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드브란스달렌
Gudbrandsdalen구드브란스달렌 | |
---|---|
나라 | 노르웨이 |
카운티 | 인랜드 |
지역 | 오스트렐란데트 |
어드미 센터 | 릴레함머 |
면적 | |
• 합계 | 15,620km2(5,920평방 미) |
인구 (2004) | |
• 합계 | 69,824 |
• 밀도 | 4.6/km2(12/sq mi) |
데모닉 | 구드브란츠들 |
구드브란스달렌(Urban East Norwegian: [ˈɡʉʉ(((d)brɑnsdːː]n;], 영어:구드브란트[1][2][3] 계곡)은 노르웨이의 Innlandet(옛 Oppland) 군에 있는 계곡이자 전통 지구다.[4] 이 계곡은 릴레함메르와 므조사 호수에서 북쪽으로 향하며 230km(140mi)가 롬스달렌 쪽으로 뻗어 있다. 구드브란츠달스르겐(Lågen)의 강은 레즈카스톡스바트넷에서 시작하여 므제네로 끝나는 골짜기를 흐른다. 오타 골짜기를 흐르는 오타 강은 르겐의 주요 지류다. 오타와 가우사(가우스달)와 같은 지류강의 계곡은 보통 구드브란스달렌의 일부로 간주된다. 계곡의 총면적은 관련 자치단체 면적에서 산출한다.[5] Gudbrandsdalen은 작은 계곡들의 거미줄에 있는 주요 계곡이다. 서쪽(오른쪽)에는 긴 인접 계곡이 있다. 오타달렌은 오타 마을에서 100km(62mi), 가우스달은 릴레함메르에서 50km(31mi), 헤이달은 스조아에서 40km(25mi) 정도 뻗어 있다.[6] 구드브란스달렌은 조툰하임엔과 도브레펠-론데인을 포함한 노르웨이의 주요 산맥 사이를 운행한다.[5]
글로마 강과 외스테르달렌과 함께 뤼겐과 구드브란스달렌은 동노르웨이의 주요 지역을 덮고 있는 노르웨이 최대의 배수 체계를 형성하고 있다. 구드브란스달렌은 도브르 선과 유럽 노선 E6가 위치해 있으며, 오슬로와 중부 동부 저지대에서 트론드하임과 뫼레오그 롬스달까지 남노르웨이를 통과하는 주요 육상 교통 회랑이다.
The valley is divided into three parts: Norddalen (Northern valley; the municipalities of Lesja, Dovre, Skjåk, Lom, Vågå and Sel), Midtdalen (middle valley; the municipalities of Nord-Fron, Sør-Fron and Ringebu), and Sørdalen (Southern valley; the municipalities of Øyer, Gausdal and Lillehammer). 그 계곡에는 남북으로 두 개의 지방법원이 있다.[5] 2016년까지만 해도 이 계곡은 경찰 지구였다.[7] 구드브란즈달렌 지구는 구 오플랜드 군의 약 60%를 차지하고 있다.[6]
헨리크 입센의 희곡 '페어 갠트'의 주인공은 18세기나 17세기 계곡에 사는 현실적이거나 전설적인 사람에 의해 영감을 받았다.[8] 입센은 1862년 계곡을 누비며 지역의 이야기와 전설, 시를 수집했다.[9] 입센은 또한 그의 여행에서 "Gudbrandsdalen의 엘스타드"를 포함한 그림을 그렸다.[6]
어원
Gudbrandsdalen이라는 이름은 'Gudbrand의 계곡/데일'을 의미한다. 구드브란트(Old Norse Guðbrandr)는 구스, '신'과 브랜드, 'sword'를 합친 옛 남성 이름이다. 그 이름은 Gudbrand라고 불리는 추장(hersir)에서 유래될 수 있다. Snorri Sturluson에 따르면 그 지역은 계곡이 많아서 "이달롬"이라고도 불렸다.[6] 데일 구드브란드는 쇠르프론 훈도르프에 정착했다.[10][11] 하프단 더 블랙의 당시에는 "구브란스달렌의 북쪽의 구드브란트 족장"이 있었다. (Gudbrand Herse nord i Dalom) 후에 에릭 블러드랙스에게는 데일-구드브랜드라는 상대가 생겼다. 노르웨이의 현자 올라프 2세에 따르면 1021년 마지막 데일구드브란드를 만났다고 한다. 역사학자들은 바이킹 시대에 Hundorp에 지역 중심지가 있었고 Gudbrand라는 이름은 지배계층에 의해 여러 세대에 걸쳐 사용되었다고 믿는다. 훈도프의 무덤덤불은 힘센 사람들이 그곳에 묻혔다는 것을 암시한다.[6]
지리
Gudbrand Valley는 노르웨이에서 가장 건조한 지역을 포함한다. Skjåk의 연평균 강수량은 278mm에 불과하다.[12] 구드브란트 계곡은 서쪽(조툰헤멘 포함), 북쪽과 동쪽 산들의 비 그림자에 자리잡고 있다.[13] 그 계곡은 노르웨이 서부의 계곡보다 덜 절개되어 있다.[14] 농사는 대부분 비교적 좁은 계곡에 국한되어 있다. 구드브란스달렌과 인접한 계곡들은 넓은 고지대와 전통적인 세터나 여름 농장으로 사용되는 고원의 산으로 둘러싸여 있다.[6]
1789년 7월에 Storofsen 홍수 재난이 발생했고 Gudbrandsdalslågen은 과잉 홍수를 일으켰다. 이는 노르웨이에서 기록된 가장 큰 홍수로 계곡이 특히 피해를 입었다. 61명이 죽었다. 약 3000채의 가옥이 완전히 파손되었고 수천 마리의 가축이 익사했다. 모든 다리가 사라졌다.[15][16] 뤼겐은 평년보다 7m나 높아져 계곡 바닥 대부분을 덮었다.[13] 다수의 농민들이 피해를 입은 농장을 버리고 트롬스 현 므를셀프 시에 정착했다.[16][15] 두 번째로 큰 홍수는 1995년 여름에 발생했고 다시 계곡 바닥은 물로 덮여 있었다. 스토로프센 이후, 돌과 자갈이 르겐의 흐름을 바꾸어 놓았기 때문에 셀 교회에서 상류로 올라가는 계곡 바닥은 늪과 얕은 호수로 변했다. 약 1910년경부터 배수 작업으로 인해 500헥타르의 농경지가 여전히 셀 보그로 알려져 있다. 독성이 강한 시쿠타 비로사는 물이 빠지기 전에 이 늪에서 번성했으며 노르웨이어로 셀스네페(Selsnepe)라고 알려져 있다. 레자(돔베스와 로라 사이)의 계곡 바닥은 원래 얕은 호수로 덮여 있었다. 1860년부터의 배수 작업으로 호수는 폐지되었고 1000헥타르의 농경지는 남겨졌다.[15] 계곡의 중심부는 약 50~60m 깊이의 로스나 호수로 덮여 있다.
지질학
Gudbrandsdalen의 계곡은 노르웨이의 구제의 전반적인 발전을 고려하면 상당히 오래된 것이다. 이 계곡은 남부 스칸디나비아 산맥의 높이 축을 가로지르고 있는데, 이는 노르웨이의 지각 상승 이전에 형성된 계곡임을 보여주는 특징일 수 있다.[14] 이 계곡은 노르웨이 남부의 여러 계곡들 중 하나로, 이미 고대 팔레스타인의 구제의 일부로서 존재했지만, 그 당시 보다 온화한 슬로프를 가지고 있었다.[17] Gudbrandsdalen은 원래 충적기원의 계곡으로 형성되고 발전했다. 겨우 수백만 년이 지난 후에 그 계곡은 4월 동안 빙하에 의해 다시 형성되었다.[14] 페노칸디안 빙하가 마지막 빙하기가 끝날 무렵 녹고 후퇴하면서 계곡에는 거대하지만 순간적인 얼음으로 뒤덮인 호수가 형성되었다.[18]
역사
구드브란트 계곡은 최근의 빙하시대와 조툰하임엔과 도브레의 현재의 빙하시대에서 강으로 형성되었다. 당시 이 지역에 살던 매머드와 사향소 뼈와 이빨이 계곡에서 발견된다. 석기시대 사냥꾼들의 흔적은 계곡(그리고 주변의 산지에서도 발견된다. 릴레함머 북부에 엘크의 암각화가 있다.[19] 구드브란즈달렌은 항상 트론하임과 중부 동부 저지대 사이의 간선 도로를 호스트해 왔다. 올드 노르웨이의 þóvegr(tjodvei), "인민길" 또는 "모든 사람의 길"[6]로 알려져 있다.
전설의 역사
올드 라움은 데일구드브란드를 낳은 아버지였고, 헌도르프에 정착했다. 구드브란트 계곡은 스노리 스툴루손에 의해 Heimskringla(노르웨이 왕들의 연대기)에서 광범위하게 언급되고 있다. 올라프 왕의 데일-구드브란트 기독교로의 개종(A.D. 1015–1021)에 대한 설명은 널리 알려져 있다. 전설에 따르면, Gudbrand는 그곳에 "계곡에" 교회를 세웠는데, 아마도 Hundorp 근처의 Haave 농장에 고고학적 증거가 계곡의 첫 번째 교회가 무엇이었는지를 보여준다.[6] 1206년 노르웨이의 왕위 계승자인 Håkon Håkonsson은 릴레함메르에서 레나까지 스키를 타고 달리는 버크비너에 의해 구원을 받았다.
흑사병 정착지가 확장되고 변두리에 새로운 농장이 생기기 전까지 말이다. 이름이 -gard, -rud, -hus, -li인 농장은 대부분 이 확장기부터이다. 중세기에는 약 40개의 교회가 존재했는데, 대부분 부활절 가우스달과 폴레부에는 석조교회를 제외하고는 목조교회가 건설되었다. 하마르 성공회는 1152년에 설립되었고 그 관할권은 구드브란스달렌을 포함했다. 가모 스테이브 교회와 링게부 스테이브 교회는 고대 목조 교회의 예들이다. 피방 스테이브 교회와 비구 교회에는 오래된 교회의 일부가 포함되어 있다. 흑사병은 1349년부터 1350년까지 구드브란스달의 인구를 50~70% 줄였다. 사쿰, 브레콤, 스카보, 베너비그드 등 다른 지역들은 수세기 동안 대부분 버려져 있었다. 주변 지역 주민들은 아마도 주요 계곡과 빈 땅이 있는 다른 지역으로 이주했을 것이다. 많은 수의 성직자들 또한 페스트 기간 동안 사망했고 교회들은 황폐해졌다. 1600년대 동안 인구는 다시 1300년과 같은 수준에 도달했다. 1500년대 동안 그 지역에는 약 6000명의 주민이 살고 있었다. 1665년 이전에는 인구 조사가 실시되지 않았으며 인구 수치는 추정치에 근거한다.[6] 이것은 농어가 부족해지고 가난한 사람들이 더 나은 농장을 임대할 수 있게 되면서 일시적으로 하층민들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낳았다.[6]
이전 역사
1537년 종교개혁 동안 노르웨이 교회는 대부업자나 보안관에게 종속되었다. 교회 재산은 왕위에 의해 전용되었고 왕은 구드브란트 계곡의 최대 지주국이 되었다. 크링겐 전투는 1612년 노르웨이의 오타 근처에서 벌어졌으며, 현지인 "구드브란츠드ls스"는 스코틀랜드 용병군을 격파했다. 농민 소녀 프릴라-구리가 전통적인 숫양의 뿔을 연주하여 스코틀랜드인들을 매복으로 유인했다는 이야기 등 이 전투의 전설은 오늘날까지 전해져 오고 있다.[citation needed] 1665년 인구조사는 13,000명의 인구를 나타낸다.[6]
1670년부터 1725년까지 왕실의 대부분의 재산은 전쟁 빚을 갚기 위해 매각되었는데, 처음에는 기존의 재산 소유자에게 매각되었으나 점차 농민 소유주에게 매각되었다. 자유보유자의 시대가 시작되고 새로운 '상위계층'이 형성되었다. 스토로프사는 1789년에 발생했으며, 구드브란트 계곡에 기록된 가장 큰 홍수로, 여러 농장이 황폐화되었고, 많은 사람들이 죽었다.[citation needed]
현대사
1827년 릴레함메르 시가 성립한다. 므조사와 호베드바넨(노르웨이 최초의 철도)에 있는 패들 기선 스키블라드너는 1856년 구드브란트 계곡과 크리스티아노를 연결했다. 하마르-셀바넨 철도는 1894년 트렛텐까지 완공되었다. 하마르-셀바넨은 1921년 도브르 선으로 개명하고, 오슬로와 트론드하임 사이의 새로운 주철도가 구드브란트 계곡을 통해 완공되었다. 구드브란트 계곡 곳곳에서 역사적 건축물을 전시하고 있는 마이하우겐 야외박물관은 1904년 릴레함머에서 개관했다.[citation needed]
1865년경부터 북미로의 이민으로 인구가 크게 줄었다. 1946년까지 주민의 대다수는 농업에 종사했다.[6]
제2차 세계 대전 중 돔베스는 물론 트레튼과 크밤의 계곡에서도 심한 전투가 벌어졌다. 돔베즈 전투는 독일군의 진격을 저지하기 위한 시도였다. 영국군은 수개월간의 포니전쟁 이후 제2차 세계대전에서 처음으로 독일군을 육지전투에 참가시켰다.[20]
릴레함메르는 1973년 릴레함메르 사건의 현장이었는데, 그곳에서 이스라엘 모사드 공작원들이 모로코인 웨이터를 총으로 쏴 죽였고, 뮌헨 대학살에 가담한 알리 하산 살라메였다.
1994년 동계 올림픽은 릴레함머에서 개최되었다.
2016년 청소년 올림픽은 릴레함머에서 열렸다.
타운스
계곡과 가까운 산지
참고 항목
참조
- ^ 젠킨스, J 게린트 1972년 민속 박물관의 공예품과 민속 예술의 사용. 인: 리차드 M. 도슨 (edd.) , 민속과 민속 생활: 소개 페이지 497–516. 시카고: 시카고 대학 출판부, 513페이지.
- ^ 헤세, 데이비드. 2014년 워리어 드림스: 유럽 본토에서 스코틀랜드인 역할을 하고 있다. 맨체스터: 맨체스터 대학 출판부, 페이지 147.
- ^ 캘리포니아의 예술. 1990. 세인트 헬레나, CA: 그레그 사펠 통신 59페이지.
- ^ moderniseringsdepartementet, Kommunal- og (7 July 2017). "Regionreform". Regjeringen.n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March 2018. Retrieved 28 April 2018.
- ^ a b c Thorsnæs, Geir (14 February 2018), "Gudbrandsdalen", Store norske leksikon (in Norwegian), retrieved 5 December 2018
- ^ a b c d e f g h i j k l Gudbrandsdalen. 오슬로: Gyldendal, 1974년. ISBN 8205062846.
- ^ "Slik blir politireformen". 31 May 2015.
- ^ 마이어, 마이클 1974년. 입센: 전기. 요약판. 펠리칸 전기 기사 하몬즈워스: 펭귄. ISBN 0-14-021772-X.
- ^ 외스테베트, 에이나르(1967년). 메드 헨리크 입센 펠하임엔 스키엔: 올루프 라스무센스 포래그.
- ^ "dialekter i Gudbrandsdalen". snl.no. Retrieved 2 July 2015.
- ^ "Gudbrandsdalen". snl.no. Retrieved 2 July 2015.
- ^ "Norges våteste og tørreste steder" (in Norwegian). NRK. 11 July 2013. Retrieved 21 January 2017.
- ^ a b Østmoe, Arne (1985). Stor-ofsen 1789. Værsystemet som førte til den største flomkatastrofen i Norge (in Norwegian). Ski: Oversiktsregisteret. ISBN 82-7379-001-0.
- ^ a b c Bonow, Johan Mauritz; Lidmar-Bergström, Karna; Näslund, Jens-Ove (2007). "Palaeosurfaces and major valleys in the area of Kjølen Mountains, southern Norway – a concequence of uplift and climatic change". Norwegian Journal of Geography. 57: 83–101.
- ^ a b c Andersen, Bård (1996). Flomsikring i 200 år. [Oslo]: Norges vassdrags- og energiverk. ISBN 82-410-0263-7.
- ^ a b Mardal, Marius A. "Storofsen". In Godal, Anne Marit (ed.). Store norske leksikon (in Norwegian). Oslo: Norsk nettleksikon. Retrieved 20 September 2012.
- ^ Lidmar-Bergström, Karna; Ollier, C.D.; Sulebak, J.R. (2000). "Landforms and uplift history of southern Norway". Global and Planetary Change. 24 (3): 211–231. Bibcode:2000GPC....24..211L. doi:10.1016/S0921-8181(00)00009-6.
- ^ Garnes, K.; Bergersten, O.F. (1980). "Wastage features of the inland ice sheet in central South Norway". Boreas. 9: 251–269.
- ^ https://kulturminnesok.no/minne/?queryString=https://data.kulturminne.no/askeladden/lokalitet/20978
- ^ Dirk Levsen: Mikrogeschicte als Besatzungsgeschicte. 더 도이치 펠드즈그 더치 다스 굴드브란즈달과 다스 롬스달 임 프뤼자르 1940. 역사학자와 뮤잘레 프래센테이션. 로버트 본에서, (Hrsg.): 덴 "게르마니첸" 렌던던 1940-1945년 (=역사학 미트틸룽겐 데어 랑케게셀샤프트, 베이허프트 26)의 디 도이체 헤르르샤프트. Steiner, Stuttgart 1997 ISBN 3-515-07099-0. S. 113f.
외부 링크
위키보이지는 Gudbrandsdalen을 위한 여행 가이드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