엡섬 작전

Operation Epsom
엡섬 작전
캉 전투의 일부
Operationepsom.jpg
1944년 6월 26일 엡섬 작전 중 영국 11기갑사단의 탄약 운반선이 박격포탄에 맞아 폭발한다.
날짜1944년 6월 26일-30일
위치49°17′00″N 00°18′00″w/49.28333°N 0.300°W/ 49.28333; -0.30000좌표: 49°17′00″N 00°18′00″W / 49.28333°N 0.30000°W / 49.28333, -0.30000
결과여파 섹션 참조
호전성
영국 독일.
지휘관과 지도자
United Kingdom 버나드 몽고메리
United Kingdom 마일스 뎀시
United Kingdom 리처드 오코너
Germany 프리드리히 돌만
Germany 레오 게이르 폰 슈베펜부르크
Germany 셉 디트리히
Germany 폴 하우서
Germany 빌헬름 비트리히
보병 2개 사단
1 기갑 사단
기갑여단 1개
탱크 1여단
3 SS 기갑 사단
5개의 임시 전투 그룹
1 SS 중전차 대대
사상자 및 손실
4,020–4,900명의 사상자
150개의 탱크가 손상되거나 녹아웃됨
3000명 이상의 사상자
125–125 탱크가 손상되거나 녹아웃됨
Scottish Corridor is located in France
Scottish Corridor
스코틀랜드 코리더
카엔(Caen)은 칼바도스 주(州)의 코뮌이다.
엡섬 작전
운용범위스트래티지 어필
계획자영국 제2군
목표카엔 서쪽 교두보를 벗어나 오르네 강을 건너 브레트빌-서라이즈 인근 카엔 남쪽의 높은 땅을 점령하십시오.
실행자8군단, 2군단, XXX군단 요소들의 지원 공격.
결과여파 섹션 참조

제1차 오돈 전투로도 알려진 엡섬 작전노르망디 전투가 한창이던 1944년 6월 26일부터 30일 사이에 벌어진 제2차 세계대전에서 영국의 공세였다.이 공세는 연합군의 북서유럽 침공인 오버로드 작전 초기에 연합군의 중요한 목표인 독일 점령 도시인 을 압도하고 점령하려는 의도였다.

진격의 오른쪽 측면을 확보하기 위한 마틀렛 작전에 앞서 6월 26일 일찍부터 엡섬 작전이 시작되어 15(스코티시) 보병사단 부대들이 출격하는 포병대 뒤로 진격했다.영국의 악천후로 인해 폭격기 지원이 막바지에 취소되는 사태가 발생했기 때문에 대부분의 작전에는 에어 커버가 산발적으로 적용되었다.31전차여단을 대동한 15사단(스코티시)은 꾸준히 진척을 보였으며 측면 확보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었지만 첫날까지 독일 전초기지의 상당 부분을 오버런했다.이후 이틀에 걸쳐 상호간의 전투에서는 오돈 강을 가로지르는 거점을 확보하여 전술적으로 중요한 요점을 포착하고 43(웨섹스) 보병사단을 진격하여 이를 확대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독일군반격 후인 6월 30일까지 강을 건너는 영국군의 일부가 철수하고 점령된 지대가 통합되어 작전은 종결되었다.

많은 사상자가 양측에 의해 발생했지만 노르망디의 연합군 사령관인 버나드 몽고메리 장군과 달리, 에르윈 롬멜 장군은 전선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했기 때문에 전투 후 예비 부대를 철수시킬 수 없었다.영국은 주도권을 유지했고 이후 2주 동안 몇 차례 더 공격을 가했으며 7월 중순 챈우드 작전에서 칸을 붙잡았다.엡섬 작전의 의도와 수행에 대한 해석은 다르지만 노르망디에서 힘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합의가 있다.독일군은 공격을 가했지만 바이룩스 주변의 연합군 진지에 대한 공격을 계획했던 2개 기갑사단을 포함해 모든 전력을 다하여 노르망디에 도착했다.

배경

노르만 도시 칸은 1944년 6월 6일 검드 비치(Sword Beach)에 상륙한 영국 3사단D-Day 목표였다.[1]캉의 포획은 "비판적"이지만 공식 역사학자 L. F. 엘리스의해크로커 중장과 I 군단에 부여된 가장 중요한 D-Day 목적이라고 묘사되었다.[a]오버로드 작전은 영국 제2군단(Lieutenant General Miles Dempsey)을 소집하여 도시를 확보한 다음 카우몬트-엘'éventé에서 카엔 남동쪽으로 전선을 형성할 것을 요구했다.비행장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고 미국 제1군단(오마르 N. 브래들리 장군)이 체르부르 전투와 싸우는 동안 왼쪽 측면을 보호하려는 의도였다.[4]

카엔과 그 주변을 차지하게 되면 2군단은 팔라이스를 잡기 위해 남쪽으로 밀치기 위한 적절한 집결지를 갖게 될 것이며, 팔라이즈는 아르헨티나에서 그네를 타고 투크스 을 향해 진격할 수 있는 좌익의 중심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5]기갑부대의 전개를 지연시키고 마을로 향하는 9.3마일(15.0km)의 항로를 따라 강하게 유지되고 있는 독일군의 진지를 돌리기 위해 어쩔 수 없이 해변의 정체에 방해되어, 제3사단은 D-데이에 강제로 칸을 공격하지 못하고 제21 기갑사단에 의해 저지당했다.[6]독일군 증원군이 도착하면서 후속 공격이 실패했다.직접적인 접근방식을 버리고, 동쪽에서 카엔을 포위하기 위해 6월 7일 I과 XXX 군단협공퍼치 작전이 개시되었다.[7][8]

오르네 교두보에서 남쪽으로 공격하던 I 군단은 21 기갑사단에 의해 중단되었고, 카엔 서쪽의 XXX 군단의 공격은 기갑사단에 의해 틸리수르슬레스 앞에 저지되었다.[8][9]기갑 르르를 강제로 철수시키거나 항복시키고 작전상 유동성을 유지하기 위해, 제7기갑사단의 일부가 카우몬트 근방의 독일 전선 틈새로 밀고 들어가 빌러 보카지를 사로잡았다.[10][11]빌러-보카지 전투는 제7기갑사단의 선봉장이 매복되어 마을에서 철수하는 결과를 낳았으나, 6월 17일까지는 기갑 르르 역시 강제 퇴각하고 XXX 군단도 틸리 수르-슬레스를 함락시켰다.[12][13]

7군 기갑사단의 또 다른 공격과 다른 공격 작전은 6월 19일 심한 폭풍이 영국 해협에 상륙했을 때 포기되었다.[14]폭풍은 사흘 동안 계속되었고 연합군의 증설을 더욱 지연시켰다.[15]이미 해상에 있는 대부분의 상륙함과 배들은 영국의 항구로 다시 몰렸고, 견인된 바지선과 그 밖의 짐들(4.0km의 멀버리 항구를 위한 2.5마일(4.0km)의 부유식 도로 포함)은 유실되었고,[16] 7월 봄 조수까지 노르망디 해변에 800척의 선박이 좌초되었다.

영국 8군단(리처드 오코너 장군)의 오르네 교두보에서 동쪽에서 칸을 제치고 두 번째 공격인 드레드노우트 작전이 시작되었다.[17]그라운드를 연구한 후 오코너의 반대에 따라 드레드노트는 취소되었고, 몽고메리나 뎀시에 의해 에브재활용을 향한 공격이 검토되고 거부되었다.뎀시는 체스터 윌못과의 전후 인터뷰에서 몽고메리에게 6월 18일 제안된 작전을 취소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주장했다.[18]6월 19일부터 22일까지의 날씨는 연합군의 항공기를 이륙시켰고 독일인들은 그들의 방어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공습으로부터 휴식을 취했다.보병 진지는 지뢰밭으로 보호되었고, 70개의 88mm 포를 울타리와 숲으로 파서 칸으로 접근했다.[19]

계획

6월 20일, 헤레스그루페 B(아미 그룹 B)의 지휘관인 에르윈 롬멜 야장은 히틀러로부터 카우몽-엘레벤테(카우몬트)와 생-루 사이의 연합군에 대항하여 반격을 개시하라는 명령을 받았다.목표는 바유시(Bayeux, 6월 7일 영국이 점령)와 그 너머 해안을 탈환함으로써 미영군 사이의 복도를 절단하는 것이었다.[20]이 임무에는 SS 기갑 사단 4개 사단과 헤어 기갑 사단 1개 사단이 배속되었다.이들의 공격은 제9 SS 기갑사단 호헨스타우펜제10 SS 기갑사단 프룬즈버그로 구성된 제2 SS 기갑부대가 진두지휘할 예정이었으나 최근 동부전선으로부터 도착했다.[21]제1 SS 기갑사단 라이프스탠다르트 SS 아돌프 히틀러, 제2 SS 기갑사단 다스 라이히르,[22] 제2 기갑사단은 공격을 지지할 것이다</ref> 이러한 포메이션에 의해 사용된 탱크는 대부분 기갑 4호와 팬더들로, 스투르메슈히츠(폭도포)와 타이거즈로 보완되었다. 팬더스와 타이거스는 전쟁 중 가장 치명적이고 잘 보호되는 독일 장갑차에 속한다.[23]

6월 18일 몽고메리는 뎀프시에게 칸을 잡을 목적으로 새로운 핀서 공격을 개시하라는 명령을 내렸다.[24][25]당초 계획은 8군단이 6월 22일 카엔 동쪽에 있는 오르네 교두보에서 본공격을 개시하기 전에 I군과 XXX군단이 4일간 칸 서부를 공격하도록 요구하였다.8군단이 오르네 교두보의 작은 경계 내에 집결할 수 없다는 사실이 곧 밝혀졌고 그 다음날 계획이 수정되었다.[25]주공격 3일 전에 예비작전이 열릴 예정이었다.제51(하이랜드) 보병사단(I군단)은 21 기갑사단의 부대가 이양되는 것을 막기 위해 오르네 교두보에서 남쪽으로 타격하라는 명령을 받았다.[25]마틀렛 작전은 8군단의 오른쪽 측면을 확보한 제49보병사단(서승)과 8군단(XXX군단)과 함께 엡섬 하루 전에 서남쪽으로 고지를 점령함으로써 개시할 예정이었다.[26]

엡섬 작전의 주역은 새로 도착한 8군단에 배속되어 6만244명으로 구성되었다.[27]8군단은 캐나다 제3보병사단이 획득한 해변에서 공격을 개시할 것이다.그들의 작전은 4단계로 이루어졌는데, 궁극적인 목표는 카엔 남쪽 브렛트빌-서라이즈 근처의 고지대가 되는 것이었다.[28]8군단은 736발의 총과 [b]3척의 순양함, 그리고 모니터 HMS 로버츠로부터 화재를 지원받을 것이다.영국 공군은 250대의 폭격기에 의한 예비 폭격과 그 후의 근접 공중 지원을 제공할 예정이었다.[30]

제15보병사단이 공격을 지휘할 것이다.1단계, 구트로 명명된 구트 기간 동안, 그들은 사인 만비우 마을과 처우 마을을 점령해야 했다.[28]2단계(행오버)에서는 사단이 전진하여 오돈 과 무엔과 그레인빌 수르-오돈의 마을을 여러 번 가로지르게 된다.[28]개방 단계에서의 저항이 빛을 발할 경우 11군 기갑사단은 오돈강의 다리를 쿠테메인에 의해 점령할 것이다.[31]처음 두 단계 동안, 경비병기갑사단의 보병여단과 함께 6월 28일 강화될 43(웨섹스) 보병사단은 출발선에 남아 "확실한 기지"를 제공하기로 되어 있었다.[29]

팬저그레나디어는 팬더에서 내린다.

3단계인 임페티고에서는 43사단이 앞으로 나아가 오돈 북쪽의 스코틀랜드 보병들을 모두 구제할 것이다.[28]이어 15사단은 강을 건너 모여 몇 개의 중요한 마을을 함락시켜 교두보를 넓히곤 했다.마지막 단계에서는 43사단의 요소인 고트레(Goitre)가 강을 건너서 점령 지역을 차지하게 되고, 15사단은 계속 교두보를 넓히게 된다.[28]제11 기갑사단은 오르네 강을 건널 것을 강요하고 브레트빌-수르-라이즈의 최종 목표를 향해 진격할 것이다.[29]제4기갑여단은 제11기갑사단에 소속되어 있지만, 군단 측면을 보호하고 필요에 따라 서쪽이나 칸을 향해 공격해야 할 위치에 있도록 오돈과 오르네 사이의 작전에 제한되었다.[29]

8군단 공격의 성공 여부에 따라, 그때 I군단은 애버러오타와로 명명된 두 개의 지원작전을 개시하곤 했다.캐나다 보병여단의 지원을 받은 구 3사단은 첸 북부를 공격하고, 후자는 카피켓의 마을과 비행장을 점령하기 위한 캐나다 보병 3사단과 제2기갑여단의 이동일 것이다.[32]당초 22일로 예정됐던 엡섬은 인력 부족과 마테리엘 부족을 메우기 위해 6월 26일로 연기됐다.[33]초기의 반대는 고갈된 12 SS 기갑사단 히틀러쥬겐드("히틀러 유스")와 21 기갑사단의 요소, 그리고 기갑 르르에서 나올 것으로 예상되었다.[34][35]

마틀렛 작전

6월 23일 제51보병사단은 제152보병여단과 함께 공격했다.[c]하이랜드 보병대는 날이 밝기 전에 포격을 가하지 않고 사인테-호노린-라-차드로네트 마을을 향해 진격해 독일 수비대를 놀라게 했다.하이랜더스는 오전 중에 21 기갑사단의 캄프그루페 럭에게 반격을 당했지만 정오 무렵에는 마을이 영국의 손에 단단히 쥐어져 있었다.[37]8군단이 오르네 교두보를 벗어나 추가 공격에 대비함에 따라 독일의 관심과 자원이 하이랜더들의 성공으로 전용되었다.[38]

캉 서쪽 지역의 지형

6월 25일 0415에서 제8기갑여단과 250발의 총으로 지원받은 제49(서라이딩) 보병사단은 기갑 르르와 제12 SS 기갑사단의 교차로에 대항하여 마틀렛 작전을 개시했다.[15]첫 번째 목표인 폰테네이-레-페스넬은 하루 종일 싸웠지만 완강한 독일의 저항으로 그 포로가 막혔다.탱크의 지원을 받은 보병 대대가 마을을 중심으로 서쪽으로 진격해 테셀 우드를 점령했고, 그곳에서 영국군의 포탄과 근접 공중 지원으로 격퇴된 독일군의 반격을 여러 차례 받았다.해질녘까지 독일 8군단의 오른쪽 측면을 지배하는 지형을 떠나 49사단은 라우레이에 도달하지 못했다.[39][40]마틀렛은 다음 날 역습을 위해 I SS 기갑사단에 XXX 군단 전선에 맞서 12 SS 기갑사단의 잔여 전차를 강제로 투입했다.[41]밤사이에 폰테나이-레-페스넬의 독일군은 전선을 펴기 위해 철수했고 49사단의 보병들이 동이 트기 전에 마을을 확보했다.[42]

전투

6월 26일

1944년 6월 26일 출발선에서 신호 진격을 위해 15사단(스코티시) 시포스 하이랜더스 7사단 보병들이 대기하고 있다.

나쁜 날씨 때문에 6월 26일 엡섬 작전이 시작되는데, 그 곳에서 전쟁터 위로 비가 내려 땅이 꺼졌다; 이른 시간 영국 상공에는 짙은 안개가 끼면서 항공기가 이륙하고 폭격은 취소되었다.[43]노르망디에 본부를 둔 83번 그룹 RAF는 작전 내내 항공 지원을 할 수 있었다.[44][d]

비록 8군단의 포병 지원의 상당 부분이 본작전으로 전용되었지만 49(서라이딩) 보병사단은 0650년에 마틀렛 작전을 재개했다.[45]독일군은 영국군의 진격을 늦출 수 있었고 그 후 기갑부대를 발사했다.[46]이것은 처음에 자리를 잡았으나 영국군의 무기가 올라가고 양측 모두 밀폐된 지형에서 약화되면서 중단되었다.[41]영국군의 대규모 공세가 더 동쪽으로 진행 중이라는 것을 오후 중에 알린 12 SS기갑의 커트 마이어 SS-스탠다텐프 총사령관은 반격을 중지하고 그의 탱크 회사들에게 라우레이 남쪽의 위치로 복귀할 것을 명령했다.[47]나머지 하루 동안 49사단은 진전을 이룰 수 있었고, 결국 라우레이 바로 북쪽을 저지했다.[43]

그들의 파이퍼에 이끌려 시포스 하이랜더스 제7대대대의 대원들이 6월 26일 진격한다.

0730년 제31 전차여단의 지원을 받은 제44보병여단제46보병여단 제15보병여단은 344발의 포탄에서 발사된 구르는 빗장 뒤에서 출발선을 이탈했다.[48]제46여단은 처음에는 기갑부대를 지지하지 않고 진격했는데, 그 이유는 기뢰와 부비 함정에 빠진 르메스닐 패트리 마을을 우회하는 과정에서 탱크가 마을을 따라 지뢰밭을 협상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2대대대인 글래스고 하이랜더스는 가벼운 저항에만 직면했고, 9대대대인 카메론인들은 포격을 개시하기 전에 자신들의 진지를 넘기는 것을 허락했던 12 SS 기갑사단의 수류탄과 마주쳤다.[49]1000년 경에 그들의 탱크와 재결합한 두 대대는 정오까지 그들의 초기 목표를 통제하기 위해 싸우고 있었다; 추스와 르 하우트 뒤 보스크.[50]

44여단은 작은 개울에서 기관총 사격을 받을 때까지 별다른 반대에 부딪혔고, 그 뒤를 이어 독일의 저항은 훨씬 무거웠다.0830년에서 0930년 사이에, 6대대대, 왕실 스코틀랜드인 후실리어스와 8대대대 사이에, 왕실 스코틀랜드인들은 그들의 초기 목표인 사인 만비우와 라 고울에 도달했다.비록 그들은 나중에 몇몇 독일 잔당들이 버티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지만, 그들은 그 마을들이 한낮 직후에 잡힐 것이라고 믿었다.[51]12 SS와 21 기갑사단의 탱크와 보병들이 두 차례 반격을 가해 사인 만비우를 탈환했으나 집중포격의 도움으로 격퇴했다.[52]그들의 전초기지 라인의 이 구역에서 독일군의 주요 반대파는 주로 오버런되어 있던 I 대대, 26대 판저그레나디에 연대 일부와 사단 개척 대대 출신이었다.전날 포로가 되지 않았던 라우레이의 독일인들은 영국 여단에게 포병과 간접 전차 사격을 참관하도록 할 수 있게 되어, 특히 추스 마을 내에서 상당한 사상자와 파괴를 초래했다.[52][53]

독일군 75mm 대전차포와 선원이 도로에 쓰러져 있는 모습, 마틀렛 작전 폰테나이-레-페셀에 있는 장애인 팬더 탱크.

1250년 청스 북쪽에 있는 제11기갑사단 정찰연대 1개 중대가 다리를 급히 돌리기 위한 사단 기갑여단의 시도에 대비하여 오돈 쪽으로 진격하라는 명령을 받았다.[34][54]마을 근처의 지뢰밭과 잔해들이 거리를 막고 독일군이 탱크를 공격하는 바람에 1400년이 되어서야 연대가 진척될 수 있었다.1430년까지 그 중대는 로레이 지역에서 온 12 SS 기갑 사단, 제 3 중대 101 SS 기갑 대대의 타이거 탱크와 21 기갑 사단으로부터 보낸 20 기갑 4가 교전하고 있는 청스 남쪽의 산등성이에 도착했다.[55]11 기갑사단에서 더 많은 탱크가 도착했지만 독일군의 저항으로 인해 더 이상의 진격은 중단되었고 결국 사단은 21대의 탱크를 잃었다.[54][56]

1800년, 15사단의 제227 여단이 전투에 투입되었다.[52]하이랜더스는 나머지 사단의 지원으로 전투가 지연되었고 2대대 고든 하이랜더스의 두 회사만이 많은 진전을 이루었다.그들은 2100년까지 콜레빌의 북쪽 외곽으로 들어갔으나 곧 독일의 반격에 의해 고립된 것을 알게 되었다.무겁고 혼란스러운 싸움 끝에 한 회사가 이탈하여 다시 대대에 합류할 수 있었다.[54]영국의 공세를 막기 위해 그날 저녁 롬멜 야전대장은 II SS 기갑군단의 모든 가용 부대에 지원을 명령했다.[57]

6월 27일

엡섬 작전 중 49보병사단의 만국항공모함이 부상자를 대피시키는 데 이용되고 있다.

독일군 사령부는 밤 동안 아무런 공격도 하지 않은 채 영국군의 공세가 억제된 것으로 믿고 있었다.6월 27일 이른 시간 동안, 2 SS 기갑부대는 바이룩스를 향한 대격전에 대한 준비를 재개하라는 명령을 받았다.[58]영국진격 오른쪽에서 ISS 기갑부대는 포탄으로 해체된 80대의 탱크로 반격을 가한 뒤 제49(서라이딩) 보병사단의 대전차포를 발견했고, 이후 8군단 측면 확보 시도를 재개했다.[58]라우레이는 12 SS 기갑사단과 더욱 치열한 전투를 벌인 끝에 6월 27일 1600에 49사단에 의해 함락되었다.독일군은 비록 독일군이 남쪽의 높은 지대의 지역을 통제하고 있었지만, 반대 8군단의 진격으로부터 이탈되어 라우레이의 함락은 독일군이 중요한 관측 지점을 부정했다.[59]

엡섬은 0445년 227(하이랜드) 보병여단의 하이랜드 경보병 10대대에 의해 재개되었다.이 대대는 처칠 전차의 지원을 받아 가브루스의 오돈 건널목 입찰에 나설 작정이었다.하이랜더스는 즉시 12 SS 기갑사단 원소들의 거센 반대에 부딪혔고, 무거운 포병 지원에도 불구하고 하루 종일 진격할 수 없었다.사상자가 양쪽에서 많았다.[60]0730년 제227고지여단 소속의 아길과 서덜랜드 하이랜더스 2대대가 남작수르오돈 마을의 북서쪽인 투르마우빌에서 오돈 크로스를 포착하기 위한 공격을 개시했다.[61]하이랜드 라이트 보병대에 의해 독일군이 교전함에 따라, 23 후사르의 지원을 받은 아르길과 서덜랜드 하이랜더스는 비교적 쉽게 콜레빌로 진격할 수 있었다.그곳에서 88mm 총으로 지탱된 작은 독일 수비대는 영국인들에게 큰 사상자를 냈고 오후까지 그들을 마을로 보내지 않았다.[60]대대는 1700년경 투르마우빌의 다리를 점령하고 교두보가 만들어졌다.[62]1900년까지 고갈된 23 후사르의 2개 중대와 8개 대대 소총여단(프린스 코비즈 오즈드)의 한 회사가 오돈 강을 건너 교두보로 들어갔다.[63]

처스와 사인 만비우 주변의 나머지 15(스코티시) 보병사단은 43(웨섹스) 보병사단에 의해 구원받고 있었다.214 보병여단 콘월 경보병 공작 제5대대가 처스 외곽으로 이동했을 때 스코틀랜드 보병대가 이동했고 공석이던 자리는 12 SS 기갑사단의 수류병들이 다시 점령한 것을 발견했다.[62]진지를 탈환하기 위해 몸부림친 끝에 0930에 2 기갑사단의 팬더 6명이 대대를 맞받아쳤다.[60]이 공격은 추스를 관통했고 몇 개의 영국 대전차포가 격파되기 전에 파괴되었다.[62][e]2 기갑사단의 추가 공격은 중단되었지만 전선은 "작은 교전"이었다.[62][64]나머지 오전과 오후 동안 스코틀랜드 보병과 제4·29기갑여단은 오돈 북쪽의 경계선을 확장하고 아질(Argyll)과 서덜랜드(Sutherland) 하이랜더스(Highlanders)의 후방을 확보했다.[65]늦은 저녁 시간 동안 159 보병여단(11기갑사단) 대원들은 좁은 '스코티시 복도'를 통해 투르빌로 트럭을 타고 이동했고, 그곳에서 내려 걸어서 오돈 강을 건너 교두보를 보강했다.[66][67]밤 동안 캄프그루페 바이딩거 2 SS 기갑사단 소속 2,500여 명의 전투단이 전방에 도착하여 기갑 르르 사단의 지휘 아래 배치되었다.[68]

6월 28일

6월 28일 이른 시간 동안 1 SS 기갑사단 캄프그루페 프레이의 전투단이 전방에 도착하여 12 SS 기갑사단의 지휘 아래 배치되었다.0810년, 7군 사령관 프리드리히 돌장군은 SS-오베르그루펜피히르에게 2 SS 기갑부대를 우회시키라고 명령하여, 추스 남쪽을 역습했다.[69][70]하우서는 아직 전선에 도달하지 못한 부대가 많아 다음 날까지 어떤 역습도 감행할 수 없다고 답했다.[71]독일군 사령부는 돌만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혼란에 빠졌는데, 이때 롬멜과 게르트 룬드스테트(OB 웨스트)가 히틀러와의 회담에 나가면서 그 상황에 접하지 못하고 있었다.[72][f]1500년이 되어서야 하우저는 7군단 사령관으로 임명되었고, 빌리 비트리히가 그를 대신하여 2 SS 기갑군단장으로 임명되었다. (하우저는 다음날 아침까지 군단 통제를 유지하라는 권고를 받았다.[71]롬멜이 노르망디로 귀환할 때까지 하우서 역시 침공 지역의 최고 사령관이 될 예정이었다.[73]1700년에 다시 지휘구조가 변경되었다. 하우서 휘하의 7군단은 미국군과 마주보고 있는 침략전선을 책임질 이고, 기갑그룹 웨스트(Geyr von Schweppenburg 장군)는 영캐나다군과 마주보고 있는 침략전선을 책임질 것이다.[73][g]

1944년 6월 28일 엡섬 작전 당시 8대 왕실 스코틀랜드인 보병을 지원하는 7대 왕실 탱크연대 31전차여단의 처칠 전차.

탱크 지원을 받은 제15보병사단(스코티시) 0530부대에서 그레인빌-수르-오돈 마을을 점령하기 위한 새로운 공격에 나섰다.포격과 근접 쿼터 스트리트 전투 후 스코트족은 1300시간 동안 마을을 확보했고, 독일의 반격은 뒤따랐지만 거부당했다.[77]0600세에 독일군은 영국군을 제압할 목적으로 두 번의 강력한 측면 공격을 시작했다.동쪽 측면의 캄프그루페 프레이는 21 기갑사단의 4호 기갑부대의 지원을 받아 오돈 북쪽의 공격을 개시했다.이것은 무엔과 투르빌의 마을에 이르렀지만, 영국은 처스의 방향에서 반격을 가해 하루 종일 혼란스러운 격렬한 싸움을 야기했다.[73]프레이의 전투단은 무엔을 가까스로 장악했고, 탱크의 지원을 받은 영국의 반격은 더 이상의 진격을 중단했지만 마을을 탈환할 수 없었다.[78]영국 순찰대는 마르셀렛이 부분적으로 비어있는 것을 발견했고 독일 전선은 카르피켓 쪽으로 후퇴했다.[79]

서쪽 측면에서는 팬더스의 지원을 받은 캄프그루페 바이더(Kampfgrupe Weidinger)가 브레트빌레트(Brettevillett), 그레인빌 수르 오돈(Grainvillet), 궁극적으로는 몬드레인빌(Mondrainville)을 탈환하려 했다.[80]영국 수비대(브레트빌레트와 110번지점: 1대대대 타이네사이드 스코틀랜드, 11대대대 더럼 라이트 보병대(49(웨스트라이딩) 보병사단), 4/7 드라군 가드(8기갑여단) 등이 있다.Grainville-sur-Odon과 르 Valtru:7일 대대 시포스 Highlanders, 9일 대대 Cameronians(스코틀랜드 Rifles)9일 왕립 기갑 연대에서.[80]), 지역 counter-attacks, 0.6마일(0.97 km)Kampfgrup의 요소들을 연결에서 잃었던 입지하고 결국에는 독일 공격 멈춰 세웠다 탈환할 것을 시작하고 그들의 직장을 가졌다.프레이.[80]

오돈 남쪽에 0900에 아르길과 서덜랜드 하이랜더스가 교두보를 벗어나 가브루스 마을 북쪽에 있는 다리를 점령하였다.마을과 다리가 모두 스코틀랜드의 손에 들어오기 전 오후에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다.[79]11기갑사단 소속 보병들은 112힐(49°7′7″N 0°27′34″W / 49.111861°N 0.45944°)에 보병력을 갖춘 후사르와 남작수르오돈 마을을 진격시켜 교두보를 넓혔다.[56]북쪽 비탈을 확보하고 수비수들을 산마루에서 몰아낸 그들은 역비탈에서 독일군이 파고들었기 때문에 더 이상 전진할 수 없었다.[81]12 SS 기갑에 의해 여러 차례 반격이 개시되었고 매를 맞은 후사르들은 제3왕립 전차 연대에 의해 1500년 경질되었지만 어느 쪽도 언덕을 완전히 장악할 수 없었다.[81][82]11군 기갑사단은 이날까지 경사지에서 40여 대의 탱크를 잃고 삼면으로 포위됐지만 부대는 가까스로 도달해 진지를 보강했다.[83]

6월 29일

영국과 노르망디 상공에서 날씨가 호전되면서 하세르의 대타작 준비는 연합군 항공기와 포사격으로부터 계속적인 괴롭힘에 시달리면서 공격 개시를 오후로 미뤘다.[84]8군단 구역에 도착하는 독일군 증원군 수와 항공 정찰에서 오코너는 독일군이 반격을 조직하고 있는 것으로 의심했다.[73][85]XXX 군단은 8군단 우측 측면을 취약하게 만들고 오코너는 I군단의 공격을 연기하며 8군단을 수세로 몰아갈 것을 명령하면서 여전히 북쪽으로 어느 정도 가고 있었다.[85]독일 신호 트래픽을 차단ULTRA 암호 해독의 전범인 뎀시는 역습이 다가오고 있다는 것을 알고 오코너의 예방 조치를 승인했다.[73]8군단은 공격에 맞도록 재편성하기 시작했다.[86]하세르 사단의 보급대는 에브레사이클-노이어스-보카지-빌러스-보카지 지역에 위치해 있었으며, 오전과 오후 내내 RAF 전투기가 주목하는 곳이었다. RAF는 200대 이상의 차량이 파괴되었다고 주장했다.[86]

또한 8군단은 43사단 소속 0800 1대대대 우스터셔 연대 소속으로 포병 뒤에서 탱크 없이 무엔을 공격했다.[87]1100년까지 이 대대는 제1 SS 기갑사단 판저그레나디어스를 강제로 후퇴시켰고 제7 대대 서머셋 경보병대는 올라가 카엔-빌러-보카지 도로를 파고들었다.[88]43사단 129여단은 투르빌-수르-오돈 주변의 숲과 과수원을 휩쓴 뒤 남작-수르-오돈 북쪽 강을 건너 남쪽 제방을 치웠다.[89]An attempt by the 44th Brigade of the 15th Division to advance towards the Odon and link up with the force holding the Gavrus bridges failed, leaving this position isolated and in the salient the 44th Battalion Royal Tank Regiment failed to capture Hill 113 (49°6′14″N 0°30′45″W / 49.10389°N 0.51250°W / 49.10389; -0.51250) north of Évrecy, after cl10 SS 기갑사단과 교전하여 6대의 탱크를 잃었다.[90]11기갑사단의 원소들은 힐 서쪽 112번지 서쪽 에스콰이-노르트르-다메를 공격했으나 퇴짜를 맞았고 언덕 남쪽 비탈에 있는 8소총여단과 3왕립탱크 연대의 공격이 독일군을 진지에서 몰아냈다.[91]

독일의 SS-판저그레나디어스는 112 힐 근처에 땅을 팠다.

하우서는 캄프그루페 바이딩거가 왼쪽 측면을 지키고 있는 제9 SS 기갑사단이 오돈 북쪽에 있는 영국군을 가로지르는 한편, 제10 SS 기갑사단은 가브루스와 힐을 강 남쪽 112번으로 탈환하는 것을 의도했다.[92]제9 SS 기갑부대의 공격은 1400년 포병대의 지원을 받아 시작되었다.팬더스와 4호 기갑, 돌격포가 지원하는 제19, 20 SS 판저그레나디에 연대는 그레인빌, 르 하우트 뒤 보스크, 르 발트루를 공격해 처우를 노렸다.[93][h]한 영국 기업이 오버런되고 탱크와 보병이 르발트루를 관통했는데, 이곳에서 대전차포들이 마을에 있던 독일군 전차 4대를 쓰러뜨리고 포탄으로 지원 보병들이 철수할 수밖에 없었다.혼란스러운 전투는 때때로 그레인빌 외곽에서 벌어졌고 판저그레나디어스는 영국의 반격에 의해 강제로 후퇴하기 전에 전술적으로 중요한 목재를 포획했다.판저그레나디어는 그레인빌도 포획했다고 주장했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영국 정보원은 없었고 해질녘까지 영국 보병대가 마을을 장악했다.[93]

1600년경 영국군은 정찰 중이던 9 SS 기갑사단 장교를 붙잡았다.[84][94]그는 새로운 공격의 세부 내용이 담긴 지도와 수첩을 들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i]1830년경 독일군은 오른쪽 측면에 있는 15보병사단을 공격했다.[96]한 부대는 안도하고 있었고 혼란 속에서 일부 부대가 3.2km(2마일) 전진하는 등 독일군의 탱크와 보병들이 영국군의 방어망을 뚫고 미끄러져 큰 저항에 부딪쳤다.[93][97]2300년까지, 9 SS 기갑의 공격은 중지되었다.[98]영국 동부 측면에 대한 지원 공격은 계획되어 있었으나 카르피켓 지역에서 조립된 독일 탱크들은 오후에 RAF 전투기에 의해 심하게 교란되어 공격은 실현되지 않았다.[99]

10 SS 기갑사단은 1430년에 예정보다 늦게 공격을 개시했다.영국군이 기다리고 있던 이날 오전 충돌에 이어 가브루스를 방어하던 스코틀랜드 보병들은 5시간의 전투 끝에 마을 북쪽에 있는 다리 주위로 다시 밀려났다.[92]포격으로 독일인들은 철수했지만 영국은 마을을 다시 점령하지 않았다.[98]113 힐, 제2 그르나디에 대대, 판저그레나디에 연대 21과 제2대대를 향해 이동하면서, 10 SS 기갑 10 기갑연대는 언덕을 점령하려는 시도를 좌절시킨 에브재활의 44 대대 더 로열 탱크 연대와 2 대대(더 킹스 로열 라이플 군단)로 돌진했다.[100]이 장애물을 처리하는 데 남은 시간이 걸렸고 힐 112에 대한 공격은 연기되었다.[101]독일군은 28대의 탱크를 파괴했고 영국은 12대의 손실을 기록했다.[102]

뎀시는 6월 29일 독일군의 공격이 다음날 더 많은 반격을 시사했다고 보고 43사단 1개 여단으로 오돈 교두보를 보강하고 경계선을 강화했다.제11기갑사단 159보병여단은 제15보병사단(스코티시)의 지휘 하에 오코너의 추가 보병 희망에 따라 뎀시는 새로 도착한 53보병사단(웰시)을 8군단에 붙였고, 선두여단은 밤 사이 엡솜 출발선 근처에 도착했다.[103][104]힐 112를 보유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병력이 없는 에브재활과 힐 113을 보유해야 했고 뎀시는 29기갑여단에게 힐을 포기하라고 명령했다.[103][105]로레이와 오돈 사이의 지역을 유지하기 위해 뎀시는 독일군의 예상 공세에 대비하여 어두워진 후 강 건너 북쪽에 있는 29기갑여단을 철수시켰다.[106]

6월 30일

1944년 6월 30일 폭격 중 사진찍힌 빌러스 보카게 마을은 256명의 RAF 중폭격기가 1100톤의 폭탄을 투하했다.[107]

비트리히는 연합군의 공중 지원을 피하기 위해 6월 29~30일 밤 공격 재개를 지시했다.9 SS 기갑사단의 제19연대와 제20연대는 어둠 속에서 그레인빌-서-오돈과 르발트루에 대한 공격을 재개했지만 오돈 북쪽의 11 기갑사단과 영국의 중포 포격에는 별다른 진전이 없었다.[108]0120에서 10 SS 기갑사단은 힐 112를 향해 움직이기 시작했고 새벽녘에는 함포탄에 뒤덮여 공석이 된 영국군 진지를 공격했다.영국군이 후퇴한 사실을 모른 채, 10 SS 기갑의 판저그레나디에와 탱크는 남서쪽에서 언덕으로 진격했고 12 SS 기갑의 보병들은 동서쪽에서 공격했다.정오가 되자 독일군이 언덕을 점령했다.[109]영국의 역습과 포격으로 남작수르오돈에 대한 후속 공격이 끊겼다.[108]

비트리히는 8군단에 대한 추가 공격 행동을 취소했다.[64]저녁에는 7군단을 지휘하는 하우세르가 롬멜 본부에 자신의 반격이 '열한 적의 저항'과 강도 높은 연합군 포병 및 해군 포탄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중단되었음을 알렸다.[110]이를 모르고 더 많은 독일군의 공격이 뒤따를 것이라고 믿은 뎀시는 엡섬작전을 폐쇄했다.[64]양측은 하루의 남은 시간 동안 서로 심하게 포격을 가했지만, 전선은 점차 교전을 위해 구원투수 자리를 잡았다.[111]전함 HMS 로드니는 독일 본부가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마을을 폭격함으로써 기여했다; 그 중 한 척은 나중에 I SS 기갑군단의 본부를 수용한 것으로 밝혀졌다.[112]영국군의 추가 공세가 예정되어 있지 않은 가운데, 오후에는 가브루스 다리를 포기했고, 스코틀랜드 수비수들은 오돈 강을 가로질러 철수했다.[113]2030년 독일군의 핵심 교통 중심지인 빌러 보카게 마을은 250대의 RAF 중폭격기에 의해 파괴되었다.폭격으로 독일군을 잡으려는 의도였지만 프랑스 민간인만 참석했다.[114]

7월 1일

와펜-SS 병사가 독일 81mm 박격포를 재장전한다.독일군은 박격포를 광범위하게 사용했으며 노르망디에서 영국군 사상자의 7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II SS 기갑부대는 이전 24시간의 대부분을 재집결하는 데 보낸 후, 7월 1일에 반격을 재개했다.영국군이 작전을 종료하고 날씨가 흐린 가운데 연합군 항공지원에 지장을 주고 있다는 사실을 모른 채 비트리히는 11군 기갑사단이 오르네를 가로지르는 진격을 계속하는 것을 막을 기회가 있다고 믿었다.[115][116]날이 밝기 전에 10 SS 기갑사단은 중격포와 포탄의 지원을 받아 진격했다.[117]독일군은 바론수르오돈 마을을 재빨리 점령했지만 31 전차여단의 반격으로 정오까지 다시 점령했다.[116]격렬한 포격으로 힐 112에서 10 SS 기갑부대의 다른 공격이 중단되었고 영국 순찰대는 후에 힐 북쪽 경사면에서 300~400명의 죽은 판저그레나디어들을 발견했다.[117][118]

제9 SS 기갑사단은 이날 라우레이와 오돈 사이에 영국군 노선을 강행하려고 시도하며 하루를 보냈다.제2 SS 기갑사단의 판저그레나디에스가 보충하고 예비 폭격에 이어 제9 SS 기갑사의 탱크와 보병들이 연막 뒤로 진격하여 영국의 외곽 방어망을 뚫었다.일부 부대가 하우트 뒤 보스크까지 침투했지만 독일군은 라우레이 앞과 남동쪽으로 높은 지대에 의해 저지되었다.[117][118]하루 종일 계속된 독일군의 추가 공격은 격렬한 포격과 맞닥뜨려 진척이 없었으며, 이른 저녁 셔먼과 화염에 휩싸인 처칠 악어 전차를 동원한 영국군의 반격으로 원래의 전선이 복구되었다.이 공격은 양측 모두에게 비용이 많이 들었고, 독일군 전차 30대가 파괴되었다고 주장되었는데, 대부분이 49 (서라이딩) 보병사단에 의해, 12 SS 기갑사단 병력은 오전 중에 격퇴되었고, 포격은 다른 형태의 공격을 중단했다.[118]

여파

분석

영국군의 공격을 저지하기 위해 마지막 예비군을 투입해야 했던 롬멜은 6월 29일 히틀러에게 7군단이 센 을 향해 전투 철수를 시작할 수 있도록 허락해 달라고 요청했는데, 이는 스위스 국경 쪽으로 센 강을 따라 새로운 전선을 형성하기 위해 프랑스 남부에 있는 독일군에 의해 반영될 움직임이다.이것은 Hausser에 의해 부분적으로 승인되었다. Hausser는 6월 30일에 Caen에게 은퇴를 제안했다.오돈 계곡에서의 싸움에 고무된 히틀러는 노르망디에서 그의 군대를 "공격적이고 양보없는 방어 정책"[119]으로 약속하면서 "이동 전쟁이 전개되는 것을 허용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7월 2일, 영국 순찰대는 오돈 남쪽에서 독일군이 파고들고 있다고 보고하면서 이에 대한 최초의 증거를 입수했다.이틀 후 촬영된 항공사진에는 새로운 무기들이 대거 배치됐고 7월 8일까지는 8군단과 대치하고 있는 독일군이 자리를 잡았다.[120]양측이 전술적 지위 향상을 도모하고, 제12 SS 기갑사단은 7월 2일 폰테인-에투페르푸를 포로로 잡으면서 일부 국지적 조정이 일어났다.[121]

브리티시 셔먼 전차가 녹아웃된 타이거 전차를 통과하다

8군단은 처음으로 전투에서 정교한 독일군의 방어 태세를 뚫고 9.7km 가까이 진격했다.[115]독일군은 마지막 예비군을 투입함으로써 영국의 공세를 억제함으로써 작전 차원에서 방어적인 성공을 거둘 수 있었다.[122]4,000명 이상의 사상자가 영국인들에게 발생했지만, 그 노력으로 독일인들은 3,000명 이상의 사람을 희생시켰다.[123][124]독일군 사령관들은 자신들이 발전함에 따라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장갑 예비군을 조금씩 투입할 수 밖에 없었고, 불리하게 반격했다.[125]120개가 넘는 독일군 전차가 파괴되었고, 남은 병력의 조직은 혼란에 빠졌으며 공격력은 훨씬 줄어들었다.[120][125]그들을 구제할 보병사단이 거의 없는 상황에서 기갑사단은 회복을 위해 해체하기보다는 전선에 남아 있을 수밖에 없었다.[126]

스티븐 하트(Stephen Hart)는 2007년 연합군 장성의 전후 회고록이 1950년대와 1960년대 동안 국가 노선을 따라 분쟁을 일으켰고, 미국 역사학자들이 몽고메리와 영캐나다 세력의 행동에 대해 대체로 비판적인 반면, '친 몽고메리' 역사학자들이 반박에 나섰다고 썼다.이 기간 동안 발간된 국가 공식 선거운동 기록도 기록되었는데, 이 기록들은 철저히 조사되었지만 논란에 대한 상세한 비판적 분석은 피했다.1980년대 동안 수정주의 작가들은 연합국의 인식된 결핍에 초점을 맞췄고 1990년대 후반부터 두 개의 사상학파가 수정주의자들을 개정해 왔으며, 일부는 보다 상세한 캠페인 분석을 제공함으로써 수정주의자들의 작업을 확대하고 있으며, 영-캐나다 적들에 의해 채택된 기술들을 보여주려고 노력한 사람들이다.rce는 노르망디와 마주친 상황들에 대해 현실적이었다.[127]

1983년 카를로 데스테는 영국군의 공격을 위한 가장 논리적인 장소는 연합군 숙소의 극동편인 오르네 교두보에서 나왔을 것이라고 썼다.[128]몽고메리, 뎀프시, 오코너에 의해 동부 측면의 공격이 비현실적이라고 거부되었다.[18]일부 작가들은 엡섬의 의도를 입지를 다지기 위한 공격이라고 설명했지만, 2004년 앤드류 윌리엄스는 울트라 디코드를 통해 몽고메리가 바이룩스를 향해 공격하려는 롬멜의 계획을 알고 있었고 엡섬이 이를 미연에 방지하려는 의도였다고 썼다.[17]체스터 윌못은 1952년에 이 작전이 I SS 기갑 군단과 새로 도착한 II SS 기갑 군단을 캉 주변에서 전투에 끌어들이기 위한 것이라고 썼다.하트는 몽고메리가 이니셔티브를 지키고 독일 기갑부대가 미 제1군에 대항하여 서쪽에서 이동하거나 안심을 하여 예비군을 구성하는 것을 막고 싶다고 썼다.[129]2 SS 기갑부대의 도착은 독일군 사령부가 8군단에 대항하여 군단을 이용하도록 강요함으로써 주도권을 유지한 엡섬 작전의 촉매제였다.[122]맥스 헤이스팅스는 1985년 "정직한 지휘관은 없다"고 썼다. "독일의 방어망을 뚫을 모든 희망, 혹은 적어도 적군이 실질적인 철수를 할 수 있게 할 수 있다"는 희망 없이 엡섬만큼 큰 공격을 감행할 것이라고.[130]카를로 데스테는 "그 어떤 가식도 실제 물체가 카엔을 앞지르기 위한 짧은 집게 움직임이었다는 것을 숨길 수 없다"[131]고 썼다.

로이드 클라크는 "전장에서 엡섬은 일종의 무승부로 다소 수치스럽게 끝났다"면서 엡섬 작전의 효과를 판단하는 것은 몽고메리의 의도에 대한 이견으로 인해 방해를 받는다고 썼다.서면 명령으로 몽고메리는 오르네 강을 건너고, 카엔 남쪽 고지대를 점령해야 했는데, 이를 수비수들이 막아냈다.클라크는 지상의 포획보다 더 중요한 전략적 함의를 가진 암묵적 목표가 있다고 썼다.[132]1971년 스테판 암브로스는 엡섬이 계획과 데스테로부터 진로를 이탈하는 것에 대해 엡섬은 "이러한 실패"라고 말하며, 엡섬은 "달리지 못한 엄청난 의도의 작전"이라고 썼다.[131][133]2004년 사이먼 트레와 스티븐 배지는 영국의 실패에 대해 "... 엡섬을 저지하기 위해 6개 기갑사단의 대부분이 필요했다."라고 썼고, 2002년 마이클 레이놀즈는 6개 사단의 약속이 없었다면 영국의 공세가 목표를 달성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썼다.[134][135]2007년 이안 다글리시는 엡섬의 원래 개념은 실패했지만 공격은 전략적 성공이었다고 썼다.[136]제2군은 오돈 강을 가로지르는 11군단 기갑사단을 철수시킨 다음 예비군으로 후퇴시킴으로써 첸 근처에서 다시 공격의 위협을 만들어냈던 것이다.6월 말까지 노르망디의 모든 독일 기갑부대는 제2군 전선에 집중되었다.[137][138][139]

밀턴 슐먼은 1947년에 독일군 사령부가 6월에 두 번째 장갑차 반격의 패배로 가장 효과적인 군대를 내팽개쳤다고 썼고 레이놀즈는 작전이 영국군에게는 비용이 많이 들지만 독일군에 심각한 손실을 입혔다고 썼다.[140][141]1945년 발간된 8군단 역사에서 G.S. 잭슨은 엡섬이 명백한 목표에는 실패했지만 "노르망디에서 독일군에 대한 몽고메리의 일련의 신속하고 연속적인 타격의 일환으로 볼 때 엡섬의 중요성은 더욱 명백해지고 연합군의 행사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데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썼다.지역에서의 성공"이라고 말했다.[142]데스테는 독일군에 가해진 손실은 "순수하게 남자와 물질적인 면에서"라고 썼다.[131]2003년에 Terry Copp은 비용 편익 접근방식이 더 많은 통찰력을 제공하는 반면, 윈-루즈 기준에 너무 많은 강조가 주어졌다고 썼다.[143]은 독일군이 쉽게 대체할 수 없는 패배를 인정했다고 썼다.y 비용 절감 분석".[143]

버클리는 2013년 7월 1일까지 영국군이 오돈 남쪽에 세워졌지만 112번 힐에서 은퇴하는 교착 상태가 발생했다고 썼다.독일군은 지속적인 전선을 유지해왔으나 오직 판저그루페 웨스트가 계획한 반격작전을 시작할 수 없게 된 예비군만 사용함으로써 공세는 조직화된 화력에 기초한 소모 전략의 일환으로 상당한 연합군의 성공을 거두었다.독일군을 코엔에서 탈출시키려는 시도로 보아 작전은 실패했지만 몽고메리의 전략상 그것은 값비싼 승리였다.독일군의 노르망디 방어는 엡섬 기간 동안 가해진 피해로부터 결코 회복되지 않았고, 주도권을 잃고, 연합군의 화력 앞에서 독일의 반격 전술이 실패하여 영국군에게 가해진 비용보다 훨씬 더 큰 비용이 들었다; 방어 기반이 된 독일의 지휘구조와 가정은 훼손되었다.[144]

사상자

로이드 클라크는 15사단(스코티시)이 6월 27일부터 7월 2일까지 2331명의 사상자, 288명 사망, 1638명 부상, 794명의 실종자를 냈다고 썼다.존 버클리는 1944년 6월부터 1945년 5월까지 발생한 사상자의 25%300명포함, 2700명의 사상자를 냈고, 작전에 투입된 다른 부대도 2500명의 사상자를 냈다고 밝혔다.[145]11군 기갑사단과 43군(웨섹스) 보병사단의 사상자는 모두 1,256명으로 11군 기갑사단에서 257명이 사망했다.마틀렛 작전과 엡섬 지원 공격을 수행한 49(서라이딩) 보병사단, 51(하이랜드) 보병사단, 8기갑여단에는 어떤 인물도 제공되지 않는다.[146]6월 26일부터 30일까지, 8군단은 470명의 사망자 2187명의 부상자, 706명의 실종자를 냈다.7월 1일, 추가로 488명이 사망하고 부상했으며 227명이 실종되었다고 보고되었다.이 수치들은 운용 마틀렛에서의 포메이션과 엡섬을 지지하는 공격을 제외한다.[123]독일군은 엡섬 기간 동안 3,000명 이상의 사상자를 냈다; 9 SS 기갑사단은 1,145명, 10 SS 기갑사단은 571명, 12 SS 기갑사단은 1,244명의 사상자를 냈다.[124]독일군은 6월 26일부터 7월 1일 자정까지 126대의 탱크를 잃었고, 그중 팬더 41대와 타이거 25대를 잃었다.[120]스티븐 나피어는 2015년 독일 125개, 영국 150개 전차 손실에 대한 새로운 수치를 발표했다.[147][j]

후속 작업

첸 인근 작전.

점점 더 많은 비용이 드는 정적 방어는 독일 최고 사령부의 분쟁으로 이어졌다.7월 1일 저녁, 룬드스테트는 빌헬름 케이텔과의 대화에서 "이 바보들아, 평화를 만들어라"[119]고 말했다.얼마 지나지 않아 귄터클루게가 서장 서장(西將)으로 그를 대신했다.슈베펜부르크는 히틀러와의 캠페인에 대한 의견 차이로 인해 하인리히 에베르바흐(Hainrich Eberbach) 기갑그룹 웨스트(West) 사령관으로 교체되었다.[76]

소강상태 동안 양측은 그들의 성향에 변화를 주었다.53(웰시) 보병사단은 영국 연병대의 서쪽에 있는 15(스코티시) 보병사단을, 43(웨섹스) 보병사단은 아직 오돈 교두보를 잡고 있는 11기갑사단의 보병들을 안심시켰다.[148][149]독일군은 9 SS 기갑사단과 2 SS 기갑사단의 전투단을 구제하기 시작한 277 보병사단을 위로 이동시켰다.[150][151]

며칠 후 영국 제2군은 깐을 함락시키기 위해 챈우드 작전을 개시했다.[152]이는 당초 엡섬에서 오타와 작전으로 계획되었으나 현재는 윈저 작전으로 코드명된 카피켓 공격을 통합했다.[32][149]7월 셋째 주 아틀란틱굿우드 작전 기간 중 나머지 부분은 포획된 채 정면 공격했다.[152][153]오돈 계곡에서의 전투는 계속되었고 7월 10일 목성 작전은 8군단에 의해 발진되어 바론수르오돈 마을 부근의 독일군을 밀어내고 112 언덕을 탈환하여 오르네 강으로 진격했다.[154][155]제2차 오돈 전투는 7월 15일 굿우드 작전이 벌어질 지상에서 독일의 관심을 돌리기 위해 시작되었다.두 번째 전투는 그 캠페인의 가장 피비린내 나는 만남 중 하나로 불렸다.[156]

전투의 영예

영국과 영연방 전투 시스템은 1944년 6월 25일부터 7월 2일까지 강에서 복무할 수 있도록 1956년, 1957년 및 1958년 전투 명예 오돈 34개 유닛에게 수여함으로써 엡섬 작전에 참가를 인정하였다.이 상에는 수술 중 4가지 행동에 대한 영예가 함께 수여되었다.6월 26~27일 폰테나이 페스닐, 6월 26~27일 추스, 6월 27일 투르마우빌 다리, 6월 29일~7월 2일 로레이 방어.[157]

메모들

  1. ^ "그 핵심 도시 카펜과 카피켓의 이웃을 재빨리 사로잡은 것은 J. T. 크로커 중장의 I 군단의 가장 야심차고, 가장 어렵고, 가장 중요한 임무였다.[2]체스터 윌못은 "크로커의 해저 사단에 주어진 목표는 그의 군대가 잠재적으로 가장 큰 반대였던 것에 대항하여 가장 멀리 가장 노출된 해변에 가장 늦게 상륙할 예정이었기 때문에 분명히 야심적이었다"[3]고 썼다.
  2. ^ 552개의 야전포, 112개의 중전포, 48개의 중전포, 24개의 AA 중전포.1군단 : 야전총 216발, 중포 32발, 중포 16발.8군단: 240개의 야전포, 16개의 중전포, 16개의 중전포, 그리고 24개의 AA 중전포.XXX 군단 : 야전총 96개, 중포 64개, 중포 16개.[29]
  3. ^ 5대대대, 퀸즈 자체 캐머런 하이랜더스, 5대대대, 시포스 하이랜더스, 13/[36]18 후사르, 포병과 기술자 지원.
  4. ^ 83번 그룹 RAF는 날씨에도 불구하고 엡섬 작전을 지지하기 위해 500개 이상의 출격식을 날렸다.[44]
  5. ^ 한 탱크는 도망칠 수 있었고, 다른 탱크는 뒤집혔고, 네 탱크는 PIAT에 의해 쓰러졌다.[60]
  6. ^ 윌못은 돌먼이 자살했다는 기록이나 암시는 없었고 돌먼의 비서실장은 그가 "화장실에서 심장마비를 앓았다"[72]고 주장했다고 썼다.다른 작가들은 돌만이 자살했다고 썼다.[69][71]
  7. ^ '유럽을 위한 투쟁'에 제시된 서구의 독일군 지휘구조에 대한 조직도를 보면 슈베펜부르크가 여전히 지휘권을 갖고 있었고 7월 2일까지 하인리히 에베르바흐가 계승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74]역사가 로이드 클라크와 마이클 레이놀즈 모두 엡섬 작전 당시 슈베펜부르크가 여전히 웨스트 기갑그룹을 지휘하고 있었다고 주장한다.[69][73]제4장, 각주 14장에는 6월 10일 슈베펜부르크 본부에 대한 RAF의 공격이 그의 비서실장과 16명의 다른 참모들이 죽었지만 그에게 약간의 상처만 입혔다고 쓰여 있다.[75]노르망디 전투에 대한 영국의 공식 역사는 슈베펜부르크가 선거운동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한 히틀러의 희망에 반대하여 7월 4일까지 에베르바흐에 의해 성공하지 못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는 클루게가 룬드스테트를 대신하는 것을 본 해임에서 제외되었다.[76]
  8. ^ 독일 연대는 영국 여단에 해당한다.
  9. ^ 윌못은 이 장교가 2 SS 기갑군단 공격 계획의 사본을 들고 있었다고 주장한다.[84]엘리스는 이 장교가 자신이 정찰하고 있던 역습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고 말한다.[95]잭슨은 이 캡처된 문서들이 붙잡힌 장교 여단의 계획이었다고 말한다.[94]
  10. ^ 60 기갑 4세, 30명의 팬더, 8명의 타이거스, 17명의 스튜G III. 영국의 손실은 64명의 셔먼, 10명의 셔먼 Vc, 14명의 크롬웰스, 27명의 스튜어트, 35명의 처치실이었다.[147]

각주

  1. ^ 윌리엄스 2004, 페이지 24.
  2. ^ 엘리스 외 2004년, 페이지 171.
  3. ^ 윌못 & 맥데빗 1997, 페이지 273.
  4. ^ 엘리스 외 2004년 페이지 78.
  5. ^ 엘리스 외 2004년 페이지 81.
  6. ^ 윌못 & 맥데빗 1997, 페이지 284–286.
  7. ^ 엘리스 외 2004년 페이지 247.
  8. ^ a b 2004년 40쪽 36쪽
  9. ^ 엘리스 외 2004년, 페이지 250.
  10. ^ 엘리스 외 2004년 페이지 254.
  11. ^ 테일러 1999 페이지 10.
  12. ^ 테일러 1999, 페이지 76.
  13. ^ 2004년 40쪽 97쪽
  14. ^ 엘리스 외 2004년, 페이지 255.
  15. ^ a b 윌리엄스 2004, 페이지 114.
  16. ^ 윌못 & 맥데빗 1997, 322페이지.
  17. ^ a b 윌리엄스 2004, 페이지 113.
  18. ^ a b 하트 2007a, 페이지 131–132.
  19. ^ 윌리엄스 2004, 114페이지, 118페이지
  20. ^ 윌못 & 맥데빗 1997, 페이지 334.
  21. ^ 레이놀즈 2002 페이지 13.
  22. ^ 윌못 & 맥데빗 1997, 321페이지, 지도 334페이지.
  23. ^ 윌리엄스 2004, 112 페이지
  24. ^ 엘리스 외 2004년, 페이지 271.
  25. ^ a b c 클라크 2004, 20-21페이지.
  26. ^ 클라크 2004, 페이지 21.
  27. ^ 잭슨 & 스태프 2006, 12페이지, 22페이지, 27페이지.
  28. ^ a b c d e 클라크 2004, 31-32페이지.
  29. ^ a b c d 잭슨 & 스태프 2006, 페이지 30–31, 40.
  30. ^ 클라크 2004, 페이지 29.
  31. ^ 잭슨 & 스태프 2006, 페이지 29.
  32. ^ a b Stacey & Bond 1960, 페이지 150.
  33. ^ 잭슨 & 스태프 2006, 20페이지, 22페이지.
  34. ^ a b 윌리엄스 2004, 페이지 118.
  35. ^ 클라크 2004, 페이지 24.
  36. ^ 엘리스 외 2004, 페이지 274–275.
  37. ^ 엘리스 외 2004년, 페이지 275.
  38. ^ 클라크 2004, 페이지 37.
  39. ^ 클라크 2004, 페이지 39.
  40. ^ 윌리엄스 2004, 페이지 115–116.
  41. ^ a b 마이어 2005 페이지 244.
  42. ^ 클라크 2004, 페이지 40.
  43. ^ a b 클라크 2004, 페이지 45.
  44. ^ a b 엘리스 외 2004년, 페이지 277.
  45. ^ 클라크 2004, 페이지 42.
  46. ^ 클라크 2004, 페이지 42-43.
  47. ^ 클라크 2004, 페이지 43.
  48. ^ 잭슨 & 스태프 2006, 페이지 32.
  49. ^ 레이놀즈 2002 페이지 20.
  50. ^ 잭슨 & 스태프 2006 페이지 32~33.
  51. ^ 잭슨 & 스태프 2006, 페이지 33.
  52. ^ a b c 엘리스 외 2004년 페이지 278.
  53. ^ 클라크 2004, 페이지 46–47.
  54. ^ a b c 잭슨 & 스태프 2006, 34-35페이지.
  55. ^ 클라크 2004, 페이지 51.
  56. ^ a b 2004년 포틴 페이지 15.
  57. ^ 윌못 & 맥데빗 1997, 페이지 343.
  58. ^ a b 윌못 & 맥데빗 1997, 페이지 343–344.
  59. ^ 클라크 2004, 페이지 65-67.
  60. ^ a b c d 클라크 2004, 페이지 68.
  61. ^ 클라크 2004, 페이지 67.
  62. ^ a b c d 잭슨 & 스태프 2006, 페이지 39.
  63. ^ Sunders 2001, 페이지 20.
  64. ^ a b c 클라크 2004, 96페이지.
  65. ^ 잭슨 & 스태프 2006, 페이지 39–40.
  66. ^ 클라크 2004, 페이지 72.
  67. ^ 잭슨 & 스태프 2006, 페이지 40.
  68. ^ 레이놀즈 2002, 페이지 21.
  69. ^ a b c 클라크 2004, 페이지 73.
  70. ^ 윌리엄스 2004, 페이지 111–112.
  71. ^ a b c 레이놀즈 2002 페이지 22.
  72. ^ a b 윌못 & 맥데빗 1997 페이지 344.
  73. ^ a b c d e f 레이놀즈 2002 페이지 23.
  74. ^ 윌못 & 맥데빗 1997, 페이지 735.
  75. ^ 레이놀즈 2002 페이지 32.
  76. ^ a b 엘리스 외 2004, 페이지 320–322.
  77. ^ 클라크 2004, 74페이지.
  78. ^ 클라크 2004, 페이지 79.
  79. ^ a b 잭슨 & 스태프 2006, 페이지 42.
  80. ^ a b c 클라크 2004, 80페이지.
  81. ^ a b 잭슨 & 스태프 2006, 페이지 41.
  82. ^ Sunders 2001, 페이지 27-30.
  83. ^ Sunders 2001, 페이지 32.
  84. ^ a b c 윌못 & 맥데빗 1997 페이지 345.
  85. ^ a b 잭슨 & 스태프 2006, 페이지 44.
  86. ^ a b 잭슨 & 스태프 2006, 페이지 45.
  87. ^ 클라크 2004, 페이지 87.
  88. ^ 클라크 2004, 페이지 87–88.
  89. ^ 클라크 2004, 페이지 88.
  90. ^ 잭슨 & 스태프 2006, 페이지 49.
  91. ^ 잭슨 & 스태프 2006, 페이지 49, 90.
  92. ^ a b 클라크 2004, 페이지 92.
  93. ^ a b c 레이놀즈 2002 페이지 25.
  94. ^ a b 잭슨 & 스태프 2006, 페이지 50.
  95. ^ 엘리스 외 2004년, 페이지 283.
  96. ^ 윌리엄스 2004, 페이지 121.
  97. ^ 윌리엄스 2004, 페이지 122.
  98. ^ a b 레이놀즈 2002, 페이지 27.
  99. ^ 잭슨 & 스태프 2006, 페이지 51.
  100. ^ 레이놀즈 2002, 페이지 27–28, 32.
  101. ^ 클라크 2004, 페이지 93.
  102. ^ 레이놀즈 2002 페이지 27–28.
  103. ^ a b 엘리스 외 2004, 페이지 284–285.
  104. ^ 잭슨 & 스태프 2006, 페이지 52.
  105. ^ 하트 2007a, 페이지 140–141.
  106. ^ 엘리스 외 2004년, 페이지 285.
  107. ^ 레이놀즈 2002, 페이지 26.
  108. ^ a b 클라크 2004, 페이지 95.
  109. ^ 레이놀즈 2002, 페이지 28.
  110. ^ 윌못 & 맥데빗 1997, 페이지 345–346.
  111. ^ 클라크 2004, 페이지 95-98.
  112. ^ 잭슨 & 스태프 2006, 페이지 55.
  113. ^ 클라크 2004, 페이지 98.
  114. ^ 잭슨 & 스태프 2006, 페이지 56.
  115. ^ a b 잭슨 & 스태프 2006, 페이지 57.
  116. ^ a b 클라크 2004, 페이지 101.
  117. ^ a b c 레이놀즈 2002, 페이지 30.
  118. ^ a b c 잭슨 & 스태프 2006, 페이지 58.
  119. ^ a b 윌못 & 맥데빗 1997, 페이지 346–347.
  120. ^ a b c 잭슨 & 스태프 2006, 페이지 59.
  121. ^ 클라크 2004, 페이지 101–102.
  122. ^ a b 하트 2007a, 페이지 108.
  123. ^ a b 잭슨 & 스태프 2006, 페이지 37, 40, 44, 53, 55 & 59.
  124. ^ a b 클라크 2004, 페이지 107–109.
  125. ^ a b 윌리엄스 2004, 페이지 123.
  126. ^ 윌리엄스 2004, 124 페이지
  127. ^ 하트 2007a, 페이지 16-17.
  128. ^ D'Este 2004, 페이지 233.
  129. ^ 윌못 & 맥데빗 1997, 342페이지.
  130. ^ 헤이스팅스 2006, 페이지 171.
  131. ^ a b c D'Este 2004, 245페이지.
  132. ^ 클라크 2004, 페이지 100, 104.
  133. ^ Ambrose 2001, 페이지 428.
  134. ^ Trew & Badsey 2004, 페이지 28.
  135. ^ 레이놀즈 2002, 페이지 31.
  136. ^ Daglish 2007, 페이지 218–219.
  137. ^ 윌못 & 맥데빗 1997 페이지 348.
  138. ^ Gill & Groves 2006, 페이지 30.
  139. ^ 잭슨 & 스태프 2006, 페이지 53.
  140. ^ 2004년 슐만 132-133페이지.
  141. ^ 레이놀즈 2002, 페이지 33.
  142. ^ 잭슨 & 스태프 2006, 페이지 114.
  143. ^ a b Copp 2006, 페이지 18.
  144. ^ 버클리 2013, 페이지 86-87.
  145. ^ 버클리 2013, 페이지 87.
  146. ^ 클라크 2004, 페이지 109.
  147. ^ a b 네이피어 2015, 위치 4315
  148. ^ 클라크 2004, 페이지 102.
  149. ^ a b 잭슨 & 스태프 2006, 페이지 60.
  150. ^ 잭슨 & 스태프 2006, 페이지 60-61.
  151. ^ 레이놀즈 2002 페이지 35.
  152. ^ a b 윌리엄스 2004, 페이지 131.
  153. ^ Trew & Badsey 2004, 페이지 48.
  154. ^ 클라크 2004, 페이지 103.
  155. ^ 잭슨 & 스태프 2006, 페이지 61.
  156. ^ Copp 2004, 페이지 135.
  157. ^ 로저 2003, 페이지 242–243.

참조

  • Ambrose, S. E. (2001) [1971]. The Supreme Commander: The War Years of Dwight D. Eisenhower. Roundhouse. ISBN 1-57806-206-3.
  • Buckley, J. (2013). Monty's Men: The British Army and the Liberation of Europe (2014 e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ISBN 978-0-300-20534-3.
  • Clark, L. (2004). Operation Epsom. Battle Zone Normandy. The History Press. ISBN 0-7509-3008-X.
  • Copp, T. (2004) [2003]. Fields of Fire: The Canadians in Normandy. Toronto: University of Toronto Press. ISBN 0-8020-3780-1. OCLC 56329119.
  • Copp, Terry (2006). "The 21st Army Group in Normandy: Towards a new balance sheet". In Buckley, John (ed.). The Normandy Campaign 1944: Sixty Years On. Routledge. pp. 11–21. ISBN 978-1-134-20304-8.
  • Daglish, I. (2007). Operation Epsom. Over the Battlefield. Barnsley: Pen & Sword Military. ISBN 978-1-84415-562-0.
  • D'Este, C. (2004) [1983]. Decision in Normandy: The Real Story of Montgomery and the Allied Campaign. London: Penguin. ISBN 0-14-101761-9. OCLC 44772546.
  • Ellis, Major L. F.; Allen, Captain G. R. G.; Warhurst, Lieutenant-Colonel A. E.; Robb, Air Chief-Marshal Sir J. (2004) [1st. pub. HMSO, 1962]. Butler, J. R. M. (ed.). Victory in the West: The Battle of Normandy. History of the Second World War United Kingdom. Vol. I. Uckfield, East Sussex: Naval & Military Press. ISBN 1-84574-058-0. OCLC 276814706.
  • Fortin, L. (2004). British Tanks In Normandy. Paris: Histoire & Collections. ISBN 2-915239-33-9.
  • Forty, G. (2004). Villers Bocage. Battle Zone Normandy. Sutton. ISBN 0-7509-3012-8.
  • Gill, R.; Groves, J. (2006) [1946]. Club Route in Europe: The History of 30 Corps from D-Day to May 1945. MLRS Books. ISBN 978-1-905696-24-6.
  • Hart, S. A. (2007a) [2000]. Colossal Cracks: Montgomery's 21st Army Group in Northwest Europe, 1944–45. Mechanicsburg, Pennsylvania: Stackpole Books. ISBN 978-0-8117-3383-0. OCLC 70698935.
  • Hastings, M. (2006) [1985]. Overlord: D-Day and the Battle for Normandy. New York: Vintage Books. ISBN 0-307-27571-X. OCLC 62785673.
  • 잭슨, G.S., 직원이라던가 8군단(2006년).8군단:노르망디는 발틱 해에.벅스 턴:MLRS북스.아이 에스비엔 978-1-905696-25-3.(원래 두권으로 된 여덟째 봉사단의 운영이 계정 참모 총장의 노르망디는 라인 강까지 발간했다.런던:성Clements회사 눌러.1948년.OCLC 262718300. 그리고 라인 강은 발틱 해에:서사 시 회계를 무한 질주의 그리고 독일 사람 국군의 최종 패배...3월 – 1945년 5월.OCLC 62915367. 중령 G.S.Jackson에 의해).
  • Meyer, K. (2005) [1957]. Grenadiers: The Story of Waffen SS General Kurt "Panzer" Meyer. Mechanicsburg, Pennsylvania: Stackpole Books. ISBN 0-8117-3197-9.
  • Napier, S. (2015). Armoured Campaign in Normandy June–August 1944. Stroud: The History Press. ISBN 978-0-75096-270-4.
  • Reynolds, M. (2002). Sons of the Reich: The History of II SS Panzer Corps in Normandy, Arnhem, the Ardennes and on the Eastern Front. Havertown: Casemate. ISBN 0-9711709-3-2. OCLC 50208471.
  • Rodger, A. (2003). Battle Honours of the British Empire and Commonwealth Land Forces. Marlborough: The Crowood Press. ISBN 1-86126-637-5.
  • Saunders, T. (2001). Hill 112: Battles of the Odon - 1944. Battleground Europe (repr. ed.). Barnsley: Pen & Sword Books. ISBN 0-85052-737-6.
  • Shulman, M. (2004) [1947]. Defeat in the West. London: Cassell. ISBN 0-304-36603-X.
  • Stacey, Colonel C. P.; Bond, Major C. C. J. (1960). The Victory Campaign: The Operations in North-West Europe 1944–1945 (PDF). Official History of the Canadian Army in the Second World War. Vol. III. Ottawa: The Queen's Printer and Controller of Stationery. OCLC 58964926. Retrieved 21 May 2014.
  • Taylor, D. (1999). Villers-Bocage Through the Lens. Old Harlow: Battle of Britain International. ISBN 1-870067-07-X. OCLC 43719285.
  • Trew, S.; Badsey, S. (2004). Battle for Caen. Battle Zone Normandy. Stroud: Sutton. ISBN 0-7509-3010-1. OCLC 56759608.
  • Williams, A. (2004). D-Day to Berlin. London: Hodder & Stoughton. ISBN 0-340-83397-1. OCLC 60416729.
  • Wilmot, C.; McDevitt, C. D. (1997) [1952]. The Struggle for Europe. Ware, Herts: Wordsworth Editions. ISBN 1-85326-677-9. OCLC 39697844.

추가 읽기

  • Beale, P. (1997). Tank Tracks: 9th Battalion Royal Tank Regiment at War 1940–45. Stroud: Sutton. ISBN 1-84015-003-3.
  • Elstob, P. (1974) [1960]. Warriors for the Working Day: A Novel (Corgi ed.). London: Jonathan Cape. ISBN 0-55209-524-9. OCLC 9498717.
  • Forrester, C. (2018) [2015]. Monty's Functional Doctrine. Combined Arms Doctrine in British 21st Army Group in Northwest Europe 1944–45. Wolverhampton military studies (pbk. repr. ed.). Warwick: Helion. ISBN 978-1-912174-77-5.
  • Hart, S. A. (2007b). Sherman Firefly vs. Tiger: Normandy 1944 (Duel): Normandy 1944. Oxford: Osprey. ISBN 978-1-84603-150-2.
  • How, J. J. (2004) [1984]. Hill 112, Cornerstone of the Normandy Campaign (repr. ed.). Winnipeg: J.J. Fedorowicz Publishing. ISBN 0-921991-81-9.
  • Meyer, H. (2005a) [1994]. The 12th SS, The History of the Hitler Youth Panzer Division. Mechanicsburg, Pennsylvania: Stackpole. ISBN 978-0-8117-3198-0.
  • Saunders, T. (2003). Operation Epsom, VIII British Corps v 1st SS Panzerkorps. London: Leo Cooper. ISBN 0-85052-954-9.
  • Townend, W.; Baldwin, F. (2020). Gunners in Normandy: The History of the Royal Artillery in North-West Europe January 1942 to August 1944 (1st ed.). Cheltenham: The History Press. ISBN 978-0-7509-9044-8.
  • Zetterling, N. (2000). Normandy 1944, German Military Organization, Combat Power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innipeg: J. J. Fedorowicz. ISBN 0-921991-56-8.
  • Zetterling, N. (2019) [2010]. Normandy 1944, German Military Organization, Combat Power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2nd rev. Casemate, Oxford ed.). Winnipeg: J. J. Fedorowicz. ISBN 978-1-61200-816-5.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