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비드 칼슨

Arvid Carlsson
아르비드 칼슨
Arvid Carlsson 2011a.jpg
2011년 칼슨
태어난(1923-01-25) 1923년 1월 25일
스웨덴, 웁살라
죽은2018년 6월 29일(2018-06-29) (95세)
스웨덴, 예테보리
국적.스웨덴어
모교룬드 대학교
로 알려져 있다도파민
어워드늑대 의학상 (1979)
재팬상 (1994)[1]
펠트리넬리 국제상 (1999)
노벨 생리의학상 (2000)
과학 경력
기관예테보리 대학교

아르비드 칼손(Arvid Carlsson, 1923년 1월 25일 ~ 2018년 [2][3][4]6월 29일)은 스웨덴신경약리학자신경전달물질 도파민과 파킨슨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도파민에 대한 그의 연구로, 칼슨은 2000년에 에릭 칸델, [5][6]그린가드함께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초기 생활과 교육

칼슨은 1923년 1월 25일 스웨덴 웁살라에서 4남매 중 하나로 태어났다.그의 아버지가 룬드 대학의 역사 교수가 된 후 그의 가족은 룬드로 이사했다.비록 그의 두 형들이 그들의 아버지의 진로를 따랐지만,[4][7] 그는 대신 1941년부터 룬드에서 의학을 공부하는 것을 선택했다.

1944년 그는 스웨덴 귀족 폴케 베르나도트[4][7]제2차 세계대전 당시 중립이었던 스웨덴으로 데려온 나치 강제수용소 포로들을 조사하는 작업에 참여했다.그는 1951년에 [4]약리학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직업

1951년 칼슨은 룬드 대학의 부교수가 되었다.그는 미국 메릴랜드주 베데스다의 국립심장연구소에서 약학자 버나드 베릴 브로디의 연구원으로 5개월을 보냈고, 정신약리학으로 연구의 초점을 바꾼 것이 결국 노벨상 수상으로 이어졌다.[4]1959년에 그는 예테보리 [4][7]대학의 교수가 되었다.

1957년 Katharine Montagu는 인간의 뇌에서 도파민의 존재를 증명했다; 같은 해 후반 Carlsson은 도파민이 단순히 노르에피네프린[8][9]전구체가 아니라 뇌의 신경전달물질이라는 것을 또한 증명했다.칼슨은 뇌 조직의 도파민 양을 측정하는 방법을 개발했습니다.그는 움직임에 중요한 뇌 부위인 기저신경절의 도파민 수치가 특히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그리고 나서 그는 동물들에게 약물 레세린을 투여하면 도파민 수치 감소와 운동 제어의 상실을 초래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이러한 영향은 파킨슨병의 증상과 비슷했다.도파민의 전구체인 L-Dopa를 이 동물들에게 투여함으로써 그는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었다.이러한 발견으로 인해 다른 의사들은 파킨슨병 환자들에게 L-Dopa를 사용하려고 시도했고, 그것은 질병의 초기 단계에서 일부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L-Dopa는 여전히 파킨슨병을 [5]치료하는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의 기초이다.

Carlson은 1970년대와 1980년대에 [10]제약 회사 Astra AB( AstraZeneca)와 협력했습니다.그와 그의 동료들은 브롬페닐라민으로부터 [5]최초로 시판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인 지멜리딘을 추출할 수 있었다.지멜리딘은 이후 길랭-바레 [11]증후군의 드문 사례로 인해 시장에서 철수했지만, 칼슨의 연구는 세계에서 [7]가장 널리 사용되는 처방약 중 하나인 플루옥세틴(Prozac)의 길을 열었다.

칼슨은 90세 이상에도 여전히 활발한 연구자이자 연설가였으며 그의 딸 레나와 함께 뇌졸중 후 [13]피로 증상을 완화하는 도파민 안정제인 OSU6162를 연구했다[12].

영예와 상

칼슨은 뇌의 화학적 신호와 그에 따른 파킨슨병 치료법에 대한 연구를 통해 2000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으며, 이 상을 폴 그린가드, 에릭 R.[4][7] 칸델과 함께 받았다.그는 이스라엘의 울프 의학상(1979년), 일본상(1994년),[7] 이탈리아의 펠트리넬리상(1999년)[14]을 포함한 많은 상을 수상했다.그는 [4]1975년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사생활

칼슨은 1945년에 울라-리사 크리스토퍼슨과 결혼했고 그들은 3명의 아들과 2명의 딸을 두었다.그의 딸 마리아는 그의 실험실[4][7] 관리자였고 그의 딸 레나는 그의 협력자 중 [12]한 명이었다.

그는 스웨덴의 [15][16][17]식수 불소화에 반대했다.그는 동종요법의 목소리를 높여 반대했으며 [2]스웨덴에서 동종요법 제제가 의약품으로 분류되는 것을 막기 위해 노력했다.

칼슨은 2018년 6월 [4][7]29일 9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레퍼런스

  1. ^ 일본상 수상자재팬상
  2. ^ a b "Nobelpristagaren Arvid Carlsson död". Upsala Nya Tidning. 30 June 201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July 2018. Retrieved 30 June 2018.
  3. ^ "In memory of Arvid Carlsson (1923-2018)". Sahlgrenska Academ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July 2018. Retrieved 30 June 2018.
  4. ^ a b c d e f g h i j Gellene, Denise (1 July 2018). "Arvid Carlsson, Who Discovered a Treatment for Parkinson's, Dies at 95".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3 July 2018.
  5. ^ a b c Barondes, Samuel H. (2003). Better Than Prozac.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p. 21–22, 39–40. ISBN 978-0-19-515130-5.
  6. ^ 레즈프리 노벨상2001. 노벨상 2000, 편집자 Tear Fréngsmyr, 노벨 재단:스톡홀름.
  7. ^ a b c d e f g h Smith, Harrison (2 July 2018). "Arvid Carlsson, Nobel laureate who uncovered a treatment for Parkinson's, dies at 95". Washington Post. Retrieved 3 July 2018.
  8. ^ Carlsson, Arvid; Lindqvist, Margit; Magnusson, Tor (November 1957). "3,4-Dihydroxyphenylalanine and 5-hydroxytryptophan as reserpine antagonists". Nature. 180 (4596): 1200. Bibcode:1957Natur.180.1200C. doi:10.1038/1801200a0. PMID 13483658. S2CID 28141709.
  9. ^ Abbott A (2007). "Neuroscience: the molecular wake-up call". Nature. 447 (7143): 368–70. Bibcode:2007Natur.447..368A. doi:10.1038/447368a. PMID 17522649. S2CID 4425376.
  10. ^ Squire, Larry R. (1998). The History of Neuroscience in Autobiography. Elsevier. p. 53. ISBN 978-0-08-053405-3.
  11. ^ "History: Discovery of the SSRIs (long) Psycho-Babble". www.dr-bob.org. Retrieved 22 June 2016.
  12. ^ a b "Publications card". University of Gothenburg. 25 November 2010. Retrieved 22 June 2016.
  13. ^ "Arvid Carlsson and Lena Carlsson". www.BrainMessenger.se. Retrieved 22 June 2016.
  14. ^ "Accademia Nazionale dei Lincei - Premi e borse di studio - Premi "Antonio Feltrinelli" finora conferiti". Accademia dei Lincei (in Itali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July 2014. Retrieved 3 July 2018.
  15. ^ 먹는 물에 있는 불소는 암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Svenska Dagbladet(스웨덴어)
  16. ^ Torell P, Forsman B (February 1979). "[Arvid Carlsson's fluoride ponderings 1978]". Tandlakartidningen (in Swedish). 71 (3): 142–57. PMID 287207.
  17. ^ 브라이슨 C. (2004) 불화물 속임수7층 신문, 페이지 240ISBN 1583225269.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