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나도트로핀 방출 호르몬 길항제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ntagonist
고나도트로핀 방출 호르몬 길항제
마약류
Cetrorelix.svg
세트로리알렉스,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적대자 중 한 명이다.
클래스 식별자
동의어GnRH 수용체 길항제, GnRH 차단제, GnRH 억제제, Antigonadotropins
사용하다불임, 전립선암, 조숙한 사춘기, 유방암, 자궁내막증,자궁섬유종; 트랜스젠더
생물학적 표적GnRH수용체
케미컬 클래스펩타이드, 비펩타이드
위키다타에서

고나도트로핀 방출 호르몬 길항제(GnRH 길항제)는 고나도트로핀 방출 호르몬 수용체(GnRH 수용체)를 길항시켜 고나도트로핀 방출 호르몬(GnRH)의 작용을 일으키는 약의 일종이다.그것들은 전립선암, 자궁내막증, 자궁섬유종, 보조생식에서 여성의 불임, 그리고 다른 징후들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세트로리릭스와 같은 GnRH 길항제들은 구조상 자연 GnRH(하상부 뉴런이 만든 호르몬)와 비슷하지만 길항 효과가 있는 반면 엘라골릭스, 릴루골릭스 등 다른 GnRH 길항제들은 펩타이드 성분이 아닌 소분자 화합물이다.GnRH 길항제들은 GnRH 수용체와 결합하기 위해 자연 GnRH와 경쟁하므로 체내에서 GnRH 작용을 감소시키거나 차단한다.

의학적 용법

전립선암

테스토스테론은 많은 전립선 종양의 성장을 촉진하고 따라서 순환 테스토스테론을 매우 낮은 (주물) 수준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종종 전립선암에 걸린 남성들의 관리에서 치료목표가 된다.GnRH 길항제는 GnRH 작용제를 가진 환자를 치료할 때 나타나는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급증하지 않고 테스토스테론을 빠르게 억제하는 데 사용된다.[1]이런 테스토스테론의 급증은 종양의 플레어 업으로 이어져 뼈 통증 요도 장애 척수 압박 등 다양한 임상 증상을 촉진시킬 수 있다.제약회사들은 GnRH 작용제들에 대한 처방 정보에서 이러한 현상에 대해 경고하고 있다.GnRH 길항제로는 테스토스테론이 급증하지 않기 때문에 전립선암 치료 중 플레어 프로텍션으로 항안드로겐을 받을 필요가 없다.GnRH 작용제는 또한 약물의 재주입 후 테스토스테론 수치 증가를 유도하는데, 이는 GnRH 길항제에서는 발생하지 않는 현상이다.

GnRH 길항제 치료 중에 발생하는 테스토스테론 수치 감소는 결과적으로 전립선암의 크기를 감소시킨다.이를 통해 환자의 혈액에서 전립선 특이 항원(PSA) 수치가 감소하므로 PSA 수치를 측정하는 것이 전립선암 환자가 치료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모니터링하는 방법이다.GNRH 길항자는 테스토스테론의 빠르고 심오한 억제를 초래하는 즉각적인 작용을 일으키므로 질병의 빠른 통제가 필요한 전립선암 환자들의 치료에 특히 가치가 있다.

GnRH 길항제인 애바렐릭스는 2005년 미국 시장에서 철수했으며 현재 독일에서 증상성 전립선암 환자에게만 사용할 수 있도록 판매되고 있다.Degarlix는 GnRH 길항제로서 유럽 전역과 미국에서도 호르몬에 민감한 전립선암에 걸린 환자에게 사용하도록 승인되었다.[2]

불임치료

GnRH 길항제는 체내 수정(IVF)에 대비하여 FSH로 난소 과지열을 겪는 환자에게서 조기 LH 급증과 내생 배란 예방을 위해 단기간에도 사용된다.[3][4][5]전형적으로 그것들은 고나도트로핀 투여 후 그리고 배란을 자극하기 위해 주어지는 hCG 투여 전 자극 주기 동안 중간 경피 단계에서 관리된다.이 프로토콜은 과민반응자가 될 것으로 기대되는 여성들과 또한 아마도 난소 과민반응자가 될 것으로 기대되는 여성들에게 유익할 것이다.[6]GnRH 길항제 프로토콜과 GnRH 길항제 프로토콜은 산아나 유산의 위험 측면에서 거의 또는 전혀 차이가 없지만 GnRH 길항제들은 아마도 난소 과다 자극 증후군의 위험을 줄일 것이다.[7]현재 불임치료에 사용허가를 받은 GnRH 길항제들은 cetrorelix와 ganirelix이다.

자궁 장애

엘라골릭스는 중간에서 심각한 자궁내막증 통증을 치료하기 위해, 리루골릭스자궁 섬유종 치료를 위해 표시된다.

기타 용도

GNRH 길항제들은 호르몬에 민감한 유방암에 걸린 여성들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조사되고 있다.[8][9]남성에서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10] 치료 및 잠재적 피임약으로도 조사되고 있다.[11]GNRH 길항제들은 트랜스젠더 청년기에는 사춘기 차단제로, 트랜스젠더 청소년과 성인의 성호르몬 수치를 억제하는 데도 쓰인다.[12][13][14][15]

사용 가능한 양식

임상 또는 수의용으로 판매되는 GNRH 길항제
이름 브랜드/코드 이름 승인/의도된 용도 유형 경로 시작/상태* Hits
아바렐릭스 플렌축 전립선암 펩타이드 IM 2003 116,000
케트로리알렉스 세트로타이드 여성 불임(보조 생식) 펩타이드 SC 2000 134,000
드가렐릭스 프리다곤 전립선암 펩타이드 SC 2008 291,000
엘라골릭스 오리사 자궁내막증;자궁섬유종 비펩타이드 구강 2018 126,000
가니렐릭스 오르갈루트란 여성 불임(보조 생식) 펩타이드 SC 2000 134,000
린자골릭스 KLH-2109; OBE-2109 자궁내막증;자궁섬유종 비펩타이드 구강 3단계[16] 9,730
루골릭스 렐루미나 자궁섬유종, 전립선암 비펩타이드 구강 2019 44,900
참고: 출시/상태 = 출시 연도 또는 개발 상태(2018년 2월 기준)조회수 = 구글 검색 조회수(2018년 2월 기준)

현재 승인된 GnRH 길항제에는 펩타이드 분자(Abarlix, cetrorelix, degarlix, ganirelix)와 소분자 화합물인 엘라골릭스리루골릭스가 포함된다.GnRH 길항제들은 피하주사(cetrorelx, degarlix, ganirelix), 근육내주사(abarellix) 또는 경구 투여(elagolix, relugolix)에 의해 관리된다.

개발 중인 또 다른 비펩타이드 및 구강 활성 GnRH 길항제로는 린자골릭스(linjagolix)[17]가 있다.

부작용

모든 호르몬 요법과 마찬가지로 GnRH 길항제들은 일반적으로 뜨거운 홍조, 두통, 메스꺼움, 체중 증가와 같은 호르몬 부작용과 연관되어 있다.[18][19][20]불임치료에 사용될 때 그것들은 복통과 난소 과다 자극과도 연관될 수 있다.[18][20]피하주사제 또한 주사부위 반응과[19][21] 연관되어 있으며 (이들 중 GnRH 작용제들이 아니라 대항제들이어야 함) 즉석-온셋 전신 알레르기 반응과 연관되어 있다.[22]

약리학

GnRH 길항제들은 경쟁적이고 역행적으로 뇌하수체 내 GnRH 수용체와 결합하여 전방 뇌하수체로부터 루테인화 호르몬(LH)과 모낭 자극 호르몬(FSH)의 분비를 차단한다.[23][24]남성의 경우 LH의 감소는 이후 테스토스테론 생산을 빠르게 억제하고 여성의 경우 난소에서 에스트라디올프로게스테론 생산을 억제하게 된다.GnRH 길항제들은 생식선 성호르몬 분비를 폐지하고 성호르몬 수치를 거세범위 내 또는 약 95%까지 억제할 수 있다.

테스토스테론이나 에스트로겐 수치가 급증하는 저체온-피투아체-곤가달 축(HPG 축)의 초기 자극을 유발하는 GnRH 작용제와 달리 GnRH 길항제들은 즉각적인 작용이 시작되며 초기 상승 없이 성호르몬 수치를 급격히 감소시킨다.[1][25]

화학

GnRH 길항제에는 세트로리텍스, 비펩타이드 등의 펩타이드엘라골릭스 같은 소분자 화합물이 포함된다.펩타이드 GnRH 길항제들은 GnRH 유사점이다.

펩타이드 GnRH 길항제 화학구조
화합물 아미노산순서 시장에 내놓았다
케트로리알렉스 Ac-D-Nal-D-Cpa-D-Pal-Ser-TyR-Cit-Leu-Arg-Pro-D-Ala-NH2
아바렐릭스 Ac-D-Nal-D-Cpa-D-Pal-Ser-N-MeTyr-D-Asn-Leu-Lys(iPr)-Pro-D-Ala-NH2
가니렐릭스 Ac-D-Nal-D-Cpa-D-Pal-Ser-Tyr-D-Harg(et)-2Leu-Harg(et)-2Pro-D-Ala-NH2
드가렐릭스 Ac-D-Nal-D-Cpa-D-Pal-Ser-Aff(호르)-D-Aff(Cba)-Leu-Lys(iPr)-Pro-D-Ala-NH2
테브렐릭스 Ac-D-Nal-D-Cpa-D-Pal-Ser-TyR-hCit-Leu-Lys(iPr)-Pro-D-Ala-NH2 아니요.
오자렐릭스 Ac-D-Nal-D-Cpa-D-Pal-Ser-N-MeTyr-D-Hit-Nle-Arg-Pro-D-Ala-NH2 아니요.
오르니렐릭스 Ac-D-Nal-D-Cpa-D-Pal-Ser-Lys(Pic)-D-Orn(6Anic)-Leu-Lys(iPr)-Pro-D-Ala-NH2 아니요.
이튀렐릭스 Ac-D-Nal-D-Cpa-D-Pal-Ser-Lys(Nic)-D-Lys(Nic)-Leu-Lys(iPr)-Pro-D-Ala-NH2 아니요.
애시라인 Ac-D-Nal-D-Cpa-D-Pal-Ser-Ap(Ac)-D-Ap(Ac)-Leu-Lys(iPr)-Pro-D-Ala-NH2 아니요.
아잘린 B Ac-D-Nal-D-Cpa-D-Pal-Ser-Aps(Atz)-D-Atz(Atz)-Leu-Lys(iPr)-Pro-D-Ala-NH2 아니요.
출처: [28]

참고 항목

참조

  1. ^ a b Van Poppel H, Nilsson S (2008년 6월)테스토스테론 급증: 고나도트로핀 방출 호르몬 차단제의 근거?비뇨기과 71: 1001-1006.
  2. ^ 앤더슨 J(2009년 5월).Degarlix: 전립선암 치료를 위한 새로운 고나도트로핀 방출 호르몬 차단제.퓨처 온콜.5: 433-443.
  3. ^ Bodri D, Vernaeve V, Guilen JJ, 외 (2006년 9월)난모세포 기증자의 GnRH 길항제 및 GnRH 작용제 플레어업 프로토콜의 비교: 무작위 임상시험.음. 재책 21: 2246-2251.
  4. ^ Lambalk CB, Leader A, Olivennes F, 외 (2006년 3월)GnRH 길항제 Ganirelix를 이용한 치료는 LH가 조기에 상승하고 자궁내 수정이 자극을 받을 때 루테인화(luteinization)를 방지하는데, 이는 이중 맹목적이고 위약 조절이 가능한 멀티벤트르 시험의 결과다.흠. 재책 21: 632-639.
  5. ^ Lee TH, Lin YH, Seow KM 등 (2008년 7월)레트로졸과 고나도트로핀을 이용한 조절 난소 자극 중 조기 루틴화 호르몬 급증 예방을 위한 세트로리알렉스 효과: 무작위 시험.수정하다.살균하다.90: 113-120.
  6. ^ La Marca, A.; Sunkara, S. K. (2013). "Individualization of controlled ovarian stimulation in IVF using ovarian reserve markers: From theory to practice". Human Reproduction Update. 20 (1): 124–40. doi:10.1093/humupd/dmt037. PMID 24077980.
  7. ^ Al-Inany, HG; Youssef, MA; Ayeleke, RO; Brown, J; Lam, WS; Broekmans, FJ (29 April 2016). "Gonadotrophin-releasing hormone antagonists for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PDF).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4: CD001750. doi:10.1002/14651858.CD001750.pub4. PMID 27126581.
  8. ^ 엥겔 JB, 오데베르트 A, 프라이드만 R, 외 (2007년 10월)서로 다른 양의 세트로리알렉스 아세테이트를 가진 자궁 섬유질에 대한 사전수술적 단기 치료: 이중 맹목적이고 위약 조절이 가능한 다중 입자 연구.유로 J. 산부인과.지네콜.책망하다.비올 134: 225-232.
  9. ^ Weiss JM, Deadrich K, Ludwig M(2002).고나도트로핀 방출 호르몬 길항제: 약리학과 여성에서의 임상적 이용.치료. 엔도크라시놀.1: 281-291.
  10. ^ Debruynne F, Gres AA, Arustamov DL (2008년 7월)위약 제어 선량 범위 2상 연구 증상 양성 전립선 비대증 환자에서 피하 투여된 LHRH 길항제 세트로렐릭스에 대한 연구.유롤 54: 170-177.
  11. ^ 아모리JK(2007년 3월)남성용 피임약 개발.마약 투데이 (Barc.) 43: 179-192.
  12. ^ Hembree WC, Cohen-Kettenis PT, Gooren L, Hannema SE, Meyer WJ, Murad MH, Rosenthal SM, Safer JD, Tangpricha V, T'Sjoen GG (November 2017). "Endocrine Treatment of Gender-Dysphoric/Gender-Incongruent Persons: An Endocrine Society Clinical Practice Guideline". J. Clin. Endocrinol. Metab. 102 (11): 3869–3903. doi:10.1210/jc.2017-01658. PMID 28945902.
  13. ^ Randolph JF (December 2018). "Gender-Affirming Hormone Therapy for Transgender Females". Clin Obstet Gynecol. 61 (4): 705–721. doi:10.1097/GRF.0000000000000396. PMID 30256230. S2CID 52821192.
  14. ^ Wiik, Anna; Andersson, Daniel P.; Brismar, Torkel B.; Chanpen, Setareh; Dhejne, Cecilia; Ekström, Tomas J.; Flanagan, John N.; Holmberg, Mats; Kere, Juha; Lilja, Mats; Lindholm, Malene E.; Lundberg, Tommy R.; Maret, Eva; Melin, Michael; Olsson, Sofie M.; Rullman, Eric; Wåhlén, Kerstin; Arver, Stefan; Gustafsson, Thomas (2018). "Metabolic and functional changes in transgender individuals following cross-sex hormone treatment: Design and methods of the GEnder Dysphoria Treatment in Sweden (GETS) study". Contemporary Clinical Trials Communications. 10: 148–153. doi:10.1016/j.conctc.2018.04.005. ISSN 2451-8654. PMC 6046513. PMID 30023449.
  15. ^ Aarthi Arasu (2016). "Clinical Vignette: Transgender Care". Proceedings of UCLA Healthcare. 20.
  16. ^ "Linzagolix - Kissei Pharmaceutical/ObsEva - AdisInsight".
  17. ^ Ezzati, Mohammad; Carr, Bruce R (2015). "Elagolix, a novel, orally bioavailable GnRH antagonist under investigation for the treatment of endometriosis-related pain". Women's Health. 11 (1): 19–28. doi:10.2217/whe.14.68. ISSN 1745-5057. PMID 25581052.
  18. ^ a b 세로노. 세트로티드가 2009년 정보를 처방한다.18-6-2009.
  19. ^ a b Degarlix US 처방 정보 2008.28-4-2009.
  20. ^ a b 오르가논.Ganirelix는 2009년 정보를 처방한다.18-6-2009.
  21. ^ Klotz L, Boccon-Gibod L, Shore ND, et al (2008년 12월)디가렐릭스의 효능과 안전: 전립선암 환자에 대한 12개월의 비교, 무작위화, 개방형 그룹 단계 III 연구.BJU. 102: 1531-1538.
  22. ^ Debruynne F, Bhat G, Garnick MB (2006년 12월)주사할 수 있는 정지를 위한 아바릭스: 전립선암에 대한 1급 고나도트로핀 방출 호르몬 길항제.퓨처 온콜. 2: 677-696.
  23. ^ Broqua P, Riviere PJ, Conn PM, 외 (2002년 4월)새롭고, 강력하며, 오래 작용하는 고나도트로핀 방출 호르몬의 약리학적 프로파일: degarellix.J. 약리학.301월 95-102일.
  24. ^ 엥겔 JB, 샬리 AV(2007년 2월)약물 인사이트: 루틴화 호르몬 방출 호르몬의 작용제 및 길항제의 임상적 사용.냇. 임클링.연습. 엔도크라시놀.메타본: 3: 157-167.
  25. ^ Gustofson RL, Segars JH, Larsen FW (2006년 11월)가니렐릭스 아세테이트는 난소 과다 자극 증후군의 위험이 있는 레우프로롤리드 아세테이트로 치료된 여성의 난모세포 성숙에 악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에스트라디올 수치가 급격히 감소하게 한다.음. 재책 21: 2830-2837.
  26. ^ Klotz L, Boccon-Gibod L, Shore ND, Andreou C, Persson BE, Cantor P, Jensen JK, Olesen TK, Schröder FH (December 2008). "The efficacy and safety of degarelix: a 12-month, comparative, randomized, open-label, parallel-group phase III study in patients with prostate cancer". BJU Int. 102 (11): 1531–8. doi:10.1111/j.1464-410X.2008.08183.x. PMID 19035858.
  27. ^ Shim M, Bang WJ, Oh CY, Lee YS, Cho JS (July 2019). "Effectiveness of three different luteinizing hormone-releasing hormone agonists in the chemical castration of patients with prostate cancer: Goserelin versus triptorelin versus leuprolide". Investig Clin Urol. 60 (4): 244–250. doi:10.4111/icu.2019.60.4.244. PMC 6607074. PMID 31294133.
  28. ^ Mezo G, Manea M (December 2009). "Luteinizing hormone-releasing hormone antagonists". Expert Opin Ther Pat. 19 (12): 1771–85. doi:10.1517/13543770903410237. PMID 19939192. S2CID 11906496.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