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든 맥밀런
Gordon MacMillan고든 맥밀런 경 | |
---|---|
![]() 고든 맥밀런 경 – 스털링 성 레너드 보덴, 아르길 및 서덜랜드 하이랜더스 박물관의 초상화. | |
닉네임 | "바베" |
태어난 | 인도 마이소르 왕국의 방갈로르 | )7 1897년 1월 7일
죽은 | 1986년 1월 21일 스코틀랜드 렌프루셔 주 | (89세)
파묻힌 |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뉴링턴 묘지 |
얼리전스 | 영국 |
서비스/지점 | 영국 육군 |
근속년수 | 1915–1955 |
순위 | 일반 |
서비스 번호 | 5880 |
구성 단위 | 아르길과 서덜랜드 하이랜더스 |
보유된 명령 | 지브롤터 주지사 스코틀랜드 사령부 팔레스타인과 트랜스 조단의 영국군 51 보병사단 49 보병사단 15 보병사단 152 보병 여단 12 보병 여단 제199 보병 여단 |
전투/와이어 | 제1차 세계 대전 앵글로-이리시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팔레스타인 비상사태 |
수상 | 기사단 욕조 기사단장 빅토리아 훈장 기사단 대영제국 훈장 공로훈장 밀리터리 크로스 & 투 바 디스패치(2)에 언급됨 오렌지-나사우 훈장(네덜란드) 대관 |
관계 | 존 맥밀런 경 (아들) |
맥밀런과 크나프, KCB, KCVO, CBE, DSO, MC & Two Bars (1897년 1월 7일 ~ 1986년 1월 21일)의 고든 홈즈 알렉산더 맥밀란 경은 영국 육군의 장군이 되기 위해 오른 직업 군인이었다.제1차 세계대전 당시 젊은 장교로서 뛰어난 용맹을 발휘하여 군십자와 두 개의 바(Bar)를 수여받았다.19세 때, 그리고 여전히 중위로 있을 때, 그는 2대대대, 아질, 서덜랜드 하이랜더스의 부관으로 임명되었다.세계 대전 동안 맥밀란은 점점 더 많은 연공서열 자리를 차지하며 군대에 남아 있었다.그는 1929년에 마리안 블래키스톤 휴스턴과 결혼했고, 그들은 1명의 딸과 4명의 아들을 두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맥밀란은 처음에 영국에서 복무하면서 독일군의 침략 가능성에 대한 방어 전략을 세웠다.그는 1941년 12월 준장교 참모 IX 군단으로 임명되어 북아프리카의 토치 작전 중 그리고 1943년 5월 튀니지 함락까지 이 직책에 남았다.1943년 6월 152여단의 지휘권을 부여받았고, 성공적인 시칠리아 전역 기간 동안 이를 이끌었다.영국으로 돌아온 그는 15사단(스코티시) 지휘를 맡았고 노르망디 전투, 엡섬 작전, 블루코트 작전 중 포메이션을 지휘하며 마지막에 부상을 입었다.일단 회복된 그는 1944년 11월 니즈메겐 인근 GOC 49(서라이딩) 사단으로 유럽 본토 유럽으로 돌아왔다.토머스 레니 소장이 사망하자 그는 1945년 3월 23일 라인 강을 건넌 직후 51사단의 지휘를 맡았다.
전쟁이 끝난 후 맥밀란은 육군 무기개발국장을 지냈다.1947년 2월, 그는 팔레스타인 및 트랜스 조단의 GOC 영국군으로 임명되었다.그가 도착한 직후, 영국 정부는 팔레스타인에 대한 그들의 위임통치를 끝내기로 결정했다.이 결정은 영토 내 폭력의 증대를 촉발하여 1948년 6월 30일까지 모든 영국군을 철수시켰다.그 후 GOC 스코틀랜드 사령부(1949~52)를 지냈다.그의 마지막 군 포스팅은 주지사 겸 총사령관 지브롤터(1952-55년)였다.
고든 맥밀란은 클랜 맥밀런의 세습 추장이었다.[1]은퇴 후에는 1958년까지 아길과 서덜랜드 하이랜더스 대령으로 남아 있었다.은퇴 후 여러 기관의 회장으로 임명되는 등 스코틀랜드의 생활과 사회에 몰두했다.그의 시간의 상당 부분은 스코틀랜드 서부의 가족 [2]주택인 핀레이스톤의 집과 정원, 삼림지대를 유지하는 데 바쳐졌다.
초기 생활과 1차 세계 대전
고든 홈즈 알렉산더 맥밀런은 1897년 1월 7일 인도 마이소르 왕국의 방갈로르 근처에서 태어났다.그의 아버지 듀갈드 맥밀런은 커피 농장주였다.[3]그러나 그가 세 살 때 스코틀랜드 출신인 그의 부모는 외아들을 키우기 위해 영국으로 돌아가기로 결심했다.[4]열 살 때, 그는 성 에드먼드 학교인 캔터베리(Canterbury)에 입학했는데, 그곳에서 1915년 4월, 대전 중 왕립 군사대학인 샌드허스트(Sandhurst)의 단축 강좌에 참석하기 위해 상 사관생도(Prize Madorship)를 수상하였다.[5]
맥밀란은 1915년 8월 11일 아길과 서덜랜드 하이랜더스의 부소위로 임관되었다.[6][7]19세가 되지 않아 에든버러 인근에 주둔하고 있는 훈련부대인 아길스 3대대에 배치됐다.[7]1916년 4월 그는 서부전선으로 파견되어 당시 33사단 98여단의 일원으로 활동하던 정규군 부대인 제2대대대(93대)에 북동프랑스에서 합류하였고, 즉시 브릭스택스에서 치열한 참호전에 휘말리게 되었다.[8]이것은 소므와 파센대엘의 전투의 일부로서 쿠인치, 바젠틴-르-페티트, 하이우드, 마메츠 우드, 아라스, 르카타우, 셀레에서의 전투의 일부로서 약혼이 뒤따랐다.[9]아직 19세, 2소위에 불과했던 그는 1916년 11월 대대장 직무대리로 임명되었다.[10]1917년 4월 중위로 진급했고,[11] 6월 부관장으로 정식 확정됐다.[12]그는 7명의 다른 지휘관(CO)을 섬기며 남은 전쟁 기간 동안 이 자리에 남아 있었다.[13]사상자는 어마어마했고, 한때는 중위가 부대를 지휘하는 동안, 그는 부차적으로 자신을 발견했다.[14]맥밀런은 "나는 깨지지 않는 정신으로 육군 최고의 대대에 속하게 되어 다행이라고 말하고 싶다"고 썼다.그들의 작전 기록에서 이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63명의 경찰관들과 1175명의 사상자가 발생했고, 그 모든 것이 끝날 때쯤이면 어떤 것이든 준비가 되어 있다."[9]
맥밀란은 제1차 세계대전에서 육사(MC)와 바 2개를 받은 단 168명의 군인 중 한 명이었다.[15]그의 MC들은 하이우드(1916년 7월), 아라스(1917년 4월), 르카토(1918년 10월)[16][17]의 전투에서 뛰어난 용맹함으로 수상하였다.
전쟁 사이에
전쟁이 끝난 후 1915년 정규직을 얻은 맥밀란은 군대에 남아 1920년 12월 '고난' 기간 동안 대대가 아일랜드에 주둔할 때까지 대대 부관직을 계속 수행했다.[18]그는 1924년 8월 28일 대위로 진급하여 1928년부터 1929년까지 주기적으로 회사 지휘관으로 근무한 뒤 1928년부터 1929년까지 캠벌리 스탭 칼리지에 입학했는데, 그곳의 동료 학생들 중에는 알렉산더 갤러웨이, 제라드 버크놀, 존 하딩, 리처드 맥크레이리, 필립 그렉슨 엘리스와 같은 몇몇 미래의 고위 장교들이 포함되어 있었다.제임스 헤어, 윌리엄 홈즈, 클로드 니콜슨, 찰스 밀러, 찰스 무리슨, 알렉산더 카메론, 제럴드 템플러, 토마스 윌슨, I. S. 플레이페어, 호주 레슬리 비비스.그의 강사로는 헨리 포웰, 윌프리드 린드셀, 리처드 오코너, 해롤드 프랭클린, 버나드 패짓, 조지 지파드, 버나드 몽고메리 등이 있었다.[19]1929년 8월 10일, 맥밀란은 마리안 블래키스톤 휴스턴과 결혼했다. 그들은 세 아이를 낳았다.[20]그는 1930년대 초 전쟁사무소에서 대위, 참모대장, 총참모장 3급(GSO3)으로 연속적으로 복무했다.[21][22][23][24]
연대에 다시 합류한 그는 1934년 8월부터 10월까지(브레베트 소령 계급으로) 발모랄 왕실 호위대를 지휘했다.[25][26]다음 임명은 1935년 온타리오주 킹스턴에 있는 캐나다 왕립군사대학의 강사(GSO 2)로 재직하면서 [27][28]2년간 복무하다가 연대에 재입대하고 나서 훈련지부의 GSO 2로 전쟁사무소로 복귀했다.[29]1938년 8월 1일 소령으로 진급하였으며,[30] 1939년 1월 10일부터 HQ 동부사령부 참모진까지 GSO2를 지냈다.[31]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한 지 7개월 만인 1940년 4월 10일 맥밀란은 중령으로 승진하여 1군영토군(TA) 편대인 HQ55(웨스트랜캐셔) 모터사단에서 GSO1로 임명되었다.이 사단은 맥밀란의 11년 선배였던 비비안 마젠디 소장이 지휘했으며, 북부 사령부에서 근무하고 있었다(곧 동부 사령부로 이동).[32][33]사단은 3개 여단이 아닌 2개 여단으로만 구성된 전동 보병대대대였으며, 독일군의 침공 시 해안 방위와 가능한 적의 공중 상륙작전을 담당한 여러 명 중 한 명이었다.6월 말 영국 원정군(BEF)이 덩커크에서 철수하고 프랑스의 함락 이후, 당초 164·165 보병 여단으로 구성된 사단은 사단이 해산된 66 보병 중 199 보병여단이 추가되면서 표준 보병 사단으로 재편성되었다.분열.[33]
이듬해 5월, 사단과 함께 지금은 윌리엄 모건 소장의 휘하에 있고 휴 매시 중장의 XI 군단 휘하의 이스트 앵글리아에서 복무하며, 여전히 본국 방어를 위주로 하고 있는 맥밀란은 1941년 5월 1일 준장(그리고 같은 날짜에 대령 직무대행)의 대행 계급으로 승진하여 55D의 지휘를 맡았다.Ivision's 199thirvision's 199th Gird.[34][33]그는 1941년 12월 말 IX 군단 구역의 준장으로 발탁될 때까지 수개월 동안 수많은 대규모 훈련으로 여단을 매우 열심히 훈련시켰다.[33]처음에는 프랜시스 노즈워시 중장이 지휘하는 이 군단은 동부 지휘부를 지원하며 해안 방어에 관여했지만 곧 연합군의 프랑스 북아프리카 침공에 대비하여 성화 작전으로 임명되었다.[35][33]
북아프리카 시칠리아
1942년 9월부터 존 크로커(Nosworthy보다 9살 어린) 중장이 지휘하는 이 군단은 1943년 2월 은행의 꼬리(Tail of the Bank)에서 출발하여 3월 24일 18군단 예비군의 일부로 프랑스령 북아프리카의 알제리르스 근처에 자리를 잡았다.[33]케네스 앤더슨 중장의 영국 제1군단 소속인 이 군단은 독일군에 대항한 튀니지 캠페인의 마지막 단계 동안 3대 전투(폰두크, 구벨라트, 쿠르나인)를 치렀고, 6주 동안 470마일을 여행한 뒤 캠페인이 끝나기 바로 며칠 전인 5월 7일 튀니지에 입성해 거의 25만 A군을 했다.항복하는 [36]병사들4월 27일, 군단장 크로커는 중상을 입고 지휘를 계속할 수 없었다.그는 브라이언 호록스 중장으로 임시로 교체되었다.[33]맥밀런은 이후 크로커가 캠페인 기간 동안 IX 군단 지휘 구조에서 자신의 "매우 높은 복무 순서"라고 인용에서 설명한 것으로 대영제국 훈장(CBE)에 임명되었다.CBE는 1943년 8월 5일에 수여되었다.[37]
IX군단 HQ가 해체되면서 맥밀란은 제1군단 사령부로 잠시 옮겨졌으며, 1943년 5월 20일 다양한 국적의 연합군 2만6000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승리 퍼레이드를 주선하는 임무를 맡았다.[38]퍼레이드에 이어 6월 17일, 그는 제4 혼성 사단의 일부인 리처드 헐 준장으로부터 12 보병 여단을 지휘하기 위해 파견되었고, 그 후 존 호크스워스 소장이 지휘했다.그 사단은 캠페인의 마지막 단계를 위해 IX 군단 지휘하에 들어갔고 그래서 맥밀런은 그것에 익숙했다.[33]그러나 불과 8일 후, 그는 3개 여단 중 하나인 152 보병 여단의 지휘권을 받았고, 나머지 1개 여단은 호라티우스 머레이 준장 휘하의 153번째 보병과 토마스 레니 준장 휘하의 154번째 보병 사단으로 당시 더글러스 윔벌리 소장이 지휘하던 51 보병 사단을 구성했다.[33]윔벌리의 지휘 아래 사단은 제2차 엘 알라메인 전투 중 북아프리카 전역, 특히 이집트, 리비아, 튀니지 등지에서 1920년대 후반과 1920년대 하벨리 스태프 칼리지에서 맥밀런의 강사 중 한 명이었던 버나드 몽고메리 대장이 지휘한 영국 8군대의 핵심 부대로서 싸웠다.그를 좋게 평가하다.[33]
제51사단은 몽고메리가 연합군의 시칠리아 침공에 참가하기 위해 선발한 것으로, 코데인 허스키 작전으로, 그곳에서 올리버 리스 경의 XXX 군단 산하에 들어갔다.[33]맥밀란은 임명 19일 만에 7월 10일 포르토팔로 만의 시칠리아 연합 상륙작전에서 여단을 지휘했다.[39]처음에는 거의 저항을 받지 않았지만, 여단의 첫 번째 주요 조치는 7월 13일 프랑코포르테 마을에서 헤르만 괴링 사단의 독일 낙하산 부대원들을 상대로 한 것이었다. 그리고 비록 이 마을은 결국 매우 힘든 전투 끝에 점령되었지만, 여단은 매우 큰 인명 피해를 입었다.[40]당시 152여단은 153여단과 154여단에 비해 인명 피해가 적었던 사단이 7월 31일 파테르나 산으로 진격하는 데 앞장섰는데, 이는 에트나 산으로 난입하려는 시도의 일환이었다.[40]다음 날 독일군이 퇴각 중이었고 후에 시칠리아를 버렸다는 것이 분명했는데, 이후 큰 전투는 거의 보이지 않았고 캠페인은 8월 17일에 끝났다.[40]그는 또한 1943년 11월 18일에 수여된 이 캠페인에서 그의 연기로 DSO 훈장을 받았다.[41]이 상은 몽고메리 장군과 더 혼 장군이 추천했다. 해롤드 알렉산더 경, 15군단 지휘관.[42]
서북유럽
곧 영국으로 시칠리아에서 돌아온 후, 맥밀런 연기부 27일 8월 1943[43]에서 언제 그는 15일(스코틀랜드)보병 사단, 둘째 선 국민 방위군 형성의 장군 장교 사령(GOC)으로 Major-General 찰스 Bullen-Smith 성공했다 전쟁의 그의 첫번째 사업부 명령을 받았다 승진을 했다.[42]사단은 1939년 9월 제1선 52(로우랜드) 보병사단의 2선 TA 복제품으로 창설되었는데, 처음에는 제44·45·46보병여단과 지원 사단 병력으로 구성되었다.[40]그러나 1941년 11월, 사단은 하부조직에 배치되었는데, 이는 사단이 장비와 물자에 대한 낮은 우선순위를 받았으며 1942년 내내 중동과 극동에 있는 영국군을 위한 초안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40]1943년 1월 제6경비단 탱크여단은 45여단을 교체하고 3월에 고등부대로 승격된 사단은 이후 장갑차 1대와 보병여단 2개로 구성된 혼합사단으로 전환되었다.[40]맥밀란이 지휘를 맡은 지 한 달 후, 사단은 3개 여단의 표준 보병 사단으로 재구성되었고, 현재 44, 46, 227 보병 여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코틀랜드 보병 연대 10개 중 8개 대대 병력을 포함하고 있다.[40]
연합군의 노르망디 침공을 위한 암호명인 오버로드 작전에 참가할 예정으로 맥밀란 휘하의 15사단은 노스요크셔에서 고도로 집중 훈련을 받은 뒤 1944년 4월 침공에 대비해 서섹스로 이동했다.[44][40]이 사단은 8군단의 일부를 구성했고, 그 후 1920년대 후반 스탭 칼리지의 동료 학생인 존 하딩 중장이 지휘했으며, 그 자체로 케네스 앤더슨 경의 휘하에 영국 제2군의 일부를 구성했다.8군단과 2군단은 모두 21군단의 일부를 구성했는데, 처음에는 참모대학의 강사로 있던 베르나르 파게트 경의 지휘를 받았다.그러나 1944년 1월 하딩, 앤더슨, 파게트가 모두 교체되었다.[40]하딩은 맥밀런을 크게 존경했던 또 다른 전직 스탭 칼리지 강사 리처드 오코너 경, 마일스 뎀프시 중장의 앤더슨, 버나드 몽고메리 경의 파게트가 그 뒤를 이었다.맥밀란은 잠시 8군단의 GOC 대행을 맡았고 오코너는 하딩의 후임으로 도착했다.[45]
사단은 D데이 상륙(잉글랜드 해협 폭풍으로 6일 지연)이 발생한 지 일주일 만인 1944년 6월 13일 카엔시 인근 노르망디에 상륙해 몽고메리의 다가오는 공세인 엡섬 작전에 대비해 카엔 서쪽에 배치했다.[44][40]오코너의 8군단에는 15사단 외에 11군단, 43군단(웨섹스)이 지휘를 받고 있는 가운데, 칸과 틸리수르슬레스 사이를 공격해 오돈 강을 건너 오르네 강으로 진격하는 역할이 주어졌다.[46][40]각 여단이 31 전차여단의 처칠 전차를 장비한 연대의 지원을 받는 맥밀란의 사단은 주요 역할을 할 계획이었고 그의 계획은 46, 44 여단이 오른쪽의 추스, 왼쪽의 생마비우스의 마을을 점령하는 것이었다.[40]이로써 227여단은 가브루스와 투르마빌에서 오돈 강을 가로지르는 다리를 통과하여 점령할 수 있게 되었다.그러나 노르망디 보카지 시골은 방어에 이상적이었고, 강력한 포병 지원에도 불구하고 44·46 여단은 작전 첫날인 6월 26일 격렬한 저항에 부딪쳤다.[40]다음 날 저녁, 제2대대대와 아르길, 서덜랜드 하이랜더스(227여단)는 옆구리에 대한 위협을 무시한 채 투르마빌 다리로 돌진했고, 포대는 온전하게 포획했다.[46]대대는 오돈강 너머의 힐 112를 제11기갑사단의 요소들이 통과하여 점령할 수 있는 작은 교두보를 만들어 놓았었다.[40]그 후 대대는 가브루스 다리를 점령했지만 즉시 심한 공격을 받았다.오돈 강을 가로지르는 아르기엘의 교두보가 그 끝을 표시해 놓은 '스코티시 복도'는 이제 2500야드 넓이로 되어 있던 군단 지휘관 오코노르가 이를 보유하기 위해 증원군을 파견할 수밖에 없었다.[40]이 작전은 오르네까지 침투하려는 목적에는 성공하지 못했지만, 독일군의 기갑부대를 끌어들였다.[40]맥밀란의 사단은 안도하며 보다 평화로운 지역으로 보내졌고, 그곳에서 288명의 전사자를 포함해 2300여 명의 사상자를 냈던 사단이 전투 사상자 대체물을 재구축하고 흡수하기 시작했다.[47]매우 큰 손실에도 불구하고, 이 사단은 맥밀런의 상급자들로부터 매우 잘 수행했다고 믿었는데, 7월 3일 몽고메리가 그에게 "개인적으로 축하하고 싶다, 그리고 지난 주 전투 중에 올린 아주 훌륭한 성과에 대해 전체적으로 15사단이 그에게 메시지를 보냈다.사단은 이 전쟁에서 처음으로 전투에 들어갔지만, 대단한 용맹으로 싸우며 훌륭한 공격정신을 발휘했다.스코틀랜드는 15사단(스코틀랜드)에 자부심을 느낄 수 있고 사단 전체가 자부심을 가질 수 있다고 말했다.[47]육군 사령관 뎀시와 맥밀란의 군단장 오코너는 비슷한 찬사를 보냈다.[47]
그 후 2주 동안 사단은 목성 작전에서 힐 112를 포획하려 하는 동안 43사단을 지원했고, 이어 제2차 오돈 전투의 일부인 그린라인 작전에 참가하였다.[40]엡섬처럼 다시 독일 무장을 끌어들였지만 성공하지 못했다.[40]잠시 사단을 쉬게 한 후 7월 23일, 1920년대 후반에 또 다른 스탭 칼리지의 동료 학생인 제라드 버크놀 중장의 휘하에 XXX 군단으로 이양되었고, 7월말/8월초에는 블루코트 작전의 일환으로 보이스 뒤 옴므를 확보하기 위해 더욱 강경한 조치를 취했다.[48]8월 3일, 맥밀란은 파편에 의해 무릎에 부상을 입었고, 후에 포트 글래스고의 브로드스톤 병원으로 후송되었다.[49]그날 저녁 맥밀란을 크게 존경했던 GOC 8군단 오코너 중장은 아내에게 다음과 같은 글을 남겼다. "바베는 경상을 입었다.그가 이 당의 주축이 되어, 누구보다 머리와 어깨가 돋보이는 만큼 비극이다.그는 최고는 아니더라도 최고 중의 한 명이고, 여기서 가장 좋은 것을 지휘한다.이것은 논쟁의 여지가 없다.나는 그가 친구, 협력자, 조언자로서 그리울 것이다.대부분의 성공은 그가 처음 노력한 결과라고 말했다.[50]사단 사령부는 전 46여단 사령관이었던 콜린 바버 준장에게로 넘어갔다.[49]맥밀런은 착륙 후 그 기간 동안 "그의 훌륭한 모범과 지치지 않는 노력"으로 배스 훈장의 동반자로 임명되었다.[51]
Once pronounced fit in November, MacMillan, whose rank of major-general was made temporary on 27 August 1944, became GOC of the 49th (West Riding) Infantry Division, succeeding Major-General Evelyn Barker, another fellow Staff College student who was promoted to become GOC of VIII Corps in place of O'Connor, who was being sent to India.[52]크리스토퍼 웰비-에버드 소령을 GSO1로 둔 제49사단(사단 휘장 때문에 "북극곰"이라는 별칭)은 맥밀란의 전 사령부와 마찬가지로 제56, 146, 147보병여단과 지원사단 병력으로 구성된 또 다른 TA 편성이었다.이 사단은 해리 크레라르 장군의 제1 캐나다 군단의 일부인 가이 사이먼즈 중장의 제2 캐나다 군단 소속으로, 작전 마켓 가든의 여파로 독일의 진전에 대항하여 네덜란드 니메겐 근처에 있는 "섬"이라고 알려진 지역을 보유하도록 배정되었다.[53]축축하고 혹독한 추운 겨울 동안 몇 차례 사소한 교전이 벌어졌다.막 맥밀란이 152여단을 지휘할 때 시칠리아에서 154여단을 지휘했던 친구 톰 레니 소장을 대신해 51사단(하이랜드)의 GOC가 되라는 명령을 받자 사단은 독일군을 남은 자리에서 몰아내기 위한 공세에 나섰던 참이었다.레니는 지난 3월 23일 라인 강을 건널 때 박격포 사격으로 사망했다.[54][52]

다음날 지휘를 맡은 사단은 뎀프시의 영국 제2군단 소속인 브라이언 호록스 중장의 XXX 군단 소속으로 1945년 5월 8일 독일이 항복하고 유럽에서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날 때까지 신속하게 북동쪽으로 이동하면서 여러 차례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52]그 후 맥밀란은 5월 12일 브레머하벤에서 열린 승리 퍼레이드에서 군대를 이끌었다.[55]이후 네덜란드 해방 당시 "예외적인 용맹, 리더십, 충성심, 임무에 대한 탁월한 헌신과 대단한 끈기"로 네덜란드 오렌지 나소 훈장 대장으로 임명되었다.[56]그는 1945년 8월 9일과 1946년 4월 4일 두 차례에 걸쳐 "명예로운 공훈"으로 급파되기도 했다.[57][58]
전후
전쟁이 끝나자마자 맥밀란은 영국으로 돌아가라는 명령을 받았고 51사단을 제임스 캐슬 소장에게 넘겨 런던 전쟁 사무소 총참모부 무기개발국장으로 임명되었다.[52][59]그는 또한 1945년 10월 1일에 아길과 서덜랜드 하이랜더스 대령으로 임명되었다.[60][61]
맥밀런 중장의 102월 1947,[62]에 그 연기는 지위로, 3일 후 8-에블린 바커, 그는 GOC 49번째 사단의 11월 1944년에 한 후 allegatio는 가운데 집에 보내 지게 되는 성공했다는 대체하는 GOC한 영국군 팔레스타인과 Trans-Jordan,[63]에 업무에 들어갔기에 승진했다.ha의 나노초브잉은 1946년 7월 킹 데이비드 호텔 폭탄테러 이후 불륜과 그의 반체제적인 명령을 받았다.[64]그 동안 맥밀란은 1947년 11월 17일 중장으로 진급했다.[65]익명의 한 기자는 이 일을 "아마도 영국 장군에게 떨어진 가장 불쾌한 직업일 것"이라고 설명했지만, 새로 승진한 맥밀런 중장은 "조용하고 효율적이지만 필요할 때 신의 분노를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훌륭한 지도자고 부하들로부터 사랑과 존경을 받고 있다."[66]
그가 도착한 지 불과 5일 만에 하원은 영국 정부가 팔레스타인의 미래에 대한 문제를 유엔보다 우선시하기로 결정했다는 통보를 받았다.[67]이것은 맥밀란이 마지막 GOC가 될 것이라는 것을 의미했다.그것은 1948년 5월 팔레스타인에서 영국군 통수권 종식과 유대인과 아랍인 사이의 점점 더 격렬한 투쟁을 위한 장을 마련했다.[68]
팔레스타인 민정부 수장은 알란 커닝햄 경이었고, GOC는 21세기 초 영국군 전체와 거의 같은 규모의 군대인 10만 명 이상의 병력으로 법과 질서를 유지할 책임이 있었다.[69][70]그의 팔레스타인에서의 기간은 군대의 역할에 대한 지방 행정부와 런던에 있는 영국 내각 사이의 점점 다른 견해로 특징지어졌다.[71]맥밀런은 동거보다는 전쟁에 헌신한 두 당사자 사이의 평화를 지키려고 노력하는 것이 점점 더 무의미해지고 있으며, 27만 톤의 군사 장비와 상점은 물론 모든 부대와 다른 영국 거주자들의 안전하고 질서 정연하며 적시에 대피할 수 있는 준비에 우선순위를 두어야 할 필요성을 인식했다.[72]그는 팔레스타인 유대인들의 세 번의 암살 시도의 표적이 되었고,[73] 데이르 야신 대학살과 하다사 호송차 공격을 막기 위해 제때 개입하지 않아 아랍인과 유대인으로부터 각각 격렬한 비난을 받았다.[74]
영국 위임통치령 종료와 이스라엘 건국 선언(1948년 5월 14일 둘 다)에 이어 영국의 탈퇴 속도가 빨라졌다.맥밀런은 1948년 6월 30일 "팔레스타인을 떠난 영국군의 마지막 남자"[75]인 HMS Phoebe로 데려갈 하이파에서 해군 발사에 탑승했다.
1949년 1월 맥밀란은 배스 훈장 기사단장으로 기사 작위를 받고 스코틀랜드 사령부의 GOC-in-C와 그의 사무실이 있는 [76][77]에든버러 성 주지사를 임명했다.이것은 군대가 평시 상황에 적응하고 있을 때 일어났다.[78]
1952년부터 1955년 군에서 전역할 때까지 지브롤터 시의 주지사 겸 총사령관과 수비대를 지냈다.[79][80]1954년 1월 1일 맥밀란은 장군으로 진급되었다.[81]이 시기는 프랑스와 영국이 지브롤터의 주권을 놓고 스페인과 영국 사이에 긴장이 고조되던 시기였는데, 1954년 에든버러 여왕과 공작이 영연방을 마지막으로 방문하여도 완화되지 않았다.[82]이 방문 동안 여왕은 1954년 5월 25일 왕립 요트 브리타니아에 왕립 빅토리아 훈장 기사단장으로 맥밀란을 투자하였다.[83]
은퇴
1955년부터 맥밀란은 스코틀랜드의 랭뱅크 마을 근처에 있는 클라이드 강 남쪽 둑에 있는 아내의 가족 집인 핀레이스톤에 살았다.[84]아내 마리안, 딸 주디와 네 아들 조지, 존, 데이비드, 앤드류로 구성된 그의 가족은 2차 세계대전과 팔레스타인의 임무 동안 이곳에 근거지를 두고 있었다.그는 많은 수작업을 포함한 많은 일을 하는 것 외에도, 집과 정원, 주변 재산을 유지하고 개선하기 위해 스코틀랜드의 일에 몰두했다.그는 1958년까지 A&SH 대령으로 계속 근무했으며,[85] 이후 1968년 연대를 해체로부터 구하기 위한 성공적인 캠페인을 이끌었다.그는 또한 수년간 퀸 빅토리아 스쿨의 위원 중 한 명으로 근무했는데, 이 중 던블레인은 GOC 스코틀랜드 시절 당연직 의장을 지냈다.[86]
군 복무를 마친 맥밀란은 더 많은 시간을 클랜 맥밀런 문제에 할애할 수 있었고, 핀레이스톤에서 모임을 주선하고, 북미의 클랜 멤버들을 자주 방문하였다.그는 1955년 렌프루 카운티의 부통령으로 임명되었다.[87]
맥밀런은 설립 당시 그린록 하버 트러스트 회장, 클라이드 드라이독 퍼스 회장을 역임하기도 했다.[88]그는 글래스고우와 스털링 사이에 '신도시'를 건설하는 책임을 맡고 있는 컴버나울드 개발공사의 초대 회장으로 임명되었다.[89]1955년부터 1980년까지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전직 군인 남녀를 위한 병원과 돌봄 보금자리로 만들어졌던 에르스키네 병원의 집행위원장도 맡았다.[90]다른 자원 봉사 활동에는 스코틀랜드 경찰 피부양자 기금과 글래스고 사회 복지 위원회의 의장으로서 그가 참여했다.[91]그는 1969년 글래스고 대학으로부터 명예 법학 박사학위를 받았다.[91]
맥밀런은 86년 1월 21일, 여든 아홉 번째 생일을 맞은 지 2주 만에 교통사고로 세상을 떠났다.[92]
그는 에든버러 뉴링턴 공동묘지의 북벽에 묻혔지만 무덤까지 길이 만들어졌다.[93]
참조
- ^ "No. 16868". The Edinburgh Gazette. 29 June 1951. p. 333.
- ^ "Welcome to Finlaystone Country Estate". Finlaystone Country Estate. Retrieved 23 August 2014.
- ^ "General Sir Gordon Holmes Alexander MacMillan of MacMillan and Knap". The Peerage.com. Retrieved 23 August 2014.
- ^ 맥밀런 2013, 페이지 13
- ^ 캔터베리, 기록보관소, 세인트 에드먼드
- ^ "No. 29258". The London Gazette. 10 August 1915. p. 7905.
- ^ a b 맥밀런 2013, 페이지 17
- ^ 맥밀런 2013, 페이지 18
- ^ a b 맥밀런 2013, 페이지 26
- ^ 맥밀런 2013, 22페이지
- ^ "No. 30123".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8 June 1917. p. 5711.
- ^ "No. 30247".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21 August 1917. p. 8671.
- ^ 맥밀런 2013, 페이지 23-24
- ^ 제1차 세계대전에 대한 맥밀런의 설명은 리즈 대학교 도서관, 리들 컬렉션, 레퍼런스 GS 1032, 고든 맥밀런에서 찾을 수 있다.
- ^ "The Military Cross". North East Medals. Retrieved 23 August 2014.
- ^ "No. 13877". The Edinburgh Gazette. 22 December 1922. p. 1957.
- ^ 이러한 메달 및 기타 메달에 대한 전체 인용구는 MacMillan, George 등에서 인용된다(참고문헌 1 참조).
- ^ 맥밀런 2013, 페이지 35
- ^ 맥밀런 2013, 페이지 39
- ^ 맥밀런 2013, 페이지 40
- ^ "No. 33585". The London Gazette. 4 March 1930. p. 1418.
- ^ "No. 33589". The London Gazette. 18 March 1930. p. 1729.
- ^ "No. 33800". The London Gazette. 1 February 1932. p. 1128.
- ^ "No. 34030". The London Gazette. 6 March 1934. p. 1530.
- ^ "No. 33844".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8 July 1932. p. 4469.
- ^ 맥밀런 2013, 페이지 45
- ^ "No. 34144". The London Gazette. 22 March 1935. p. 1982.
- ^ "No. 34390". The London Gazette. 20 April 1937. p. 2554.
- ^ "No. 34446". The London Gazette. 22 October 1937. p. 6511.
- ^ "No. 34538".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5 August 1938. p. 5026.
- ^ "No. 34588". The London Gazette. 10 January 1939. p. 215.
- ^ 맥밀런 2013, 페이지 58
- ^ a b c d e f g h i j k 미드, 277페이지
- ^ 맥밀런 2013, 페이지 60
- ^ 맥밀런 2013, 페이지 62
- ^ 맥밀런 2013, 페이지 63
- ^ "No. 36120".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5 August 1943. p. 3522.
- ^ 맥밀런 2013, 페이지 68-69
- ^ 맥밀런 2013, 페이지 70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미드, 페이지 278
- ^ "No. 36251".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16 November 1943. p. 5061.
- ^ a b 맥밀런 2013, 페이지 73
- ^ "No. 36186".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24 September 1943. p. 4295.
- ^ a b 맥밀런 2013, 페이지 75
- ^ 베이네스, 페이지 184
- ^ a b 맥밀런 2013, 페이지 78
- ^ a b c 맥밀런 2013, 페이지 80
- ^ 맥밀런 2013, 페이지 82
- ^ a b 맥밀런, 페이지 86
- ^ 베이네스, 221쪽
- ^ "No. 36917".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30 January 1945. p. 669.
- ^ a b c d 미드, 페이지 279
- ^ 맥밀런 2013, 페이지 88
- ^ 맥밀런 2013, 페이지 91
- ^ 51사단 역사(하이랜드) http://51hd.co.uk/history
- ^ 맥밀런 2013, 페이지 96
- ^ "No. 37213".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7 August 1945. p. 4044.
- ^ "No. 37521".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2 April 1946. p. 1672.
- ^ 맥밀런 2013, 페이지 107
- ^ "No. 37303".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9 October 1945. p. 5012.
- ^ 맥밀런 2013, 페이지 108
- ^ "No. 37891".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25 February 1947. p. 959.
- ^ 1946년 10월 24일자 War Office에서 MacMillan에게 보내는 편지(International War Museum, Sir Gordon MacMillan, Cat. 고든 맥밀런 장군의 개인 문서).제12052호)
- ^ 맥밀런 2013, 페이지 119
- ^ "No. 38130".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21 November 1947. p. 5573.
- ^ Finlaystone에 보관된 MacMillan 개인 문서 중 스크랩북에서.
- ^ "Palestine Conference (Government Policy)". Hansard (House of Commons Debate) Vol 433, cc985-94. 18 February 1947. Retrieved 23 August 2014.
- ^ 콜린스와 라피에르, 23장
- ^ Alan Kunningham 경의 팔레스타인 시절과 관련된 개인 서류는 세인트루이스에 보관되어 있다.안토니우스 칼리지, 옥스포드, 중동 중앙 기록 보관소그들은 맥밀런에 대한 많은 언급들을 포함하고 있다.
- ^ 맥밀런 2013, 페이지 123
- ^ 모티, 골라니,1948년 팔레스타인의 영국 위임통치 종료: 2009년 헨리 거니 경의 일기
- ^ 팔레스타인에서의 그의 재임 기간 동안의 사건들은 페이이드(이집트)로 작성되고 1948년 7월 3일자 보고서에 다음과 같은 제목으로 요약되었다.1947년 2월부터 모든 영국군 철수까지의 사건 서술. (임페리얼 전쟁 박물관).고든 맥밀런 경의 개인 서류, 카탈로그 제12052호
- ^ 벤-예후다, 페이지 279-280
- ^ 맥밀런 2013, 페이지 131
- ^ 1948년 6월 30일 하이파 참모총장의 팔레스타인 피난 계획서(MacMillan 박물관, MacMillan 논문 참조)
- ^ "No. 16628". The Edinburgh Gazette. 11 March 1949. p. 106.
- ^ "No. 39492".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14 March 1952. p. 1529.
- ^ 맥밀런 2013, 페이지 138
- ^ "No. 39531". The London Gazette. 2 May 1952. p. 2368.
- ^ "No. 40503".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7 June 1955. p. 3311.
- ^ "No. 40106".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19 February 1954. p. 1145.
- ^ 맥밀런 2013, 페이지 148
- ^ "No. 40181". The London Gazette. 25 May 1954. p. 3071.
- ^ "Finlaystone House and Gardens". Retrieved 23 August 2014.
- ^ "No. 41508".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26 September 1958. p. 5957.
- ^ 맥밀런 2013, 페이지 144
- ^ "No. 40656". The London Gazette. 16 December 1955. p. 7071.
- ^ 맥밀런 2013, 페이지 180
- ^ 맥밀런 2013, 페이지 183
- ^ 맥밀런 2013, 페이지 185
- ^ a b 맥밀런 2013, 페이지 187
- ^ 맥밀런 2013, 페이지 212
- ^ 그의 무덤의 모습에서 보듯이.
참고 문헌 목록
- Baynes, John (1989). The Forgotten Victor: General Sir Richard O'Connor KT, GCB, DSO, MC. Brassey's, London. ISBN 978-0080362694.
- Ben-Yehuda, Nachman (1992). Political Assassination by Jews: a rhetorical device for justic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ISBN 978-0791411667.
- Collins, Larry; Lapierre, Dominique (1972). Oh Jerusalem!. Simon and Schuster, New York. ISBN 978-8401812675.
- MacMillan, George; MacMillan, John; MacMillan, Judy; MacMillan, David; MacMillan, Andrew (2013). General Sir Gordon MacMillan of MacMillan and Knap, KCB KCVO CBE DSO MC LLD: The Babe, (1897–1986). FastPrint Publishing, Peterborough. ISBN 978-178035-577-1.
- Motti, Golani (2009). The End of the British Mandate in Palestine, 1948: The Diary of Sir Henry Gurney. Palgrave. ISBN 978-0230209862.
- Mead, Richard (2007). Churchill's Lions: A Biographical Guide to the Key British Generals of World War II. Stroud: Spellmount. ISBN 978-1-86227-431-0.
- Smart, Nick (2005). Biographical Dictionary of British Generals of the Second World War. Barnesley: Pen & Sword. ISBN 18441504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