함했다.그러나 그는 결핵, 췌장염, 동물의 클로로포름 중독, 담즙의 성분인 담즙 색소와 철분 대사, 혈장 단백질의 재생, 단백질 대사, [1]적혈구 간질 등에 대한 연구와 공헌도 했다.
그의 첫 출판물 중 하나는 결핵을 [4]일으키는 결핵균의 확산에 있어서 폐, 림프계, 위장관의 역할을 묘사했다.그의 또 다른 초기 출판물 중 하나는 소장과 림프절 [4]벽에 지방산이 축적된 환자의 부검 결과를 묘사했다.그는 이 이상을 장내지방증식증(Lipodystrophia generalis, 장내지방증식증)[4][8]이라고 명명하고 지질침적물의 세균원인을 정확히 지적해 위플병이라고 명명했다.
위플이 처음 존스 홉킨스 의과대학에 조수로 입사했을 때, 그는 윌리엄 H. 밑에서 일했다. 웰치,[1] 간세포의 회복과 재생에 집중해봐개를 대상으로 한 그의 연구는 간세포가 거의 무한대의 [1]재생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클로로포름 간 손상 연구를 통해 위플은 간이 피브리노겐 [4]합성 부위라는 것을 증명했다.그의 연구는 담즙 색소가 순환하여 [1]몸의 여러 부분에서 황달을 일으키는 경로를 설명했다.
나중에,[1] 그는 UC 샌프란시스코의 후퍼 재단에서 담즙 누공을 통해 간 밖에서 담즙 색소와 그 생성에 대해 연구했습니다.그의 관심은 곧 헤모글로빈이 어떻게 담즙 [1]색소로 대사되는지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헤모글로빈의 생산을 이해하는 것으로 확장되었다.Hooper와 공동 집필한 Whipple은 1915-1917년에 다음과 [4]같은 12개의 논문을 발표했다.
- 담즙 색소 빌리루빈은 근육 헤모글로빈의 분해 생성물이었지만 적혈구 헤모글로빈은 주요 정상 공급원이었다.
- 담즙 색소는 재흡수되지 않았고 새로운 적혈구 생산에 재사용되었다.
- 헤모글로빈의 헴 부분은 간뿐만 아니라 흉막강과 복막강 모두에서 빌리루빈으로 전환될 수 있다.
- 빌리루빈의 배설에는 정상적인 간 기능이 필수적이었다.
- 당, 아미노산 및 기아와 같은 식이 요인의 영향을 받는 빈혈의 적혈구 재생 곡선.
로체스터 대학에서 위플의 연구는 특히 빈혈 개들의 [1][2]장기 빈혈 회복에 기여하는 식단의 다양한 요소들을 연구하게 되었다.연구 조수인 Frieda Robscheit-Robbins(공식적으로 Frieda Robbins)와 함께 1925년부터 1930년까지 21개의 출판물을 공동으로 집필하여 다음과 [1][4]같은 내용을 보고하였다.
- 순환 혈장 및 헤모글로빈 볼륨
- 식사와 다른 요인들이 담즙염 생성과 분비에 미치는 영향
- 혈중 피브리노겐 측정
- 식이요법, 출혈, 간 손상 및 기타 요인이 혈장 피브리노겐 수준에 미치는 영향
- 단순 빈혈 후 혈액 재생
Whipple과 Robscheit-Robbins는 [8]"의학 분야에서 위대한 창조적 파트너십" 중 하나로 간주되었습니다.
1925년부터 시작된 "심각한 빈혈에서의 혈액 재생" 시리즈로 출판된 그의 획기적인 연구에서, 휘플은 빈혈 개에게 먹인 생간이 [1][2][4]적혈구 생성을 촉진함으로써 빈혈을 되돌리는 데 가장 효과적인 다이어트 첨가물이라는 것을 증명했다.그는 계속해서 동물 조직으로부터 유래한 음식과 조리된 살구 또한 [4]빈혈 동안 적혈구를 증가시키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이러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위플은 이러한 식이 요인의 철분 함량을 적혈구 [4]재생의 효능과 연관시켰다.이 데이터는 조지 R에 의한 치명적인 빈혈의 성공적인 간 치료로 이어졌다. 미노와 윌리엄 P. 머피,[9][8] 주요 치료 메커니즘이 철분 대신 B12를 통해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이전에는 치명적인 빈혈이 어린 [9]나이에 항상 치명적이었기 때문에 이것은 주목할 만한 발견이었다.이 분야에 대한 그의 공헌으로, 그는 1934년 미노,[1] 머피와 함께 노벨 생리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1937년, 휘플은 윌리엄 B와 협력했다.Hawkins는 [4]개에서 적혈구의 수명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합니다.동시에, 방사성 철의 출현과 함께, 휘플, 폴 F.한, 그리고 윌리엄 F.Bale은 철의 흡수 및 [4]사용률을 연구하기 위해 협력했습니다.그들은 소장에서 철분 흡수가 고도로 조절되고 [4]체내 철분 저장량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증명했다.그들은 또한 소량의 철분이 보통 소변, 대변 또는 [4]담즙에서 배설되거나 손실된다는 것을 증명했다.이 기간 동안, 휘플은 또한 혈장 [4]단백질 생성에 식이 단백질의 중요성을 증명한 초기 플라스마페레시스 실험을 바탕으로 "혈액과 조직 단백질 사이의 동적 균형"에 대한 그의 이론을 공식화했다.이것은 포유류의 단백질 대사에 대한 연구의 토대를 형성했고, 루돌프 쇤하이머는 생화학 및 [4]생물학의 현대시대를 기록하면서 신체 구성 요소의 동적 상태를 저술하게 했습니다.
1939년과 1943년 사이에 리언 L. 밀러와 휘플은 클로로포름 마취가 [4]개에게 미치는 간 독성의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협력했다.그들은 단백질이 고갈된 상태의 개들이 마취 15분 이내에 치명적인 간 손상을 입었다는 것을 알아냈다; 그러나 이러한 고갈된 개들에게 마취 전에 특히 L-메티오닌이나 L-시스틴이 풍부한 단백질이 풍부한 식사를 먹이는 것은 [4]보호적이었다.이 연구들과 다른 연구들은 위플이 S 함유 아미노산이 독성 [4]물질로부터 간을 보호한다는 결론을 내리게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휘플은 식이 아미노산의 조합,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및 혈장 단백질 [4]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테스트했습니다.그는 [4]개의 체중, 질소 균형, 혈장 단백질과 헤모글로빈 재생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대사 요건을 충족할 수 있는 아미노산 혼합물을 특징지을 수 있었다.이는 궁극적으로 이러한 아미노산 혼합물이 카제인의 효소적 소화와 함께 장기간에 걸쳐 정상적인 [4]위장 경로를 통해 영양분을 섭취할 수 없는 환자들에게 영양분을 지속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인간 임상 실험으로 이어질 것이다.비경구 영양이라고 불리는 정맥 영양은 오늘날 [4]일상적으로 사용된다.
노벨상, 명예와 훈장
휘플은 1934년 조지 R.와 함께 노벨 생리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미노와 윌리엄 P.머피는 [2]"빈혈 환자의 간 치료에 관한 그들의 발견을 위해"
노벨상 발표에 있어서, 교수 I.노벨상 위원회의 홀그렌은 "3명의 수상자 중 현재 상을 받은 조사에 처음 몰두한 사람은 휘플이었다"고 말했다.Whipple의 실험은 매우 잘 계획되었고 매우 정확하게 수행되었으며, 결과적으로 그들의 결과는 절대적인 신뢰성을 주장할 수 있다.위플의 조사와 결과는 미노와 머피에게 치명적인 빈혈의 경우에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주었다."[9][15]위플이 혈액 상실로 인한 빈혈에 대한 실험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 그런 종류의 음식을 사용함으로써."
휘플은 아테네 대학과 [1]글래스고를 포함한 여러 미국 및 국제 대학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1930년, 미노와 함께, 그는 대중 과학 월간 금메달과 연간 [1]상을 받았습니다.1934년, 그는 필라델피아 [1]병리학회 윌리엄 우드 게르하르트 금상을 수상했습니다.
그는 또한 다음과 같은 [1][4]조직의 멤버이기도 했다.
- 록펠러 재단, 수탁자
- 비엔나 의사협회, 통신회원
- 부다페스트 왕립 의사회
- 유럽 혈액학회
- 영국 의사 협회, 해외 통신 회원
- 영국 아일랜드 병리학회 명예회원
- 미국철학회 명예회원
- 실험생물학의학회 명예회원
- 록펠러 연구소 과학 이사회의 멤버
- Rockefeller Institute 이사회, 이사, 부회장 및 명예 수탁자
「 」를 참조해 주세요.
- 그의 출생지인 휘플 하우스(뉴햄프셔주 애쉬랜드)
- 뉴햄프셔 역사 표지 100호: 조지 호이트 위플
추가 정보
- Ortiz-Hidalgo, C (2002). "[George H. Whippl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in 1934. Whipple's disease, pernicious anemia, and other contributions to medicine]". Gaceta Médica de México. 138 (4): 371–6. PMID 12200882.
- Raju, TN (January 1999). "The Nobel chronicles. 1934: George Hoyt Whipple (1878–1976); George Richard Minot (1885–1950); William Perry Murphy (1892–1987)". Lancet. 353 (9148): 247. doi:10.1016/S0140-6736(05)77266-4. PMID 9923916. S2CID 54322564.
- Sparkman, RS (September 1995). "Two physicians named Whipple". Am. J. Surg. 170 (3): 306–7. doi:10.1016/S0002-9610(05)80024-8. PMID 7661304.
- Miller, LL (1995). "George Hoyt Whipple – August 28, 1878 – February 2, 1976". Biographical Memoir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66: 371–93. PMID 11616328.
- Carlsson, M; Wiberg J (April 1989). "[The man behind the syndrome: George Hoyt Whipple. He was the first one to theorize on infectious causes of a rare systemic disease]". Läkartidningen. 86 (14): 1271–4. PMID 2468979.
- Diggs, LW (November 1976). "Dr. George Hoyt Whipple". The Johns Hopkins Medical Journal. 139 (5): 196–200. PMID 792552.
- Harvey, AM (1976). "Teacher and distinguished pupil: William Henry Welch and George Hoyt Whipple". Johns Hopkins Med. J. Suppl.: 39–48. PMID 801545.
- Rijlant, P (1976). "[Note on the life and work of Professor George Heyt Whipple, foreign honorary member (1878–1976)]". Bull. Mem. Acad. R. Med. Belg. 131 (3–4–5): 139–43. PMID 798621.
- Young, LE (1976). "George Hoyt Whipple 1878–1976". Trans. Assoc. Am. Physicians. 89: 34–7. PMID 798387.
- Sulek, K (April 1968). "[Nobel prize in 1934 for G.H. Whipple, G.R. Minot and W.P. Murphy for discovery of treatment of anemia with liver extracts]". Wiad. Lek. 21 (7): 627–9. PMID 4876155.
- Corner, GW (July 1963). "George Hoyt Whipple, Nobel Prize Pathologist". Transactions & Studies of the College of Physicians of Philadelphia. 31: 40–1. PMID 14044626.
레퍼런스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George H. Whipple – Biographical". www.nobelprize.org. Retrieved 2017-10-10.
- ^ a b c d "George H. Whipple – Facts". www.nobelprize.org. Retrieved 2017-10-11.
- ^ "Tradition of Discovery :: Research :: University of Rochester". rochester.edu. Retrieved 2017-10-11.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ai aj ak al am an ao ap aq ar as at au av Miller, Leon L. (1995). George Hoyt Whipple Biographical Memoirs V.66.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doi:10.17226/4961. ISBN 978-0-309-05237-5.
- ^ a b c Corner, George W. (1983). "George Hoyt Whipple and his friends; The life story of a Nobel Prize pathologist".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Philadelphia: Lippincott. 115 (3): 363–364. doi:10.1001/archinte.1965.03860150107025.
- ^ a b c d e f g h i j Whipple, George Hoyt (1959). "Autobiographical Sketch". Perspectives in Biology and Medicine. 2 (3): 253–289. doi:10.1353/pbm.1959.0003. ISSN 1529-8795. PMID 13645198. S2CID 45464654.
- ^ Catalogue of Beta Theta Pi. 1905.
{{cite book}}
: CS1 maint :url-status (링크) - ^ a b c d e f g h Whipple, G. H. (1976-02-21). "Obituary notices". British Medical Journal. 1 (6007): 468–470. doi:10.1136/bmj.1.6007.468. ISSN 0007-1447. PMC 1638905. PMID 56205.
- ^ a b c d e "Who is George H. Whipple? – George H. Whipple Lab for Cancer Research – University of Rochester Medical Center". www.urmc.rochester.edu. Retrieved 2017-10-11.
- ^ 로렌 5세의 자전적 기록들애커맨.IN: 로사이 J(Ed): 미국 병리학 등록부, 워싱턴 D.C., 1997; 페이지 275-285.
- ^ Mottram, M. E. (1964-04-01). "A Dozen Doctors. Autobiographic Sketche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60 (4): 751. doi:10.7326/0003-4819-60-4-751_2. ISSN 0003-4819. PMC 1515522.
- ^ 무덤을 찾은 조지 호이트 휘플
- ^ Haubrich, William S. (1999). "Whipple of Whipple's disease". Gastroenterology. 117 (3): 576. doi:10.1016/S0016-5085(99)70485-3.
- ^ "University of Rochester Library Bulletin: The Whipples and George Eastman RBSCP". rbscp.lib.rochester.edu. Retrieved 2017-10-11.
- ^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1934: Presentation Speech". Retrieved 3 January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