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고종
Gojong of Korea한국의 고종 대한제국 고종 大韓帝國高宗 | |||||||||||||
---|---|---|---|---|---|---|---|---|---|---|---|---|---|
![]() | |||||||||||||
대한제국 명예황제 | |||||||||||||
통치. | 1907년 7월 20일-1910년 8월 29일 | ||||||||||||
대한제국 황제 | |||||||||||||
통치. | 1897년 10월 13일 1907년 7월 19일 | ||||||||||||
전임자 | 조선의 왕으로서의 자신 | ||||||||||||
후계자 | 순종 | ||||||||||||
조선의 왕 | |||||||||||||
통치. | 1863년 12월 13일 ~ 1897년 10월 13일 | ||||||||||||
전임자 | 철종 | ||||||||||||
후계자 | 한국의 황제로서 | ||||||||||||
섭정 | 신정왕후(1863년 ~ 1866년) 흥선대원군(1863년~1873년) | ||||||||||||
태어난 | 조선 한성 운현궁 | 1852년 9월 8일||||||||||||
죽은 | 1919년 1월 21일( 일본 게이조 덕수궁 | 66세)||||||||||||
매장 | |||||||||||||
배우자. | Empress Myeongseong | ||||||||||||
쟁점. | 순종황제 황태자 의 의민태자 덕혜옹주 | ||||||||||||
| |||||||||||||
하우스. | 이씨 가문 | ||||||||||||
아버지. | 흥선대원군 | ||||||||||||
어머니. | 여흥민씨 내공주 순목씨 | ||||||||||||
종교 | 유교 | ||||||||||||
서명 | ![]() |
한국이름 | |
한글 | 종종short ( short ) |
---|---|
한자 | 宗光shortshortshort(짧은 高高)) |
개정된 로마자 표기법 | 고종 광무제(짧은 고종) |
맥쿤-라이샤우어 | 고종광무제(짧은고종) |
생년월일 | |
한글 | 이명복, later 이희 |
한자 | '나중에[1]' |
개정된 로마자 표기법 | 이명복, 나중에 이희 |
맥쿤-라이샤우어 | 이명복(나중에 이혜) |
조선 군주 | ||||||||||||||||||||||||||||||||||||||||||||||||||||||
---|---|---|---|---|---|---|---|---|---|---|---|---|---|---|---|---|---|---|---|---|---|---|---|---|---|---|---|---|---|---|---|---|---|---|---|---|---|---|---|---|---|---|---|---|---|---|---|---|---|---|---|---|---|---|
| ||||||||||||||||||||||||||||||||||||||||||||||||||||||
고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한국의 군주(재위: 1864년 ~ 1907년)이다.그는 1864년부터 1897년까지 조선의 마지막 왕으로, 1897년부터 1907년 강제 퇴위할 때까지 한국의 초대 황제로 군림했다.그는 사후 광무황제(光武皇帝, 한자: 光武皇, RR: 광무제, MR: 광무제)로 알려져 있다.
전기
초기 생활
고종은 한성의 정선방에서 태어났다.이하응의 아들이었다.조선의 철종이 아들 없이 죽은 후, 안동 김씨 일족이 그를 다음 왕으로 추대했다.고종은 즉위식 [2]직전에 익선대군이 되었다.그는 1863년 12월 9일 궁전에 들어갔고 그의 아버지와 어머니는 [3]귀족이 되었다.
초기 통치

1863년 12월 13일 고종은 창덕궁 [4]인수문에서 즉위하였다.그가 왕위에 올랐을 때 그는 겨우 12살이었다.신정왕후는 성인이 될 때까지 섭정 노릇을 했어요.그의 아버지 흥선세자는 신정왕후의 섭정을 도왔다.1866년 신정왕후가 섭정 폐지를 선언하면서 고종의 통치가 시작되었다.[2]1866년 3월 6일, 민치록의 딸 민부인이 새로운 [5]왕비로 선출되었다.그의 아버지 흥선대원군은 섭정을 유지할 권리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2] 그는 여전히 불법 섭정 노릇을 했다.
1860년대 중반, 흥선대원군은 고립주의의 주창자였으며 1866년과 1871년에 각각 프랑스와 미국의 한국 원정대를 직접 이끈 정책인 원주민과 외국 천주교 박해를 담당하였다.대원군의 통치 초기에는 왕권의 중심지인 경복궁을 복원하기 위한 공동의 노력도 목격되었다.대원군 때 조선의 파벌정치, 서원(파벌권력의 서사), 특히 안동 김씨 일가가 휘두른 권력은 [6]해체되었다.
마침내 1873년, 고종은 직접 왕정을 선포했다.1874년 11월 흥선대원군의 퇴임과 함께 고종의 부인 명성황후(명성황후)와 여흥민씨 일족이 궁내를 완전히 장악하고 궁내 고위직을 [2]가족들로 채웠다. 명성황후
고종은 친족과 왕족에게 중요한 지위를 줌으로써 왕의 권위를 강화하려 했다.민영환은 민비의 먼 친척으로 고종이 가장 아끼던 [7]관리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민비
외압과 불평등 조약
19세기에 청나라와 일본 제국 사이에 긴장이 고조되어 1894-1895년 제1차 청일전쟁이 발발했다.이 전쟁의 대부분은 한반도에서 일어났다.메이지유신 이후 서양의 군사기술을 습득한 일본은 강화도에서 조선군을 상대로 승리를 거둬 1876년 강화조약 체결을 강요했다.일본은 어류, 철광석 및 기타 천연자원을 찾아 한국 영토를 잠식했다.또한 한반도에 강력한 경제적 입지를 구축하여 일제의 동아시아 진출의 시작을 알렸다.이 사건들은 고종이 일본 [2]제국에 반감을 품게 된 뿌리였다.
강화조약은 한국과 외국 사이에 체결된 최초의 불평등조약이 되었다. 그것은 한국에 있는 일본인들에게 치외법권권을 주고 한국 정부는 부산, 인천, 원산 등 3개 항구를 일본과 외국 무역에 개방하도록 강요하였다.이러한 일방적인 조약의 체결로 한국은 제국주의 열강의 손쉬운 먹잇감이 되었고,[8] 일본에 의한 한국 합병의 길을 열었다.
임오의 난과 갑신정변
고종은 소총을 갖춘 새로운 유급 군인들에게 의존하기 시작했다.이 신군들은 개화당이 요청하였고 [9]윤웅렬이 감독하였다.잘 무장된 군대와는 대조적으로, 구군은 13개월 동안 월급을 받지 못했다.너덜너덜해진 군대는 마침내 한 달치 월급을 받았고, 격분한 노군은 폭동을 일으켰고, 흥선대원군은 [10]권력을 잡았다.임오군란이 일어났을 때, 민비는 중국에 군사적 지원을 요청했다. 민비1882년 6월 27일, 청은 약 3,000명의 군사를 서울에 배치하였다.그들은 1882년 7월 7일 흑선대원군을 납치하였고, 이로 인해 민씨 일가는 다시 [11]권력을 쥐게 되었다.
민비가 친척의 별장으로 피신하던 임오 사건 당시 영월 엄씨 선영부인은 고종에게 극진한 애정을 보였다.그는 그녀를 지밀상궁(내궁 [12]5등)으로 승진시켜 충성에 보답했다.
1884년 12월 4일, 5명의 혁명가들이 소규모 반노신부대를 이끌고 고종과 민비를 구속하는 쿠데타를 시도하였다.이 혁명가들은 한국에서 [13]청나라 군대를 제거하려고 했다.갑신정변은 3일 만에 실패했다.김옥균을 비롯한 지도자들 중 일부는 일본으로 도망쳤고 일부는 처형되었다.
농민 반란
만연한 가난은 19세기 조선 왕조에 중대한 도전을 가져왔다.기아가 만연했고, 많은 사람들이 흙길을 [14]따라 늘어서 있는 낡은 판잣집에서 살았다.기근, 빈곤, 가혹한 세금, 그리고 지배층 사이의 부패는 19세기에 많은 주목할 만한 농민 반란을 일으켰다.고종의 전임자들은 홍경래가 [15]이끄는 1811년부터 1812년까지 평안도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하였다.
1894년, 또 다른 큰 반란인 동학 농민 혁명은 반정부, 반양반, 반외국인 운동으로 일어났다.혁명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현대 세금 제도에 익숙하지 않은 민비가 시행한 세금 제도였다. 민비고종은 혁명을 진압하기 위해 중국과 일본인들을 데려왔다.이준용과 다른 사람들은 고종을 암살하기 위해 농민들과 협력했다.하지만 음모가 새어나갔고 혁명은 실패했다.[2]혁명은 결국 실패했지만, 농민들의 많은 불만은 나중에 갑오개혁으로 해결되었다.
1894년 가장 큰 개혁 중 하나는 [16]고조선까지 존재했던 노비제도를 폐지한 것이다.
민비 암살 사건
1895년 명성황후는 일본 첩보원들에 의해 암살되었다. 명성황후미우라 고로 주한 일본대사가 그녀를 상대로 음모를 꾸몄다.일본 첩보원단이 일본군에 동조하는 한국군의 경호를 받고 있던 서울 경복궁에 들어갔고, 왕비는 궁궐에서 살해되었다.여왕은 한국에 대한 일본의 간섭에 대항하기 위해 노력했고 러시아나 중국에 [citation needed]지원을 요청할 것을 고려하고 있었다.
한국의 반일 감정
1895년 일본은 청일전쟁에서 승리하여 한국 정부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였다.갑오개혁과 왕비 시해사건도 한국에서 반일감정을 부추기며 논란을 일으켰다.고종은 일본에 대한 반감이 커졌고, 1884년 한러조약을 체결함으로써 동맹국으로 러시아에 눈을 돌렸다.그는 러시아 [2]제국에 많은 사절들을 보냈다.
농민들뿐만 아니라 일부 유학자들은 한국의 자유를 위해 싸우기 위해 60개 이상의 의병을 연속적으로 결성했다.이 군대들은 동학운동이 먼저였고 다양한 독립운동이 뒤를 이었다.
러시아 공사관 내부 망명
1895년 천상문 사건 이후 친일 정부는 성장했고, 반일 정치인들은 목숨을 잃거나 도망쳤다.고종은 [17]피난의 필요성을 인식했다.
1896년 2월 11일, 고종과 그의 왕세자는 경복궁에서 [18]서울 주재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하였고, 그곳에서 약 1년 동안 통치하였으며, 이는 고종의 러시아 공사관 내부 유배 사건으로 알려져 있다.러시아 공사관에 머물기 때문에 한국에 대한 많은 양보가 러시아에 [2]의해 받아들여졌다.고종은 민영환을 러시아의 [19]니콜라스 2세의 대관식에 보냈다.민씨는 1896년 10월 러시아 육군 교관들과 함께 한국으로 돌아왔다.이 교관들은 호위병을 양성할 수 있었고,[20] 고종은 1897년 2월에 궁궐로 복귀할 수 있었다.
대한제국 황제
1897년 10월 13일, 해외로부터의 압력과 독립협회 주도의 여론의 요구에 굴복하여 고종은 경운궁(현재의 덕수궁)으로 돌아왔다.그는 스스로를 황제로 선포하고, 국호를 대한제국으로 바꾸고, 새로운 연호인 광무(光武)를 선포하였다.이로써 한국은 명나라 멸망 이후 인정해 온 청나라에 대한 역사적 종속은 사실상 종식되었다.그는 광무황제라는 칭호를 얻었고,[2] 원구단에서 정식으로 황제로 즉위했다.그는 나라 이름을 [21]한나라로 바꿨다.같은 날, 고종은 황태자를 [22]황태자로 임명했다.제국의 선포는 동아시아의 유일한 제국이었던 청나라에 대한 갈등을 가져왔다.이 갈등은 두 [23]황제의 직함을 언급하지 않음으로써 해결되었다.
1898년 흥선대원군이 사망하자 광무황제는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가 회복할 수 없을 정도로 파탄나자 아버지의 장례식에 참석하기를 거부했다.그러나 황궁의 [24][25]성벽 너머를 바라볼 때 황제의 울음소리가 들렸다고도 한다.1899년 8월 17일 고종은 대한선언법을 공포하였다.이 법은 [26]고종에게 절대적인 권력을 주었다.
고종은 절대 권력을 가졌음에도 입헌군주제를 경멸하지 않았다.그는 인디펜던스 클럽 회원들과 개혁을 실행하겠다고 약속했다.그러나, 이러한 개혁은 신속히 실행되지 않았다.인디펜던스 클럽 회원들은 그것에 대해 화가 났다.한편, 보수 정치인들은 독립 클럽이 제국을 폐지하고 공화국을 선포하려고 한다는 소문을 퍼뜨렸다.이것은 고종을 독립 클럽을 [27]폐지하게 만들었다.

고종은 그의 나라와 특히 군대의 현대화의 필요성을 알고 있었다.더 강한 군대를 갖는 것은 황제의 권한을 높이는 또 다른 방법이었다.민영환이 데려온 러시아 교관들은 군 현대화를 주요 임무로 삼았다.고종은 러시아의 지시에 만족했다.1898년 3월, 러시아 교사들은 러시아로 돌아왔다.고종은 군사부에 군대를 강화하라고 명령했다.1898년 [28]4월 이종건(李-建) 무사의 요청에 따라 사관학교를 설립하였다.1898년 [29]6월 29일 고종은 육군과 해군 모두를 지휘하기 위해 자신을 대한제국 육군 대원수로, 왕세자를 육군 대원수로 임명하였다.1898년 7월 2일, 고종은 군대의 [28]전권을 장악하였다.보안관 [30]위원회는 1899년 8월 1일에 설립되었다.1899년에 고종은 여러 나라에서 많은 무기를 구입했다.고종은 새로운 장교들이 현대화된 사관학교로부터 배울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그는 많은 생도를 일본 육군 사관학교에 보냈다.점점 더 많은 육군 부대가 전국에 창설되었다.1900년 7월까지, 진위대에는 17,000명의 남자가 있었다.1901년에는 총수입의 약 44%가 [28]군사비로 사용되었습니다.고종은 보안관을 통해 군사력을 강화하려 했다.보안관 위원회는 군대의 [31]최고 지휘관이 되었다.
고종은 많은 암살과 퇴위 시도를 받았다.1898년 7월, 무신 안경수는 [2]고종을 퇴위시키려 했다.안중근은 1900년 [32]5월 28일 음모로 처형되었다.둘째, 1898년 9월 12일 김홍록은 고종의 [33]커피에 독약을 주입하여 고종을 암살하려 하였다.1904년, 일부 재일 한국인 유학생들이 고종을 퇴위시키고 의황태자를 [34]황제로 삼으려 했다.
1904~1905년, 일본은 러일 전쟁의 승리자였다.전쟁 중에는 한국의 독립을 유지하기 위한 외교적 노력이 있었는데, 영국으로부터 필사적으로 지지를 얻으려고 노력한 런던 주재 이한응 한국 차관의 노력이 있었다.그러나 영국은 영일 동맹으로 이미 일본과 공통의 이해관계를 갖고 있었고 영국 외무부의 랜스다운 경은 그의 외교적 요청을 무시했다.이한응은 1905년 5월 시위로 스스로 목숨을 끊었고, 고종은 그의 유해가 배를 타고 한국으로 돌아오자 그의 비극적인 죽음을 애도했다.
이러한 고종의 행적이 일제에 의해 알려지자, 일본인들은 고종을 제거하려고 하였다.1907년 7월 20일, 고종은 제거되었다.고종의 아들 순종이 그의 뒤를 이어 [2]왕위에 올랐다.
순종의 통치 기간 동안, 조선 왕국은 1910년 일본의 한국 합병으로 멸망했다.
퇴위 후
고종은 퇴위 후 덕수궁에 유폐되었다.1910년 8월 22일 대한제국은 한일병합조약에 따라 일본에 합병되었다.이 조약에서 고종은 전 천황의 칭호를 잃었고 대신 "덕수왕 이"라는 새로운 칭호를 받았고 일본 황실의 일원으로 인정받았다.
고종은 1919년 1월 21일 66세의 나이로 덕수궁에서 급사하였다.그가 일본 관리들에 의해 투여된 독극물에 의해 사망했을 것이라는 추측이 많다. 이 생각은 그가 사망할 당시 널리 퍼졌고 받아들여졌다.그의 죽음과 그에 따른 장례식은 [35]3·1운동의 기폭제가 되었다.그는 아내와 함께 남양주시 홍릉에 묻혔다.
가족
- 아버지.
- 어머니.
- 여흥 민씨 순목왕후( queen min王 clan, 1818년 2월 3일 ~ 1898년 1월 8일)
- 조부 : 민치구( chi-17, 1795년 ~ 1874년 12월 14일)
- 할머니 : 전주 이씨(? ~ 1873년 11월 17일)
- 법적 어머니:신정왕후(新正王 shin, 1809년 1월 21일 ~ 1890년 6월 4일)
- 여흥 민씨 순목왕후( queen min王 clan, 1818년 2월 3일 ~ 1898년 1월 8일)
- 고객 지원 및 관련 문제:
- 명성황후 민자영(明seongyeong, 1851년 11월 17일 ~ 1895년 10월 8일)[a] 명성황후
- 영월 엄씨(永月 clan氏, 1854년 2월 2일 ~ 1911년 7월 20일) 엄선영( eom善永)[f][g]
- 양춘기( yang春gi, 1882년 9월 27일 ~ 1929년 5월 30일)
- 덕혜옹주(德惠 (主, 1912년 5월 25일 ~ 1989년 4월 21일)
- 이순아(李-,,[i] 1849년 ~ 1928년 12월 17일)
- 이선(李善, 1868년 4월 16일 ~ 1880년 1월 12일)[j]
- 이름 없는 딸(1871년-1872년)
- 덕수장씨 귀인(귀仁)
- 경주 이씨 내안당귀인(內安堂 gw人, 1847년 ~ 1914년 2월 13일)[38]
- 이름 없는 딸(1879년 ~ 1880년)
- 해주 정씨 보현귀인( imperial gwi人, 1882년 2월 23일 ~ 1943년)
- 황태자 이우(1915년 8월 20일 ~ 1916년 7월 25일)
- 이완덕(李-德,[l] 1885년 ~ 1965년 11월 10일)
- 이육대군(1914~1915)[m]
- 이름없는 딸
- 김옥기(金玉gi,[n] 1890년 ~ 1970년 9월 23일)
- 정화관 광산 김씨 궁녀 김씨(金氏)
명예
- 한국의[citation needed] 영예우등.
- 황금 통치자 대훈장 창설자 및 국왕– 1900년 4월 17일
- 상서로운 별 대훈장 창설자 겸 국왕– 1902년 8월 12일
- 매화대훈장 창설자 겸 국왕(1900년 4월 17일)
- 국민왕실장 창설자 겸 국왕(1900년 4월 17일)
- 퍼플팔콘 훈장 창설자 및 소버린– 1901년 4월 16일
- 팔괘훈장 창설자 겸 국왕– 1901년 4월 16일
- 상서로운 봉황대계단 1907년
- 외국의[citation needed] 영예우
이탈리아: 모리스와 라자루스 기사단 대십자– 1895년 7월 23일
프랑스: 레지옹 도뇌르 대십자장– 1895년 7월 23일
일본.
영국:인도제국 훈장 명예대사령관– 1900년 12월[41] 17일
스페인: 칼라가 있는 카를 3세 기사단 대십자 – 1900
벨기에: 레오폴드 왕실 훈장 그랜드 코르도– 1901년 3월 23일
중국: 1급 쌍룡훈장 1903년 12월 1일
러시아: 세인트 훈장 기사단 스타니슬라우스 1급 1903년 12월 1일
덴마크: 코끼리 기사단 1903년 8월[42] 31일
독일 제국: 검은 독수리 기사단– 1904년 3월 20일
조상
고종황제의 조상 | ||||||||||||||||||||||||||||||||||||||||||||||||||||||||||||||||||||||||||||||||||||||||||||||||||||||||||||||||||||||||||||||||||||||||||||||||||||||||||||||||||||||||||||||||||||||||||||||||||||||||||||||||||||||||||||||||||||||||||||||||||||||||||||||||||||||||||||||||||||||||||||||||||||||||||||||||||||||||||||||||||||||||||||||||||||||||||||||||||||||||||||||||||||||||||||||||||||||||||||||||||||||||||||||||||||||||||||||||||||||||||||||||||||||||||||||||||||||||||||||||||||||||||||||||||||||||||||||||||||||||||||||||||||||||||||||||||||||||||||||||||||||||||||||||
---|---|---|---|---|---|---|---|---|---|---|---|---|---|---|---|---|---|---|---|---|---|---|---|---|---|---|---|---|---|---|---|---|---|---|---|---|---|---|---|---|---|---|---|---|---|---|---|---|---|---|---|---|---|---|---|---|---|---|---|---|---|---|---|---|---|---|---|---|---|---|---|---|---|---|---|---|---|---|---|---|---|---|---|---|---|---|---|---|---|---|---|---|---|---|---|---|---|---|---|---|---|---|---|---|---|---|---|---|---|---|---|---|---|---|---|---|---|---|---|---|---|---|---|---|---|---|---|---|---|---|---|---|---|---|---|---|---|---|---|---|---|---|---|---|---|---|---|---|---|---|---|---|---|---|---|---|---|---|---|---|---|---|---|---|---|---|---|---|---|---|---|---|---|---|---|---|---|---|---|---|---|---|---|---|---|---|---|---|---|---|---|---|---|---|---|---|---|---|---|---|---|---|---|---|---|---|---|---|---|---|---|---|---|---|---|---|---|---|---|---|---|---|---|---|---|---|---|---|---|---|---|---|---|---|---|---|---|---|---|---|---|---|---|---|---|---|---|---|---|---|---|---|---|---|---|---|---|---|---|---|---|---|---|---|---|---|---|---|---|---|---|---|---|---|---|---|---|---|---|---|---|---|---|---|---|---|---|---|---|---|---|---|---|---|---|---|---|---|---|---|---|---|---|---|---|---|---|---|---|---|---|---|---|---|---|---|---|---|---|---|---|---|---|---|---|---|---|---|---|---|---|---|---|---|---|---|---|---|---|---|---|---|---|---|---|---|---|---|---|---|---|---|---|---|---|---|---|---|---|---|---|---|---|---|---|---|---|---|---|---|---|---|---|---|---|---|---|---|---|---|---|---|---|---|---|---|---|---|---|---|---|---|---|---|---|---|---|---|---|---|---|---|---|---|---|---|---|---|---|---|---|---|---|---|---|---|---|---|---|---|---|---|---|---|---|---|---|---|---|---|---|---|---|---|---|---|---|---|---|---|---|---|---|---|---|---|---|---|---|---|---|---|---|---|---|---|---|---|---|---|---|---|---|---|---|---|---|---|---|---|---|---|---|---|---|---|---|---|---|---|---|---|---|---|---|---|---|---|---|---|---|---|---|---|---|---|---|---|---|---|---|---|---|---|---|---|---|---|---|---|---|---|---|---|---|---|---|---|---|---|---|---|---|---|---|---|---|---|---|---|---|---|---|---|---|---|---|---|---|---|---|---|---|---|---|---|---|---|---|---|---|---|---|---|---|---|---|---|---|---|---|---|---|---|---|---|---|---|---|---|---|---|---|---|---|---|
|
대중문화에서
- 2001-2002년 KBS2 TV 시리즈 명성황후에서 이진우와 이준에 의해 연기되었다. 명성황후
- 2009년 영화 이름 없는 검에서 김영민에 의해 연기되었다.
- 2010년 SBS TV 시리즈 제중원에서 최종환에 의해 연기되었다.
- 2012년 영화 가비에서 박희순이 연기하였다.
- 2014년 KBS2 TV 시리즈 '조선에서의 괴한'에서 이민우가 연기했다.
- 박민상이 2016년 영화 '세상에 맞서는 지도'에서 연기하였다.
- 2016년 영화 "마지막 공주"에서 백윤식이 연기했다.
- 2018년 tvN TV 시리즈 미스터 선샤인에서 강이석과 이승준이 연기하였다.
트리비아
「 」를 참조해 주세요.
메모들
- ^ 그녀는 후에 태황후라는 시호를 받았다.
- ^ 그는 겨우 4일밖에 살지 못했다.
- ^ 그녀는 겨우 222일 동안 살았어요.
- ^ 그는 겨우 14일(2주)밖에 살지 못했다.
- ^ 그는 105일밖에 살지 못했다.
- ^ 그녀는 후에 황귀비 순헌 황귀비라는 시호를 받았다.
- ^ 그녀의 본명은 엄선영이고 엄진삼과 증찬정의 딸이었다.
- ^ 고종의 일곱째 아들그는 일본의 나시모토노미야 모리마사 왕세자의 딸인 나시모토노미야 마사코 공주와 결혼했다.대한제국 시절 그는 '영태자'로 불렸다.
- ^ 그녀의 전체 이름은 이순아였다.
- ^ 대한제국 때 그는 사후에 완공(완公)으로 추대되었다.
- ^ 대한제국 때 그는 '의태자'로 불렸다.그는 남작 김사준의 딸 김수덕(덕인공주가 됨)과 결혼했다.
- ^ 그녀의 본명은 광화문홀의 이완덕이다.
- ^ 하지만 다른 기록에는 그가 1906년부터 1908년까지 살았다고 나와 있다.
- ^ 그녀의 전체 이름은 김옥기이다.
레퍼런스
- ^ 2014년 4월 19일 Wayback Machine에서 아카이브 완료
- ^ a b c d e f g h i j k "고종(高宗)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Retrieved 3 December 2021.
- ^ 사료 고종시대사. "신정왕후, 대원군 부부의 봉작과 함께 대원군의 입궐 시 호위를 명함". db.history.go.kr. Retrieved 28 July 2022.
- ^ 사료 고종시대사. "고종, 인정문에서 즉위함". db.history.go.kr. Retrieved 28 July 2022.
- ^ 사료 고종시대사. "신정왕후, 대혼(大婚)을 민치록의 딸로 정할 것을 명함". db.history.go.kr. Retrieved 27 July 2022.
- ^ "이하응(李昰應)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Retrieved 3 December 2021.
- ^ Yi 2014, 103-106페이지
- ^ Lee Jae-min (8 September 2010). "Treaty as prelude to annexation". The Korea Herald. Retrieved 26 July 2012.
- ^ 신편 한국사. "(4) 신식 육군(별기군)의 창설(1881)". db.history.go.kr. Retrieved 28 July 2022.
- ^ "임오군란". terms.naver.com (in Korean). Retrieved 2 May 2021.
- ^ 신편 한국사. "2) 개화파의 분화". db.history.go.kr. Retrieved 28 July 2022.
- ^ Yoon Hyo-jeong 《대한제국아 망해라》(박광희 국역, 다산초당, 2010) Pg. 337
- ^ "갑신정변(甲申政變)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Retrieved 28 July 2022.
- ^ Lankov, Andrei; Kim EunHaeng (2007). The Dawn of Modern Korea. 384-12 Seokyo-dong, Mapo-gu, Seoul, South Korea, 121-893: EunHaeng Namu. p. 47. ISBN 978-89-5660-214-1.
{{cite book}}
: CS1 유지보수: 위치(링크) - ^ "Hong Kyŏng-nae Rebellion".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Encyclopædia Britannica. 2010.
- ^ "우리역사넷". contents.history.go.kr. Retrieved 12 February 2022.
- ^ 신명호 (20 April 2009). 왕을 위한 변명 (in Korean). 김영사. ISBN 978-89-349-5462-0.
- ^ Veritable Records of Joseon Dynasty. "러시아 공사관으로 주필을 이어하다". sillok.history.go.kr. Retrieved 27 July 2022.
- ^ 조선/대한제국 관보 (3 April 1896). "赴俄公使閔泳煥隨員尹致昊參書官金得鍊金道一이本月一日上午八時에出發홈". db.history.go.kr. Retrieved 18 July 2022.
{{cite web}}
: CS1 maint :url-status (링크) - ^ Yi 2014, 페이지 107
- ^ Veritable Records of Joseon Dynasty. "국호를 대한으로 하고 임금을 황제로 칭한다고 선포하다". sillok.history.go.kr. Retrieved 27 July 2022.
- ^ 사료 고종시대사. "고종, 황태자를 책봉한 뒤 신하들에게 문안 인사를 받음". db.history.go.kr. Retrieved 26 July 2022.
- ^ French Ministry of Foreign Affairs Documents. "【50】대한제국 황제 칭호 관련 대한제국·청국간의 갈등 해결을 위한 러시아 공사의 역할". db.history.go.kr. Retrieved 27 July 2022.
- ^ 우리곁에 살아 있는 역사의 맥박과 숨결 월간조선 2001년 3월호
- ^ 나각순, 승상배, 이창훈, 《운현궁과 흥선대원군》 (종로문화원, 2000) 207페이지
- ^ "대한국국제(大韓國國制)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Retrieved 27 July 2022.
- ^ "독립협회(獨立協會)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Retrieved 27 July 2022.
- ^ a b c 신편한국사. "(1) 군제개혁의 방향". db.history.go.kr. Retrieved 27 July 2022.
- ^ 사료 고종시대사. "광무 황제, 직접 대원수가 되어 육해군을 통솔하고 황태자를 원수로 삼겠다는 조령을 내림". db.history.go.kr. Retrieved 27 July 2022.
- ^ 조선·대한제국 관보. "元帥府官制中改正件". db.history.go.kr. Retrieved 27 July 2022.
- ^ 신편한국사. "(2) 원수부를 통한 황제권 강화". db.history.go.kr. Retrieved 27 July 2022.
- ^ Veritable Records of Joseon Dynasty. "이유인은 자신의 사적인 감정으로 안경수 등을 교형에 처했음을 아뢰다". sillok.history.go.kr. Retrieved 27 July 2022.
- ^ "김홍륙독차사건(金鴻陸毒茶事件)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Retrieved 27 July 2022.
- ^ Journal of the Royal Secretariat. "모반 죄인 장호익 등을 처형하고 체차해 주기를 청하는 중추원 의관 안종덕의 상소". db.itkc.or.kr. Retrieved 28 April 2022.
- ^ Neff, Robert (5 March 2019). "Emperor's death leads to independence movement". The Korea Times. Retrieved 2 June 2021.
- ^ 무공성 항문 합병증으로 사망
- ^ 죽기 전에 황태자 칭호를 받았다.
- ^ 경주 이씨 영보귀인(永寶 gw人)의 먼 친척이다
- ^ 刑部芳則 (2017). 明治時代の勲章外交儀礼 (PDF) (in Japanese). 明治聖徳記念学会紀要. p. 149.
- ^ 조선총독부 관보. "大正元年8月1日". db.history.go.kr. Retrieved 4 July 2022.
- ^ 쇼, Wm. A. (1906) 영국 기사단, I, 런던, 페이지 403
- ^ Jørgen Pedersen (2009). Riddere af Elefantordenen, 1559–2009 (in Danish). Syddansk Universitetsforlag. p. 466. ISBN 978-87-7674-434-2.
- ^ 조선일보 (15 October 2021). "태종은 사냥, 순종은 당구… 임금님도 덕후였네". 조선일보 (in Korean). Retrieved 25 January 2022.
외부 링크
- "Esses Trace US, Japan Roles in 조선의 몰락" 코리아 타임즈 2008년 6월 13일
- Yi, Seoung-hyeon (2014). "민영환의 '殉國' 담론에 대한 고찰". 江原史學. 26: 99–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