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부르크 발레단

Hamburg Ballet
일반정보
현지명함부르크 발레단
설립연도1973 (1973)
창업자존 노이미어
주 행사장발레츠겐트럼 함부르크
캐스퍼-보이트-스트레이트 ß 54호기,
20535 독일 함부르크
웹사이트www.hamburgballett.de
상급자
감독.존 노이미어
다른.
오케스트라함부르크 국립 오페라단
공인학교함부르크 발레단
형성
  • 주요한
  • 솔리스트
  • 콩쿠르 드 발레

함부르크 발레단은 독일 함부르크에 본부를 둔 발레단입니다. 1973년부터 미국의 무용수이자 안무가인 존 노이미어(John Neumeier)가 연출했습니다. 이외에도 1978년에 설립된 함부르크 발레 학교[de]가 있습니다. 함부르크 발레단의 공연은 대개 함부르크 국립 오페라 극장에서 열리며, 훈련 및 교육 시설은 "발레츠겐트럼 함부르크 – 존 노이메이어"입니다.

역사

1973년 8월 16일, 존 노이메이어함부르크 국립 오페라 발레부의 발레 감독과 수석 안무가로 취임했습니다. 당시 오페라 하우스에는 무대와 발레 스튜디오가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무용수들은 내내 오페라에서 일했습니다.

새로운 리더십 아래 이 극단의 첫 번째 공연은 1973년 9월 9일 "현대 안무의 고전적 기법"이라는 제목의 발레 워크숍("Ballett-Werkstatt")이었습니다. 나중에 발레 워크숍은 함부르크 발레단의 특징으로 발전했습니다. 1973년 9월 30일, 무용수들은 "Divertimento No. 15", "Allegro Brillante", "Désir", "Ju de cartes"로 첫 프로그램을 선보였습니다. 1974년 1월 함부르크 발레단은 첫 초연을 가졌습니다: 로미오와 줄리엣은 원래 1971년 프랑크푸르트 발레단을 위해 존 노이미어가 안무했습니다. 네우미에는 로미오를 췄고, 마리안느 크루즈는 줄리엣이었습니다. 40주년을 맞아 2013년 4월 11일 세르게이 프로코프쥬의 악보에 맞춰 발레를 선보였습니다. 1974년 5월 12일, 존 노이메이어의 발레 첫 세계 초연이 함부르크에서 열렸습니다. 발레 "마이어비어 – 슈만"은 작곡가 자코모 마이어비어로베르트 슈만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주인공은 막스 미디넷(마이어비어)과 프랑수아 클라우스(슈만)가 추었습니다.

1974년 함부르크 발레단이 처음으로 해외 공연에 초대되었습니다. 그 이후로 투어는 함부르크 발레단의 모든 시즌의 일부입니다. 지난 40년 동안 이 회사는 프랑스, 러시아, 중국브라질을 포함한 29개 국가 및 4개 대륙을 여행했습니다. 2013/14 시즌 동안 그들은 코스타 메사 (캘리포니아)와 비엔나 (오스트리아)에서 공연할 것입니다. 1975년 6월 14일부터 22일까지 제1회 함부르크 발레의 날("Hamburger Ballett-Tage")이 열렸습니다. 발레의 날을 마무리하는 "닌진스키 갈라"와 함께, 그들은 전통이 되었습니다. 1978년 1월 1일 존 노이메이어는 함부르크 발레 학교를 설립했습니다. 원래 학생들은 함부르크 국립 오페라 극장에서 훈련을 받았습니다. 이후 학교는 "비에르팔라스트"로 옮겨 1989년 9월 23일 "발레츠겐트럼 함부르크 – 존 노이메이어"가 문을 열었습니다. 발레 센터는 2011년 존 노이미어가 설립한 국립 청소년 발레단("Bundesjugendballett")의 본거지입니다.

레퍼토리

지난 40년 동안 함부르크 발레단은 존 노이미어의 안무 120곡 이상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레퍼토리를 개발했습니다. 함부르크 발레단의 단장이자 수석 안무가의 주요 관심사는 고전 발레 전통과 관련하여 새롭고 현대적인 형태를 창조하는 것입니다.

무대 위에서.

존 노이미어의 예술적 초점 중 하나는 "호두까기 인형" (1971), "환상 – 백조의 호수와 같은" (1976), "신데렐라 이야기" (1992), "실비아" (1997), 그리고 원래 파리 오페라 발레를 위해 만들어진 "지젤" (2000)과 같은 저녁 길이의 이야기 발레의 수정에 있습니다.

함부르크 발레단의 레퍼토리에는 관현악에 맞추어 안무된 다양한 발레곡들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특히 중요한 것은 존 노이메이어의 "구스타프 말러의 세 번째 교향곡" (1975)입니다. 말러의 음악에 맞춰진 다른 발레곡들과 함께, Neumeier의 작품들은 하나의 사이클을 형성합니다. 이 밖에도 존 노이메이어는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의 '성 마태오 수난'(1980년)과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2007년 초연, 2013년 12월 8일 전곡 초연),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레퀴엠'(1991년), 조지 프리데릭 헨델의 '메시아'(1999년)에 맞춰 발레곡을 만들었습니다. 게다가, 다양한 작곡가들이 존 노이메이어의 발레를 위해 작곡을 의뢰 받았습니다. 그들 중 한 명은 "Peer Gynt" (1989)에 음악을 기고한 알프레드 슈니트케(Alfred Schnittke)입니다. 레라 아우어바흐는 《Préludes CV》 (2003)와 《인어공주》 (2005)의 음악을 작곡했습니다.

그 외에도 세계 문학을 소재로 한 발레 춤을 춥니다. 존 노이미어는 알렉상드르 뒤마의 소설을 바탕으로 한 '카멜리아의 여인'(1978)과 마르시아 하이데를 위해 테네시 윌리엄스를 바탕으로 한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1983)를 만들었습니다. 노이메이어는 헨리크 입센의 《피어 귄트》(1989), 호머의 《오디세이》(1995), 안톤 체호프의 《갈매기》(2002), 토마스 만의 《베니스에서의 죽음》(2003)을 각색했습니다. 윌리엄 셰익스피어는 감독과 수석 안무가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엘리자베스 시대의 작가로부터 영감을 받아 존 노이미어는 "As You Like It" (1985), "Hamlet" (1985), "A Midsummer Night's Dream" (1977), "Romeo and Juliet" (1971), "VIVALDI or What you will" (1996), "Othello" (1985)를 안무했습니다. 후자의 부활로 2013/14 시즌이 열립니다. 가장 최근에 존 노이미어는 페렌크 몰나르의 "릴리옴"을 발레로 만들었습니다.

존 노이미어의 예술 작품에서 또 다른 중요한 측면은 음악 장르의 탐구입니다. 그는 레너드 번스타인의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1978)와 "온 더 타운" (1991)을 공연했습니다. 그는 또한 "춤출까요?" (1986)와 "번스타인 댄스" (1998)에서 발견할 수 있는 랩소디 형식을 개발했습니다.

그러나 함부르크 발레단은 존 노이미어의 창작물만을 춤으로 추는 것은 아닙니다. 이 회사의 레퍼토리에는 조지 발란친(George Balanchine), 모리스 베자르(Maurice Béjart), 존 크랑코(John Cranko), 마츠 에크(Mats Ek) 등의 발레곡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바슬라프 니진스키(Vaslav Nijinsky)의 밀리센트 호드슨(Millicent Hodson)의 "Le Sacre du Printemps"와 같은 역사적 안무의 재구성도 있습니다. 2010/11 시즌에는 제롬 로빈스의 "Dance at a Gathering"과 "The Concert"의 작품이 "Chopin Dances"로 레퍼토리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2012년, 함부르크 발레단은 오이시 유카와 오르칸 단이 안무한 "렌쿠"를 공연했습니다. 같은 해, 존 크랭코의 오네긴의 새로운 작품이 함부르크 국립 오페라 극장에서 무대에 올랐습니다.

필름 버전

1987년노이메이어의 "카멜리아의 여인"의 영화 버전이 초연되었습니다. 주연은 마르시아 하이데(마르그리트)와 이반 리슈카(아르망 뒤발)가 맡았습니다. 이외에도 독일 방송사인 NDR과 ZDF는 '구스타프 말러의 세 번째 교향곡', '웬둥'(프란츠 슈베르트의 현악 5중주), '킨더스제넨'(1974), '오델로' 등을 촬영했습니다. 함부르크 발레단 무용수들과 함께한 '환상 – 백조의 호수와 같은', '베니스에서의 죽음', '성 마태오 수난' 등도 촬영됐습니다.

특징들

발레 워크숍

1973년부터 매년 여러 차례 공연되는 발레 워크숍("Ballett-Werkstätte")은 전통적으로 일요일 아침에 열립니다. John Neumeier는 어떤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데, 그 주제는 회사에 의해 설명됩니다. 그는 대중들에게 창작 과정을 설명하고 "쁘띠파 시대" (1978), "발레의 부활 – 복사 또는 창작" (1987), "춤추는 폭력" (1988)과 같은 다른 무용 관련 주제들을 조사합니다. 새로운 발레 워크숍은 "오르페우스와...", "인어공주가 다시 나타남", "데뷔"와 같은 주제를 다루었습니다. 4부로 구성된 발레 워크숍은 독일 방송사 NDR에 의해 녹음되었습니다. 그것은 80년대의 주요 솔로 가수들(Marianne Kruuse, Ivan Liska, Kevin Haigen)의 작품을 더 많은 청중들에게 알렸습니다. 1982년에는 텔레비전을 위한 4개의 워크샵이 더 제작되었습니다. 2012/13 시즌에 John Neumeier와 그의 회사는 관객들에게 200번째로 그의 발레의 발전에 대한 통찰력을 주었습니다.

함부르크 발레단의 날들

1975년부터 함부르크 발레의 날("Hamburger Ballett-Tage")은 시즌 말 축제로 자리 잡았습니다. 축제는 보통 새로운 발레 초연으로 시작합니다. 2014년 함부르크 발레의 은 알렉산더 푸슈킨의 구절 소설 이후 발레인 레라 아우어바흐가 새롭게 의뢰한 악보로 존 노이메이어의 '타티아나' 초연으로 막을 올립니다. 축제는 함부르크 발레단과 세계적으로 호평을 받고 있는 객원 무용수들이 다양한 발레의 발췌본을 선보이는 "닌진스키-갈라"로 마무리됩니다. 갈라는 위대한 무용수이자 안무가인 바슬라프 니진스키에게 바쳐졌습니다. 전통적으로, 축제 기간 동안, 또 다른 유명한 발레단이 함부르크 국립 오페라 극장에서 게스트 공연을 합니다. 2010년에는 도쿄발레단이 방문했고, 2013년에는 바이에른 슈타츠발레단과 몬테카를로(Les Ballet de Monte Carlo)가 함부르크에 손님으로 왔습니다. 2013/14 시즌이 끝나면 네덜랜드 댄스 극장에서 게스트 공연을 할 예정입니다.

발레 센터 함부르크 – 존 노이미어

발레츠겐트럼 함부르크 입구

함부르크 발레 학교는 1978년에 설립되었습니다. 이 발레 학생들은 함부르크 발레 센터("Balletzentrum Hamburg – John Neumeier")에서 가르칩니다. 한때 여학교였던 이 건물은 유명한 함부르크 건축가 프리츠 슈마허가 설계한 마지막 건물 중 하나입니다. 9개의 발레 스튜디오가 있으며, 학생들은 물론 회사 구성원 모두가 훈련과 리허설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숙학교는 35명의 젊은이를 수용할 수 있습니다.

10세에서 18세 사이의 유학생들은 전문 무대 무용수가 되도록 교육을 받습니다. 강의 계획서는 고전-학문 무용의 모든 측면을 우선시합니다. 그 외에도 현대무용 기법, 무용 구성, 민속 등에 대한 강좌가 있습니다. 입학 기준은 신체적 적성, 리듬 능력, 춤 성향, 즉흥성에 대한 재능, 연령에 따른 고전 발레 테크닉의 수준입니다. 입시는 매년 봄에 열립니다. 미취학 아동의 최소 연령은 7세에서 9세, 훈련반은 10세에서 16세, 연극반은 16세에서 18세입니다. 오늘날 극단 무용수의 약 80%가 함부르크 발레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습니다.[citation needed]

이 학교는 함부르크 발레 센터 (Friends of the Hamburg Balletzentrums Hamburg)와 발레 프렌즈 함부르크 (Ballettfreunde Hamburg)의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발레 센터는 최초의 독일 국립 청소년 발레단("Bundesjugendballett")의 본거지이기도 하지만, 법적으로는 함부르크 발레단에 속하지 않습니다.

재단 존 노이미어

존 노이미어 재단은 2006년 2월 23일에 설립되었습니다. 함부르크 국립 오페라 극장, 함부르크 발레 센터와 함께, 재단은 존 노이미어의 도시에서의 예술 활동의 세 번째 부분을 대표합니다. 큐레이터 한스-마이클 셰퍼(Hans-Michael Schäfer)의 재단은 과학, 연구 및 문서화를 제공합니다. 그 기능과 목표는 말과 이미지, 문서와 사물을 통해 발레의 역사를 보존하고 묘사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해서 존 노이미어의 업적, 특히 함부르크 발레단과의 작업이 전시될 것입니다.[citation needed]

앙상블 2019/2020

교장들

실비아 아조니, 헬렌 부셰, 레슬리 하일만, 안나 라우데레, 마도카 스가이, 자코포 벨루시, 크리스토퍼 에반스, 에드빈 레바조프, 알렉산드르 리아브코, 로이드 리긴스, 알렉산드르 트루쉬

게스트 아티스트

Alina Cojocaru

캐릭터 댄서

이반 어반

솔리스트

Patricia Friza, Shue Lin, Emily Mazon, Yun-Su Park, Marc Jubete, Aleix Martínez, Matias Oberlin, Felix Paquet, Florian Pohl, Constantin Tsellikov, Lizhong Wang

콩쿠르 드 발레

Olivia Betteridge, Viktoria Bodahl, Yaiza Col, Giorgia Giani, Georgina Hills, Nako Hiraki, Greta Jörgens, Charlotte Larzlere, Frederike Midderhoff, Hayley Page, Kristina Paulin, Chiara Ruaro, Ana Torrequebrada, Priscilla Tselikova, Mengting You, Borja Bermudez, Leeroy Boon, Nicolas Gläsmann, Louis Hasslach, Maria Huguet, Marcelino Libao, 로베르토 페레스, 피에트로 펠레리, 아르템 프로콥추크, 다비드 로드리게스, 마티유 루오, 에밀리아노 토레스, 리카르도 우르비나, 엘리엇 워렐, 일리아 자크레프스키

견습생

프란체스카 하비, 앨리스 마자세트, 미라벨 시모어, 레아 쇤발, 라세 카발레로, 알레산드로 프롤라, 레나드 기센버그

전직 무용수들

참고 항목

참고문헌