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랜드캠프-메이시
Grandcamp-Maisy![]() | 본 기사는 해당 기사에서 프랑스어로 번역된 텍스트로 확장될 수 있다. (2008년 12월) 중요한 번역 지침은 [표시]를 클릭한다.
|
그랜드캠프-메이시 | |
---|---|
그랜드캠프의 해변 동쪽에 있는 작은 제트기. | |
좌표: 49°23°N 1°02˚W / 49.39°N 1.04°W좌표: 49°23′N 1°02′W / 49.39°N 1.04°W | |
나라 | 프랑스. |
지역 | 노르망디 |
부서 | 칼바도스 |
아르론디스먼트 | 바이룩스 |
광동 | 트레비에르 |
인터커뮤니티티 | CC 아이시니-오마하 인터콤 |
정부 | |
• 시장 (2020–2026) | 장마르크 레프랑크[1] |
면적 1 | 14.85km2(5.73 sq mi) |
인구 (2018년 1월)[2] | 1,554 |
• 밀도 | 100/km2 (190/sq mi) |
시간대 | UTC+01:00(CET) |
• 여름(DST) | UTC+02:00(CEST) |
INSEE/우편 번호 | 14312 /14450 |
표고 | 0–34m(0–34ft) (평균 50m 또는 160ft) |
1 1km2(0.386평방미터 또는 247에이커) 이하의 호수, 연못, 빙하 및 하천 유역을 제외한 프랑스 토지 등록부 자료. |
그랜드캠프-메이시(프랑스어 발음: [ɡʁɑkkkɑ̃mɛzi])(듣기)는 프랑스 북서부의 노르망디 지역에 있는 칼바도스 부서의 코뮌이다.
지리
그랜드캠프-메이시는 이시그니수르메르 북동쪽 9km(5.6mi), 푸앵트뒤혹 서쪽 4km(2.5mi)의 해안가에 위치해 있다. 항구 쪽에 어시장이 위치하여 활발한 어항이다.
역사
1972년 11월 1일, 이전에 그랜드캠프-레-베인즈(Grandcamp-les-Bains)로 알려진 공동체는 메이시(Its old INSEE code는 14392년)와 합쳐져 이름을 그랜드캠프-마이시(Grandcamp-Maisy)로 바꾸었다.
제2차 세계 대전
1944년 마이시 마을은 숨겨진 독일 중포 배터리의 현장이자 이 구역의 본부였다. 21세기 초까지만 해도, 이 사이트는 너무 커 1944년 말 이전에 미국 기술자들에 의해 가려져 있었는데, 이는 역사학자들이 이 사이트를 조사할 기회를 갖기 훨씬 이전이었다.
영국의 군사사학자 게리 스턴은 미국의 침략지도를 찾아[3] 재발견해 이곳을 매입해 2개가 넘는 박물관으로 만들었다.독일산 참호와 벙커 1⁄2 마일
그의 연구와 발표(이전의 일급비밀) 논문으로 보아, 그 장소는 원래 생각했던 것보다 몇 배나 더 넓다. 참호와 터널의 미로는 약 60년 동안 숨겨져 있었다. 사무용 벙커, 소모품 건물, 일반 숙소, 라디오 룸 등 지하 병원(3곳 중 1곳)을 포함한 많은 블록이 있다.
모든 부지가 정리되고 매장되어 있는 벙커들이 재발견되면 이 부지는 침략지역에서 대서양벽에서 가장 큰 부지가 될 것이 분명할 것이다. 이 사이트의 순전한 규모는 왜 연합군 기록에 더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았는지 또는 왜 그렇게 잘 위장되었는지에 대해 많은 의문을 제기하며, 마찬가지로 왜 연합군으로부터 이 사이트에 더 많은 관심을 받지 않았는지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한다.
이 사이트는 폭격을 맞았지만, 디데이 전에는 어느 정도 타격을 입지 않았다. 1944년 6월 6일 아침, HMS Hawkins는 총기를 사용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지만, Maisy는 많은 해군 함정에 의해 3일 동안 포탄에 맞았다. 현장 왼쪽(라 마르티니에르)에 있는 세 개의 캐스테마테는 전방에서 아무런 피해의 흔적도 보이지 않고, 레인저스가 걸어서 들판을 가로질러 공격했을 때 동쪽으로부터 피상적인 피해만 볼 뿐이다. 이것은 6월 9일 아침, 제2 Btn의 하프트랙과 함께 5 레인저스의 남자들에 의해 배터리가 공격당한 방향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D-Day의 왕실 해군사에서 HMS Hawkins는 많은 다른 배들이 여러 날 동안 같은 일을 했다고 주장했음에도 불구하고 D-Day에 배터리를 침묵시켰다고 기술하고 있다. 호킨스는 또 세인트 마틴 드 바레빌의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지만, 디데이 당일 아침에 총기가 그곳에 없었고 내륙으로 더 멀리 이동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citation needed]. 그 마을은 6월 9일 해방된 후 브래들리 장군의 본부가 되었다.[4]
이 유적지는 발굴되어 2007년 4월 박물관으로 개관하였다.[5]
인구
연도 | Pop. | ±% |
---|---|---|
1793 | 533 | — |
1800 | 627 | +17.6% |
1806 | 673 | +7.3% |
1821 | 777 | +15.5% |
1831 | 1,258 | +61.9% |
1836 | 1,260 | +0.2% |
1841 | 1,264 | +0.3% |
1846 | 1,310 | +3.6% |
1851 | 1,436 | +9.6% |
1856 | 1,463 | +1.9% |
1861 | 1,529 | +4.5% |
1866 | 1,613 | +5.5% |
1872 | 1,624 | +0.7% |
1876 | 1,691 | +4.1% |
1881 | 1,704 | +0.8% |
1886 | 1,731 | +1.6% |
1891 | 1,868 | +7.9% |
1896 | 1,847 | −1.1% |
1901 | 1,839 | −0.4% |
1906 | 1,844 | +0.3% |
1911 | 1,774 | −3.8% |
1921 | 1,615 | −9.0% |
1926 | 1,604 | −0.7% |
1931 | 1,621 | +1.1% |
1936 | 1,598 | −1.4% |
1946 | 1,632 | +2.1% |
1954 | 1,576 | −3.4% |
1962 | 1,932 | +22.6% |
1968 | 1,880 | −2.7% |
1975 | 1,809 | −3.8% |
1982 | 1,845 | +2.0% |
1990 | 1,881 | +2.0% |
1999 | 1,831 | −2.7% |
2008 | 1,775 | −3.1% |
참고 항목
참조
- ^ "Répertoire national des élus: les maires". data.gouv.fr, Plateforme ouverte des données publiques françaises (in French). 9 August 2021.
- ^ "Populations légales 2018". The National Institute of Statistics and Economic Studies. 28 December 2020.
- ^ Adams, Stephen (4 January 2008). "Amateur historian unearths Nazi battery". telegraph.co.uk. London. Retrieved 6 June 2010.
- ^ "The Atlantik Wall In Normandy : Grandcamp Maisy". atlantikwall.org.uk. Retrieved 6 June 2010.
- ^ "Welcome to The Maisy Battery". maisybattery.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July 2010. Retrieved 6 June 2010.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그랜드캠프-메이시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