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택이 나는 따오기
Glossy ibis광택이 나는 따오기 | |
---|---|
![]() | |
상단: 비육종 깃털, 하단:사육 깃털 | |
![]() | |
과학적 분류 ![]() | |
왕국: | 애니멀리아 |
문: | 챠다타 |
클래스: | 아베스 |
주문: | 펠레카니폼스과 |
패밀리: | 타르키오르니테스과 |
속: | 뿌레가디스 |
종류: | 팔시넬루스 |
이항명 | |
히가시네루시카도리 린네, 1766년 | |
![]() | |
영어: 따오기의 지리적 분포..mw-parser-output .legend{page-break-inside:을 피하;break-inside:avoid-column}.mw-parser-output .legend-color{디스플레이:inline-block, min-width:1.25em, 높이:1.25em, line-height:1.25;마진:1px 0;text-align:중심;국경:1px 어두운;background-color:투명하게, 색: 검은}.mw-parser-output .legend-text{}사육장 이주 Year-round Nonbreedin.g | |
동의어 | |
광택이 나는 따오기(Plegadis falcinelus)는 따오기목 따오기목 따오기목 물새이다.학명은 고대 그리스 플레가도스와 라틴어 falcis에서 유래했는데, 둘 다 "아픈"을 의미하고 [2]부리의 독특한 모양을 가리킨다.
분배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호주,[3][4] 대서양과 카리브해 지역의 따뜻한 지역에서 번식하는 따오기 중 가장 널리 분포하는 종이다.그것은 구세계에서 유래하여 19세기에 아프리카에서 남아메리카 북부로 자연스럽게 퍼진 것으로 생각되며,[5] 그곳에서 북아메리카로 퍼져나갔다.광택이 나는 따오기는 1817년(뉴저지)에 신세계에서 처음 발견되었다.오듀본은 1832년 플로리다에서 딱 한 번 그 종을 보았다.1940년대에는 북쪽으로, 1980년대에는 서쪽으로 [5]그 범위를 크게 확장했다.이 종은 철새이다; 대부분의 유럽 새들은 아프리카에서 겨울을 나고, 북미의[6] 새들은 캐롤리나 산맥 북쪽에서 더 남쪽으로 겨울을 난다.일반적으로 인도에서는 이동성 종으로 추정되지만, 광택이 나는 따오기는 인도 [7]서부에 서식합니다.다른 개체군의 새들은 번식기를 벗어나 널리 흩어질 수 있다.유럽에서는 일반적으로 감소하고 있지만, 최근에는 스페인 남부에서 번식 군락을 형성하고 있으며,[8] 2010년에는 적어도 22마리의 스페인 새들이 영국과 아일랜드에서 겨울을 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2014년, 한 쌍이 링컨셔에서 번식을 시도했는데, 이는 영국에서 처음 있는 시도입니다. 몇몇 새들이 현재 대부분의 여름을 아일랜드에서 보내고 있지만, 번식의 증거는 현재 없습니다.뉴질랜드에서는, 매년 몇 마리의 새들이 그곳에 도착하는데, 대부분 7월에; 최근 한 쌍은 로열 저어새 [10]군락에서 번식한다.
행동
광택이 나는 따오기들은 번식 후 분산운동을 하며 매우 유목적이다.더 북쪽의 개체군은 완전히 이주하고 사하라 사막을 가로질러 넓은 전선을 따라 이동한다.흑해에 서식하는 따오기들은 겨울보다는 사헬과 서아프리카를 선호하는 것으로 보이며, 카스피해에 서식하는 따오기들은 동아프리카, 아라비아 반도, 그리고 파키스탄과 [11]인도까지 멀리 이동하는 것으로 밝혀졌다.인도 서부의 광택이 나는 따오기의 수는 계절에 따라 크게 달라져 겨울과 여름에 가장 많은 수가 보이고 몬순에 급격히 감소하여 [7]번식하기에 적합한 지역으로의 지역 이동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온대 지역의 개체군은 봄철에 번식하는 반면 열대성 개체군은 장마철에 맞춰 둥지를 튼다.둥지는 종종 잡종 군집이다.둥지를 틀지 않으면, 100마리 이상의 무리가 이동 중에 발생할 수 있으며, 겨울이나 건기에는 보통 작은 무리를 지어 먹이를 찾아다닌다.광택이 나는 따오기들은 종종 밤에 다른 종들과 함께 큰 무리를 지어 공동생활을 하며, 때로는 습지 먹이 지역에서 다소 떨어진 나무에서 잠을 잔다.
서식지
광택이 나는 따오기들은 매우 얕은 물에서 먹이를 먹고 갈대, 파피루스 또는 관목과 같은 키가 크고 울창한 초목과 낮은 나무 또는 덤불이 있는 담수 또는 기수 습지에 둥지를 튼다.호수와 강의 가장자리에 있는 습지를 선호하지만, 석호, 범람원, 습한 목초지, 늪지, 저수지, 하수 연못, 논, 관개 농경지에서도 볼 수 있다.인도 서부의 농지를 이용할 때, 따오기들은 여름에 습지가 200ha 이상인 지역을 사용하고, [7]다른 계절에는 습지가 중간 정도 있는 지역(50-100ha)을 사용하는 것을 계절에 따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하구, 삼각주, 염습지, 해안 석호와 같은 해안 지역에서 덜 흔하게 발견된다.선호하는 보금자리 장소는 일반적으로 먹이 구역에서 멀리 떨어져 있을 수 있는 큰 나무이다.
사육
둥지는 보통 물 위로 최소 1m(3.3ft) 이상에 위치한 잔가지와 식물로 이루어진 플랫폼이며, 때로는 키가 크고 빽빽한 초목, 낮은 나무 또는 덤불에 7m(23ft)까지 있다.3~4개의 알을 낳고, 수컷과 암컷 모두 20일에서 23일 동안 부화한다.새끼를 낳는 것은 약 7일 후에나 가능하지만, 어미들은 6주에서 7주 동안 먹이를 계속 준다.어린 날개는 약 28일 [1]후에 태어난다.
다이어트
따오기의 먹이는 계절에 따라 다르며, 먹을 수 있는 것에 따라 매우 달라진다.먹잇감은 물풍뎅이, 잠자리, 담쟁이, 메뚜기, 귀뚜라미, 파리, 캐디스, 거머리, 연체동물(달팽이, 홍합 등), 갑각류(게, 가재 등), 때로는 물고기, 양서류, 도마뱀, 작은 뱀, 둥지새 등의 [1]성충과 애벌레 곤충을 포함한다.
묘사
이 종은 중형 따오기입니다.몸길이는 48~66cm(19~26인치)로 평균 약 59.4cm(23.4인치)이며 날개폭은 [12][13]80~105cm(31~41인치)이다.암각의 길이는 9.7~14.4cm(3.8~5.7인치), 각 날개는 24.8~30.6cm(9.8~12.0인치), 꼬리는 9~11.2cm(3.5~4.4인치), 꼬리뼈는 6.8~11.3cm(2.7~4.4인치)[13]이다.따오기의 체중은 485~970g(1.069~2.138파운드)[13]입니다.다 자란 성충은 적갈색 몸과 빛나는 병록색 날개를 가지고 있다.비육종자와 청소년은 몸이 더 둔하다.이 종은 갈색 부리, 청회색(비번식)에서 코발트색(번식), 적갈색 다리를 가지고 있다.왜가리와 달리 따오기들은 목을 길게 뻗고 날며 우아하고 종종 V자 형태로 비행한다.그것은 또한 빛나는 깃털을 가지고 있다.
이 다소 조용한 따오기가 내는 소리는 번식할 때 내는 쉰 지저귀는 소리를 포함하여 다양한 개굴거림이나 끙끙거리는 소리를 포함합니다.
보존.
따오기는 아프리카-유라시아 철새 보존 협정(AEWA)이 적용되는 종 중 하나이다.광택이 나는 따오기들은 배수, 염분 증가, 지하수 추출, 외래 [1]식물의 침입으로 습지 서식지의 열화와 파괴에 위협을 받을 수 있다.
일반적인 이름인 블랙컬루는 광택이 나는 따오기를 가리키는 말일 수 있으며, 이 이름은 앵글로색슨 [14]문헌에 등장한다.얄든과 알바렐라는 이 [15]종이 중세 영국에서 발생했다고 언급하지 않았다.
레퍼런스
- ^ a b c d BirdLife International (2019) [amended version of 2016 assessment]. "Plegadis falcinellus".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9: e.T22697422A155528413. doi:10.2305/IUCN.UK.2019-3.RLTS.T22697422A155528413.en. Retrieved 28 June 2021.
- ^ Jobling, James A (2010).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London: Christopher Helm. pp. 157, 310. ISBN 978-1-4081-2501-4.
- ^ Olson, S.L.; James, H.F.; Meister, C.A. (1981). "Winter field notes and specimen weights of Cayman Island birds". Bulletin of the British Ornithologists' Club. 101: 339–346. ISSN 0007-1595.
Wetmore observed an adult and an immature with herons in the West Bay district, 3 February 1972. Johnston et al. (1971) list but one sighting on GC (Grand Cayman) and 2 on CB (Cayman Brac).
- ^ Santoro, Simone; Sundar, K.S.G.; Cano-Alonso, L.S. (2019). "Glossy Ibis ecology and conservation". SIS Conservation. 1: 1–148. ISBN 978-2-491451-01-1.
- ^ a b Patten, Michael A.; Lasley, Greg W. "Range Expansion of the Glossy Ibis in North America" (PDF). North American Birds. 54 (3): 241–247.
- ^ Taft, Dave (28 June 2013). "Glossy Ibises Are Like 21st-Century Pterodactyls".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29 June 2013.
- ^ a b c Sundar, K.S.G.; Kittur, S. (2019). "Glossy Ibis Distribution and Abundance in an Indian Agricultural Landscape: Seasonal and Annual Variations" (PDF). SIS Conservation. 1: 135–138.
- ^ Hudson N. & the Rarities Committee (2010). "Report on Rare Birds in Great Britain". British Birds. 104: 557–629.
- ^ "Glossy ibis in nest attempt at Frampton Marshes". BBC News. 18 August 2014.
- ^ "Glossy ibis Plegadis falcinellus (Linnaeus, 1766)". New Zealand Birds Online. Retrieved 16 January 2019.
- ^ Santoro, S.; Champagnon, J.; Kharitonov, S.P.; Zwarts, L.; Oschadleus, H.D.; Manez, M.; Samraoui, B.; Nedjah, R.; Volponi, S.; Cano-Alonso, L.S. (2019). "Long-distance Dispersal of the Afro-Eurasian Glossy Ibis From Ring Recoveries" (PDF). SIS Conservation. 1: 139–146.
- ^ "Glossy ibis videos, photos and facts – Plegadis falcinellus". ARKiv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03-27. Retrieved 5 March 2013.
- ^ a b c Hancock, James A.; Kushan, James A.; Kahl, M. Philip (1992). Storks, Ibises, and Spoonbills of the World. Academic Press. ISBN 978-0-12-322730-0.
- ^ "Definition of black curlew". Merriam-Webster. Retrieved 4 January 2019.
- ^ Yalden, D.W.; Albarella, U. (2009). The History of British Birds.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58116-0.
추가 정보
- Cramp, Stanley; Perrins, C.M.; Brooks, Duncan J., eds. (1994). Handbook of the Birds of Europe,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The Birds of the Western Palearctic.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8546795.
- Field Guide to the Birds of North America (4th ed.). National Geographic Society.
외부 링크
- Plegadis falcinelus의 BirdLife 종 팩트시트
- 광택이 나는 따오기 - 남아프리카 새의 지도
- Glossy Ibis 종 계정 – Cornell 조류학 연구소
- "Glossy Ibis media". Internet Bird Collection.
- 광택이 나는 따오기풀풀시넬루스 - eNature.com
- Flickr 필드 가이드 사진 페이지
- VIREO(Drexel University) 광택 아이비스 사진 갤러리
- IUCN 적색 목록 지도의 Plegadis falcinelus 대화형 범위 지도
- http://bo.adu.org.za/pdf/BO_2016_07-101.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