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린드르 반란
Glyndŵr rebellion글린드르 반란 | |||||||||
---|---|---|---|---|---|---|---|---|---|
![]() 오와인 글린데르와 웨일스 반군의 초상 | |||||||||
| |||||||||
교전국 | |||||||||
![]() ![]() | ![]() | ||||||||
지휘관 및 지도자 | |||||||||
![]() ![]() ![]() ![]() ![]() ![]() | ![]() ![]() ![]() ![]() ![]() |
글린데어 반란()은 중세 후기 오와인 글린데어가 잉글랜드 왕국에 대항하여 일으킨 웨일스의 반란입니다.1403년과 1406년 사이의 반란이 절정에 달했을 때, 오웨인은 웨일스에서 가장 강력한 영국 성 몇 개를 점령한 후 웨일스의 대부분에 대한 통제권을 행사했고, 마킬레에 의회를 구성했습니다.이 반란은 1543년 웨일스가 영국에 합병되기 전까지 웨일스 독립의 마지막 주요 징후였습니다.
이 봉기는 1400년에 몇몇 웨일스 왕가의 후손인 오와인 글린드르가 이웃한 영국 군주와의 분쟁 이후 웨일스 왕자의 칭호를 주장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1404년, 성공적인 성 포위전과 전장에서의 승리 후, 오와인은 스코틀랜드, 프랑스, 스페인, 그리고 브르타뉴 사절들이 있는 곳에서 웨일스 공으로 즉위했습니다.그는 국회를 소집하여 하이웰다의 전통적인 웨일스 법을 재도입하고, 독립적인 웨일스 교회를 설립하고, 두 개의 대학을 건설할 계획을 발표했습니다.오와인은 또한 프랑스의 샤를 6세와 동맹을 맺었고, 1405년 프랑스 군대가 반란을 지원하기 위해 웨일스에 상륙했습니다.
1406년 초, 오와인의 군대는 웨일스의 남동쪽에 있는 그로스몬트와 우스크에서 패배를 당했습니다.1400년부터 1406년까지 반란의 초기 성공에도 불구하고, 웨일스인들은 심각하게 수적으로 열세였고 웨일스인들은 영국군에 의한 약탈과 폭력과 결합된 잉글랜드의 봉쇄로 점점 더 지쳐갔습니다.
1407년까지 영국군은 앵글시와 남부 웨일스의 많은 부분을 탈환했습니다.1408년에 그들은 애버리스트위스 성을 점령했고, 1409년 2월에 할렉 성을 점령하여 오웨인의 영토 통치를 효과적으로 종식시켰습니다.그는 새로운 왕 헨리 5세의 사면 제안을 두 번 무시했고, 웨일스의 저항은 게릴라 전술을 사용하여 몇 년 동안 나라의 작은 주머니에서 계속되었습니다.오와인은 그가 사망한 것으로 기록된 1415년에 사라졌습니다.그의 아들인 마레두드 압 오와인은 1421년 헨리 5세의 사면을 받아들였고, 공식적으로 반란을 종식시켰습니다.
배경
리처드 2세의 몰락
14세기의 마지막 10년 동안, 영국의 리처드 2세는 그의 왕국에 대한 그의 지배력을 공고히 하고 그의 권위를 끊임없이 위협하는 거물들의 권력을 무너뜨리려는 대담한 계획을 시작했습니다.이 계획의 일부로, 리차드는 그의 권력 기반을 남동쪽과 런던에서 체셔 카운티로 옮기기 시작했고, 근처 웨일스에서 체계적으로 그의 권력을 구축했습니다.웨일스는 반자치적인 봉건 국가, 주교국, 샤이어, 그리고 직접적인 왕실 통치하의 영토로 이루어진 조각들을 통해 통치되었습니다.리차드는 그의 경쟁자들을 제거하고 그들의 땅을 차지하거나 그가 가장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주었습니다.그렇게 하면서, 그는 자신의 새로운 영지에서 만들어진 새로운 직책을 채우기 위해 웨일스 사람들의 전체 계층을 키웠습니다.이러한 사람들에게, 리차드 2세의 통치 마지막 해는 기회로 가득했습니다.영국의 거물들에게, 그것은 리차드가 위험하게 [1]통제 불능 상태에 있다는 추가적인 신호였습니다.
1399년, 랭커스터 공국의 상속자인 추방당한 헨리 볼링브로크가 그의 땅을 되찾기 위해 돌아왔습니다.헨리는 [2]군대를 일으켜 왕을 만나기 위해 행진했습니다.리처드는 볼링브로크를 처리하기 위해 아일랜드에서 웨일즈로 급히 돌아왔지만, 헨리의 영지 반환을 논의하기 위해 플린트 성에서 볼링브로크를 만나기 위해 콘위 성에서 가던 중 제1대 노섬벌랜드 백작 헨리 퍼시에게 체포되었습니다.리차드는 런던으로 끌려가기 전에 영국 국경도시 체스터에 수감되었습니다.의회는 재빨리 헨리 볼링브레이크를 섭정으로, 그 다음에는 왕으로 만들었습니다.리처드는 1400년 1월 잉글랜드 귀족들의 봉기가 실패한 직후 폰테프랙트 성에서 사망했지만, 그의 죽음은 일반적으로 한동안 알려지지 않았습니다.웨일스에서는 오웨인 글린디르와 같은 사람들이 생애 처음으로 충성도를 결정하도록 요청받았습니다.웨일스인들은 일반적으로 아버지인 흑태자 에드워드의 뒤를 이어 웨일스의 왕자가 [3][better source needed]된 리처드 왕을 지지했습니다.리처드가 제거되면서 웨일스 사람들의 승진 기회는 더욱 제한되었습니다.많은 웨일스 사람들은 이것이 그들과 그들의 [citation needed]미래를 어디에 남겨두었는지 확신하지 못한 것 같습니다.
한동안, 폐위된 왕의 지지자들은 여전히 남아있었습니다.1400년 1월 10일 체스터에서 에피파니 라이징을 지지하는 심각한 시민 혼란이 발생했습니다.영국-웨일스 [citation needed]국경을 따라 무질서한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었습니다.
오와인 글린드르와 드 그레이 사이의 분쟁
보도에 따르면 반란은 오와인 글린데르의 영국 [3][better source needed]이웃과의 논쟁으로 시작되었다고 합니다.Dyffryn Clwyd의 Grey de Ruthyn 남작 작위의 연속적인 소유자들은 웨일즈의 영국 지주들이었습니다.Glyndŵr은 [4]그들과 오랫동안 토지 분쟁에 참여해 왔습니다.그는 의회에 이 문제를 해결해 달라고 호소한 것으로 보이며, 리처드 왕이 이끄는 법원은 그에게 유리하다고 판단했습니다.새로운 왕에게 충성하는 제3대 그레이 드 루틴 남작 레지널드 그레이는 그 결정을 뒤집기 위해 자신의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보입니다.오웨인 글린드르는 항소가 [5]기각되었을 수 있습니다.또 다른 이야기는 드 그레이가 1400년 8월 새 왕의 스코틀랜드 원정에 참여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Glyndŵr에게 왕실 소환장을 보류했다는 것입니다.엄밀히 말하면, 영국 왕의 소작인으로서, 글린드르는 [6][7]과거에 그랬던 것처럼 군대를 제공해야 했습니다.숨겨진 소환에 응답하지 않음으로써 그는 아마도 무의식적으로 헨리의 분노를 산 것으로 보입니다.
1400-15년 웨일스 반란

중요한 전투
영국군이 주둔하고 있는 성
웨일스군에 의해 성공적으로 포위된 성
웨일스군에 의해 약탈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성
웨일스군이 약탈하거나 점령한 성(보유 날짜)
1400년 웨일스 전역
1403년 웨일스 전역
1405년 프랑스-웨일스 전역
1405 캠페인의 가능한 경로
1400년 9월 16일, 오와인은 연기를 했고, 그의 장남, 그의 형수, 그리고 성 아삽의 학장을 포함한 소수의[3][better source needed] 추종자들에 의해 웨일스의 왕자로 선언되었습니다.이것은 그 자체로 혁명적인 성명이었습니다.오웨인의 부하들은 빠르게 웨일스 북동부로 퍼져나갔습니다.9월 18일, 루신 마을과 드 그레이의 거점 루신 성이 [citation needed]공격을 받았습니다.덴비, 러들란, 플린트, 하워든, 홀트는 그 후 빠르게 뒤를 이었습니다.9월 22일 오스웨스트리 마을은 오와인의 기습으로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9월 23일 오웨인은 남쪽으로 이동하여 포이스 성을 공격하고 웨일스풀을 [8]약탈했습니다.
거의 동시에, 앵글시 출신의 튜더 형제는 영국인들을 상대로 게릴라 전쟁을 시작했습니다.Penmynydd의 튜더 가문은 Richard 2세와 밀접하게 연관된 저명한 앵글시 가문이었습니다.귀리맵 튜더와 리스압 튜더는 모두 프랑스의 침략으로부터 북웨일스를 보호하기 위해 1396년에 소집된 군인들의 군사 지도자였습니다.그들은 1398년에 왕의 아일랜드 원정에 합류했습니다.글린드르가 반란을 선언했을 때, 리스, 귀림, 그리고 그들의 세 번째 형제인 마레두드 압투르는 공개적으로 충성을 맹세했습니다; 그들은 글린드르의 [9]외사촌이었습니다.
스코틀랜드를 침략하고 돌아오는 길에 헨리 4세는 그의 군대를 웨일즈 쪽으로 돌렸습니다.9월 26일까지 그는 웨일스를 침공할 준비가 된 슈루즈베리에 있었습니다.번개 작전에서, 헨리는 북웨일스 주변에서 그의 군대를 이끌었습니다.그는 악천후와 웨일스 [10]게릴라들의 공격으로 끊임없이 괴롭힘을 당했습니다.그가 앵글시에 도착했을 때, 그는 그위네드 [11]방고르 근처의 란파에스 수도원을 포함한 마을과 수도원을 불태우며 섬을 괴롭혔습니다.이곳은 튜더 [12]가문의 역사적인 매장지였습니다.Rhys ap Tudur는 Rhos Fawr ('위대한 무어')[13]라고 불리는 곳에서 왕의 군대의 매복을 이끌었습니다.그들이 교전을 한 후, 영국인들은 보마리스 [11]성의 안전한 곳으로 다시 도망쳤습니다.10월 15일까지 헨리는 슈루즈베리로 돌아와 포로 몇 명을 석방했고, 이틀 후에는 우스터에서 그의 [10]노력에 대해 보여줄 것이 거의 없었습니다.

1401년, 반란이 확산되기 시작했습니다.웨일스 북부와 중부의 많은 지역이 오웨인에게 넘어갔습니다.북부 전역의 영국 마을, 성, 그리고 장원에 대한 다중 공격이 기록되었습니다.심지어 남쪽의 브레콘과 그웬트에서도 도적질과 무법천지의 보고가 들어오기 시작했습니다.헨리 왕은 강력한 노섬벌랜드 백작의 전사 아들인 헨리 "핫스퍼" 퍼시를 나라의 [10]질서를 잡도록 임명했습니다.3월에 오와인과 그의 사촌인 리스와 길리맵 튜더를 [14]제외한 모든 반군에게 적용되는 사면이 발표되었습니다.
대부분의 나라는 모든 통상적인 세금을 내는 것에 동의했지만, 튜더족은 그들에게 걸려 있는 끔찍한 위협을 제거하려면 협상 카드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그들은 콘위에 있는 에드워드 1세의 위대한 성을 점령하기로 결정했습니다.콘위 성 수비대는 15명의 무장병력과 60명의 궁수에 불과했지만, 잘 비축되어 있었고 바다에서 쉽게 보강되었습니다. 어쨌든, 튜더족은 40명밖에 없었습니다.4월 1일 성 금요일, 웁스크의 연대기의 아담에 따르면, "익숙한 일을 하러 오는 척" 한 목수가 성문에 나타났을 때, 다섯 명을 제외한 모든 수비대가 마을의 작은 교회에 있었습니다.일단 안으로 들어가자, 웨일스 목수는 두 명의 경비원을 공격했고 [10]반란군들에게 진입을 허용하기 위해 문을 열었습니다.퍼시가 120명의 무장병력과 300명의 궁수를 데리고 덴비에서 도착했을 때, 그는 그렇게 어마어마한 요새 안으로 들어가려면 훨씬 더 많은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고 [10]협상을 해야만 했습니다.타협이 이루어져서 사면이 내려졌을 수도 있었지만, 4월 20일, 왕은 퍼시의 지방 결정을 기각했습니다.길리맵 튜더가 왕에게 직접 편지를 쓰기 시작하고 나서야 [14]6월 24일에 합의에 도달했습니다.하지만, 이것은 9명의 피고인들을 [10]재판에 넘기는 조건이었습니다.
오와인은 또한 5월 또는 6월에 풀루몬 근처의 Mynydd Hydgen에서 필드에서 첫 주요 승리를 기록했습니다.오와인과 수백 명의 군대는 펨브로크셔('웨일스 너머의 작은 잉글랜드')에서 온 약 1500명의 영국인과 플랑드르 정착민들이 그들을 향해 돌진했을 때 하이드겐 계곡 바닥에 진을 치고 있었습니다.오웨인은 훨씬 작은 군대를 규합하여 반격했고, 전해지는 바에 의하면 [15]200명을 죽였다고 합니다.상황은 왕이 또 다른 징벌적 원정대를 소집하기에 충분히 심각했습니다.이번에 그는 10월에 웨일스 중부를 통해 공격했습니다.슈루즈베리와 헤리퍼드 성에서 헨리 4세의 군대는 포이스를 통해 스트라타 플로리다 수도원을 향해 차를 몰았습니다.시토시아의 집은 오웨인에게 동정심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었고, 헨리는 그들의 충성심을 상기시키고 반란이 더 이상 남쪽으로 확산되는 것을 막으려고 했습니다.오와인의 군대에 의해 많은 괴롭힘을 당한 후에 그는 수도원에 도착했습니다.헨리는 자비를 베풀 기분이 아니었습니다.그의 군대는 수도원을 부분적으로 파괴했고 그에게 무기를 소지한 것으로 의심되는 승려를 처형했습니다.하지만, 그는 오와인의 군대와 많은 수의 교전에 실패했습니다.오와인의 군대는 그를 괴롭히고 그의 공급망에서 뺑소니 전술을 펼쳤지만, 공개적으로 싸우는 것을 거부했습니다.헨리의 군대는 퇴각할 수밖에 없었습니다.그들은 1401년 10월 28일[16] 그들의 노력에 대해 거의 주장하지 않고 우스터에 도착했습니다.1401년 11월 2일 오웨인의 케르나폰 성 포위전 중에 벌어진 투힐 전투로 그 해는 끝이 났습니다.영국인들은 반란이 번성하면 폐위된 리처드 왕의 불만스러운 지지자들을 끌어들일 수밖에 없다고 보았고, 그들의 생존에 대한 소문이 널리 퍼졌습니다.그들은 체셔의 불만 가능성에 대해 걱정했고 북웨일스로부터의 소식에 대해 점점 더 걱정했습니다.핫스퍼는 자신이 왕으로부터 충분한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헨리의 억압적인 정책이 반란을 부추길 뿐이라고 불평했습니다.그는 협상과 타협이 오와인이 그의 반란을 끝내도록 설득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사실, 1401년 초, 홋스퍼는 [17]오와인과 다른 반란 지도자들과 화해를 협상하기 위해 비밀 협상을 하고 있었을지도 모릅니다.
반웨일스법
랭커스터교의 핵심 지지자들은 이런 것들을 가지고 있지 않을 것입니다.그들은 웨일스에서 [18][19]영국의 지배력을 확립하기 위해 고안된 웨일스에 대한 형법 1402호인 반 웨일스 입법으로 반격했습니다.법률에는 웨일스인이 잉글랜드의 땅을 사는 것, 웨일스의 고위 공직을 소유하는 것, 무기를 소지하는 것, 성을 소유하는 것 또는 집을 지키는 것을 금지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웨일스 어린이는 교육을 받거나 무역에 견습생이 될 수 없었습니다. 웨일스인이 가져온 어떤 소송에서도 영국인은 유죄 판결을 받을 수 없었습니다. 웨일스인은 엄격해야 했습니다.영국 여성과 결혼할 때 처벌을 받았고, 웨일스 여성과 결혼하는 모든 영국 남성은 선거권이 박탈되었고, 모든 대중 집회는 [20]금지되었습니다.이 법들은 영국인들이 모든 웨일스인들을 동등한 의심으로 본다는 메시지를 동요하는 사람들에게 보냈습니다.영국 봉사에서 그들의 경력을 더 발전시키려고 노력했던 많은 웨일스인들은 오와인과 헨리 사이의 중간 지점이 사라지면서 이제 반란으로 밀려난 것을 느꼈습니다.
반란이 확산됩니다.

1402년, 오와인은 1월 말 또는 2월 초 루틴에서 매복 공격으로 그의 숙적 레이날드 또는 제3대 그레이 드 루틴 [21]남작 레지널드 그레이를 붙잡았습니다.그는 헨리 왕으로부터 상당한 몸값을 받을 때까지 1년 동안 그를 붙잡았습니다.1402년 6월, 오와인의 군대는 3월 백작의 삼촌인 에드먼드 모티머가 이끄는 군대를 웨일스 중부의 브린 글래스에서 만났습니다.모티머의 군대는 참패했고 모티머는 붙잡혔습니다.오웨인의 군대를 뒤따르던 웨일스 여성들이 부상당한 영국 군인들을 살해하고 사망자들의 시신을 훼손한 것으로 전해졌는데, 이는 지난해 영국 군인들이 약탈하고 강간한 것에 대한 복수로 추정됩니다.글린드르는 모티머를 거액의 몸값으로 풀어주겠다고 제안했지만, 헨리 4세는 지불을 거부했습니다.모티머는 자신보다 영국 왕위에 대한 주장이 더 컸다고 할 수 있었기 때문에, 그의 신속한 석방은 선택사항이 아니었습니다.에드먼드 경은 오웨인과 동맹을 맺었고 오웨인의 딸 중 한 명인 [22]카트린과 결혼했습니다.

1403년에 반란은 웨일스에서 진정한 국가적인 것이 되었습니다.오웨인은 서쪽과 남쪽으로 삼진을 당했습니다.서쪽에서 리웰린 대왕의 원정을 재현하면서, 오와인은 티위 계곡을 따라 행진했습니다.마을마다 그와 합류하기 위해 일어섰습니다.영국의 장원과 성들이 함락되거나 그들의 주민들이 항복했습니다.마침내, 서부의 영국의 주요 권력 기반 중 하나인 카마던이 함락되어 오와인에게 점령당했습니다.그런 다음 오웨인은 돌아서서 글래모건과 그웬트를 공격했습니다.에버가베니 성은 공격을 받았고 성벽이 있는 마을은 불탔습니다.오웨인은 우스크 강 계곡을 따라 해안으로 밀고 내려가 우스크를 불태우고 카디프 성과 뉴포트 성을 점령했습니다.왕실 관계자들은 옥스퍼드 대학의 웨일스 학생들이 오웨인을 위해 학업을 중단하고 웨일스 노동자들과 장인들이 영국에 있는 고용주들을 버리고 [citation needed]대거 웨일스로 돌아오고 있다고 보고했습니다.
웨일스 북부에서 오와인의 지지자들은 카나르폰 성에 대한 추가 공격을 시작했고(이번에는 프랑스의 지원을 받아) [23]거의 점령했습니다.이에 대응하여 몬머스의 헨리(헨리 4세와 미래의 헨리 5세의 아들)는 글린디프드위와 시하르트에 있는 오와인의 집을 공격하고 불태웠습니다.1403년 7월 10일, 핫스퍼는 리처드 2세를 지지하는 요새인 체스터에서 그의 사촌 헨리의 왕위 계승권에 이의를 제기하고 반란에 대한 그의 기준을 높임으로써 왕에게 반대를 선언했습니다.당시 겨우 16살이었던 몬머스의 헨리는 홋스퍼를 만나기 위해 북쪽으로 방향을 틀었습니다.7월 21일, 헨리는 슈루즈베리에 도착했고, 반란군은 마을 밖에서 야영을 하도록 강요했습니다.헨리는 노섬벌랜드 백작이 슈루즈베리에 도착하기도 전에 전투를 강행했습니다.따라서, 7월 22일, 헨리는 반란군의 완전한 힘이 존재하기 전에 그리고 자신의 선택에 근거하여 싸울 수 있었습니다.전투는 하루 종일 계속되었고, 헨리 왕자는 화살에 얼굴을 심하게 다쳤지만, 그의 부하들과 함께 계속해서 싸웠습니다.홋스퍼가 함락됐다는 외침이 전해지자 반군의 저항이 주춤하며 무너지기 시작했습니다.그날이 끝날 무렵, 핫스퍼는 죽었고 그의 반란은 끝이 났습니다.300명 이상의 기사들이 죽었고, 20,000명 이상의 사람들이 죽거나 다쳤습니다.
1404년 여름, 오와인은 할렉과 애버리스트위스의 [citation needed]서쪽 거대한 성들을 점령하고 주둔시켰습니다.통치자로서의 진지함을 보여주고 싶어 안달이 난 그는 할렉에서 궁정을 열고 똑똑하고 재능 있는 Gruffyd Young을 그의 총리로 임명했습니다.얼마 지나지 않아 그는 우스크의 아담에 의해 그가 웨일스의 왕자로 즉위한 마킬레우스에 있는 모든 웨일스의 그의 첫 의회(또는 더 적절하게는 시눌리아드 또는 "모임")[a]를 소집했다고 말했습니다.원로 교회인들과 사회의 중요한 구성원들이 그의 깃발로 흘러갔습니다.영국의 저항은 몇 개의 고립된 성, 성벽으로 둘러싸인 마을, 요새화된 장원 주택으로 축소되었습니다.
삼국지와 프랑스의 해

오웨인은 1405년 2월 에드먼드 모티머와 [22]노섬벌랜드 백작 헨리 퍼시와 "삼자 협정"을 협상함으로써 그의 새로운 지위를 증명했습니다.협정은 잉글랜드와 웨일스를 그들 셋 사이에 나누는 것에 동의했습니다.웨일스는 체셔, 슈롭셔, 그리고 헤리퍼드셔의 대부분을 포함하는 세번 강과 머시 강까지 확장될 것입니다.3월의 모티머 영주들은 잉글랜드 남부와 서부를 모두 차지할 것이고, 제1대 우스터 백작 토머스 퍼시는 잉글랜드 북부를 차지할 것입니다.슈롭셔, 헤리퍼드셔, 몽고메리셔의 지역 영어 공동체는 적극적인 저항을 중단하고 반란군과 자체적인 조약을 만들고 있었습니다.리처드 2세의 오랜 동맹국들이 웨일스에 돈과 무기를 보냈고 시토회와 프란치스코회가 반란을 지원하기 위해 자금을 모으고 있다는 소문이 돌았습니다.게다가, 5월에 퍼시 대주교 스크로프가 패배한 후에도 퍼시 반란은 여전히 생존할 수 있었습니다.사실 퍼시의 반란은 1408년 요크셔의 보안관이 브램햄 무어에서 노섬벌랜드 백작 헨리 퍼시를 물리칠 때까지 끝나지 않았습니다.오와인은 그가 할 수 있는 최선의 거래를 하기 위해 정치적 상황을 이용하고 있었습니다.
국제적인 면에서도 상황이 개선되고 있었습니다.아일랜드 영주들과의 협상은 성공적이지 못했지만, 오와인은 프랑스와 브르타뉴가 더 환영할 것이라고 희망하는 이유가 있었습니다.1404년 5월, 오와인은 프랑스와 조약을 협상하기 위해 그리퍼드 영과 그의 처남 존 한머를 프랑스로 파견했습니다.그 결과 오와인과 웨일스인에게 프랑스의 원조를 약속하는 공식적인 조약이 체결되었습니다.웨일스와 [23]프랑스-브레톤 연합군은 이미 1403년 11월 키드웰리 성을 공격하고 포위했습니다.웨일스인들은 또한 브르타뉴(당시 프랑스의 속국)와 당시 독립 [22]스코틀랜드로부터 반관반민적인 원조를 기대할 수 있었습니다.
반란군은 허우적거립니다.
1406년, 그는 그의 국가 프로그램을 발표했습니다.그는 의회와 별도의 웨일스 교회가 있는 독립적인 웨일스 국가의 비전을 선언했습니다.두 개의 국립 대학(남쪽에 하나, 북쪽에 하나)이 있고 전통적인 하이웰 [24]따의 법으로 돌아갈 것입니다.이 무렵, 대부분의 프랑스 군대는 파리의 정치가 평화당 쪽으로 이동한 후 철수했습니다.심지어 오와인이 프랑스의 샤를 6세와 아비뇽 교황 베네딕토 13세에게 웨일스 교회의 충성을 로마에서 아비뇽으로 옮기겠다고 약속한 소위 "펜날 편지"조차도 효과를 거두지 못했습니다.그 순간은 이미 지나갔습니다.
반란이 문제에 직면하고 있는 다른 징후들이 있었습니다.그해 초 오와인의 군대는 그로스몬트와 우스크에서 프울 멜린 전투에서 패배했습니다.이 두 전투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이해하기는 매우 어렵지만, 몬머스의 헨리나 존 탤벗 경은 리스 게틴("사마귀 리스")과 오웨인의 장남 그루퍼드 압 오와인 글린드르가 이끄는 웨일스의 상당한 습격대를 물리친 것으로 보입니다.이 전투들의 정확한 날짜와 순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그러나, 그들은 그로스몬트에서 리스 게틴과 오와인의 형제 투두르가 우스크에서 죽고 그루퍼드를 사로잡는 결과를 낳았을지도 모릅니다.Gruffudd는 런던탑으로 보내졌고 6년 후 감옥에서 사망했습니다.헨리 왕은 또한 영국인들이 점점 더 무자비한 전술에 종사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Usk의 아담은 Usk 근처의 Pwll Melyn 전투 이후, 헨리 왕이 Usk 성 앞에서 300명의 죄수들을 참수했다고 말합니다.근처의 Lantarnam Cistercian 수도원의 수도원장인 John ap Hyewel은 Usk 전투 중에 죽어가고 양쪽에서 부상당한 사람들을 돌보다 사망했습니다.반란에 더 심각한 것은, 영국군이 아일랜드에서 앵글시에 상륙했다는 것입니다.다음 해에 걸쳐 그들은 앵글시의 저항이 1406년 말에 공식적으로 끝날 때까지 웨일스인들을 점진적으로 후퇴시켰습니다.
동시에, 영국인들은 다른 전략을 채택하고 있었습니다.몬머스의 어린 헨리는 아버지가 선호하는 징벌적 원정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경제 봉쇄 전략을 채택했습니다.잉글랜드의 지배하에 남아있던 성들을 이용하여, 그는 무역과 무기의 공급을 중단하는 동안 점차적으로 웨일즈를 탈환하기 시작했습니다.1407년까지 이 전략은 결실을 맺기 시작했습니다.3월, 플린트셔 전역에서 온 1,000명의 남자들이 카운티의 대법원장 앞에 나타나 글린드르를 고수한 것에 대해 공동 벌금을 내기로 합의했습니다.점차 같은 패턴이 전국적으로 반복됐습니다.7월에 오스웨스트리와 클룬 주변의 아룬델 백작의 북동쪽 영주권이 제출되었습니다.하나 둘씩 주함들이 항복하기 시작했습니다.한여름이 되자, 애버리스트위스에 있는 오와인의 성은 포위되었습니다.그해 가을 애버리스트위스 성이 항복했습니다.1409년에 그것은 할렉 성의 차례였습니다.마지막 순간 필사적인 사절들이 프랑스에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파견되었습니다.응답이 없습니다.Gruffyd Young은 행동을 조정하기 위해 스코틀랜드로 파견되었지만 아무것도 결과가 나오지 않았습니다.할렉 성은 1409년에 함락되었습니다.에드먼드 모티머는 최후의 전투에서 사망했고 오웨인의 아내 마가렛은 그의 딸들 중 두 명(캐트린 포함)과 함께 런던탑에 수감되었습니다.그들은 모두 1415년 전에 타워에서 죽을 예정이었습니다.

오웨인은 자유롭게 지냈지만 지금은 사냥당한 게릴라 지도자였습니다.반란은 계속해서 분출되었습니다.1410년, 오와인은 그의 지지자들을 슈롭셔 깊은 곳으로 마지막 급습을 준비했습니다.그의 가장 충성스러운 지휘관들 중 많은 사람들이 참석했습니다.마지막 필사적인 자살폭탄 공격이었을 수도 있습니다의도했던 것이 무엇이든 간에, 습격은 끔찍하게 잘못되었고 여전히 주요 인물들 중 많은 사람들이 체포되었습니다.오와인의 가장 충실한 지휘관 중 한 명인 카디건의 리스 두("검은 리스")는 체포되어 처형을 위해 런던으로 이송되었습니다.당시의 연대기에 따르면 리스 두는 "…허들 위에 누워 도시를 통해 타이번으로 끌려갔고 거기서 교수형을 당하고 다시 실망했습니다.그의 머리는 박살났고 그의 시신은 4개의 마을로 보내졌고 그의 머리는 런던 브리지에 놓였습니다."필립 스쿠다모어와 리사프 튜더도 참수되었고 슈루즈베리와 체스터에 그들의 머리가 전시되었습니다(의심의 여지 없이 반란에 대한 더 이상의 생각을 억제하기 위해).
1412년, 오와인은 브레콘의 매복 공격에서 헨리 왕의 주요 지지자인 다비드 감("크루킹 데이비드")을 붙잡아 후에 몸값을 지불했습니다.이것들이 반란의 마지막 섬광이었습니다.이것이 오웨인이 그의 적들에 의해 살아있는 것을 본 마지막이었습니다.1414년 늦게, 헤리퍼드셔에 기반을 둔 롤라드 지도자 존 올드캐슬 경이 오와인과 통신하고 있다는 소문이 있었고, 북쪽과 남쪽의 주요 성에 지원군이 파견되었습니다.스노도니아에서는 반란으로 남겨진 무법자와 산적들이 여전히 활동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때는 상황이 변하고 있었습니다.헨리 4세는 1413년에 사망했고 그의 아들 헨리 5세는 웨일스인들에게 더 유화적인 태도를 취하기 시작했습니다.반란의 주요 지도자들과 그의 아버지 정권의 다른 반대자들에게 왕실 사면이 제공되었습니다.상징적이고 경건한 몸짓으로, 폐위된 리처드 2세의 시신은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묻혔습니다.1415년 헨리 5세는 프랑스와의 전쟁을 준비하면서 오와인에게 사면을 제안했습니다.새로운 왕 헨리 5세가 오와인의 아들인 마레두드 압 오와인 글린드르와 협상을 하고 있었다는 증거가 있지만, 아무것도 나오지 않았습니다.1416년 마레두드는 사면을 받았으나 거절했습니다.아마도 그의 아버지 오웨인은 아직 살아 있었고 그가 살아 있는 동안 그것을 받아들이기를 원하지 않았을 것입니다.그는 마침내 1421년 4월 8일 왕실 사면을 받아들였고, 오와인 글린데르가 마침내 [25]죽었다는 것을 암시했습니다.예를 들어, 웨일스의 바드 로덴의 시에는 오와인의 사위 필립 압 리스의 지도 아래 1421년 이후에도 소수의 완고한 사람들이 계속해서 싸웠다는 몇 가지 증거가 있습니다.
오와인 글린드르 연대기(Panton MS. 22)는 1422년에 끝납니다.왕자에 관한 마지막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1415년 – 오와인은 추수하는 성 매튜의 날 (9월 21일)에 잠적했고, 그 후 그의 은신처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많은 사람들이 그가 죽었다고 말했지만, 선견자들은 그가 죽지 않았다고 주장합니다.[26]
그의 사망 날짜는 불확실하지만, 잠정적인 합의는 그가 1415년에 [27]죽었을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웨일스 반란의 여파
1415년까지, 영국의 완전한 통치는 웨일즈로 돌려졌습니다.지도적인 반란군들은 막대한 벌금으로 죽거나, 투옥되거나, 가난했습니다.웨일스의 교구나 가족은 거의, 영국인이든 웨일스인이든, 어떤 식으로든 영향을 받지 않았습니다.인명 손실, 생계 손실, 물리적 파괴에 따른 비용이 엄청났습니다.이미 영국 국경에 있는 가난한 나라인 웨일즈는 약탈, 경제 봉쇄 및 공동체 벌금으로 인해 더욱 가난해졌습니다.여행자들에 의한 보고는 몽고메리 성과 스트라타 플로리다 수도원과 애비크미르와 같은 수도원과 같은 폐허가 된 성에 대해 말하고 있습니다.오스웨스트리와 같은 많은 도시의 시장 광장에서 잔디가 자라났고 웨일스의 상업은 거의 중단되었습니다.이전에는 생산적이었던 땅이 이제는 그 땅에서 일할 세입자가 없는 빈 황무지가 되었습니다.1492년 늦게까지, 글래모건 저지의 왕실 관리는 여전히 반란으로 인한 황폐화를 [citation needed]왕에게 약속된 수입을 전달할 수 없었던 이유로 언급하고 있었습니다.
많은 명문가들이 몰락했습니다.1411년, 존 핸머는 그에게 부과된 벌금을 지불할 수 없는 이유로 가난을 호소했습니다.튜더 왕조는 14세기 후반에 그랬던 것처럼 앵글시와 웨일스 북서부를 더 이상 지배하지 않았습니다.세 번째 튜더 형제인 마레두드가 런던으로 가서 그들에게 새로운 운명을 만들어 줄 때까지 그 가족은 끝난 것처럼 보였습니다.다른 사람들은 결국 항복했고 새로운 질서와 평화를 맺었습니다.1403년과 1404년에 프랑스와 브르타뉴인들과 함께 키드웰리 성을 포위한 헨리 던은 평화를 만들었고 벌금을 받아들였습니다.어떻게든 그는 한 푼도 내지 않았습니다.그의 항복 후 그리고 공식적인 집행유예에도 불구하고, 그는 도망치는 반군들을 보호했고, 그를 지지하지 않은 200명의 사람들에게 벌금을 부과했고, 그의 수행원들과 함께 카운티를 돌아다녔고, 심지어 왕의 [citation needed]정의를 살해할 음모를 꾸몄습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손자는 1415년 아쟁쿠르 전투에서 헨리 5세와 함께 싸웠습니다.다른 것들은 새로운 주문에 맞출 수 없었습니다.오와인의 지지자들 중 알려지지 않은 수가 망명했습니다.랭스테판의 실질적인 영주권을 계승한 헨리 그윈("하얀 헨리")은 웨일스를 영원히 떠났고 아쟁쿠르 전투에서 그의 오랜 전우들과 마주한 프랑스의 찰스 6세를 섬기며 죽을 예정이었습니다.Gruffyd Young은 또 다른 영구적인 망명자였습니다.1415년까지 그는 파리에 있었습니다.그는 스코틀랜드의 로스 주교와 북아프리카의 [citation needed]히포 명의주교가 되어 20년을 더 살 예정이었습니다.
더 이상의 반란을 막기 위한 일련의 형법이 시행되었습니다.이것들은 헨리 7세의 통치 [28]때까지 남아있었습니다; 헨리 튜더라고도 알려진, 그는 펜미너드의 튜더의 후손이고 부분적으로 웨일스 [29]사람이었습니다.그 때까지, 웨일스인들은 웨일스 자치구 내의 재산이나 토지를 소유하는 것이 금지되었고, 배심원들에게 봉사하는 것이 금지되었으며, 영국인들과 결혼할 수 없었고, 왕실의 어떤 직책도 맡는 것이 금지되었습니다.게다가, 법적 실무에서, 웨일스인의 진술은 [28]법정에서 영국인을 연루시키는 증거로 사용될 수 없었습니다.하지만, 잉글랜드의 헨리 6세의 이복형제인 에드먼드와 재스퍼 튜더와 같은 웨일스인들이 영국인의 법적 지위를 부여받은 몇 번의 경우가 있었습니다.하지만 튜더 형제의 아버지인 오웬 튜더는 왕비의 딸인 발루아의 캐서린과 [30][31]비밀리에 결혼했기 때문에 체포되었습니다.헨리 6세는 그의 석방과 [32]왕실에 포함되는 것을 보았습니다.
이 반란은 1535-1542년 [33]웨일스 법률에 의해 웨일스가 영국에 합병되기 전 웨일스 독립 운동의 마지막 주요 징후였습니다.이 법은 튜더 왕조의 영국 왕 헨리 8세의 통치 기간 동안 통과되었고 [34]1543년에 발효되었습니다.
메모들
- ^ 키눌리아드는 1999년 설립된 웨일스 국회를 가리키는 웨일스어 단어이기도 합니다.
레퍼런스
- ^ Williams 2005, 12페이지
- ^ 이발사 2004, 21페이지
- ^ a b c BBC.
- ^ 2010년 파리 70페이지
- ^ 1900년 9페이지
- ^ 2010년 파리 75페이지
- ^ 1900년 10페이지
- ^ 2010년 파리 81페이지
- ^ 그리피스 & 토마스 1985, 19페이지
- ^ a b c d e f 브래들리 1901년
- ^ a b 그리피스 & 토마스 1985, 21페이지
- ^ 그리피스 & 토마스 1985, 17페이지
- ^ 2010년 파리 84페이지
- ^ a b 그리피스 & 토마스 1985, 22페이지
- ^ 그랜트 2011, 212페이지
- ^ 2010년 파리 109페이지
- ^ 2010년 파리 137페이지
- ^ 데이비스 2009.
- ^ Jones & Smith 1999.
- ^ Parry 2010, 360페이지
- ^ 2010년 파리 115페이지
- ^ a b c 피어스 1959.
- ^ a b 2010년 파리 183페이지
- ^ Williams 1993, 4페이지
- ^ 데이비스 1997, 293페이지
- ^ 로이드 1931, 154페이지
- ^ Williams 1993, 5페이지
- ^ a b Evans 1915, 19페이지
- ^ 그리피스 & 토마스 1985, 5페이지
- ^ 그리피스 & 토마스 1985, 29페이지
- ^ 그리피스 & 토마스 1985, 32페이지
- ^ 그리피스 & 토마스 1985, 33페이지
- ^ 데이비스 1997, 324페이지
- ^ Williams 1985, 122페이지
서지학
- Barber, Chris (2004). In search of Owain Glyndŵr. Abergavenny, Monmouthshire : Blorenge Books. ISBN 978-1-872730-33-2. Retrieved 22 February 2023.
- "BBC Wales – History – Themes – Chapter 10: The revolt of Owain Glyndwr". Retrieved 15 January 2015.
- Bradley, A.G. (1901). Owen Glyndwr and the Last Struggle for Welsh Independence. New York: Putnam.
- Davies, R. R. (1997). The Revolt of Owain Glyn Dŵr. Oxford, Englan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285336-3.
- Davies, R. R. (2009). Owain Glyndwr - Prince of Wales. Y Lolfa. ISBN 978-1-84771-763-4.
- Evans, Howell T. (1915). Wales and the Wars of the Ros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Grant, R.G., ed. (2011). 1001 Battles That Changed the Course of History. New York. p. 212. ISBN 9780785835530. Retrieved 8 July 2019.
- Griffiths, Ralph Alan; Thomas, Roger S. (1985). The Making of the Tudor Dynasty. New York: St. Martin's Press. ISBN 978-0-31250-745-9.
- Hodges, Geoffrey (1995). Owain Glyn Dŵr and the War of Independence in the Welsh Borders. Little Logaston, Woonton Almeley, Herefordshire [England]: Logaston Press. ISBN 978-1-873827-24-6.
- Jones, Gareth Elwyn; Smith, Dai (1999). The People of Wales. Gomer. p. 72. ISBN 978-1-85902-743-1.
- Latimer, Jon (2001). Deception in War. London: J. Murray. pp. 12–13. ISBN 978-0-7195-5605-0.
- Lloyd, John Edward (1931). Owen Glendower. Oxford: Clarendon Press.
- Parry, Charles (2010). The Last Mab Darogan: The Life and Times of Owain Glyn Dŵr. Novasys Limited. ISBN 978-0-9565553-0-4.
- Pierce, Thomas Jones (1959). "OWAIN GLYNDWR (c. 1354 - 1416), 'Prince of Wales'". Dictionary of Welsh Biography. National Library of Wales.
- Tout, Thomas Frederick (1900). Owain Glyndwr and his Times. Dartford: Perry and Son.
- Williams, Glanmor (1993). Renewal and Reformation: Wales c.1415-1642. Oxford: Clarendon. doi:10.1093/acprof:oso/9780192852779.001.0001. ISBN 978-0-19-167055-8.
- Williams, Glanmor (2005). Owain Glyndŵr. Cardiff : University of Wales. ISBN 978-0-7083-1941-3. Retrieved 22 February 2023.
- Williams, Gwyn A. (1985). When was Wales? : a history of the Welsh. Harmondsworth: Penguin. ISBN 978-01402258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