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S 브루스 (D81)
HMS Bruce (D81)![]() HMS 브루스 | |
역사 | |
---|---|
![]() | |
이름 | HMS 브루스 |
네임스케이크 | 로버트 더 브루스 |
주문된 | 1916년 4월 |
빌더 | 카멜 레어드, 버켄헤드 |
눕다 | 1917년 5월 12일 |
시작됨 | 1918년 2월 26일 |
커미셔닝됨 | 1918년 5월 29일 |
운명 | 1939년 11월 22일 와이트섬 앞바다에서 표적으로 침몰했다. |
일반적 특성 | |
클래스 및 유형 | 해군 구축함 대장 |
변위 | 1,801톤(1,830t) |
길이 | 332ft 6인치(101.35m) |
빔 | 31피트 9인치(9.68m) |
드라우트 | 12피트 6인치(3.81m) |
설치된 전원 | 40,000 ihp(3만 kW) |
추진 |
|
속도 | 36.5kn(42.0mph, 67.6km/h) |
범위 | 15kn(17mph; 28km/h)에서 5,000nmi(5,800mi, 9,300km) |
보완 | 164-183 |
무장을 |
|
HMS Bruce는 영국 해군의 8명의 해군 함대 지휘관 중 두 번째였다.Cammell Laird에 의해 건설된 브루스는 1918년 5월 29일에 임관되었다.제1차 세계 대전 동안, 그녀는 하리치의 10 구축함 플로티야에서 복무했다.전쟁이 끝난 후, 브루스는 영국 항구에서 몇 년을 예비역으로 보냈고, 그 후 거의 10년을 차이나 스테이션에 근거하여 보냈다.그녀는 상태가 좋지 않아 사용에서 물러났고, 1939년 11월 22일 목표선으로 침몰했다.
설계 및 시공
1916년 12월 영국 해군사령부는 그해 4월 발주한 클래스 스콧의 시제품에 따라 캠멜 레어드로부터 브루스와 HMS 더글러스라는 대형 플라티야 두 지도자를 발주했다.[1][2]해군형,[3] 즉 스콧급은 대함대 사령관 존 젤리코에 제독의 요구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1] 크고 빠르고 중무장한 지도자가 독일의 대형 구축함과 일치하고 계급이탈을 했다.[4]
이 배는 수직선 사이 길이 320피트 0인치(97.54m)와 전체 길이 332피트 5인치(101.32m)로 빔은 31피트 9인치(9.68m)와 드래프트 12피트 6인치(3.81m)로 되어 있었다.[5][1]설계 변위는 1,580톤(1,610t) 정상이었으며 2,050톤(2,080t)의 최대 하중이었습니다.[5]선박의 기계는 4만 축 마력(3만 kW)의 정격인 파슨스 단축 지렛대 증기터빈 2세트에 평방인치(1,700 kPa)당 250 파운드의 증기를 공급하는 야로우 보일러 4대로 구성됐다.[6]이것은 35 kn (40 mph; 65 km/h)의 속도를 주었다.최대 500톤의 기름이 운반되어 15kn(17mph; 28km/h)에서 반경 3,390nmi(3,900mi; 6,280km)가 되었다.[5]
등급은 30도까지 상승할 [7]수 있는 [a]CP VI 마운팅에 있는 4.7 in (120 mm)/45 calibrate BL Mark I 5건으로 구성되었고, 나머지 총은 깔때기 사이의 플랫폼에 배치되었다.[1]대공 무장은 후면 깔때기 바로 옆의 플랫폼에 3인치(76mm)의 총과 단일 마운트의 근접 보호를 위한 2파운드(40mm)의 폼폼 오토캐논 한 쌍으로 구성되었다.어뢰 무장은 3인치 AA 총과 4.7인치 포의 후방 쌍 사이에 있는 21인치(533mm) 어뢰 튜브용 2개의 트리플 마운트로 구성되었다.[8]승무원은 183[3]–188명의[5] 장교와 남자였다.
로버트 브루스의 이름을 딴 브루스는 1917년 5월 12일 캠멜 레이어드 버켄헤드 조선소에 안치되어 1918년 2월 26일 발사되어 1918년 5월 30일에 임관되었다.[9][2][10][b]
서비스
커미셔닝 후 브루스는 1918년 5월 하리치 부대의 일부인 제10 구축함 플로티야에 합류하여 계속적인 시련을 겪었다.[2][11][c]1918년 8월 10일 브루스는 하리치 부대가 북해 남부의 독일 지뢰제거군을 상대로 한 소탕작전에 참가했다.경 순양함 4척과 구축함 14척, 지도자로 구성된 이 부대는 독일 내부의 채굴 지역 가장자리까지 6척의 해안 모터보트(CMB)를 견인할 것이다.거기서부터 CMB는 지뢰밭 상공으로 나아가 어뢰로 공격해야 할 독일 지뢰를 수색하게 된다.에어커버는 구축함 3척 뒤쪽으로 견인된 라이터에 실어 나르는 비행선으로 제공될 예정이었고, 또 다른 구축함 2척은 독일 제플린 비행선에 대항하기 위해 소프위드 카멜 전투기를 실은 라이터를 견인했다.그 힘이 지뢰밭에 도달했을 때, 바람이 불지 않는 것은 비행선이 이륙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했기 때문에, CMB는 회피하지 않고 계속되었고, 독일 항공기의 지속적인 공격을 받게 되었고, 이로 인해 CMB 중 3대는 침몰되고 나머지 3대는 네덜란드에서 인턴이 되었다.한편, CMB가 돌아오기를 기다리던 하리치 포스는 독일 공군 L53함과 맞닥뜨렸고, 구축함 리두트 뒤에서 견인된 라이터에서 낙타 1대가 이륙해 L53을 격추했다.[12][13]
브루스는 전쟁이 끝날 무렵에도 여전히 제10 플로티야에 속했고,[14] 11월 20일과 22일에는 1918년 11월 11일의 휴전 조건에 따라 항복하고 있던 독일 잠수함들을 하리치로 호송하는 것을 도왔다.[2]대함대는 종전 후 해체되어 새로운 구축함 플로티야호가 형성되었고,[15] 1919년 3월까지 브루스는 로지스에 근거지를 둔 예비대형인 [16][17]새로 창설된 제7 구축함 플로티야의 리더로 등재되었다.[18]1919년 12월까지 브루스는 대서양 함대의 일부인 제4 구축함 플로티야의 리더 겸 선장(D)의 기함 역할을 하고 있었고,[19] 그녀는 1921년 1월 제4 구축함 플로티야 소속으로 남아 있었다.[20]1921년 10월 5일 브루스는 구축함 벤데타와 경미한 충돌에 휘말렸고,[16] 연말까지 제9 구축함 플로티야의 일부로서 축소보충으로 다시 로지스에 예비 배치되었다.[21]1922년 10월부터 브루스는 제8 구축함 플로티야 소속이었으나, 1924년 9월 3일 제1 구축함 플로티야에서 지도자 월리스의 임시 교체로 완전 현역으로 복귀하여, 그해 11월 20일 제8 구축함 플로티야로 다시 감소(2/5)했다.[16]
1927년 1월, 브루스는 제8차 플로티야가 홍콩에 본거지를 두고 있는 중국역으로 파견되면서,[16] 여름 동안 웨이하이웨이 등 북부 항구에서 운항하면서 현역으로 복귀했다.[22][23]브루스는 1937년 1월까지 제8 구축함 플로티야와 제4잠수함 플로티야와 함께 중국 해역에 근거지를 두고 있었다.[16][24]1928년 10월 브루스는 아모이 인근 물에 잠긴 바위에 부딪힌 광세의 승객과 승무원을 구조했다는 보고를 받았다.[25]1931년 10월 14일, 브루스와 구축함 위스타트는 헬리콘 기선의 해적들에 의해 포획된 것에 대응했다.[16][26]1936년 10월 브루스는 창고선 메드웨이와 함께 포모사 섬(현 대만)의 킬룽 항구를 방문했다.이번 방문은 브루스의 선원 중 3명이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택시비를 내지 않은 혐의로 기소되면서 일본과 영국 사이에 외교 사건을 일으켰다.선원 3명은 경찰에게 구타를 당해 한 남성이 턱뼈가 부러지는 등 출소하기 위해 자백을 강요받았다.이 사건, 그리고 일본인들이 사과하지 못한 결과, 중국역 총사령관 찰스 리틀 제독의 일본 방문 계획이 취소되었다.[27][28][29]
브루스는 1937년 초 싱가포르를 거쳐 영국으로 돌아와 그해 2월 21일 시어니스에 도착했고, 4월 21일 노어 강에서 예비역에 들어갔다.1937년 9월, 그녀는 재장착을 위해 포츠머스로 옮겨졌으나, 그녀의 열악한 환경으로 인해 재장착은 포기되었고, 브루스는 폐기 처분용으로 할당되었다.이 배는 1939년 3월까지 판매에 대비해 옷을 벗겼으나, 대신 표적으로 배정되어 1939년 11월 21일 자석 기폭장치 시험 도중 어뢰를 맞고 침몰했다.[16]
페넌트 수
페넌트 수[30] | 보낸 사람 | 에게 |
---|---|---|
F48 | 1918년 6월 | 1919년 10월 |
D81 | 1919년 11월 | 1938 |
메모들
인용구
- ^ a b c d 가디너 & 그레이 1985, 페이지 83
- ^ a b c d 영어 2019, 페이지 23
- ^ a b 매닝 1961 페이지 130
- ^ Friedman 2009, 페이지 166, 281, fn. 37
- ^ a b c d 2009년 프리드먼 페이지 298
- ^ a b 프레스턴 1971 페이지 101
- ^ 프레스턴 1971, 페이지 99, 101
- ^ Friedman 2009, 페이지 166–167, 298
- ^ 매닝 & 워커 1959, 페이지 118
- ^ 2009년 프리드먼 페이지
- ^ a b "Supplement to the Navy List Showing Organisation of the Fleet, Flag Officers' Commands &c.: III.–Harwich Force". The Navy List. June 1918. p. 13. Retrieved 14 February 2020 – via National Library of Scotland.
- ^ 뉴볼트 1931 페이지 344–347
- ^ 존스 1937 페이지 367–375
- ^ "Admiralty "Pink Lists", 11 November 1918". Ships of the Royal Navy – Location/Action Data, 1914-1918. Naval-history.net. 24 March 2015. Retrieved 15 February 2020.
- ^ 매닝 1961 페이지 27
- ^ a b c d e f g 영어 2019, 페이지 24
- ^ "Supplement to the Navy List Showing Organisation of the Fleet, Flag Officers' Commands &c.: I.–The Grand Fleet: Destroyers". The Navy List. March 1919. p. 11. Retrieved 15 February 2020 – via National Library of Scotland.
- ^ "Supplement to the Navy List Showing Organisation of the Fleet, Flag Officers' Commands &c.: IV.—Vessels in Reserve at Home Ports and Other Bases: Rosyth". The Navy List. May 1919. p. 18. Retrieved 15 February 2020 – via National Library of Scotland.
- ^ "I.—Atlantic Fleet: Destroyers". The Navy List. December 1919. pp. 702–3. Retrieved 15 February 2020 – via National Library of Scotland.
- ^ "I.—Atlantic Fleet: Destroyers". The Navy List. January 1921. pp. 702–3. Retrieved 15 February 2020 – via National Library of Scotland.
- ^ 프레스턴 1971 페이지 36
- ^ "China Squadron: Ships Returning to Hong Kong from North". The Singapore Free Press. 7 October 1929. p. 12. Retrieved 16 February 2020 – via National Library Board, Singapore.
- ^ "The China Station: Disposition of Units of the Fleet". Malaya Tribune. 24 September 1934. p. 18. Retrieved 16 February 2020 – via National Library Board, Singapore.
- ^ Watson, Graham (2 September 2015). "Between the Wars: Royal Navy Organisation and Ship Deployments 1919–1939". Naval-history.net. Retrieved 15 February 2020.
- ^ "Steamer Strikes Rock: Incident Off Chinese Coast". The Telegraph. Brisbane, Australia. 23 October 1928. p. 6. Retrieved 15 February 2020.
- ^ "Steamer Seized by Pirates". The Northern Times. Carnarvon, Western Australia. 19 October 1932. p. 3. Retrieved 15 February 2020.
- ^ 케네디 & 닐슨 2002 페이지 136–140
- ^ "British Sailors Beaten, Is Claim". The Tribune. Manila. 3 November 1936. pp. 1, 4.
- ^ "Commons' Sequel to Torture of British Sailors: Plea for Strong Action". The Singapore Free Press. 6 November 1936. p. 1. Retrieved 16 February 2020 – via National Library Board, Singapore.
- ^ 영어 2019년 페이지 135
참조
- English, John (2019). Grand Fleet Destroyers: Part I: Flotilla Leaders and 'V/W' Class Destroyers. Windsor, UK: World Ship Society. ISBN 978-0-9650769-8-4.
{{cite book}}
: CS1 maint: ISBN 오류 무시(링크) - Friedman, Norman (2009). British Destroyers: From Earliest Days to the First World War. Barnsley, UK: Seaforth Publishing. ISBN 978-1-84832-049-9.
- Gardiner, Robert; Gray, Randal, eds. (1985). Conway's All the World's Fighting Ships 1906–1921. London: Conway Maritime Press. ISBN 0-85177-245-5.
- Kennedy, Gregory C.; Neilson, Keith, eds. (2002). Incident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People, Power and Personalities. Westport, Connecticut, USA: Praeger. ISBN 0-275-96596-1.
- Jones, H. A. (1937). The War in the Air: Being the Story of the part played in the Great War by the Royal Air Force: Vol. VI. History of the Great War. Oxford: The Clarendon Press.
- Lenton, H. T. (1970). British Fleet and Escort Destroyers: Volume One. London: Macdonald & Co. ISBN 0-356-02950-6.
- Manning, T. D. (1961). The British Destroyer. London: Putnam.
- Manning, T. D.; Walker, C. F. (1959). British Warship Names. London: Putnam.
- Newbolt, Henry (1931). Naval Operations: Vol. V. History of the Great War. London: Longmans, Green and Co.
- Preston, Antony (1971). 'V & W' Class Destroyers 1917–1945. London: Macdonald. OCLC 464542895.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HMS 브루스(D81)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