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 데이터 컴퓨터

Gun data computer

총기 데이터 컴퓨터 미 육군해안포, 야전포, 대공포 응용에 사용하는 포병 컴퓨터 시리즈였다. 항공예 애플리케이션에서 그들은 감독과 함께 사용되었다.

변형

파닥 M18
TACFire 통신 터미널 박스
  • M1: 이것은 해안포들이 주요 구경의 해안포를 위해 사용했다. 그것은 1,000피트(300m) 이하로 분리된 두 개의 총의 배터리에 대한 연속 발사 데이터를 계산했다. 그것은 당시(1940) 유형의 위치 확인 및 화재 제어 장비와 함께 범위 섹션에 의해 제공된 동일한 유형의 입력 데이터를 활용했다.
  • M3: 이것은 M9 및 M10 이사들과 함께 방위각, 고도, 연화 시간 등 필요한 모든 발사 데이터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연산은 연속적으로 이루어져서 총은 항상 정확하게 겨누고 연기는 언제라도 발사할 수 있는 정확한 타이밍을 갖도록 했다. 컴퓨터는 M13이나 M14 감독 트레일러에 장착되었다.
  • M4: 이것은 M3와 동일하지만, 다른 탄약이 사용될 수 있도록 변형된 일부 메커니즘과 부품은 제외한다.
  • M8: 이것은 벨 랩스가 구축한 전자 컴퓨터(진공관 기술을 이용한 컴퓨터)로, 중경구 총(최대 8인치 또는 200밀리미터)으로 해안포들이 사용했다. 그것은 바람, 표류, 지구의 자전, 입마개 속도, 공기 밀도, 부위의 높이, 점의 보정 등 다음과 같은 수정을 했다.
  • M9: 이것은 대공 탄약과 총기를 수용하도록 개조된 일부 메커니즘과 부품을 제외하면 M8과 동일했다.
  • M10: Skysweeper용 M38 화재 제어 시스템의 일부인 탄도 컴퓨터.
  • M13: M48 탱크용 탄도 컴퓨터.
  • M14: M103 중전차용 탄도 컴퓨터.
  • M15: M35 야전포 사격통제 시스템의 일부로서, M1 포병 장교 콘솔과 M27 전력 공급을 포함한다.
  • M16: M60A1 탱크용 탄도 컴퓨터.
  • M18: 아멜코(Teliedne Systems, Inc.)[4]북미에서 제조한 다변환 범용 디지털 컴퓨터인[3] FADAC(Field 포병 디지털 자동 컴퓨터)—[1][2]오토네틱스.[5] FADAC는 1960년에 처음 생산되었고,[6][7] 반도체 기반디지털 전자제품 현장 증류소 최초의 컴퓨터였다.
  • M19: M60A2 탱크용 탄도 컴퓨터.
  • M21: M60A3 탱크용 탄도 컴퓨터.
  • M23: 모르타르 탄도 컴퓨터
  • M26: AH-1 코브라용 화재 제어 컴퓨터, (AH-1F)
  • M31: 모르타르 탄도 컴퓨터.
  • M32: 모르타르 탄도 컴퓨터, (핸드헬드)
  • M1: M1 에이브람스 주력 전차용 탄도 컴퓨터

시스템들

AN/GSG-10 TACFire
  • 배터리 컴퓨터 시스템(BCS) AN/GYK-29는 미 육군포병 사격 임무 데이터를 계산하는 데 사용하는 컴퓨터였다. 야전 포병 디지털 자동 컴퓨터(FADAC)를 대체했으며, HMWV 전투 플랫폼에 탑재할 수 있을 정도로 작았다.
  • AN/GSG-10 TACFire 시스템 자동화된 야전 포병 명령 및 제어 기능. 기존 무선 및 유선 통신장비를 이용한 디지털 통신으로 연결된 가변형식 메시지 입력장치(VFMED), 디지털메시지장치(DMD), 반딧불 야포 표적 획득 레이더 시스템 등 컴퓨터와 원격 장치로 구성됐다. 사용 수명 후반에는 보다 진보한 타겟팅 알고리즘을 가진 배터리컴퓨터시스템(BCS)과도 연계했다.

마지막 TACFire 필드링은 1987년에 완료되었다. TACFire 장비의 교체는 1994년에 시작되었다.

TACFire는 주로 육군 사단 야전 포병(Divarty) 부대에 의해 개발된 2세대 메인프레임 컴퓨터인 AN/GYK-12를 사용했다. 그것은 사단급과 대대급이라는 두 가지 구성을 가지고 있었고, 이동 지휘 대피소에 수용되어 있었다. 야전 포병 여단도 사단 구성을 사용한다.

시스템 구성 요소는 두문자어를 사용하여 식별되었다.

  • CPU(중앙 처리 장치)
  • IOU(입출력 장치)
  • MCMU(질량 코어 메모리 단위)
  • DDT(디지털 데이터 터미널)
  • MTU(자기 테이프 장치)
  • PCG(전원 변환기 그룹)
  • ELP(전자 라인 프린터)
  • DPM(디지털 플로터 맵)
  • ACC(양조소 제어 콘솔)
  • RCMU(원격 컨트롤 모니터링 유닛)

TACFire 시스템의 후속은 AFATDS(Advanced Field 포병 전술 데이터 시스템)이다.

  • AFATDS는 전술적 및 기술적 화재 제어를 위한 "Fires XXI" 컴퓨터 시스템이다. 미 야전포병조직의 BCS(기술용 화재솔루션용)와 IFSAS/L-TACFire(전술용 화재제어용) 시스템을 모두 교체한 것은 물론 대대급 이상 기동용 화재지원 요소도 교체했다. 2009년 현재, 미 육군은 리눅스 커널을 실행하는 Sun Microsystems SPARC 컴퓨터를 기반으로 한 버전에서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즈 운영 체제를 실행하는 노트북 컴퓨터를 기반으로 한 버전으로 전환하고 있었다.

잔존예

초기 유닛의 생존 사례가 부족한 이유 중 하나는 다이얼에 라듐을 사용했기 때문에 공식적으로 위험한 폐기물이 되었고, 따라서 미국 에너지부가 이를 처리했다. 현재 포트 실 포병 박물관에서 FADAC의 생존 사례가 하나 있다.[8]

참고 항목

참조

  1. ^ Kempf, Karl (November 1961). "CHAPTER VI -- COMPUTERS FOR SOLVING GUNNERY PROBLEMS". Electronic Computers Within The Ordnance Corps, Computers for Solving Gunnery Problems.
  2. ^ "Field Artillery Digital Automatic Computer (FADAC)". Department of Defense Appropriations for 1970, Part 5. Hearings 91st Congress 1st Session 1969. HathiTrust. 9: 644–645, 647–648. hdl:2027/mdp.35112202783561.
  3. ^ 알버트 R 중위. 밀라벡. 1968년 5월 "양조소 동향"의 "FADAC 유지관리" 페이지 32. "FADAC는 모두 전송되고, 저장된 프로그램이며, 범용 디지털 컴퓨터 입니다. 무게는 약 200파운드... FADAC 부품은 약 1,600개의 트랜지스터, 9,000개의 다이오드, 6,000개의 저항기, 500개의 콘덴서와 다른 많은 스위치, 변압기, 네온 램프를 사용한다."
  4. ^ 1965년 국방부 지출 내역서 3부 283페이지.
  5. ^ "야전 포병 디지털 자동 컴퓨터" 마틴 H의 254쪽 Weik. "국내 전자 디지털 컴퓨팅 시스템에 대한 세 번째 조사" 1961.
  6. ^ Datamation. F.D. Thompson Publications. January 1964. p. 61.
  7. ^ "The United States Army Fires Bulletin". sill-www.army.mil. "First Round Hits" With FADAC. September 1960. p. 9. Retrieved 2018-03-09.{{cite web}}: CS1 maint : 기타(링크)
  8. ^ "U.S. Army Field Artillery Museum - Home".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