겟첼라이트

Getchellite
겟첼라이트
Getchellite.jpg
키르기스스탄 오슈 주, 페르가나 계곡 카이다르칸에서 온 게첼라이트.표본 크기는 3.6cm이다.
일반
카테고리황화물광물
공식
(기존 단위)
AsSBS3
IMA 기호얻다[1]
스트룬츠 분류2.FA.35
다나구분2.11.1.2
크리스털 시스템단음이의
크리스털 클래스프리즘(2/m)
(동일한 H-M 기호)
스페이스 그룹P21/a
식별
공식 질량293.81 g/190
짙은 빨강, 때로는 보라색에서 초록색 무지개빛의 타르니쉬가 있다.
수정습관부면 결정체 및 편평한 질감의 질량
트윈닝{001}과(와) 평행한 쌍둥이 평면 및 합성 평면을 가진 단순 및 폴리합성 쌍둥이
클라바주{001}에 완벽함
골절스플린터리
고집종파; 갈라진 조각은 유연하고 비탄성적이다.
모스 눈금 경도1.5 대 2
루스터갈라진 표면의 진주성, 그렇지 않으면 수지성
스트릭주황색빨강
발데인성투명
비중3.92 (1998년) 4.0 (1998년)
광학 특성이축(+), 2V=46°
굴절률n = 2.210.산포 r > v strong
녹는점340 °C ~ 355 °C
기타 특성방사능이 아님
참조[2][3][4]
지역 유형인 겟첼 광산의 레드 겟첼라이트, 옐로우 오르피멘트.

겟첼라이트는 1963년 뉴질랜드 과학산업연구부 B. G. 와이스버그가 발굴해 1965년 국제광물학회에서 신종으로 승인한 희귀 황화 비소·안티몬 AsSbS이다3.많은 금속 황화물은 회색에서 검은색이지만, 몇몇은 밝은 색을 띤다.오피멘트는 황색에서 황색, 시나바는 진한 빨강, 겟셸은 밝은 주황색 빨강이다.

열적 특성

겟첼라이트는 열을 받으면 더 진한 붉은색으로 변하며, 녹는점에 도달할 때쯤이면 검은색으로 변한다.이 온도에 근접하면 서브라이밍(고체에서 증기로 직접 변화)하고, 미세한 고환 블랙 결정으로 냉각기 표면에서 재스트리밍한다.
용해 지점: 340 °C ~ 355 °C.비등점: 약 470°C.[5]

구조

비소와 안티몬인 반메탈 원자는 각각 3개의 유황 원자에 결합되어 주기율표 V 그룹에 있는 원소의 삼각 피라미드 특성을 형성한다.이것들(As,Sb)S3 피라미드는 8-membed (As,Sb)8S8 고리를 형성하며, 각 황 원자는 (001과 평행하게 시트를 형성하며, 두 개의 반메탈 원자에 결합된다.[6]금속 부지의 점유는 질서 정연하지 않으며, 시트 내에서 8-membed 링은 시트의 평면에 대해 보통 방향이다.시트 구조는 getchellite[7] 유닛 셀 a = 11.949 å; b = 9.028 å; c = 10.130 å; β= 116.15°의 갈라짐 및 트윈 면에 대한 책임이 있다.V = 980.9 å3; Z = 8.[6] 공간 그룹 P21/a.[8]

분말 회절

X선 분말 회절:[5]
d 간격 2.89 4.44 3.63 2.54 2.33
상대 강도 10 8 7 6 6

디스커버리

1962년 8월 웨이스버그는 미국 네바다주 험볼트 카운티골콘다 북동쪽 약 32km 지점에 있는 애덤 피크에 있는 겟셸 광산을 방문했다.그의 방문 목적은 새로운 광물을 찾기 위해서가 아니라, 꽤 흔한 다양한 황화물의 관계를 연구하기 위해 샘플을 수집하는 것이었다.겟첼라이트는 일부 표본에 들어 있었으나 1년 후 암석을 재조사할 때까지 발견되지 않았다.이 새로운 광물은 게첼 광산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고, 그 광산은 결국 일종의 지역성이 되었다.[5]광산에서 채취한 샘플은 미국 워싱턴 D.C. 스미스소니언 국립자연사박물관에 유형자료(광물의 참고자료)로 보존돼 있다.[9]

환경

지역 유형에서 getchellite는 간판, 아길라이트(진정한 진흙과 오물), 그리고 그라노다이오라이트 침입 근처의 리메스톤을 가로지르는 좁고 가파르게 담그는 단층 구역표피(저온에서 형성된) 비소 금 퇴적물에서 발견된다.
관련 미네랄은 오피멘트, 리얼가, 스티브나이트, 씨나바, 쿼츠와 더불어 갈카이트, 라피트라이트, 샤부르네이트, 크리스타이트, 로란다이트, 마르카사이트, 바라이트, 플루오라이트, 석회석 등이 있다.[5][4]

분배

겟첼라이트미국 네바다주, 아제르바이잔, 중국, 이란, 일본, 키르기스스탄, 러시아 등지에서 발견된다.[3]

합성

Getchellite는 2600 C.와 1,000 bars 압력의 황화 나트륨 용액에서 AsSbS36 유리로 합성되었다.[5]

참조

  1. ^ Warr, L.N. (2021). "IMA–CNMNC approved mineral symbols". Mineralogical Magazine. 85 (3): 291–320. Bibcode:2021MinM...85..291W. doi:10.1180/mgm.2021.43. S2CID 235729616.
  2. ^ "Getchellite Mineral Data".
  3. ^ a b http://www.mindat.org/min-1686.html Mindat.org
  4. ^ a b http://rruff.geo.arizona.edu/doclib/hom/getchellite.pdf 광물학 핸드북
  5. ^ a b c d e 와이스버그, B G, 미국 광물학자(1965) 50쪽 1817~1826
  6. ^ a b Kyono, Atsushi; Kimata, Mitsuyoshi (2004). "Structural reinvestigation of getchellite As0.98Sb1.02S3.00". American Mineralogist. 89 (5–6): 696–700. Bibcode:2004AmMin..89..696K. doi:10.2138/am-2004-5-603. S2CID 101745540.
  7. ^ Guillermo, T.R.; Wuensch, B.J. (November 1973). "The crystal structure of getchellite, AsSbS3". Acta Crystallographica. B29 (11): 2536–2541. doi:10.1107/S0567740873006965.
  8. ^ 게인스 외 알(1997) 다나의 신광물학 제8판, 와일리
  9. ^ "Mineral Sciences Collections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