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만라이트
Gormanite고만라이트 | |
---|---|
![]() 브라질 미나스 제라이스 도스 계곡의 고만나이트(크기: 4.2 x 4.2 x 3.0cm) | |
일반 | |
카테고리 | 인산염광물 |
공식 (기존 단위) | (Fe,Mg)3Al4(PO4)(4OH)/62H2O |
IMA 기호 | gm[1] |
스트룬츠 분류 | 8.DC.45 |
크리스털 시스템 | 삼위일체 |
크리스털 클래스 | 페달(1) (동일한 H-M 기호) |
스페이스 그룹 | P1 |
단위세포 | a = 11.77, b = 5.11 c = 13.57 [å]; α = 90.45° β = 99.15°, γ = 90.05°;Z = 2 |
식별 | |
색 | 블루 그린 |
수정습관 | 고환 결정의 골재; 유사동맥류 |
트윈닝 | 폴리 합성어 [010] 주위 |
클라바주 | {001} 불분명한 |
골절 | 스플린터리 |
고집 | 브리틀 |
모스 눈금 경도 | 4-5 |
루스터 | 부균성, 기름기 |
스트릭 | 연녹색 |
발데인성 | 반투명 |
비중 | 3.10–3.13 |
광학 특성 | 양악(-) |
굴절률 | nαγ = 1.619 nβ = 1.653 n = 1.152 |
바이레프링스 | .041 |
플레이오크로이즘 | 강, X 무색, Y 청색, Z 무색 |
2V 각도 | 측정값: 53° |
참조 | [2][3][4] |
고만라이트는 (Fe,Mg)3Al4(PO4)(4OH)·62라는 공식을 가진 인산염 광물이다.HO2. 토론토대 교수 도널드 허버트 고먼(1922~2020)의 이름을 따서 지은 것이다.
발생
1981년 캐나다 유콘 준주 도슨 광산구의 래피드 크릭과 빅 피쉬 강에서 발생한 사건에 대해 처음 설명되었다.그것은 철 인산염 결절에서 정맥으로 발생한다.[2][4]애리조나주 비스비에서는 토나이트 침입 시 골절 내 대형 결정체로 발생한다.또한 뉴햄프셔 주 설리번 카운티 뉴포트 인근과 뉴햄프셔 주 그렉턴 카운티 그로튼의 찰스 데이비스 페그마타이트에서도 보고되었다.나미비아 카리브 남쪽에 있는 쓰보비스문트 페그마타이트에서도 보고된 바 있다.[4]
참조
- ^ Warr, L.N. (2021). "IMA–CNMNC approved mineral symbols". Mineralogical Magazine. 85 (3): 291–320. Bibcode:2021MinM...85..291W. doi:10.1180/mgm.2021.43. S2CID 235729616.
- ^ a b Gormanite, Mindat.org, retrieved 2011-01-30
- ^ Gormanite, WebMineral.com, retrieved 2011-01-30
- ^ a b c 광물학 편람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