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레흐 성
Harlech Castle할레흐 성 | |
---|---|
카스텔 할렉 | |
웨일스 할레흐 | |
![]() 할레흐 성 | |
좌표 | 52°52°N 4°07°W/52.86°N 4.11°W좌표: 52°52°N 4°07°W / 52.86°N 4.11°W/ |
유형 | 동심성 |
사이트 정보 | |
소유자 | 캐드 |
에 개방하다 일반 대중 | 네 |
조건 | 망했다 |
사이트 기록 | |
자재 | 사암 |
이벤트 | 마도그 ap의 반란 (1294–95) 오와인 글리드르의 반란(1400-09) 장미 전쟁 (1460–68) 영국 내전 (1642–47) |
의 일부 | 그웨덴드 에드워드 왕의 성곽과 도시벽 |
기준 | 문화: i, ii, iv |
참조 | 374 |
비문 | 1986(10차 세션) |
Listed Building – I등급 |
할렉 성(Welsh: Castell Hallech; 웨일스어 발음: 웨일스 그와네드주 할렉에 있는 [Kastɛɬ ˈharlɛ]은 아일랜드 해와 가까운 바위굴 위에 세워진 1급 중세의[1] 요새다.그것은 에드워드 1세가 1282년에서 1289년 사이에 웨일스를 침공할 때 8,190파운드의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건설했다.[2]그 후 몇 세기 동안 이 성은 여러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는데, 1294-95년 사이에 마도그 ap llywelyn의 포위 공격을 견뎌냈지만, 1404년 오와인 글리드르에게 함락되었다.그 후 1409년 영국군에 의해 탈환되기 전까지 남은 봉기 기간 동안 글린드르의 거주지와 군 사령부가 되었다.15세기 장미전쟁 때 할렉은 7년간 란카스교도들에 의해 열렸는데, 1468년 요크주의 군대가 항복을 강요하기 전, 할렉의 사람들(Men of Harlech)이라는 노래로 기념되는 포위공격이었다.1642년 영국 내전이 발발한 후, 이 성은 의회 군대에 항복할 마지막 요새가 된 1647년까지 버티며 찰스 1세에게 충성하는 군대에 의해 유지되었다.21세기에 폐허가 된 성은 웨일스 정부의 역사적 환경 서비스인 카드에 의해 관광 명소로 관리된다.
유네스코는 베오마리스, 콘위, 카에나폰, 카나르폰 등 3곳이 있는 할렉을 '13세기 말~14세기 초 유럽 군사건축의 가장 훌륭한 사례'로 꼽으며 세계문화유산으로 분류하고 있다.[3]요새는 지역 돌과 디자인에 집중되어 있으며, 한때는 성 경관과 방문 고관들에게 고급 숙소를 제공했던 거대한 문루가 특징적이다.바다는 원래 현대에 비해 할레흐에 훨씬 더 가까이 다가왔고, 수문과 긴 층계 비행이 성에서 옛 해안으로 이어져 있어, 이 성으로 하여금 시주 중에 바다로 재공급할 수 있었다.웨일스 북쪽에 있는 에드워드의 다른 성들과 함께, 할렉의 건축은 같은 기간 사보이 카운티에서 발견된 그것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데, 그 영향력은 아마도 주 건축가인 세인트 조지의 제임스(James of Savoy)의 사보이 기원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다.
역사
13-14세기
현지 신화에서 북웨일스의 할렉 성(Harlech Castle) 터는 웨일스 공주인 브란웬의 전설과 연관되어 있지만, 그곳에 웨일스 토박이 요새화되었다는 증거는 없다.[4]잉글랜드의 왕들과 웨일스 왕자들은 1070년대부터 북웨일스 지배권을 다투었고 13세기 동안 갈등이 재연되어 에드워드 1세가 1282년 재위 기간 동안 두 번째로 북웨일스에 개입하게 되었다.[5]에드워드는 거대한 군대를 이끌고 쳐들어왔고, 카마르첸에서 북쪽으로, 몽고메리와 체스터에서 서쪽으로 밀려왔다.[6]영국군은 5월에 오트톤 드 레손드 경이 560명의 보병과 함께 데리고 간 콘위 골짜기를 따라 돌위들란과 카스텔 이 베레를 거쳐 할레흐로 진격했다.[7]
에드워드는 1282년 캠페인의 여파로 노스웨일스 전역에 세워진 7개 중 하나인 할렉에 성을 건설할 것을 명령했다.[4]초기단계 비용을 지불할 돈이 5월 중순에 도착했고 6월과 7월에는 목수들과 35개의 석공들이 파견되어 작업을 시작했다.[8]1283년 겨울까지 내벽의 처음 15피트(4.6m)가 건설되어 공격시 성을 방어할 수 있게 되었고, 성을 따라 작은 계획도시가 세워졌다.[9]요한 드 본빌라르스는 1285년에 성 경감으로 임명되었다. 1287년 그가 죽은 후, 그의 아내 아그네스는 1290년까지 그 역할을 맡았다.[10]
사보이 건축가 겸 군사 기술자인 세인트 조지의 제임스의 총지휘 아래 건설이 계속되었다.[11]공사가 한창이던 1286년 인력은 일반 노동자 546명, 채석장 115명, 대장장이 30명, 목수 22명, 석공 227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사업비는 한 달에 240파운드에 육박하고 있었다.[12]이 성은 1289년 말에 완성되어 에드워드가 1277년에서 1304년 사이에 웨일즈에서 성 짓는 데 쓴 8만 파운드의 약 10%인 8,190파운드의 비용이 들었다.[13][nb 1]
할렉은 경장 36명, 석궁 10명, 목장, 목수, 석공 등 30명으로 수비대를 설치했으며, 제임스 사부는 1290~93년 할렉의 경관이 되어 상을 받았다.[15]1294년 마도그 ap Llywelin은 웨일즈 전역에 빠르게 퍼진 영국 통치에 반대하는 봉기를 시작했다.그 해 겨울 영국인들이 소유한 여러 도시들이 파괴되었고 할렉은 크리시데스 성, 아베리스트와 함께 포위되었다.[16]새로운 물자가 아일랜드에서 해일로의 수문을 통해 도착하여 바다로 보내졌고, 봉기는 진압되었다.[16]반란의 여파로 바다로 내려가는 길 주변에 방어막이 추가로 만들어졌다.[16]데스펜서 전쟁 이후 1323-24년 사이에 추가 작업이 진행되었다. 에드워드 2세는 모티머 마르처 로드 일가에 의해 이 지역에서 위협을 받았고, 그의 보안관인 그뤼프 경에게 추가적인 탑을 가지고 문루까지 이르는 방어선을 확장하라고 명령했다.[17]
15~17세기
1400년에 Owain Glyndŵr에 의해 주도된 영어 통치에 반대하는 반란이 북 웨일즈에서 일어났다.[18]1403년까지 할렉을 포함한 소수의 성만이 여전히 반란군에 대항해 서 있었지만, 그 성은 포위작전을 견뎌낼 수 있도록 장비도 부족하고 인력도 부족했으며, 수비대는 방패 3개, 헬멧 8개, 랜스 6개, 장갑 10쌍, 총 4개만 갖추고 있었다.[19]1404년 말에 성은 글리드르에게 함락되었다.[18]할렉은 4년 동안 그의 거주지, 가정집, 군 사령부가 되었다. 그는 1405년 8월에 할렉에서 그의 두 번째 의회를 열었다.[20]1408년 헨리 5세가 지휘하는 영국군은 할렉과 그 지휘관 에드먼드 모티머를 포위하여 대포로 폭격을 가했는데 아마도 외벽의 남쪽과 동쪽 부분을 파괴했을 것이다.[18]이것이 성을 함락시키지 못하자 헨리는 존 탤벗을 포위를 맡기고 아베리스트와이스 성을 상대하기 위해 이동했다.[21]마침내 물자가 부족하여 모티머와 그의 부하들 중 많은 수가 탈진하여 죽었고, 할렉은 1409년 2월에 쓰러졌다.[22]
15세기에 할렉은 랭커스터 가문과 요크 가의 라이벌 파벌 사이에서 일어난 장미 전쟁으로 알려진 일련의 내전에 관여했다.1460년 노섬프턴 전투에 이어 안주 여왕 마거릿이 성으로 도망쳤고 1461~68년 다피드 ap 아이우안의 지휘를 받아 요크리스트 에드워드 4세를 상대로 랑카스트리아 지지자들에 의해 붙잡혔다.[23]할렉은 자연적인 방어와 해상의 보급로 덕분에 버티었고 다른 요새들이 함락되면서 결국 란카스트리아 지배하에 남아 있는 마지막 주요 거점이 되었다.[24]이 성은 이 지역을 가로지르는 작전을 위한 기지가 되었다. 1464년에 계획된 작전이 있었고, 1466년에 리차드 툰스톨 경은 할렉으로부터 공격을 받았으며, 1468년에 재스퍼 튜더가 프랑스군의 증원군을 이끌고 그곳에 상륙한 후, 덴비 마을을 습격했다.[24]튜더의 도착으로 에드워드 4세는 윌리엄 허버트에게 군대를 동원하라고 명령하게 되었는데, 아마 1만 명에 이를 수 있는 군대는 마침내 성을 점령하게 될 것이다.[25]한 달 동안 포위한 끝에 8월 14일 소규모 수비대가 항복했다.[23]이 포위공격은 맨 오브 할렉의 노래에 영감을 준 것으로 여겨진다.[26]
영국 내전은 1642년 찰스 1세의 왕립주의자 지지자들과 의회 지지자들 사이에서 일어났다.할렉은 1468년 포위공격 이후 수리를 받지 못한 채 완전히 황폐해져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다만, 지역측정에 이용되었던 대문채를 제외하고는 말이다.[27]1644년 루퍼트 왕자는 지역 왕족인 윌리엄 오웬 대령을 성의 경관으로 임명했고, 오웬은 요새를 수리하는 임무를 맡았다.[28]1646년 6월부터 1647년 3월 15일까지 긴 포위 공격이 이어졌는데, 이때 44명의 수비대가 토마스 미튼 소장에게 항복했다.[29]이 성은 전쟁에서 항복한 마지막 본토 왕성(王城)이었고, 그 날짜는 1기 전쟁의 종말을 알리는 날이었다.[29]그 성은 더 이상 노스 웨일스의 보안을 위해 요구되지 않았고, 왕실주의자들의 더 이상 사용을 막기 위해 의회는 그 성을 경시하거나 파괴할 것을 명령했다.[29]그러나 부분적으로만 명령이 내려졌고, 문루 계단은 파괴되었고 성은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되었지만 완전히 철거되지는 않았다.[30]성에서 나온 돌은 동네에 집을 짓는데 재사용되었다.[31]
18~21세기
18세기 후반과 19세기에 그림 같은 할렉의 유적은 존 코트만, 헨리 개스티나우, 폴 샌드비, J. M. W. 터너, 존 발리 등 저명한 예술가들의 방문을 끌어들이기 시작했다.[32]1914년 메리오네스 왕관 소유지에서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대대적인 복구사업을 시작한 사무국의 관리로 이관되었다.[33] 1969년 성은 웨일스 사무소로 이관되었다가 21세기 관광명소로 그 재산을 관리하는 캐드로 이관되었다.[33]할렉은 1986년 그웬드 세계문화유산에 에드워드 왕의 성곽과 마을벽의 일부로 선언되었는데, 유네스코는 할렉을 "13세기 후반과 14세기 초 유럽 군사건축의 가장 훌륭한 사례" 중 하나로 간주하고 있다.[34]
건축
할레흐 성은 거의 61m 높이의 암석 분출구인 할레흐 돔의 일부에 자리잡고 있다. 땅은 남북으로 급격히 떨어지고, 바위 속으로 잘려진 도랑은 성으로 남은 접근을 보호한다.[35]이 성은 동심원형 디자인으로, 방어선이 다른 선으로 둘러싸여 내측과 외측 병동을 형성하고 있으며, 외측 벽은 원래 지금보다 다소 높았다.[36]할렉은 지역 회색-녹색 사암으로 지어졌으며, 탑에는 크고 규칙적인 블록이 사용되었고, 도랑에서 가져왔을 가능성이 있는 불규칙한 재료가 벽에는 사용되었다.[31]바머스 근처의 에그린 사원 주변에서 채석했을 가능성이 있는, 성에서 장식하는 데 더 부드러운 노란 사암이 사용된다.[31]
성의 정문에는 동쪽의 두 도랑 교량탑과 정문사이의 돌다리를 건너는 것이 포함되었을 것이다; 오늘날 교량탑의 잔해가 거의 남아 있지 않고 문루로 들어가는 목재 출입구가 다리를 대신한다.[37]절벽 아래까지 내려오는 127계단의 보호계단이 수문으로 내려다보인다.[38]13세기에 바다는 계단 가까이까지 올라와 해상으로 재공급이 가능했지만, 오늘날 바다는 크게 후퇴하여 원래의 환경에서는 그 개념을 더욱 예감하기 어렵게 되었다.[35]
문고는 13세기에 유행한 '톤브리지 스타일'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기도 하는 디자인을 따랐으며, 출입구 옆에는 두 개의 거대한 'D자형' 방어탑이 있다.[39]성으로 들어가는 통로는 포구 세 명과 적어도 두 개의 무거운 문이 지키고 있었다.[10]대문채에는 윗층이 두 개 있고, 여러 방으로 나뉘어져 있다.[40]각 층에는 안쪽 병동이 내려다보이는 커다란 창문이 세 개 있고, 2층에는 대문채 측면에 두 개의 웅장한 창문이 추가로 있다. 문고에는 난로가 설치되어 있었고, 원래는 두드러진 굴뚝이 있었을 것이다.[41]역사학자 아놀드 테일러는 문고 1층은 경감이 생활숙박시설로 사용했으며, 2층은 선배 방문객들이 사용했다고 주장했다. 제레미 애쉬비는 이후 이 해석에 이의를 제기해 높은 지위숙박시설이 대신 사용되었을 수도 있음을 시사했다.내부 병동, 그리고 다른 용도로 사용된 문고.[42]
내부 병동은 네 개의 커다란 원형 탑이 지키고 있다.시간이 흐르면서 이들은 다양한 이름을 얻게 되었다: 1343년, 북동쪽에서 시계방향으로, 그들은 르 프리즌투어, 투리스 울트라 가르디니움, 르 웨데르콕투어, 르 샤플투어로 불렸지만, 1564년 그들은 각각 채무자, 모티머, 브론웬, 아르무러 타워로 이름이 바뀌었다.[43]르 프리즌투어는 지하감옥을 설립했고 르 샤플투어는 16세기에 포병 작업장을 포함했을지도 모른다.[44]내부 병동 주변에는 예배당, 부엌, 서비스 건물, 곡창고, 대웅전 등 여러 종류의 건물들이 지어졌다.[45]이 전투는 원래 콘위와 비슷한 방식으로 3중 피니얼로 지어졌을지 모르지만, 현대에는 이것들의 잔해가 거의 남아 있지 않다.[46]
할렉의 건축은 같은 시기의 사보이 왕국에서 발견된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46]여기에는 반원형 도어 아치, 윈도우 스타일, 코벨탑, 퍼트로그 구멍의 위치 등이 포함되며, 대개 사보이 건축가 마스터 제임스의 영향에서 기인한다.[47]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제임스가 이 지역을 떠난 후 관련 사보이 구조물이 건설되었기 때문에 할렉과 사보이 사이의 연결고리는 간단하지 않다.[48]따라서 건축 세부사항의 유사성은 사보이 장인과 기술자들이 할렉 프로젝트에 대해 더 넓은 역할을 수행한 결과일 수 있다.[48]
참고 항목
메모들
참조
- ^ Cadw. "Harlech Castle (Grade I) (25500)". National Historic Assets of Wales. Retrieved 22 July 2019.
- ^ "Harlech Castle". cadw.gov.wal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September 2018. Retrieved 21 August 2018.
- ^ "Castles and Town Walls of King Edward in Gwynedd". UNESCO. Retrieved 14 July 2012.
- ^ a b 테일러 2007, 페이지 5
- ^ 애쉬비 2007, 페이지 5; 테일러 2008, 페이지 6-7
- ^ 애쉬비 2007, 페이지 6
- ^ 2007년 테일러 페이지 5-6
- ^ Taylor 2007, 페이지
- ^ 릴리 2010, 페이지 100–104; 테일러 2007, 페이지 7
- ^ a b 2007년 테일러 페이지 21
- ^ 2007년 테일러 페이지 7
- ^ 모리스 2004, 페이지 117, 테일러 2007, 페이지 7
- ^ Taylor 2007, 페이지 8; Taylor 1974, 페이지 1029; McNeill 1992, 페이지 42-43
- ^ 파운드 1994, 페이지 147
- ^ 2007년 테일러 페이지 7-8
- ^ a b c 테일러 2007, 페이지 9
- ^ 2007년 테일러 페이지 8
- ^ a b c 2007년 테일러 페이지 10
- ^ Taylor 2007, 페이지 10; Liddiard 2005, 페이지 82
- ^ 데이비스 1995, 페이지 115f
- ^ 그레이브트 2007, 페이지 55-56
- ^ 테일러 2007, 페이지 10; 그레이브트 2007, 페이지 56
- ^ a b 2007년 테일러 페이지 11
- ^ a b 힉스 2012, 페이지 179
- ^ Taylor 2007, 페이지 11; Goodall 2011, 페이지 367–368
- ^ 캐논 1997, 페이지 454; 테일러 2007, 페이지 11
- ^ 2007년 테일러 페이지 11-12
- ^ 허튼 1999, 페이지 136–137
- ^ a b c 2007년 테일러 13페이지
- ^ 톰슨 1994, 페이지 155; 테일러 2007, 페이지 13
- ^ a b c 롯 2010, 페이지 116
- ^ 2007년 테일러 13-14페이지
- ^ a b 테일러 2007년 페이지 14
- ^ "Castles and Town Walls of King Edward in Gwynedd". UNESCO. Retrieved 14 July 2012.; Taylor 2007, 페이지 14
- ^ a b 테일러 2007년 페이지 17
- ^ 테일러 2007년, 페이지 17-18
- ^ 테일러 2007년 페이지 18
- ^ Taylor 2007, 17페이지 17, 31
- ^ Taylor 2007, 페이지 18; Goodall 2011, 페이지 217
- ^ 2007년 테일러 페이지 25
- ^ 2007년 테일러 페이지 23
- ^ Taylor 2007, 페이지 25; Ashbee 2010, 페이지 80–81
- ^ 2007년 테일러 페이지 27
- ^ 2007년 테일러 페이지 27-28
- ^ 2007년 테일러 페이지 28~30
- ^ a b 테일러 2007년 페이지 29
- ^ 콜드스트림 2010, 페이지 39-40
- ^ a b 콜드스트림 2010, 페이지 43
참고 문헌 목록
- Ashbee, Jeremy A. (2007). Conwy Castle. Cardiff, UK: Cadw. ISBN 978-1-85760-259-3.
- Ashbee, Jeremy A. (2010). "The King's Accommodation at his Castles". In Williams, Diane; Kenyon, John (eds.). The Impact of Edwardian Castles in Wales. Oxford, UK: Oxbow Books. pp. 72–84. ISBN 978-1-84217-380-0.
- Cannon, John (1997). The Oxford Companion to British History.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866176-4.
- Coldstream, Nicola (2010). "James of St George". In Williams, Diane; Kenyon, John (eds.). The Impact of Edwardian Castles in Wales. Oxford, UK: Oxbow Books. pp. 37–45. ISBN 978-1-84217-380-0.
- Davies, R. R. (1995). The Revolt of Owain Glyn Dŵr.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820508-1.
- Goodall, John (2011). The English Castle. New Haven, US and London, UK: Yale University Press. ISBN 978-0-300-11058-6.
- Gravett, Christopher (2007). The Castles of Edward I in Wales 1277–1307. Oxford, UK: Osprey Publishing. ISBN 978-1-84603-027-7.
- Hicks, Michael (2012). The Wars of the Roses. New Haven, US and London, UK: Yale University Press. ISBN 978-0-300-18157-9.
- Hutton, Ronald (1999). The Royalist War Effort 1642–1646 (2nd ed.). London, UK: Routledge. ISBN 978-0-203-00612-2.
- Liddiard, Robert (2005). Castles in Context: Power, Symbolism and Landscape, 1066 to 1500. Macclesfield, UK: Windgather Press Ltd. ISBN 0-9545575-2-2.
- Lilley, Keith D. (2010). "The Landscapes of Edward's New Towns: Their Planning and Design". In Williams, Diane; Kenyon, John (eds.). The Impact of Edwardian Castles in Wales. Oxford, UK: Oxbow Books. pp. 99–113. ISBN 978-1-84217-380-0.
- Lott, Graham (2010). "The Building Stones of the Edwardian Castles". In Williams, Diane; Kenyon, John (eds.). The Impact of Edwardian Castles in Wales. Oxford, UK: Oxbow Books. pp. 114–120. ISBN 978-1-84217-380-0.
- McNeill, Tom (1992). English Heritage Book of Castles. London, UK: English Heritage and B. T. Batsford. ISBN 0-7134-7025-9.
- Morris, Marc (2004) [2003]. Castle: A History of the Buildings that Shaped Medieval Britain. London, UK: Pan Books. ISBN 0-330-43246-X.
- Phillips, Alan (1961). Harlech Castle Official Guidebook. London: 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 (HMSO).
- Pounds, N. J. G. (1994). The Medieval Castle in England and Wales: A Social and Political History.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45099-7.
- Taylor, Arnold (1974). The Kings Works in Wales. London, UK: HMSO. ISBN 0-11-670556-6.
- Taylor, Arnold (2007). Harlech Castle. Cardiff, UK: Cadw. ISBN 978-1-85760-257-9.
- Taylor, Arnold (2008). Caernarfon Castle and Town Walls. Cardiff, UK: Cadw. ISBN 978-1-85760-209-8.
- Thompson, M. W. (1994). The Decline of the Castle. Leicester, UK: Magna Books. ISBN 978-1-85422-608-2.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할렉 성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Harlech Castle의 공식 Cadw 페이지 2014년 4월 7일 Wayback Machine에 보관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