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표: 60°49'31 ″N 11°23'27 ″E / 60.82528°N 11.39083°E / 60.82528; 11.39083

뢰텐

Løten
뢰텐 시
Løten kommune
Løiten herred (사적명)
View of the village of Løten
뢰텐 마을 전경
Flag of Løten Municipality
Innlandet within Norway
노르웨이의 내륙 지방
Løten within Innlandet
인란데트 내의 뢰텐
좌표 : 60°49'31 ″N 11°23′27″E / 60.82528°N 11.39083°E / 60.82528; 11.39083
나라노르웨이
자치주인란데
디스트릭트헤드마켄
설립된1838년 1월 1일
작성자:포맨스캡스디스트릭트
행정중심지뢰텐
정부
• 시장(2019)마르테 라르센 뢴세스[1](Sp)
지역
• 토탈369.44 km2 (142.64 sq mi)
• 육지362.28 km2 (139.88 sq mi)
• 물7.16 km2 (2.76 sq mi) 1.9%
• 랭크노르웨이 246위
인구.
(2022)
• 토탈7,715
• 랭크노르웨이에서 133위
• 밀도21.3/km2 (55/sq mi)
• 변경(10년)
Increase +3.2%
디모닉Løtensokning[2]
공용어
노르웨이식복몰
시간대UTC+01:00 (CET)
• 여름(DST)UTC+02:00 (CEST)
ISO 3166 코드NO-3412[4]
웹사이트공식 홈페이지

뢰텐(Löten)은 노르웨이 인란데트 현에 위치한 지방 자치체입니다. 헤데마켄전통적인 지역에 위치해 있습니다. 지방 자치체의 행정 중심지뢰텐(Löten) 마을입니다. 지방 자치체의 다른 마을로는 오달스브루크, 하임달, 브레네리로아 등이 있습니다.

369 평방 킬로미터의 자치체는 노르웨이의 356개 자치체 중 246번째로 면적이 큽니다. 뢰텐(Löten)은 노르웨이에서 133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로, 인구는 7,715명입니다. 시정촌의 인구 밀도는 평방 킬로미터당 21.3명이며, 지난 10년 동안 인구는 3.2% 증가했습니다.[5][6]

일반정보

뢰이텐 교구는 1838년 1월 1일에 설립되었습니다. 이름은 나중에 뢰텐(Löten)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지방 자치 단체의 경계는 변경된 적이 없습니다.[7]

이름.

지방 자치체()는 옛 뢰텐 농장(옛 노르드어: 뢰텐 농장)에서 유래된 이름입니다. 라우트빈). 실제 농장은 아마도 최초의 뢰텐 교회가 지어진 프레스가든(Prestgarden, "목원"이라는 뜻)이라고 불리는 곳일 것입니다. 첫 번째 요소는 "홀로 우울증"을 의미하는 추앙입니다. (프레스가든과 오래된 교회 사이에는 긴 우울증이 있습니다.) 마지막 요소는 "목초" 또는 "목초"를 의미하는 vin입니다.[8] 역사적으로 지방 자치체의 이름은 Leuten 또는 Leuthen이었습니다. 1838년 철자법은 뢰이텐으로 변경되었습니다. 1917년 11월 3일, 왕실 결의안은 지방 자치제의 이름 철자를 뢰텐(Löten)으로 변경했습니다.[9]

국장

1984년 9월 7일에 국장이 수여되었습니다. 공식 블레이즈 "술을 마시는 경적"(Gules, Drinking Horn Or)입니다. Irødt et gull drikkehorn). 이것은 팔에 붉은 들판(배경)이 있고 전하중세 시대의 음주 경적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전하는 일반적으로 노란색을 띠는 Or의 촉을 가지고 있지만 금속으로 만든 경우 금을 사용합니다. 그것은 밀 재배의 역사적 중요성과 1855년에 설립된 현대의 뢰텐 브르 æ데리(뢰텐 증류소)의 생산물을 나타냅니다. 팔은 하랄드 트 æ트베르그가 디자인했습니다. 시의 국기는 국장과 같은 디자인입니다.[10][11][12]

교회

노르웨이 교회는 뢰텐 시에 하나의 교구(sokn)를 두고 있습니다. 그것은 하마 교구에 있는 하마돔 프로스티 (대주교청)의 일부입니다.

뢰텐의 교회
교구(skn) 교회명 교회의 소재지 지은년도
뢰텐 뢰텐 교회 뢰텐 c. 1200
오페고르트 성당 오페고르드 1886
오세트 예배당 오셋 1885

역사

역사와 고고학적 증거가 기록된 모든 시기에 걸쳐 동쪽에서 서쪽으로 교통이 이루어졌으며 이 경로를 따라 초기 무역이 이루어졌음을 뒷받침합니다. 옛 마을 중심지는 13세기에 지어진 뢰텐 교회를 중심으로 형성되었습니다.

덴마크의 크리스티안 4세가 17세기 초에 독일 맥주의 수입을 금지했을 때 노르웨이에서 증류가 시작되었습니다. 1624년, 증류주는 결혼식에서 금지되었고, 1638년까지 크리스티안 왕은 성직자들이 그들의 집에서 증류할 수 있는 권리를 금지했습니다. 뢰텐(Löten), 뱅(Vang, 이전 헤드마크 지방 자치제), 로메달(Romedal)의 옥수수 재배 지역은 모두 증류소로 유명해졌습니다. 1855년에 설립된 뢰이텐 브르 æ데리의 "Gamle Löiten"은 뢰이텐에서 생산된 매우 귀중한 "악바비트"였습니다.

1862년 철도가 개통되면서 뢰텐역은 무역과 관리의 새로운 중심지가 되었습니다. 새로운 역 주변은 현재의 뢰텐 마을로 성장했습니다.

정부

노르웨이의 모든 지방 자치 단체는 초등 교육(10학년~10학년), 외래 의료 서비스, 노인 서비스, 복지 및 기타 사회 서비스, 구역 지정, 경제 개발, 시 도로 및 공공 시설을 담당합니다. 시정촌은 직접 선출된 대표자로 구성된 시정촌 의회에 의해 관리됩니다. 시장은 시의회의 투표로 간접 선출됩니다.[14] 지방 자치체는 외스트레 인란데 지방 법원아이디비팅 항소 법원에 속합니다.

시의회

뢰텐 시의회(Kommunestere)는 4년 임기의 17명의 대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의회의 당론은 다음과 같습니다.

뢰텐 코뮌스테레 2020-2023
당명(노르웨이어) 의 수
대표자들
노동당 (아버이더 파티) 7
진보당 (Fremskrits partiet) 1
녹색당 (Miljøpartiet de Grønne) 1
보수당 (Høyre) 1
중앙당 (Senter partiet) 14
사회좌파당 (소시알리스티스크 벤스트레파르티) 1
총 구성원 수:25
뢰텐 코뮌스테레 2016-2019
당명(노르웨이어) 의 수
대표자들
노동당 (아버이더 파티) 11
진보당 (Fremskrits partiet) 1
녹색당 (Miljøpartiet de Grønne) 1
보수당 (Høyre) 2
중앙당 (Senter partiet) 8
사회좌파당 (소시알리스티스크 벤스트레파르티) 1
자유당 (벤스트레) 1
총 구성원 수:25
2012-2015 뢰텐 코뮌스테레
당명(노르웨이어) 의 수
대표자들
노동당 (아버이더 파티) 13
진보당 (Fremskrits partiet) 2
보수당 (Høyre) 3
기민당 (크리스텔리그 폴케파티) 1
중앙당 (Senter partiet) 4
사회좌파당 (소시알리스티스크 벤스트레파르티) 1
자유당 (벤스트레) 1
총 구성원 수:25
뢰텐 코뮌스테레 2008-2011
당명(노르웨이어) 의 수
대표자들
노동당 (아버이더 파티) 11
진보당 (Fremskrits partiet) 3
보수당 (Høyre) 2
연금수령자당 (Pensjonist partiet) 1
중앙당 (Senter partiet) 6
사회좌파당 (소시알리스티스크 벤스트레파르티) 2
총 구성원 수:25
뢰텐 코뮌스테레 2004-2007
당명(노르웨이어) 의 수
대표자들
노동당 (아버이더 파티) 8
진보당 (Fremskrits partiet) 2
보수당 (Høyre) 2
중앙당 (Senter partiet) 10
사회좌파당 (소시알리스티스크 벤스트레파르티) 3
총 구성원 수:25
뢰텐 코뮌스테레 2000-2003
당명(노르웨이어) 의 수
대표자들
노동당 (아버이더 파티) 12
진보당 (Fremskrits partiet) 2
보수당 (Høyre) 3
중앙당 (Senter partiet) 5
사회좌파당 (소시알리스티스크 벤스트레파르티) 3
총 구성원 수:25
뢰텐 코뮌스테레 1996-1999
당명(노르웨이어) 의 수
대표자들
노동당 (아버이더 파티) 13
보수당 (Høyre) 2
중앙당 (Senter partiet) 7
사회좌파당 (소시알리스티스크 벤스트레파르티) 2
자유당 (벤스트레) 1
총 구성원 수:25
1992~1995년 뢰텐 코뮌스테레
당명(노르웨이어) 의 수
대표자들
노동당 (아버이더 파티) 14
보수당 (Høyre) 2
중앙당 (Senter partiet) 5
사회좌파당 (소시알리스티스크 벤스트레파르티) 4
총 구성원 수:25
1988~1991년 뢰텐 코뮌스테레
당명(노르웨이어) 의 수
대표자들
노동당 (아버이더 파티) 15
보수당 (Høyre) 3
중앙당 (Senter partiet) 3
사회좌파당 (소시알리스티스크 벤스트레파르티) 2
주민자유명부 (Bygdefolkets frieliste)2
총 구성원 수:25
1984~1987년 뢰텐 코뮈네스티레
당명(노르웨이어) 의 수
대표자들
노동당 (아버이더 파티) 17
보수당 (Høyre) 3
중앙당 (Senter partiet) 3
사회좌파당 (소시알리스티스크 벤스트레파르티) 2
총 구성원 수:25
1980~1983년 뢰텐 코뮈네스티레
당명(노르웨이어) 의 수
대표자들
노동당 (아버이더 파티) 17
보수당 (Høyre) 3
중앙당 (Senter partiet) 4
사회좌파당 (소시알리스티스크 벤스트레파르티) 1
총 구성원 수:25
1976~1979년 뢰텐 코뮌스테레
당명(노르웨이어) 의 수
대표자들
노동당 (아버이더 파티) 17
보수당 (Høyre) 1
중앙당 (Senter partiet) 5
사회좌파당 (소시알리스티스크 벤스트레파르티) 2
총 구성원 수:25
1972~1975년 뢰텐 코뮌스테레
당명(노르웨이어) 의 수
대표자들
노동당 (아버이더 파티) 17
보수당 (Høyre) 2
공산당 (Kommunistisk Parti) 2
중앙당 (Senter partiet) 4
총 구성원 수:25
뢰텐 코뮌스테레 1968-1971
당명(노르웨이어) 의 수
대표자들
노동당 (아버이더 파티) 17
보수당 (Høyre) 2
공산당 (Kommunistisk Parti) 2
중앙당 (Senter partiet) 4
총 구성원 수:25
1964-1967년 뢰텐 코뮈네스티레
당명(노르웨이어) 의 수
대표자들
노동당 (아버이더 파티) 17
보수당 (Høyre) 3
공산당 (Kommunistisk Parti) 2
중앙당 (Senter partiet) 3
총 구성원 수:25
1960-1963년 뢰텐헤르레드슈티어
당명(노르웨이어) 의 수
대표자들
노동당 (아버이더 파티) 16
보수당 (Høyre) 3
공산당 (Kommunistisk Parti) 3
중앙당 (Senter partiet) 3
총 구성원 수:25
1956-1959년 뢰텐 헤르츠슈티레
당명(노르웨이어) 의 수
대표자들
노동당 (아버이더 파티) 16
보수당 (Høyre) 2
공산당 (Kommunistisk Parti) 3
농민당 (Bondepartiet) 4
총 구성원 수:25
1952~1955년 뢰텐헤르레드슈티레
당명(노르웨이어) 의 수
대표자들
노동당 (아버이더 파티) 16
보수당 (Høyre) 2
공산당 (Kommunistisk Parti) 3
농민당 (Bondepartiet) 3
총 구성원 수:24
1948-1951년 뢰텐헤르레드슈티레
당명(노르웨이어) 의 수
대표자들
노동당 (아버이더 파티) 14
보수당 (Høyre) 2
공산당 (Kommunistisk Parti) 5
농민당 (Bondepartiet) 3
총 구성원 수:24
1945~1947년 뢰텐 헤르츠슈티레
당명(노르웨이어) 의 수
대표자들
노동당 (아버이더 파티) 13
공산당 (Kommunistisk Parti) 6
기민당 (크리스텔리그 폴케파티) 1
비사회주의 정당 공동 목록 (보르게리제 펠레슬리스터) 4
총 구성원 수:24
뢰텐 헤르츠슈티레 1938-1940*
당명(노르웨이어) 의 수
대표자들
노동당 (아버이더 파티) 16
보수당 (Høyre) 4
농민당 (Bondepartiet) 4
총 구성원 수:24
참고: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독일이 노르웨이를 점령했기 때문에, 1945년 전쟁이 끝난 후까지 새로운 지방 의회를 위한 선거가 실시되지 않았습니다.

시장들

뢰텐의 시장들:

  • 1838-1839: Axel Quinsgård
  • 1840-1840: T.A. Gjestvang
  • 1841-1844: 올레 라스무센 그뢰홀트
  • 1847-1848: 요한 프레드릭 빌헬름 라센
  • 1849-1856: 올레 라스무센 그뢰홀트
  • 1857-1864: 헤드바르 노데르하우그
  • 1865-1866: 페르 시그스타드
  • 1867-1868: 옌스 그뢰홀트
  • 1873-1874: Thore Sigstad, Jr.
  • 1875-1875: 옌스 그뢰홀트
  • 1881-1882: Håkon Qvæken
  • 1883-1884: 마티아스 루스타드
  • 1885-1886: Thv. Gjestvang
  • 1887-1890: 마티아스 루스타드
  • 1891-1891: Thv. Gjestvang
  • 1892-1894: 요한 D. 카르테루드
  • 1895-1898: 올레 임셋
  • 1899-1901: 칼 웨프링
  • 1902-1907: 구드브란트 쇠베르크
  • 1908-1910: 에드바르트 홀스
  • 1911-1913: 요한 클레펜
  • 1914-1916: J. Englaugsmoen
  • 1917-1919: N. 토르쇼그
  • 1920-1925: M.A. Nordli
  • 1926-1928: 크리스틴 오. 옴망
  • 1929-1931: M.A. Nordli
  • 1932-1940: 오스카 빌헬름 닐센
  • 1941-1945: 아이나르 마이키
  • 1945-1955: 오스카 W. 닐센
  • 1956-1959: M.A. Nordli
  • 1960-1967: 올레 L. 스카우게루드
  • 1968-1979: Leif Hjelsengsveen
  • 1980-1997: 이븐 외스트룬드(Ap)
  • 1997-1999: 벤테 엘린 릴뢰케스(Ap)
  • 1999-2007: 마틴 스크람스타드 (SP)
  • 2007-2019: 벤테 엘린 릴뢰케스 (Ap)
  • 2019-현재: 마르테 라센 뢴세스 (Sp)

지리학

2017년[35] 원산지별 뢰텐 내 소수민족(1, 2세) 수
혈통 번호
리투아니아 95
폴란드 84
태국. 42
라트비아 35
미얀마 30
시리아 26
스웨덴 24
에리트레아 20

뢰텐(Löten)은 헤드마켄(Hedmarken)의 동쪽에 위치한 도시입니다. 서쪽-북서쪽으로는 하마르 시, 서쪽-남서쪽으로는 스탕게 시, 동쪽으로는 엘베룸 시와 접합니다. 북쪽으로는 오못, 남쪽으로는 볼러와 국경을 접합니다. Hedmarksvidda Moorland는 북쪽에 있습니다.

뢰텐(Löten)은 노르웨이 동부의 농업용 밀밭(Mjøsa 호수 주변과 남쪽)과 노르웨이 동부에서 시베리아까지 뻗어있는 타이가(Taiga) 사이의 "경계"를 따라 놓여있습니다. 경작된 농경지와 황야 사이의 이 경계 지역은 하마 출신의 시인 롤프 야콥센에 의해 그의 고전 시 Tanker ved Onestadkrysset (Onestad crossroad에서의 생각)에 대해 썼습니다.

주목할 만한 사람들

에드바르 뭉크
  • 노르웨이에서 살인죄로 사형을 선고받은 마지막 사람인 크리스토퍼 닐센 스바르트브 æ켄 그린달렌 (1804–1876). 그는 뢰텐에서 살인을 저질렀고, 그곳에서 처형당했습니다.
  • 절규의 노르웨이 화가 에드바르 뭉크 (1863년 오달스브루크 – 1944년)
  • 헬머 헤르만센(Helmer Hermansen, 1871년 뢰텐 – 1958년), 소총 사격 선수, 1900년 하계 올림픽 단체전 은메달리스트
  • 마리우스 뢰네(Marius Røhne, 1883년 뢰텐 – 1966년), 노르웨이의 조경가
  • Hallvard Tr æ트베르그(1898년 뢰텐 – 1987년), 노르웨이의 대표적인 헤럴드 화가
  • 에밀 뢰블린(Emil Lövlien, 1899년 뢰텐 - 1973년), 노르웨이 정치인, 노르웨이 공산당 지도자 (1946-1965)
  • 노르웨이의 라디오와 TV 연예인인 Einar Johannessen (1926–2016)은 뢰텐에 살았습니다.
  • 마그네 æ흘리(Magne D æhli, 1987년 ~ )는 노르웨이의 스키 선수, 스키 선수,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이다.
  • 모니카 쾨라(Monika Kørra, 1989년 ~ )는 노르웨이의 작가이자 전직 육상 선수입니다.

갤러리

참고문헌

  1. ^ "(+) Nå er Marte (28) offisielt ordfører i Løten: – Vi får se hvordan jeg håndterer klubba". ostlendingen.no (in Norwegian). 2 October 2019. Retrieved 6 October 2019.
  2. ^ "Navn på steder og personer: Innbyggjarnamn" (in Norwegian). Språkrådet.
  3. ^ "Forskrift om målvedtak i kommunar og fylkeskommunar" (in Norwegian). Lovdata.no.
  4. ^ Bolstad, Erik; Thorsnæs, Geir, eds. (26 January 2023). "Kommunenummer". Store norske leksikon (in Norwegian). Kunnskapsforlaget.
  5. ^ Statistisk sentralbyrå. "Table: 06913: Population 1 January and population changes during the calendar year (M)" (in Norwegian).
  6. ^ Statistisk sentralbyrå. "09280: Area of land and fresh water (km²) (M)" (in Norwegian).
  7. ^ Jukvam, Dag (1999). "Historisk oversikt over endringer i kommune- og fylkesinndelingen" (PDF) (in Norwegian). Statistisk sentralbyrå. ISBN 9788253746845.
  8. ^ Rygh, Oluf (1900). Norske gaardnavne: Hedmarkens amt (in Norwegian) (3 ed.). Kristiania, Norge: W. C. Fabritius & sønners bogtrikkeri. pp. 103–104.
  9. ^ "Norsk Lovtidende. 2den Afdeling. 1917. Samling af Love, Resolutioner m.m". Norsk Lovtidend (in Norwegian). Kristiania, Norge: Grøndahl og Søns Boktrykkeri: 1057–1065. 1917.
  10. ^ "Civic heraldry of Norway - Norske Kommunevåpen". Heraldry of the World. Retrieved 26 April 2023.
  11. ^ "Løten, Hedmark (Norway)". Flags of the World. Retrieved 26 April 2023.
  12. ^ "Godkjenning av våpen og flagg". Lovdata.no (in Norwegian). Norges kommunal- og arbeidsdepartementet. 23 November 1984. Retrieved 26 April 2023.
  13. ^ Stagg, Frank Noel (1956). East Norway and its Frontier. George Allen & Unwin, Ltd.
  14. ^ Hansen, Tore; Vabo, Signy Irene, eds. (20 September 2022). "kommunestyre". Store norske leksikon (in Norwegian). Kunnskapsforlaget. Retrieved 14 October 2022.
  15. ^ "Tall for Norge: Kommunestyrevalg 2019 - Innlandet". Valg Direktoratet. Retrieved 27 March 2022.
  16. ^ "Tall for Norge: Kommunestyrevalg 2015 - Hedmark". Valg Direktoratet.
  17. ^ a b c d "Table: 04813: Members of the local councils, by party/electoral list at the Municipal Council election (M)" (in Norwegian). Statistics Norway.
  18. ^ "Tall for Norge: Kommunestyrevalg 2011 - Hedmark". Valg Direktoratet.
  19. ^ "Kommunestyrevalget 1999" (PDF) (in Norwegian). Oslo-Kongsvinger: Statistisk sentralbyrå. 2000.
  20. ^ "Kommunestyrevalget 1995" (PDF) (in Norwegian). Oslo-Kongsvinger: Statistisk sentralbyrå. 1996.
  21. ^ "Kommunestyrevalget 1991" (PDF) (in Norwegian). Oslo-Kongsvinger: Statistisk sentralbyrå. 1993.
  22. ^ "Kommunestyrevalget 1987" (PDF) (in Norwegian). Oslo-Kongsvinger: Statistisk sentralbyrå. 1988.
  23. ^ "Kommunestyrevalget 1983" (PDF) (in Norwegian). Oslo-Kongsvinger: Statistisk sentralbyrå. 1984.
  24. ^ "Kommunestyrevalget 1979" (PDF) (in Norwegian). Oslo: Statistisk sentralbyrå. 1979.
  25. ^ "Kommunevalgene 1975" (PDF) (in Norwegian). Oslo: Statistisk sentralbyrå. 1977.
  26. ^ "Kommunevalgene 1972" (PDF) (in Norwegian). Oslo: Statistisk sentralbyrå. 1973.
  27. ^ "Kommunevalgene 1967" (PDF) (in Norwegian). Oslo: Statistisk sentralbyrå. 1967.
  28. ^ "Kommunevalgene 1963" (PDF) (in Norwegian). Oslo: Statistisk sentralbyrå. 1964.
  29. ^ "Kommunevalgene og Ordførervalgene 1959" (PDF) (in Norwegian). Oslo: Statistisk sentralbyrå. 1960.
  30. ^ "Kommunevalgene og Ordførervalgene 1955" (PDF) (in Norwegian). Oslo: Statistisk sentralbyrå. 1957.
  31. ^ "Kommunevalgene og Ordførervalgene 1951" (PDF) (in Norwegian). Oslo: Statistisk sentralbyrå. 1952.
  32. ^ "Kommunevalgene og Ordførervalgene 1947" (PDF) (in Norwegian). Oslo: Statistisk sentralbyrå. 1948.
  33. ^ "Kommunevalgene og Ordførervalgene 1945" (PDF) (in Norwegian). Oslo: Statistisk sentralbyrå. 1947.
  34. ^ "Kommunevalgene og Ordførervalgene 1937" (PDF) (in Norwegian). Oslo: Statistisk sentralbyrå. 1938.
  35. ^ "Immigrants and Norwegian-born to immigrant parents". ssb.n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July 2015. Retrieved 29 June 2015.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