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루타이트

Groutite
그루타이트
Groutite-rare-09-33b.jpg
망간 결절 내 그루타이트 결정
일반
카테고리산화광물
공식
(기존 단위)
Mn3+O(OH)
IMA 기호그로[1]
스트룬츠 분류4.FD.10
크리스털 시스템정형외과
크리스털 클래스디피라미달(mmm)
H-M 기호: (2/m 2/m 2/m)
스페이스 그룹Pbnm
단위세포a = 4.56, b = 10.7
c = 2.87 [å]; Z = 4
식별
제트블랙
수정습관쐐기 또는 렌즈 모양의 결정체, 고환, 변형 프리즘
트윈닝보고된, 알려지지 않은 법률
클라바주{010}에 완벽함, {100}에 완벽하지 않음
골절울퉁불퉁한
고집브리틀
모스 눈금 경도3.5 - 4.0
루스터견고한 서브메탈에서 견고한 서브메탈로 뛰어난 성능
스트릭암갈색
발데인성불투명
비중4.144
광학 특성이축(+)
굴절률nα = 2.100 - 2.200nγ = 2.100
플레이오크로이즘매우 강함, X = 매우 짙은 갈색에서 검은색, Y = 노란빛이 도는 갈색
2V 각도측정: 40°~50°
참조[2][3][4]

그루타이트는 MnO3+(OH) 공식을 가진 망간산화물 광물이다.디아스포레 그룹의 일원으로 망간나이트페이트크네히타이트트리모프성이 있다.그것은 정형외과계에서 광택이 나는 검은 결정을 형성한다.

그것은 풍화 띠철 형성, 변형된 망간 광체 및 열수 광석 환경에서 발생한다.[2]1945년 미네소타 크로윙 카운티 쿠유나 산맥의 마노멘 광산에서 발생한 사건으로 처음 설명되었으며, 미네소타 대학의 애완동물학자 프랭크 피치 그라우트(1880–1958)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4]

참조

  1. ^ Warr, L.N. (2021). "IMA–CNMNC approved mineral symbols". Mineralogical Magazine. 85 (3): 291–320. Bibcode:2021MinM...85..291W. doi:10.1180/mgm.2021.43. S2CID 235729616.
  2. ^ a b 광물학 핸드북 - 그루타이트
  3. ^ Groutite on Mindat.org
  4. ^ a b 웹 미니어처 상의 그라우타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